사이트맵 ×

토탈산업
현대보테코
HPF미네날스

기업과인물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 HPF는 최고 수준의 제품을 최상의 서비스로 공급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추구- KOPLAS 2025에 참가, 관련 업계에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일 계획    HPF(High Performance Fillers) Minerals Ltd는 독일에 본사를 둔 Quarzwerke 그룹의 자회사로 고성능 필러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 2016년도 7월에 서울에 지사를 설립한 이후 2021년도에는 당진 공장을 준공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 전체에서 고성능 필러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HPF Minerals(www.hpfminerals.com/kr 이하 HPF)는 다양한 광물 원료를 바탕으로 광범위한 제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HPF에서 제공하는 고성능 필러는 도료 및 코팅, 플라스틱 및 탄성 중합체 등의 고분자 응용 분야에서뿐만 아니라 제약 및 치과용 재료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1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Quarzwerke 그룹은 미네랄 원료 생산자로써 우수한 전통을 이어 온 독립적인 가족 회사로,  고품질의 원자재를 현대적이고 효율적인 처리 기술과 결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으며,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항상 지속 가능한 경영과 생태학적 고려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 Quarzwerke 그룹 사업의 포인트는 산업 미네랄의 추출, 가공, 정제로써 당사의 기술적으로 발전한 생산 시설과 고도로 훈련되고 숙련된 직원들은 고객의 요구를 매우 훌륭히 충족시키고 있다. 수 밀리미터에서 수백 나노미터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구성들은 분쇄되고 표면이 개질될 수 있으며, 특히 쿼츠, 카올린, 장석, 규회석, 미카 등은 700여 종의 다양한 품질 제품을 가공해 50여 개국에서 판매되고 있다. 더불어 Quarzwerke 그룹은 DIN EN ISO 9001 및 DIN EN ISO 14001에 따라 인증되었으며, 추출부터 납품까지 품질 보장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HPF의 조갑성 상무는 “Quarzwerke 그룹의 6개 사업부 중 하나인 HPF는 광물 및 합성 소재를 기반으로, 혁신적이고 기능적인 고성능 필러와 첨가제를 개발, 고유한 시스템 솔루션을 만들고 있다.  당사의 고성능 필러는 수십 년 동안 그 가치를 입증했으며, 폴리머 시스템에 놀라운 기능적/광학적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라며, “최근 페인트, 코팅, 접착제 및 플라스틱에 대한 요구 사항은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는 광물 원료의 가공 및 정제 분야에서 수년간의 경험 덕분에 폴리머 결합 시스템에 맞춤형 필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당사의 고성능 필러는 다양한 입자 크기로 제공되며, 당사의 제품군에는 더 높은 충전 수준을 위한 입자 크기 최적화 필러 패키지와 필러 혼합물도 포함된다. 당사의 많은 기능성 필러는 표면 개질되어 있으며, 이는 표면 처리되지 않은 제품보다 폴리머에 통합하기 쉽다. 폴리머와 고성능 필러 사이의 최적 결합은 폴리머 시스템에 특별히 적용된 코팅제를 통해 달성되며, 이를 통해 더 나은 균질화가 이루어지고 따라서 더 나은 기계적 및 열적 특성이 제공된다”라고 덧붙였다. 향상된 폴리머 복합재 성능을 위한 표면 처리 필러 미네랄 필러는 그동안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엘라스토머를 포함한 다양한 범위의 폴리머 시스템에 사용되어 왔다. 또한 보호 코팅, 접착제 및 기타 여러 유형의 폴리머 기반 시스템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많은 산업에서 이러한 고체 첨가제의 주요 기능은 부피를 채우고, 전체 비용을 줄이는 것으로, 매우 비용 효율적인 복합 재료는 활석이나 탄산칼슘과 같은 상품화된 미네랄 필러로 폴리머 시스템을 채워서 얻을 수 있다. 미네랄 필러가 폴리머 매트릭스를 ‘확장’하는 이러한 능력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는 주요 이유 중 하나다. 한편, 무기 필러를 폴리머에 결합하면 성능이 향상되고 새로운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는 것도 하나의 주된 목적이다. 현재 폴리머 재료에 대한 기대는 그 어느 때보다 크다. 예를 들어, 성능 측면은 기계적 특성, 밀도 및 가공성과 관련될 수 있다. 기능성의 예로는 내화성, 열전도성 및 전기 절연성이 있다. 현재 ‘기능성 필러’라고 부르는 이러한 다 기능적 특성은 미네랄 필러를 단순히 ‘확장’하는 재료로 인식하는 것에서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 미네랄 필러에 대한 끊임없는 혁신과 연구, 그리고 빠르게 확장되는 새로운 폴리머 매트릭스의 범위로 인해 가능한 재료 조합과 결과적인 특성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특히 한 가지 혁신은 복합재 설계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능하게 했다. 이것이 바로 미네랄 필러의 표면 개질이다. 역사적으로, 폴리머/미네랄 복합재 분야의 발전은 무기 필러와 유기 폴리머 화합물의 본질적인 비 호환성으로 인해 억제되어왔다. 이러한 비 호환성은 많은 폴리머 매트릭스(예: 폴리올레핀)의 비극성 및 소수성 표면과 대조적으로 무기 필러의 극성 친수성 표면에서 비롯되었다. 결과적으로, 로딩 수준에 비례하여 가공에 어려움이 있고,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필러의 표면 화학은 처리 공정 중에 표면 코팅을 적용하여 수정할 수 있다. 올바른 표면 개질을 선택하면 표면 개질된 미네랄 필러는 필러와 폴리머 매트릭스 사이에 강력하고 유리한 상호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다음 그림에 표시된 SEM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미네랄 필러의 처리 및 분산을 크게 개선한다.  폴리머 매트릭스에서 (왼쪽) 미처리 및 (오른쪽) 처리된 울라스토나이트 섬유(TREMIN®)의 분산을 비교하는 SEM 이미지. 적절한 표면 처리로 기능성 필러의 폴리머 시스템으로의 젖음성과 분산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필러와 폴리머 매트릭스 사이의 경계에서 계면 접착력이 최적화되어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복합재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다. 이에 대한 예는 다음 표에서 볼 수 있으며, 여기서 처리되지 않은 것과 아미노실란 처리된 울라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복합재가 나타내는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기계적 특성을 비교할 수 있다. 표면 처리된 필러로 전환하면 파단 신율과 아이조드 충격 강도가 상당히 향상되는 것이 분명하다.  HPF의 조갑성 상무는 “’21년에 준공한 HPF 당진 공장에서는 독일에서 들어 온 광물을 사용 용도와 기능에 맞게끔 Customizing 하여 제작, 다양한 산업에 제공하고 있으며, 다양한 광물에 따라 볼 밀(ball mill) 또는 제트 밀(Jet mill) 가공을 해야 하는데 당진 공장에는 볼 밀과 제트 밀 생산 장비와 더불어 표면 처리를 위한 전용 믹서를 갖추고 있다”라며, “독일 설비를 그대로 들여와 국내에서 모든 생산이 가능하고, 한국 이외에도 중국, 일본, 대만, 동남아 지역으로 공급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HPF는 하이 퍼포먼스 필러 제조를 위한 표면 처리(surface treatment) 기술을 핵심으로 고객이 요구하는 최적의 고기능성 필러를 공급하고 있다.  주요 제품 소개 실리카: 탁월한 내화학성 및 내후성실리카(SiO2)는 암석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광물 중 하나다. 퇴적암과 퇴적물뿐만 아니라 마그마 변성암(magmatic metamorphous)에서도 발견되는 성분이다. 기본적으로 SiO2는 자연 상태에서, 삼방정계의 결정구조를 가진 실리카(trigonal silica)로 존재한다. 산업에의 활용에 있어서는, 강력한, 운용이 가능한 규사 광상이 대단히 중요하다.  그런데도, 실리카를 원료로 직접 사용하기에는 그 화학적 순도와 균일성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따라서 당사의 공장에서는 채굴된 규사를 철저한 절차를 통해 준비하며, 광범위한 세척, 분급, 건조 및 철분 오염이 없는 분쇄 공정을 거쳐, 원료는 실리카 조, 미분과 분말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당사는 분쇄 및 분급 기술을 미세하게 조정 및 결합하여, 입자 크기가 1μm 이하인 실리카 분말을 생산하고 있으며, 또 다른 정제 단계에서는 각각의 용도에 적절한 조정을 위해 실란 또는 실란계 물질로 표면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실리카 기반 고성능 필러 제품: MILLISIL®/ SILBOND®/ SIKRON®/ SILMIKRON® 크리스토발라이트: 눈부신 백색 소재크리스토발라이트는 실리카의 고온 변형체다. 실리카와 달리, 크리스토발라이트(cristobalite)는 자연 상태로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크리스토발라이트는 1.500°C까지 가열하여 순수 실리카로 만든다. 이 소성 과정을 통해, 그 격자형 구조는 확장되며, 밀도는 2.35g/cm³로 감소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생성된 기포는 음의 굴절률과 우수한 휘도를 제공한다. 실리카와 마찬가지로 크리스토발라이트는 화학적으로 비활성이다. 300μm의 중간 입자 크기를 갖는 제품부터, 1μm의 입자 크기를 갖는 미분화된 분말 제품까지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크리스토발라이트 기반의 고성능 필러 제품: SILBOND®/ SIKRON®/ SILMIKRON®  규회석: 보강력과 낮은 열 팽창성규회석은 약 450°C에서 형성되는 천연 규산 칼슘이다. 규회석 입자의 구조는 자연조건뿐만 아니라 사용된 준비 기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정 가공 기술을 사용하여 낮은 형상 종횡비(LAR)로 거의 블록과 같은 형태의 입자 구조에서, 높은 형상 종횡비(HAR)를 갖는 예외적인 침상 구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입자 구조를 가진 HPF 규회석 분말이 생산된다. 규회석 기반의 고성능 필러 제품: TREMIN 283 / TREMIN 939  카올린: 강화 특성을 가진 미세 필러카올린은 자연 발생 원재료이며, 범위 가공(extent processing)을 통해 공업용 원료로 정제된다. 카올린은 물 분리 기법을 통해 보조 광물(accessory mineral)로 분리되며, 서로 다른 입도 분포의 분급 공정은 드럼 세척기, 사이클론 분급기 및 원심 분리기를 통해 수행된다.  침전, 여과 및 건조 공정은 이에 뒤이어 실시되며, 해당 공정을 통해 탈수가 진행된다. 표백제 및 자기 분리기는 다양한 카올린 제품에 개선 효과를 제공하며, 1,000°C에서 이루어지는 소성 처리를 통해, 백색 카올린은 고무 응용에 이상적인 제품이 된다. 카올린 기반 고성능 필러 제품: CHINAFILL, K-BRITE, CALK 수산화알루미늄: 백색의 난연제수산화알루미늄은 보크사이트에서 합성을 통해 생성되며, 수산화알루미늄의 두드러진 점은 난연성(180°에서 탈수), 높은 백색도 및 낮은 경도이다. 수산화알루미늄 기반의 고성능 필러 제품: HYDRAFIL®  백색 용융 알루미나: 높은 강도 및 투명성백색 용융 알루미나는 인공 제품이다. 전기로에서 고품질의 알루미나를 녹여 생산하며, 백색 용융 알루미나는 약 99% α-산화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다. 백색 용융 알루미나의 두드러진 특성은 높은 경도와 투명성이다. 이보다 단단한 광물은 다이아몬드뿐이다.  강도가 상당히 높으므로 시중의 분쇄기술로는 분쇄가 어렵다. 미분화된 백색 용융 알루미나 분말 제품인 SEPASIL은 좁은 입도 분포를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정제 단계에서는, 각 응용 분야 맞추어 조정할 수 있는 실란 또는 실란 기반 물질들을 사용하여 표면 처리를 실시한다. 백색 용융 알루미나 기반의 고성능 필러 제품: SEPASIL®EK  SILATHERM®: 폴리머의 열 전도성 개선새롭고 혁신적인 플라스틱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열 전도성 플라스틱은 수많은 주목할만한 장점들이 있기 때문에 향후 점차적으로 더욱더 광범위하고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 플라스틱을 사용하면 경량 구조를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출성형을 통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복잡한 형상을 제조할 수 있다. 고유의 열 전도성이 높은 특수 필러들을 추가하여 플라스틱 소재의 열 전도성을 상당히 늘릴 수 있다. 제품군 SILATHERM®으로 열 전도성 개선하는 광물 필러 기반의 효율적인 솔루션을 개발했다. 또한, 이 필러들은 전기적 절연 효과도 있으며, 기계적 강도를 개선했다.   혁신 역량과 여러 미네랄을 정제하기 위한 새로운 공정의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에 전념하고 있는 HPF가 2025년 3월 11일부터 14일까지 일산 킨텍스 전시장에서 개최되는 KOPLAS 2025에 부스 참가를 하니, 이번 전시 부스를 통해 HPF의 다양한 미네랄을 기반으로 한 고성능 필러(High Performance Filler)를 만나 볼 수 있기를 바란다. www.hpfminerals.com/kr    
이용우 2025-01-06
기사제목
- 휴먼텍만의 차별화된 솔루션과 서비스 제공을 기반으로 공격적인 해외시장공략 결과    지난 12월 11일, 취출로봇과 공장자동화의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휴먼텍(대표이사 황교중 www.humantechubot.com 이하 휴먼텍)은 제61회 무역의 날에서 ‘500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다.      한국무역협회가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국가적 행사인 무역의 날은, 매년 수출 확대 및 질적 고도화, 신시장 개척 등에 공헌한 기업과 개인을 대상으로 포상을 진행한다. 통상 무역의 날은 서울에서 개최가 되나, 지역 소재 기업이 참여하기 여려운 여건을 감안하여 각 지역의 무역협회가 별도로 주최를 하고 있다. 이에 한국무역협회 인천지역본부와 인천시가 지난 12월 11일 연수구 송도컨벤시아에서 ‘2024년 인천 무역의 날’ 기념식을 열고 수출의 탑과 수출 유공자를 포상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총 104개 사가 수출의 탑을 수상했으며, 52명이 수출 유공 포상의 영예를 안았다.  휴먼텍은 국내 시장뿐만 아니라 해외 진출고객들과 해외 시장을 찾아 창립 10주년을 맞이한 지난해에는 미국법인 HUBOT USA를 설립하는 등 해외에서도 휴먼텍만의 차별화된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해나가고자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글로벌 시장 진출에 전력투구 2014년 설립 이래 공장자동화와 취출로봇에 특화된 기술을 선보이며 가파른 성장을 이어오고 있는 휴먼텍은 자동차 부품의 취출, 인서트 전후 공정 자동화부터 가전 부품 제조공정 자동화, IML 인서트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ONE-STOP 생산시스템을 구축해 고객사가 생산성 향상과 공정 단축을 통한 원가 절감으로 제품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취출로봇과 공장자동화의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휴먼텍은 지난해 미국 현지에 이차전지 부품 자동화 라인을 설치했다.  동 설비는 취출로봇(HERO)를 이용한 부품 취출/인서트 자동화와 부품 중량 측정 및 레이저 마킹, Main Conveyor 및 Sub Conveyor Line에 대한 일괄 자동화시스템으로, 특히 인서트는 안정적인 동작과 최적의 설계로 Cycle Time을 단축하여 생산량을 극대화하였으며, 이외에 후공정으로 제품 중량을 0.01g 단위까지 측정하여 양품과 불량품을 판정, 미연에 불량품 혼입을 차단하고 양품만 레이저 마킹하여 생산정보를 시스템에 기록, 관리하는 전라인 자동화 공정이었다.  이외에도 BUSBAR FRAME 자동화 라인에서부터 BMA COVER, VOLT SNSG, Battery Cartridge Insert System까지 이차전지 관련 자동화 라인을 대거 수주하며, 바쁜 한 해를 보냈다.    휴먼텍 황교중 대표이사는 “최근 전 세계의 긴축 정책으로 인해 산업 전반에 걸쳐 국내외 시장이 상당히 위축되어 있다. 반면, 공장자동화 시장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존 취출로봇 시장도 공장자동화를 연계한 산업군으로써 일정 기간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본다”라며, “더불어 스마트 팩토리 등 정부의 산업 정책도 상당한 성과를 이루면서 자동화 보급은 점점 늘어 날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더불어 “이에 휴먼텍은 수년간의 축적된 기술로 고객에게 경쟁력 있는 제품으로 고객 감동을 실현하고 있다”라면서, “2014년 창업 이래, 전 직원이 고객 만족을 위해 상호신뢰를 기반으로 항상 낮은 자세로 고객의 소리를 들으며, 더 나은 기술개발, 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하며, 본격적으로 해외 진출 및 현지 고객에 대한 신속한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각오를 다졌다.    
이용우 2025-01-06
기사제목
- ㈜한국이앤엑스 김정조 대표이사     본란에서는 2025년 푸른 뱀의 해를 맞이하여 코로나 19 팬더믹 이후 진정으로 완전체라 할 수 있는 KOPLAS 2025를 준비하고 있는 주최 측 ㈜한국이앤엑스의 김정조 대표이사를 만나, 이번 KOPLAS 2025의 준비 상황과 특이할 부분에 대해 들어 보는 시간을 가졌다.  ㈜한국이앤엑스 김정조 대표이사   먼저, 2025년 3월 11일부터 14일까지 4일간 개최될 이번 KOPLAS 2025 전시회에 대한 개요와 더불어 2025년 신년을 맞이하는 소감과 각오의 한 말씀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먼저, 다가오는 KOPLAS 2025에 대해 많은 관심과 성원을 보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KOPLAS 2025는 오는 3월 11일(화)부터 14일(금)까지 경기도 고양시 KINTEX 제1전시장에서 4일간 개최됩니다. KOPLAS 전시회는 플라스틱과 고무 산업의 첨단 기술과 혁신적인 제품을 선보이는 국내 유일의 전문 전시회로, 특히, 올해는 플라스틱과 고무 산업이 모빌리티, 이차전지, IT, 우주, 항공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확대되는 흐름에 발맞추어 산업 간 융합과 지속 가능한 기술을 조명할 계획입니다. 2025년 새해를 맞이하며, 플라스틱·고무 산업이 직면한 도전과 기회를 깊이 생각하게 됩니다. 친환경 규제 강화와 ESG 경영 확대, 글로벌 공급망 문제 등 많은 과제가 있지만, 동시에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시장 확대와 기술 혁신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새해를 맞이하며 유지경성(有志竟成)이라는 말이 떠오릅니다. “뜻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이루어진다”라는 이 말처럼, 올해는 업계 전체가 힘을 합쳐 지속 가능한 기술과 혁신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자리매김하는 한 해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저희 KOPLAS는 앞으로도 업계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든든한 플랫폼 역할을 다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코로나 19시기로 인해 지난 전시회 개최에 적잖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압니다. 이번 KOPLAS 2025 전시회의 전시 규모 및 출품 동향에 대해 한 말씀을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지난 전시회는 주요 장비 수급과 해외 기업 및 바이어들의 대외 활동에 제약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KOPLAS 2025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KINTEX 제1전시장 4, 5홀을 가득 채운 규모와 다양해진 전시 품목으로 차분히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플라스틱 순환경제(Circular Economy)를 중심 주제로 다루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혁신적 솔루션과 기술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특히, 친환경 소재와 재활용 기술, 고기능성 및 바이오 플라스틱 등 순환경제의 실현을 위한 혁신적인 제품들이 집중 조명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K-Mtech 2025(한국 소재·복합재료 및 장비전)과 INTERMOLD KOREA 2025(국제 금형 및 관련기기전)가 동시 개최되어, 소재·복합재료, 금형 등 관련 산업과의 시너지를 통해 더욱 풍성한 전시회가 될 것입니다. 이러한 준비를 바탕으로, KOPLAS 2025는 플라스틱 및 고무 산업의 회복과 혁신,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대합니다.   특히, 최근 들어 친환경, 순환경제를 맞이하여 플라스틱 업계의 움직임에 많은 시선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전시회를 통해 중점적으로 강조하는 부분이 있다면? 이번 KOPLAS 2025는 “플라스틱의 순환경제와 지속 가능성 실현”이라는 비전을 중심으로, 화학적 재활용(CR) 기술 및 기계적 재활용(MR) 솔루션,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 생분해성 소재, 저탄소 배출 소재 등 지속 가능한 원료를 활용한 제품, 데이터 기반의 생산 공정 최적화, 디지털 트윈 기술, AI와 IoT를 활용한 스마트 제조 솔루션이 전시될 예정입니다. KOPLAS 2025 전시회에 준비된 부대행사에 관해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전시 기간동안 업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세미나와 컨퍼런스가 개최될 예정입니다. 주요 주제로는 플라스틱 순환경제, 친환경 소재 개발, 재활용 기술의 혁신, 디지털화와 스마트 제조 등이 다루어질 예정이며, 이를 통해 최신 산업 동향과 기술 정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참가업체와 국내외 바이어 간의 1:1 비즈니스 상담을 주선하여, 실질적인 거래와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대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KOPLAS 2025는 수출 바우처 사업의 수행기관으로 등록되어, 참가업체들이 수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해외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끝으로, 참가업체와 관계자분들, 그리고 참관객 여러분에게 전하고 싶으신 말씀이 있다면? 끝으로, KOPLAS 2025에 관심을 갖고 함께해 주시는 참가업체, 관계자분들, 그리고 참관객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번 전시회는 플라스틱 및 고무 산업이 직면한 도전과 변화 속에서 미래를 위한 해법과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장이 될 것입니다. 참가업체 여러분께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국내외 바이어와의 실질적인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고,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또한, 참관객 여러분께는 업계 최신 트렌드와 기술을 직접 경험하며, 산업의 방향성을 이해하는 뜻깊은 시간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KOPLAS 2025는 단순히 기술과 제품을 전시하는 것을 넘어, 산업 관계자 모두가 협력과 소통을 통해 새로운 도약을 이루는 자리가 되고자 합니다. 전시회를 준비하며 쏟아주신 열정과 노력이 결실을 맺는 뜻깊은 한 해가 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리며, KOPLAS 2025에서 모두가 함께 성장과 혁신을 경험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이용우 2025-01-06
기사제목
- 고객사 제품의 Free Test부터 사출기 주변기기까지 전반적인 Solution 제시 대한민국 사출성형 공정의 메카로 불리는 ㈜우진플라임(이하 우진플라임) 테크니컬 센터(Technical Center, 이하 테크니컬 센터)는 1,600평의 방대한 전시장 규모로 유명하다. 25대 이상 사출성형기(신기종 및 특수기종 포함) 전시 운영 및 상시 테스트가 가능한 테크니컬 센터에서는 ‘기술 교류’와 ‘턴키 솔루션(Turn Key Solution)’이라는 모토 아래, 활발한 기술 연구 및 협업을 통해 고객사 제품의 Free Test부터 사출기 주변기기 등 전반적인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으며, 고객사 및 협력사 연계는 물론, 사출 기술교육의 교두보 역할까지 톡톡히 하고 있다.    국내 최대 규모의 사출성형기 전시, 기술 교류’와 ‘턴키 솔루션(Turn Key Solution)’을 제공하는 우진플라임의 ‘테크니컬 센터’ 지난 1985년에 설립된 우진플라임은 유압식, 전동식, 입형식, 다중다색, Super-Foam 등 다양한 사출성형기 제품 라인업과 고객 맞춤형 특수 사출성형기를 커스터마이징 제작할 수 있는 사출성형업계의 국내 선도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동사는 판금, 주조, 가공, 도장, 스마트 자재, 스크류 및 바렐, 조립까지의 모든 제조 공정을 내재화함으로써 제조 품질 향상에 힘쓰고 있으며, 에너지 절감은 물론, 생산성 향상에 ‘친환경’적인 요소까지 더해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중이다. 특히, 지난 2022년 12월에 준공된 1,600평이라는 방대한 규모를 자랑하는 대규모 전시장을 보유한 우진플라임의 테크니컬 센터는 25대 이상의 사출성형기 전시 및 상시 테스트를 통해 고객사에게 ‘기술 교류’와 ‘턴키 솔루션(Turn Key Solution)’을 제공하고 있다.  우진플라임의 관계자는 테크니컬 센터에 대해 “우진플라임은 사출성형기 전문 제조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확고하게 세우고자 국내 최초로 주물부터 가공, 제작, 조립까지 내재화를 실현했고, 그만큼 불량률 제로에 가까운 완벽한 제품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라며, “특히 내재화 생산품의 선제적 테스트(시사출) 및 연구개발(발포)를 통해 품질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으며, 동시에 고객과 소통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현재 우진플라임 테크니컬 센터에서는 성형기술팀 10인 이상의 전문 기술인력과 제어 기술 및 기구 설계 인력인 연구인력은 물론, 전문 기술자, 컨설팅 인원 등이 고객사를 상시 지원하고 있으며, 2024년 4월에 최적화팀을 신설해 고객 만족, 신뢰 구축을 목표로 선제적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개별 사출성형기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 테크니컬 센터의 ‘CMS’ 사출성형이라는 제조 공정은 많은 변수를 가지고 있다. 하나의 성형품을 완성하기 위해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금형, 기계, 재료가 잘 어우러져야 하고, 여기에는 보이지 않은 노하우가 존재한다.  우진플라임의 테크니컬 센터에서는 이러한 사출성형에 대해 고객과 함께 고민하고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톡톡히 해내기 위해 각 사출성형기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해 관리하는 시스템인 ‘CMS(Central Monitoring System)’을 제시하고 있다.  사출성형기 및 공장 내 설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실시간 모니터링 및 데이터를 시각화 하는 CMS는 공장 자동화를 위한 사출성형기와 부대설비간 통신 연동이 가능하다. 또한, MES 및 ERP 등 상위 호스트 시스템과 통신 연동을 할 수 있으며, 성형조건 데이터 원격 전송 기능 역시 제공한다. 그 외에도 설치가 쉽고, 공정관리를 위한 사용자 매뉴얼이 제공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진플라임의 관계자는 “CMS는 공정관리 및 품질관리 기능을 통한 생산성 향상 지원, 범용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사출공정 DB 구축,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인한 사출성형 공정관리 효율 증대 외에도 SQ인증과 같은 각종 품질관리 및 인증 심사 시의 활용 등 다양한 도입효과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자동화 라인 구축을 통한 기술 선진화는 물론, 고객사를 위한 시사출, 금형 테스트 등 최신 설비 인프라를 제공하고, 최신 설비 체험 및 관련 정보를 공유하며, 협력사의 제품 홍보를 비롯해 신제품 테스트 및 다양한 마케팅 채널을 확보하는데 매진하고 있는 우진플라임은 다양한 변수가 산재하고 있는 사출성형기술에 대해 고객입장에서 생각하며 같이 고민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오늘도 고객들과 함께 하고 있다.  문의: ㈜우진플라임 043-540-9000 / https://woojinplaimm.com   
이명규 2024-11-26
기사제목
- 비전 시스템 개발을 통해 산업현장의 중대 재해 예방에 기여  지난 11월 6일, 춘천송암스포츠타운에서 열린 2024 제2회 지역혁신대전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은 한양로보틱스 강종원 대표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충청남도 홍성군에 위치한 한양로보틱스(주)(대표이사 강종원 www.hyrobot.com 이하 한양로보틱스)가 지난 11월 6일 ‘제2회 지역혁신대전’에서 중소기업 지역혁신 유공자로 선정되어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지난 6일 춘천송암스포츠타운에서 ‘제2회 지역혁신대전’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 행사는 중앙정부와 지역 혁신기관이 모여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역혁신 사례를 공유하고 확산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이다. 한양로보틱스는 중대 재해 예방을 위한 AI 기반 비전 시스템을 개발하여 더욱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데 크게 이바지한 점을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30년 이상의 업력을 가진 한양로보틱스는 충남 지역을 대표하는 산업용 로봇 제조 및 자동화 서비스 전문 기업으로, 중대재해법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 산업현장의 안전을 혁신적으로 강화했다. 이 시스템은 생산 공정 이상과 각종 위험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화재, 폭발, 누출 등의 사고 발생을 예측하고 예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후속 조치를 위한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양로보틱스 강종원 대표는 “우리 비전 시스템이 산업현장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일조할 수 있어 큰 보람을 느낀다”라며, “앞으로도 산업용 로봇과 자동화 기술을 기반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산업 환경을 선도하며, 국가산업과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취재부 2024-11-26
기사제목
 - 유럽 시장에 초대형 기어박스 수출 낭보 전해  각종 특수 기어와 산업용 감속기, 압출용 기어박스 전문기업으로서 한 우물을 파 온 뚝심 있는 ‘현대기어’가 최근 40주년이라는 특별한 시간을 맞이한 것에 이어 이번에는 유럽 시장에 초대형 기어박스(감속기)를 수출했다는 낭보를 전해 화제다. 40년간 탄탄히 다져온 노하우와 신뢰를 바탕으로 제품의 탁월한 정밀성과 높은 효율성을 인정받고 있는 동사는 최고의 생산시설, 최상의 소재·부품, 최고의 노하우를 가진 직원들의 노력을 통해 최적의 제품을 제작하며 유럽 시장에 초대형 기어박스 수출이라는 기쁜 소식까지 관련 업계에 전하게 되었다.    ‘A/S 필요 없는 제품’ 제작에 몰두한 현대기어, 뚝심 있게 40주년을 맞이하다! 1984년부터 지난 6월 20일 40주년을 맞이한 현대기어는 각종 특수 기어와 압출용 기어박스, 산업용 감속기 등을 전문적으로 제작하고 있는 기업으로 유명하다. 특히, ‘A/S가 필요 없는 제품’을 생산 및 공급하겠다는 목표 아래 소재는 정품(正品), 베어링은 일본과 독일 제품만을 사용하며 최적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기계에 힘을 넣는 모터와 늘 함께 사용되는 감속기는 규격화된 모터에 현장 상황에 꼭 맞는 회전을 구사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제품으로 모터의 용량과 감속기의 스펙을 정확히 알아야 알맞은 토크를 낼 수 있고, 수명 또한 길어지게 된다. 여기에 감속비 및 동력 전달을 하는 각종 기어가 내장되어 있는 기어박스 역시 정밀성 부분이 매우 중요하다.  현대기어는 40년간 탄탄히 다져온 노하우와 신뢰를 바탕으로 제품의 탁월한 정밀성과 높은 효율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최고의 생산시설, 최상의 소재·부품, 최고의 노하우를 가진 직원들의 노력을 통해 최적의 제품을 제작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이 최근 유럽 시장에 초대형 기어박스 수출이라는 낭보까지 이어지게 했다.  현대기어 박은화 대표 현대기어의 박은화 대표는 “정밀기어의 완성은 부품 하나하나에 있다고 믿는 현대기어는 일본, 독일제 베어링만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 주요 철강회사에서 생산되는 정품 소재만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라며, “자동화되어 있는 생산 공정을 통해 더욱 정밀하고 균일한 제품 생산으로 제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하여 고객분들께 만족감을 드리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철저한 사전 품질검증 원칙’을 통해 현대기어에서 생산된 모든 기어박스는 출고 전, 기어박스 안에 윤활유를 채운 후 수 시간의 시운전을 거쳐 철저한 품질 테스트를 통과한 제품들만 판매되고 있다”라고 강조하며, “이러한 철저함이 유럽 시장 초대형 기어박스 수출이라는 소식까지 전해드릴 수 있게 한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최고의 노하우를 가진 직원들, 현대기어의 주춧돌 역할 톡톡히 “현재 당사에는 근속기간이 30~40년 정도 되시는 직원분들이 다수다. 장기근속 직원분들이 현대기어를 지탱하는 주춧돌 역할을 톡톡히 하고 계신다”라며, “이에 현대기어에서는 최상의 업무환경 조성과 직원들을 위한 마음가짐으로 자연스럽게 직원들이 주인의식을 가지고 스스로 일하게 하는 원동력을 만들고자 한다”라고 강조하는 박 대표의 설명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현대기어가 40년간 각종 특수 기어와 압출용 기어박스, 산업용 감속기 등의 강자로서 입지를 다질 수 있었던 것은 최고의 생산시설과 최상의 소재·부품으로 제품을 제작하는 것 외에도 높은 기술력이 축적된 장기근속 직원들이 곳곳에 배치되어 일당백(一當百)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견고한 울타리 역할에 충실한 회사와 안정적으로 업무에 충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직원 관리시스템 아래 초창기 문래동에서부터 같이 근무해 온 직원들을 비롯해 30~40년 동안 장기근속을 해온 직원들의 숙련도 높은 기술력은 지금까지도 현대기어의 근간(根幹)이 되고 있다. 현재 현대기어는 독일과 스위스의 기어연마기 등의 고급 생산 설비들을 갖추고 있고, 동사 직원들의 축적된 기술력과 함께 제품 품질에서 더 높은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으며, 이번 수출 소식을 발판으로 새로운 시장 확대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대기어 회사 전경 사회적 책임도 성실히 수행하는 현대기어, 우수한 제품 제작을 위한 창업주의 사명과 소신을 지속적으로 지켜 나갈 것이라 밝혀 현대기어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도 성실히 수행하는 기업으로 유명하다. 현대기어의 박은화 대표는 지난 2017년에는 경기도성실납세자에, 2021년에는 경기도 유공납세자에 선정되었다. 특히, 2021년에 받은 유공납세자는 성실납세자 중 지방재정에 기여도, 일자리 창출 및 성과공유제 인증 등 지역사회 공헌 등의 사유로 지방세 분야에 공이 있다고 판단되는 사람으로 시군 추천을 통해 선발된 것이다.  “현대기어에서는 앞으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성실히 수행할 것이며,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고, 가격경쟁력까지 갖출 수 있는 현대기어가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소신을 밝힌 박 대표는 “이번 유럽 시장 초대형 기어박스 수출을 발판 삼아 새로운 시장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며, 현대기어의 기술력이 더욱 인정받도록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까지 쌓아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금도,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해서 발전해 나가는 현대기어를 만들어 갈 것이니 많은 성원 부탁드린다”라고 덧붙였다. 흔들림 없이 같은 자리에서 40년간 소신 있게 관련 업계의 강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현대기어에 이번 유럽 시장 초대형 기어박스 수출 소식 같은 낭보가 계속해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그들의 행보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문의: 현대기어 02-2688-0305~6 www.hdgear.co.kr   
이명규 2024-11-26
기사제목
- 부드러운 터치의 믹싱 기술을 자랑하는 Lindor의 폴리머 가공 장비 공급  원인터내쇼날 류재준 대표  원인터내쇼날(대표 류재준)은 지난 2015년 설립되어, 피더 전문업체인 독일의 Qular(구. SCHENCK PROCESS GmbH.) 사(https://www.qlar.com/)와 에이전트 계약을 시작으로, 2016년 진동 선별기 업체인 JOEST 사(https://joest.com.au/)와 트윈 스크류 압출기 업체인 STEER ENGINEERING 사(https://steerworld.com/), 그리고 Pelletizing system, Screen changer 업체인 ECON사(2017년, https://www.econ.eu/eup.html), Gentle Drum Mixer 전문업체 LINDOR 사(2019년, https://lindor.nl/)와 에이전트 계약을 체결, 원재료 및 압출 성형공정 전 과정에 특화된 제품들을 공급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STEER ENGINEERING 사의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국내에 공급하면서 자연스럽게 원재료 제조 공정 및 압출성형공정에서 명성을 쌓아온 원인터내쇼날은 최근 들어 가장 늦게 도입하기 시작한 LINDOR 사의 Gentle Drum Mixer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지난 9월 25일부터 27일까지 일산 KINTEX 제1전시장에서 개최되었던 K-BATTERY SHOW·K-Mtech 2024에서도 원인터내쇼날은 LINDOR 사의 Gentle Drum Mixer를 출품, 적극 홍보에 나섰다.  부드러운 믹싱 기술, “Gentle Drum Mixer”   원인터내쇼날 류재준 대표는 “Lindor 사는 식품, 화학, 제약, 폴리머 분야를 위한 산업용 혼합 장비를 제조하는 전문기술 회사로서, Lindor의 서비스와 품질의 역사는 1963년 엔지니어링 워크숍으로 시작되었으며, 80년대 후반에 최초의 ‘젠틀 터치 믹서’가 인스턴트 식품과 음료를 생산하는 네덜란드의 한 지역 제조업체를 위해 제작되었다”라며, “그 이후로 Lindor는 분말 및 과립 혼합, 코팅 및 건조 시스템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적 공급업체가 되기 위해 역량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확장해왔으며, 이는 모두 Lindor 사의 고유한 ‘젠틀 터치 혼합 기술’을 통해 가능했다”라고 전한다.  가교된 폴리머 화합물 혼합 장치  - 가교된 폴리머 화합물을 위한 침지 시스템Lindor 회전식 드럼 침투제는 온도 조절이 가능하고 매우 깨끗한 환경에서 갓 압출된 폴리머에 가교제를 고르게 분산시켜 가교 폴리머 화합물에서 최고 품질을 달성한다. - 가교를 위해 강화된 회전 드럼 소커Lindor 회전 드럼 소커는 오염 방지 및 온도 제어를 위한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여 중고압 및 초고압 케이블과 같은 고 요구 사항 제품을 생산하는 XLPE 및 반도체 컴파운드를 제조한다.  • 온도의 정밀한 제어: 재킷 드럼 및 온도 제어 분사 노즐• 고급 침지 시스템: 최상의 품질 출력을 위해 입자 전체에 균일하게 침지 용액을 분배• 매우 깔끔한 디자인: 세척이 쉬운 오염 방지 기계에서 10억 분의 20의 청결도 표준     최고 품질의 출력을 위한 섬세한 처리 기술Lindor는 최첨단의 부드러운 가공 기술로 유명한 폴리머 침지 장비의 선도적 제조업체로서, Lindor 회전 침지기를 사용하면 가교될 준비가 된 균일하게 침지된 XLPE 및 반도체 화합물의 균질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당사의 부드러운 혼합 기술은 가공 내내 입자의 무결성이 완벽하게 그대로 유지되도록 보장하여 최고 품질의 출력을 제공한다.  온도 조절 침지Lindor 후 압출 믹서에는 액체 주입을 위한 온도 제어 스프레이 노즐이 하나(또는 그 이상) 들어 있다. 이 스프레이 노즐은 혼합 주기 동안 과산화물과 같은 가교제로 폴리머 펠릿을 도징하는 중요한 기능을 제공한다. 드럼 내에서 노즐을 전략적으로 배치하면 모든 폴리머 펠릿이 정의된 양의 가교제를 받을 수 있다. 최종 제품은 다음 압출 공정에서 가교될 준비가 된 폴리머 펠릿의 균일한 혼합물이며, 이는 고강도 와이어 절연과 같은 제품을 제조하는 데 적합한 품질 수준이다.   매우 깔끔한 디자인Lindor 기계는 10억 분의 20의 청결 기준을 유지한다. 교차 오염으로부터 완벽하게 보호하기 위해 드럼은 과립이 틈새나 가장자리에 끼지 않도록 전략적으로 설계되었다. 믹서는 즉시 99.9%까지 비울 수 있으며, 잔여물은 간단히 쓸어낼 수 있다. 더욱 편리하게 하도록 기계에 크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어와 접을 수 있는 입구와 출구를 장착할 수 있다. 소커에는 폴리머 펠릿을 담그는 고유한 과제에 맞게 Lindor에서 직접 설계한 특수 씰도 장착된다.   Lindor의 젠틀 터치 기술은 미세 분말, 과립 및 천연 제품을 혼합하고 처리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이 기술의 주요 이점은 제품의 전체 무결성을 유지하면서 단시간에 높은 수준의 균질성에 도달할 수 있는 능력이며, 젠틀 터치 믹싱의 원리는 중력을 이용해 혼합을 한다는 점이다.   패들 또는 리본을 사용하여 입자를 강제로 밀어내고 주변 제품을 옮기는 대신, Lindor의 젠틀 터치 기술은 제품이 자연스럽게 흐르고 스스로 재분배되도록 한다. 일정하고 균등한 중력의 힘은 충격, 속도 및 힘의 국부적인 연쇄 반응을 제거하여 더욱 효율적이고 부드러운 혼합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이에 아주 섬세하고 민감한 제품조차도 열화, 마찰로 인한 열 축적 또는 국부적인 핫 스폿을 경험하지 않고 빠르게 균질화할 수 있다. 이 독점적인 부드러운 혼합 기술을 사용해 최고 품질의 제품 출력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Lindor 젠틀 터치 믹서는 우수한 동질성, 보호된 입자 무결성‘ 짧은 혼합 시간, 빠르고 쉬운 세척이 가능한 위생적인 ​​디자인, 낮은 전기 소모량 등의 주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추가된 기능으로 혼합 및 블렌딩과 더불어, 분말과 과립을 처리하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즉, 젠틀 터치 믹서는 동일한 산업용 믹서에서 결합된 여러 가지 공정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액체 주입(코팅, 침지 및 함침), 열전달(냉각, 가열, 공기 및 진공 건조), 동결(극저온 혼합), 소독(WIP/CIP 시스템) 등과 같은 공정을 부작용 없이 적용할 수 있다.  Lindor 젠틀 터치 믹서는 배터리 파우더, 화학 촉매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합하다. 특히 가교된 폴리머 화합물에 적용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XLPE, 세미콘, 마스터배치,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나일론 및 기타 합성섬유 등 다양한 폴리머가 Lindor 사의 젠틀 터치 기술이 접목된 믹서에서 처리된다.  특히, 국내에서는 케이블 전문회사에서 전선 피복용으로 사용되는 XLPE 컴파운딩 업체에 많이 공급되어 있다. 혼합되는 원료가 깨지는 등 손상되거나 이물질이 혼입되면 최종 제품인 케이블의 품질에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전선용이나 배터리용 컴파운딩 제품을 생산하는 데 있어서 Lindor 젠틀 터치 믹서의 섬세한 혼합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가장 엄격한 생산 요건을 충족하는 고품질의 결과물을 제공하고 있다.  Lindor 배터리 파우더 처리 및 혼합 장비 배터리 파우더 가공을 위한 내구성 있는 산업용 파우더 믹서Lindor 건조 분말 블렌더 기계는 혼합, 진공 건조 및 냉각을 위한 신뢰할 수 있는 솔루션임이 입증되었으며, 배터리 분말 생산 ​​라인에서 버퍼 역할을 하는 데에도 적합하다. • 혁신적인 기능: 진공 건조 및 냉각 구성• 첨단 안전 기능: 특수 씰 설계 및 ATEX 준수• 매우 깔끔한 디자인: 오염 방지 및 세척이 용이 배터리 파우더용 Lindor 믹서기모든 Lindor 믹서와 가공 기계의 핵심은 당사의 독점적인 부드러운 터치 기술이다. 부드러운 움직임의 특성과 스테인리스 스틸 회전 드럼 내부의 움직이는 부품이 없기 때문에 Lindor 믹서는 연마성 배터리 파우더를 처리하는 데도 완벽하게 적합하다.각 기계는 생산라인의 필요에 따라 맞춤 제작된다. 배터리 파우더 처리에 특화된 특수 기능에는 직접 설계한 특수 씰, 조정된 스쿱 각도, 통합 파우더 흐름 제어가 포함된다. 배터리 파우더용 진공 건조 및 냉각 시스템진공 건조 또는 냉각 시스템을 통합하여, 부드러운 터치 믹서는 배터리 파우더 처리 라인을 따라 다양한 기능에 적합한 다기능 기계가 된다. 추가된 기능은 부드러운 혼합 기술과 조화를 이루어 안전하고 고품질의 결과물을 제공한다. 교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매우 깨끗한 디자인Lindor 기계는 10억 분의 20의 청결 기준을 준수하며 전략적으로 둥근 내부 디자인을 통해 분말이 틈새나 가장자리에 끼지 않도록 보장한다. 믹서는 즉시 99.9%까지 비울 수 있으며 잔여물은 간단히 쓸어낼 수 있다.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기계에 대형 손쉬운 접근 도어와 접이식 입구 및 출구 시스템을 장착할 수 있다.  선도적인 석유화학 기자재 및 공정 솔루션 제공자가 될 것! 류재준 대표는 “원인터내쇼날은 오랫동안 국내외 플라스틱 및 석유화학 산업에 다양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압출기 고객사를 상대로 컨설팅 및 교육을 동반해왔으며, 이를 통한 연구 및 생산용 장비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공정 솔루션을 함께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성장과 고객 만족’을 목표로, 최선의 노력을 다해 선도적인 석유화학 기자재 및 공정 솔루션 제공자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전화: 02-448-8301이메일: Edward.ryu@oneinternational.kr웹사이트: www.oneinternational.kr  (업데이트중)      
이용우 2024-11-26
기사제목
- 사출성형공정 설정, 검사, 문서화 워크플로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디앤씨 세미나 전경 ㈜이디앤씨(대표이사 조주경 www.ednc.com 이하 이디앤씨)는 1998년 12월, 당시 EDA(Electronic Design Automation) 업계의 선두주자였던 Cadence Design System 사의 국내 Exclusive Distributor로 출발, 지난 27년간 반도체 및 PCB Design 산업을 기반으로 Autodesk 솔루션을 통해 기계 설계 및 가공과 플라스틱 사출성형 기술까지 섭렵하여 제조산업 전반의 성장을 리드하며 함께 성장해 온 제조 전문 스페셜리스트 기업이다. 이디앤씨는 지난 10월 말 수원 초심공간 세미나실에서 Moldflow 최신기술 세미나로 ‘NEXT-GENERATION TECHNOLOGY SEMINAR’를 진행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Moldflow 2025의 새로운 기능과 로드맵을 공개하며, API, AI, AR 등 첨단기술과의 협업을 통해 미래의 사출성형 해석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되었다.  Autodesk Hanno van Raalte의 ‘Moldflow 최신기술 Road Map’을 주제로 한 발표를 시작으로, ㈜이디앤씨 안영수 차장, 강동훈 사원의 ‘Autodesk Moldflow 2025 What’s New & Hands on’ 발표, 그리고 ㈜이디앤씨의 황순환 상무의 ‘Moldflow × twinO 증강현실을 활용한 사출성형 최적화’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서 HK Yonwoo의 조교빈 주임연구원의 ‘DOE를 통한 화장품 캡 수축 주요 인자 분석’에 대한 발표와 ㈜이디앤씨 이재훈 차장의 ‘Moldflow 해석조건 출력 API V2’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특히, 이번 세미나에서는 올해 inprO 사와 공급 제휴 체결한 XR(eXtended Reality, 확장 현실)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트윈 “twinO”에 대한 황순환 상무의 발표가 있었다. 이에 황순환 상무를 만나 twinO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았다. ㈜이디앤씨 황순환 상무 지멘스(Siemens)와 폭스바겐(Volkswagen)의 합작투자사로 1983년에 설립된 InprO 사는 twinO 개발사로 40년 이상의 자동차 산업 경험을 바탕으로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디지털 혁신을 추구하는 기업이며, twinO는 설계 및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활용하여 더 빠른 설정, 프로세스 매개 변수 선택 및 검사, 고해상도 이미지를 통한 빠르고 정확하며 효율적인 검사, 원격 전문가와의 문제 해결을 위한 원격 지원, 관련 디지털 및 운영 데이터를 결합한 간편한 문서 생성 워크플로 및 간결한 보고서 등을 통해 검사, 검증 및 문서화 워크플로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만들어준다. 황순환 상무는 “우리는 현실적으로 시간 소모적이고 리소스 집약적인 워크플로, 설계팀과 생산팀 간의 분산된 데이터, 느리고 비싼 검사, 지리적으로 분산된 팀, 데이터 및 문서 손실 등과 같은 이유로 생산 공정이 늦어지고 있다”라며, “하지만 twinO는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현장에서 쉽게 확인하고, 시험 중에 증강현실로 결과를 시각화하여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과 현실 간의 차이를 감지하며, 복잡한 시뮬레이션 결과와 많은 양의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에서 직접 시각화가 가능하고, 시험 및 생산부터 시뮬레이션 부서까지 경험 지식을 자동으로 피드백함으로써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디지털 트윈 기술의 새로운 장을 여는 inprO의 twinO, 한국에 이디앤씨 통해 공급AR로 사출품과 CAE 결과 비교 독일의 혁신적인 제조 솔루션 기업 inprO는 디지털 트윈과 확장 현실(XR) 기술의 결합을 통해 제조업체가 작업 과정을 시뮬레이션하고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문 회사로서, 특히 사출성형공정에서 twinO는 제조업체들이 CAE(컴퓨터 지원 엔지니어링) 및 CAD(컴퓨터 지원 설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의 디지털 복제물을 생성해 실제 제품과의 차이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제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고, 더욱 높은 품질의 생산을 실현할 수 있다. twinO가 제공하는 주요 기능과 혜택 twinO는 다양한 기능을 통해 제조업체가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다. 이러한 기능은 공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품질 관리를 강화하며, 직원들의 협업을 돕는 역할을 하고 있다.   운영 절차를 통한 디지털 워크플로  twinO는 △ 디지털 워크플로우 구현: twinO는 디지털 기반의 워크플로우를 통해 사출성형 프로세스 전반을 디지털화한다. 이를 통해 업무 간소화뿐만 아니라, 공정 간의 원활한 협업을 가능하게 하며, 수동 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원격지원 △ 실시간 공정 조건 검토 및 확인: twinO를 통해 사출성형공정의 조건 변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검토할 수 있다. 이는 생산 공정의 안정성을 높이고, 원하는 품질 기준에 맞추어 공정을 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모바일 뷰어 도구로 어디서나 데이터 확인: twinO의 모바일 뷰어 기능을 통해 작업자들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CAE 및 CAD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 문제 상황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AR로 지그 장치 점검 및 문서화  AR로 제품 형상 및 금형 CAD 모델링 비교△ AR로 CAE 결과를 실제 제품과 비교: twinO는 증강현실(AR) 기능을 통해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생산된 제품을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품 품질 검사가 더욱 쉬워지며, 미세한 편차도 빠르게 파악하여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 CAD 모델링과 실제 제품의 비교 검토: twinO는 사출 제품의 형상, 금형, 지그 등 CAD 모델과 실제 생산된 제품 간의 정확한 일치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이로써 설계와 실제 제품 간의 미세한 차이를 파악하여, 필요 시 빠르게 설계 변경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AR로 설계 개정 확인, 입고출고 부품 확인  △ 설계 개정 및 입출고 부품 확인: twinO는 설계 변경 사항을 AR을 통해 확인하고, 입고 및 출고되는 부품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들은 설계 개정 상태를 빠르게 인지하고 정확한 부품 관리를 할 수 있다.  각 작업에 대한 피드백 및 자동 문서화  AR로 간편한 결함 주석 작성  △ 작업 피드백 제공 및 자동 문서화: twinO는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작업 기록을 자동으로 문서화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추후 분석 자료나 품질 감사 시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국에서의 공급 파트너: 이디앤씨(ED&C)이제 한국 시장에서는 이디앤씨(ED&C)를 통해 twinO를 도입할 수 있다. 이디앤씨는 이미 사출성형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오랜 경험을 보유한 기업으로, 국내 제조업체들이 twinO를 활용하여 글로벌 제조 혁신 흐름에 발맞추어 디지털 혁신을 앞당길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ED&C는 고객들이 twinO의 모든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설치와 교육 지원을 아끼지 않으며, 제조 현장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해나갈 것이다. 디지털 트윈과 XR의 결합으로 미래의 제조 환경 설계inprO의 twinO는 디지털 트윈 기술과 XR(확장 현실)을 결합하여 제조업체들이 작업 현장에서도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실제 결과를 비교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는 불필요한 재작업을 줄이고, 제조 과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궁극적으로 생산 품질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twinO는 제조업체들이 디지털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 강력한 도구로써 twinO와 같은 디지털 트윈 솔루션은 한국 제조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디지털 제조의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큰 힘이 될 것이다.  황순환 상무(좌)와 오준호 상무(우)  이디앤씨의 황순환 상무는 “증강된 프로세스 확립을 할 수 있는 twinO를 통해 디지털 워크플로 실현, 사출성형공정조건 변수 검토 및 체크, 모바일 뷰어 도구로 CAE/CAD 결과를 모바일에서 확인, AR로 CAE 결과를 사출품과 비교, 사출 제품 형상 및 금형, 지그 등 CAD 모델링과 비교 검토, AR로 설계 개정 확인, 입고/출고 부품 확인, 작업에 대한 피드백 및 자동 문서화 가능 등과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다”라며, 더불어 “Moldflow가 Autodesk 사로 인수 합병된 2009년부터 지금까지 16년 넘게 대한민국에 Autodesk Moldflow를 공급하고 있는 이디앤씨는 가장 많은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Moldflow Expert/Professional/Associate 엔지니어가 동시에 지원하고 있다. 또한, Moldflow API를 통해서 해석 자동화 및 Big data 구축, 해석 AI로 실시간 예측을 할 수 있는 HD-Mflow를 공급하고 있다.  이처럼 이디앤씨는 국내 제조 현장에 최적화된 솔루션 공급을 통해 한국 제조업체들이 디지털 제조의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용우 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