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현대보테코

정책과 동향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 현지 제조업, 지속되는 인력난으로 인한 코봇 수요 증가- 기존 산업용 로봇에 비해 중소기업에서 활용도 높은 편- 한국 두산 로보틱스 코봇, 현지 업체와 파트너십으로 진출코로나 이후에도 지속되는 글로벌 물류대란, 원자재 수급 부족 현상 등 어려움에 직면하면서 현지 제조업에 대한 수요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장기간 이어졌던 봉쇄정책으로 노동력에 의존하는 대부분의 제조사가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이 빠르게 도입되고 있다. 2021년 RMIT와 Deloitte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는 향후 4년간 경제성장에 100억 호주 달러의 비용 손실을 가져올 수 있는 기술 격차가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2025년까지 호주에 15만6,000명 이상의 디지털 분야 기술자가 필요하며 기술력 향상(upskilling) 또는 이민정책을 통해 노동력 문제를 해결해야 경제성장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최저임금을 지급하는 호주의 경우,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고 숙련된 기술자를 채용하는 시스템이 더 적합한 국가이다. 자동화로 인해 일자리가 사라진다는 시각도 있지만, 현지에서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호주 제조사에서 로봇 운영자, 엔지니어, 프로그래머, 유지 보수 기술자를 찾고 있다고 한다. 최근 호주 업계에서는 사람과 함께 일하는 협동 로봇(collaborative robots )인 코봇(cobot)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호주 제조산업 분야에서 코봇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2021년 8월 연방정부 산하의 호주 연구소인 Australian Research Council의 펀딩을 받아 호주 코보틱스 센터 Australian Cobotics Centre를 설립했다. 코봇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대학과 산업이 주축이 된 관련 리서치 프로그램을 지원할 계획이다. 기존 로봇 vs 최신 코봇코봇은 1995년 General Motors Foundation의 연구에서 나온 아이디어에서 시작되었다. 코봇은 산업용 로봇과 달리 사람과 팀을 이루어 안전하게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목표이다. 현재 많은 생산공장에서 코봇이 활용되고 있으며, 기존 로봇과 최신 코봇의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1) 안전성작업하는 근로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는 로봇과 달리 코봇은 첨단 시각 기술을 통해 사람을 감지해 활동을 멈추거나 바꿀 수 있는 정교한 센서가 탑재돼 있다. 이에 따라, 코봇의 경우 안전장치가 따로 필요하지 않으며 작업자와 가까운 거리에서 협업이 가능하다.2) 협동성일반 산업용 로봇은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특정 작업을 수행하지만 코봇은 사람들과 함께 일하고 스마트하게 움직인다. 완전히 자동화될 수 없는 복잡한 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돕고 반복적인 일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3) 유연성 및 학습성로봇과 코봇의 차이점은 프로그래밍에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이다.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는 태블릿만 있으면, 조작이 가능해 유연하게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일부 코봇 모델은 프로그래밍 없이 요구사항을 독립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기술자가 로봇 팔을 사용해 업무를 수행하고 코봇이 패턴을 쉽게 모방해 움직인다.4) 휴대성 및 경제성정교한 센서와 영상 기술을 이용해 코봇은 어디서든 사용될 수 있다. 무거운 산업용 로봇에 비해 가볍고 이동하기 편리해 생산 현장 이외의 장소에서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많은 프로젝트에 다양하게 쓸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아 중소기업 입장에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위드 코로나 시대, 지속 성장하는 코봇 시장리서치 전문업체 Interactive Analysis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9년 글로벌 코봇 시장은 6억6,990만 달러 규모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15.6% 증가한 수치이다. 2020년에는 코로나 확산으로 아시아 국가를 비롯한 전 세계 공장과 물류창고가 문을 닫으면서 수요가 하락했으나 위드 코로나 시대가 지속되는 2021년에는 17.2%의 상승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했다. 산업용 로봇 시장은 연평균 4~5%의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보이며, 글로벌 코봇 시장은 15~20%의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해 2028년에는 19억4,000만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체 산업용 로봇 시장의 15.7%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호주에서는 주로 식음료 제조산업 및 서비스업에서 코봇을 사용하고 있으며, 향후 비식품, 제약 등 모든 분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호주의 경우 높은 생산비용으로 인해 제조업이 발달되어 있지 않아 아시아, 북미, 유럽 등에 비해 코봇 시장 규모가 작은 상황이다. 하지만, 향후 현지 중소기업에서 코봇을 이용하기 시작하고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이 증명된다면 경쟁업체에서도 적극적으로 도입해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호주의 식음료 서비스 분야 스타트업 Ezitech사의 대표는 멜버른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식품 제조사 및 유통사, 요식업체 등에서 인력 부족 현상이 심각해지면서 코로나 전과 비교해 급여가 많이 상승했으며, 한국 또는 해외에서 식음료 제조 및 서비스에 도움이 되는 코봇을 수입하기를 희망하는 업체가 증가했다고 답변했다.코봇의 최대 적용 분야는 자재 취급(material handling), 조립(assembly), 운반(pick & place) 업무이며, 최근에는 사람이 직접 수행하기 위험한 작업으로 꼽히는 기계 관리에 코봇 사용이 크게 증가했다. 향후 새로운 분야에도 널리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현지 유통사와 파트너십으로 호주에 진출한 해외 코봇 기업현지에서 코봇에 대한 수요가 상승하면서 해외에서 제품을 수입해 유통하는 업체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1) 한국 – 두산 로보틱스(Doosan Robotics)2015년 설립된 두산 로보틱스는 호주 산업용 측량 장비 및 자동화 솔루션 공급사 Diverseco를 통해 호주 시장에 유통하고 있다. 현재 두산 로보틱스 사의 코봇만 취급하고 있으며 용접, 팔레트 작업, 운반, 부품조립, 기계 관리 등이 필요한 모든 산업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안전하고 신속 정확하게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현지 유통사에서 제품 상담과 사후 지원을 제공한다. 참고로 두산 로보틱스는 국내 코봇 시장 점유율 1위로 2021년 12월 국내 최초로 코봇 연간 판매량 1,000대를 돌파했다. 2) 덴마크 – 유니버셜 로봇(Universal Robot)유니버셜 로봇은 2005년에 설립된 제조사로 2008년 덴마크와 독일 시장에 코봇을 선보인 후 꾸준히 새로운 모델을 출시, 전 세계에 1,100개 사 이상의 파크너를 보유한 세계 최대 코봇 기업으로 성장했다. 유니버셜 로봇은 호주 The Robot People, Quantum Robotics 등과 같은 산업용 로봇 전문 유통사를 통해 시장에 공급되고 있다. 프로그래밍 기술 없이도 손쉽게 운영과 코봇 셋업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으로 소형 코봇 모델인 UR3의 경우 무게가 11kg이다.3) 대만 – 테크맨 로봇(Techman Robot)테크맨 로봇은 2015년 대만에서 시작한 코봇 및 자동화 솔루션 개발사로 호주를 비롯한 미국, 유럽, 아시아 국가에 진출한 기업이다. 호주에 2018년에 진출했으며, 시드니에 위치한 Australis Engineering에서 호주 공식 유통사로 현지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6가지 모델이 있으며 탑재용량은 4~14kg이다. Smart, Simple, Safe이 테크맨 로봇 사의 모토이며, 연결된 비전 시스템을 통해 바코드, QR코드, 텍스트, 색상 등을 식별할 수 있다.4) 중국 – 자카 로보틱스(JAKA Robotics)자카 로보틱스는 2014년에 설립된 중국의 로봇 개발사로, 호주 멜버른 소재 자동화 솔루션 공급업체인 Cobot Pty Ltd사를 통해 현지 시장에 유통한다. 높은 품질의 코봇을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하는 것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Zu3 모델은 12kg에 적재용량은 3kg로 가격대는 3만1,889 호주 달러부터 시작한다. 가장 고가의 코봇은 Zu 18로 무게는 35kg, 적재용량은 18kg이며, 4만3,780 호주 달러 이상의 가격대에 판매되고 있다.시사점 및 전망국제로봇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에서 발표한 2021 World Robot Report에 의하면, 전 세계 공장 내 산업용 로봇이 300만 대를 돌파했으며, 로봇 밀도(제조업계 종사 직원 1만 명 당 로봇 대수)는 평균 126대로 5년 전과 비교해 2배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한국은 발달된 전자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기반으로 직원 1만 명당 932대를 기록해 글로벌 평균의 7배를 초과, 세계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비해 호주의 로봇 밀도는 75대에 불과한 상황으로 잠재력이 높은 시장이다. 호주 산업용 매거진에 따르면, 대부분의 제조사에서 코봇의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호주 로봇산업을 대표하는 비영리 단체인 Robotics Australia Group에서는 2021년 11월 Robotics Roadmap for Australia 2022를 발표했으며, 다양한 산업용 로봇과 더불어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에서 활용도가 높은 코봇의 사례를 소개했다. 이처럼 향후 기업체에서 코봇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관련 국내기업에서도 호주에 관심을 가지고 파트너사를 발굴하여 마케팅을 진행하는 등 현지 시장에 맞는 진출 전략을 세워볼 수 있다. 또한, 호주 시드니와 멜버른에서 격년으로 개최하는 제조산업 관련 국제 전시회 Australian Manufacturing Week(australianmanufacturingweek.com.au)를 통해 트렌드를 파악하고 네트워킹을 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며, 올해 6월 7일부터 10일까지 시드니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re(ICC), 2023년 5월 9일부터 12일까지 Melbourne Convention Exhibition Centre(MCEC)에서 진행된다.자료: Australian Cobotics Centre, Mobile Automation, Interactive Analysis, Robotics Australia Group, KOTRA 멜버른무역관 인터뷰 및 자료 종합자료제공: KOTRA
관리자 2022-04-05
기사제목
- MZ세대의 윤리적 소비↑, 4월 시행될 ‘플라스틱 자원순환 촉진법’ 계기 시장 확대 전망- 시장 진출 시 높은 내구성, 합리적 가격의 제품 개발 필요코로나19 영향으로 배달과 택배 등 비대면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플라스틱 사용량이 급증했고, 이는 세계적으로 탈 플라스틱 움직임을 촉진시켰다. 4월에 시행될 일본의 ‘플라스틱 자원순환 촉진법’과 ‘가격이 높아도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다면 구매하겠다’는 MZ세대의 윤리적 소비 성향을 고려한다면, 앞으로 플라스틱 용기 대체 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최근 일본에서 주목받고 있는 ‘먹을 수 있는 식기’를 소개하고자 한다.윤리적 소비에 관한 소비자 인식 조사일본 전국 10~70대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 기준 54%가 ‘윤리적인 상품·서비스의 제공은 기업 이미지의 향상으로 이어진다’라고 답했다. 윤리적 소비 인지율은 전체 응답의 24% 정도였으나 그중 16~24세 남성은 20%, 25~39세 여성은 24.8%로 가장 높았고, 남녀 모두 MZ세대에서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다.윤리적 소비의 이유는 ’같은 상품을 구매한다면 사회공헌으로 이어지는 것이 좋아서(62.7%)’, ‘환경 문제나 사회 문제에 관심이 있어서(51.8%)’, ‘장기적으로 보면 절약할 수 있어서(40.2%)’ 순으로 조사되었다. 그 외에는 ‘지역에 기여하고 싶어서’, ‘환경 문제나 사회 문제에 기여했다는 만족감을 느낄 수 있어서’, ‘보통 제품보다 품질이 좋은 것 같아서’ 등의 응답도 집계되었다.Q. 윤리적인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해당 기업의 이미지 향상으로 이어지나요?Q. ‘윤리적 소비’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Q. ‘윤리적 소비’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22년 4월 시행 예정인 ‘플라스틱 자원순환 촉진법’‘플라스틱 자원순환 촉진법’은 ’21년 6월에 국회에서 통과했고 ’22년 4월부터 시행 예정이다. 해당 법을 통해 ‘3R(Reduce, Reuse, Recycle) + Renewable’을 추진하고자 한다.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국가가 정한 특정 플라스틱 사용 품목(12개)을 제공하는 사업자의 경우, 해당 법에 따라 유상으로 전환하거나 플라스틱 이외 소재 제품으로 대체하는 등의 옵션을 시행해야 한다는 점이다.‘먹을 수 있는 식기’ 카테고리 인기 상품 4가지1. e-tray(이-트레이)마루시게 제과에서 생산하고 있는 e-tray는 야키소바, 타코야끼, 주먹밥 등의 용기로 사용 가능하다. 새우 전병, 양파, 자색 고구마, 구운 옥수수, 플레인의 5가지 맛이 있으며, 형태로는 원형과 사각형 두 가지이다. 원형 그릇의 새우 전병 맛 80개 입의 가격은 6,972엔(부가세 포함)이며, 사각형 그릇의 자색 고구마 맛 120개 입의 가격은 5,754엔(부가세 포함)이다. 2. 모구 컵아사히 맥주가 개발한 모구 컵은 주스, 커피, 맥주뿐만 아니라 카레라이스 등 음식을 담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 현재 플레인, 새우, 초코, 견과류의 총 4가지 맛이 있지만, ’22년 5월에 새로운 맛이 추가될 예정이다. 모구 컵은 S(50ml), M(100ml), L(200ml) 총 3가지 사이즈가 있으며, 사이즈와 수량에 따라 가격이 달라진다. 10개 입 기준 S 사이즈는 1,150엔, M 사이즈는 1,200엔, L 사이즈는 1,400엔이다.3. 파쿤(PACOON) 숟가락주식회사 근로식(勤労食)에서 개발한 PACOON 숟가락은 ’20년 10월 판매를 시작하여 누계 판매 수가 19만 개를 돌파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유아용 스푼 혹은 디저트 스푼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호박, 말차, 비츠, 이구사(풀의 일종), 콩의 5가지 맛이 있다. PACOON 5종 믹스(50개 입)의 경우 3,850엔(부가세 포함)이다.4. 사탕 빨대스타트업 기업 리베라벨(libelabel)의 대표가 개발한 사탕 빨대로, Dlink Straw 브랜드로 출시하여 ’21년 1월부터 판매하고 있다. 사탕 빨대는 차가운 음료 전용으로 15분 정도의 내구성이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빨대에서 녹은 사탕이 음료에 은은한 단맛을 추가해준다. 사탕 빨대는 수제로 만들어 1개 1,500엔 정도로 비싼 편이지만 20~30대 사이에서 인기가 있다.시사점올해 4월부터 시행 예정인 ‘플라스틱 자원순환 촉진법’을 계기로 사업자는 일회용 플라스틱 제공에 대한 대체 옵션을 고려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먹을 수 있는 식기’에 대한 수요는 더욱 높아질 것이며, 다양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도 많이 창출될 것이라고 예상된다.해당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 기업은 기름진 음식, 따뜻한 음식, 차가운 음식 등 음식 혹은 음료의 종류에 따라 내구성이 뛰어난 용기이자 맛이나 건강 측면에서도 식기를 먹는 소비자에게 즐거움과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지금까지 먹을 수 있는 그릇의 가격은 기존의 플라스틱 용기 가격보다 높은 수준이므로 사업자와 소비자가 구매하여 사용하기에 부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일상생활에서도 소비자가 부담 없이 구매하여 쓸 수 있는 가격으로 시장에 진출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라 판단된다.자료: X Trend Nikkei, Markless Style, Dentsu, 각 제품별 공식 홈페이지, KOTRA 오사카무역관 자료 종합
편집부 2022-04-05
기사제목
- 글로벌 경제를 위협하는 리스크: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통화 긴축, 중국경제 둔화1. 개요 세계 경제는 위드코로나 정책 확대로 인해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러시아發 경기 악화 우려는 확대선진국의 산업생산이 반등하고 세계 교역이 높은 증가율을 유지하는 등 경기 지표가 개선세를 보이며 세계 경제가 회복 국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등락을 반복했던 선진국의 산업생산은 2021년 10월 이후 증가세를 보이며, 세계 교역 증가율은 2021년 4월 51.0%까지 확대되었다가 2021년 11월 20%를 상회하는 높은 증가율을 유지하고 있다.글로벌 제조업 및 서비스업 PMI, OECD 경기 선행지수가 기준치를 상회하고 있으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세계 경제의 하방 압력이 확대되고 있다. 글로벌 제조업 및 서비스업 구매담당자들의 향후 경기 전망(PMI)은 2021년 들어 50p를 상회하고, OECD 경기선행지수도 2021년 3월 이후 기준선을 상회하고 있어 향후 세계 경기 회복에 긍정적인 측면으로 판단된다. 다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경제제재, 원자재 수급 불안 등의 영향이 세계 경제의 하방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본 보고서는 주요 글로벌 경기 상황을 점검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2. 주요국 경기 상황 점검 ① 미국: 경기 회복 속 물가 리스크 상존미국 경제는 코로나 사태의 영향력이 약화되면서 성장 흐름을 이어 가고 있으나 우크라이나-러시아 사태,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최악 인플레이션 등으로 향후 경제 불확성이 증대   미국 경제는 경기부양책 통과, 백신 접종 본격화, 서비스 재개 등으로 코로나 사태의 영향력이 약화되면서 소비 및 투자를 중심으로 회복 흐름이 지속된고 있다. 2021년 4분기 미국 경제 성장률은 7.0%로, 2021년 미국 연간 경제 성장률은 5.7%를 기록하며, 1984년 7.2%이래 37년 만에 가장 높았다. 민간 소비 및 투자의 성장 기여도는 각각 2021년 3분기 2.3%p, 1.35%p에서 4분기 2.13%p, 5.38%p로 상승하며 경제 회복을 견인했다.오미크론 확산세 진정, 견조한 고용시장 등으로 소비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고물가가 소비 회복 둔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매 판매는 2022년 1월 4.9%에서 2월 0.3%로 둔화되었지만, 2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고, 이는 물량보다는 가격의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대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업 중심으로 고용이 증가하면서, 실업률은 2022년 2월 3.8%를 기록하며, 2020년 2월(3.5%)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의 영향이 확장되면서 미국의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2022년 2월 7.9%로 1982년 이후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제조업 및 비제조업 확장세가 이어지면서 산업 경기 회복 흐름이 이어지고 있어 향후 민간투자도 늘어날 전망이다. 제조업 PMI는 2022년 2월 58.6으로 지난 1월 57.6보다 상승하며, 21개월 연속 기준점인 50을 상회하며 확장세를 유지하고, 비제조업 PMI는 2022년 1월 59.9에서 2월 56.5로 하락했지만, 기준점을 여전히 상회해 확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민간기업의 투자 수요를 반영하는 비국방자본재수주(항공 제외) 증가율은 최근 추세적으로 둔화되고 있으나 2022년 3월 현재 전년동월 비 10.4%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미국 경제는 소비 및 투자 회복 지속으로 성장세가 양호할 전망이나, 코로나19, 글로벌 공급망, 원자재 가격, 통화정책 정상화 등의 추이에 따라 상하방 위험이 공존하고 있다. 향후 경기 향방을 나타내는 경기선행지수는 2021년 1월 111.5p에서 2022년 1월 119.6p로 개선되며 향후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증가하고 있다. 뉴욕 연은의 향후 12개월 경기 침체 확률은 추세적으로 축소되고 있으며, 고인플레이션 지속에 대한 우려로 향후 경기 상황에 대한 기대가 약화되면서 소비자신뢰지수는 2022년 1월 111.1p에서 2월 110.5p로 하락했다.② 유로존: 경기 둔화 가능성 확대유로존은 경기 회복세를 지속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최근 고물가 지속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요인에 의해 성장 둔화 가능성 확대유로존은 2021년 중 경기 회복세를 지속하여 코로나19 위기 이전 수준을 상회하는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다. 유로존 경제 성장률(전년동기 대비)은 2021년 2분기 이후 회복세를 지속하면서 코로나19 위기 이전 수준을 상회하는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다. 다만, 경제 성장률이 가장 크게 상승했던 2021년 2분기(14.6%) 이후 3분기 4.0%, 4분기 4.6%를 기록하면서 하반기 상승 폭이 축소됐다.주요국 성장률의 경우, 유럽 주요국에서 경기 회복이 지속되었으니, 독일의 회복세는 둔화되었다.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 등 유로존 주요국에서 경제 회복세가 지속되었으나, 독일의 경우 경제 성장률(전년동기비)은 코로나19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했지만, 2021년 4분기 1.8%를 기록하는 등 유로존 전체 성장률 대비 크게 하회하였다.한편, 2021년 하반기 이후 유로존의 경제 성장률 회복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가 악화되고 있어 유로존 경기 둔화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물가 및 고용의 경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최근 5%대를 돌파하며 역대 최고치를 상회하는 한편, 실업률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며 크게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유로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1년 하반기 이후 크게 확대되어 11월 5.0% 돌파 이후 12월 5.1%, 2022년 1월 5.8%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 연속 갱신했으며, 유로존 실업률은 2021년 4월 이후 하락세를 지속하여 12월 7.0%, 2022년 1월 6.8%로 역대 최저치를 하회하며 크게 개선됐다. 우크라이나 사태 심화에 따라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유로존의 물가상승률은 높은 상승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며, 실업률 또한 불확실성 확대에 따라 악화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경기선행지수 및 경기 전망, 소비자신뢰지수 모두 하락 추세로 유로존 경기가 둔화될 가능성 확대되었다. 유로존의 OECD 경기선행지수는 2021년 9월 이후 5개월 연속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향후 경기 전망 소비자신뢰지수는 2021년 11월 –4.0p로 마이너스 전환하였으며, 2022년 1월 –10.3p, 2월 –7.8p를 기록하여 부진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유로존의 경기 선행 지표가 하락세를 지속하며 경기 하방 압력이 확대될 전망이다.③ 일본: 경기 침체와 반등의 기로일본 경제는 코로나19 충격에서 반등한 후 경제 성장률이 0%대로 회귀했으며, 양호한 선행지표 및 기업 실적에도 불구하고, 내수경기 개선은 미흡한 상황일본 경제 성장률은 2021년 2분기 코로나19 충격에 대한 반등 이후 2021년 4분기 0%대를 기록했다. 일본의 경제 성장률은 코로나19 충격에 대한 기저효과, 확장적 정책 등의 영향으로 2021년 2분기 전년동기 대비 7.3%를 기록했다. 2021년 3, 4분기는 각각 1.2%, 0.4%를 기록하면서 0%대 성장률로 복귀하였으며, 코로나19 충격으로 인한 GDP 감소 폭을 회복하지 못했다. 2021년 들어 소비자심리는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소매 판매 증가율은 여전히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2021년 2분기 소매 판매 증가율이 코로나19 충격에서 반등하였으나, 이후 등락을 반복하는 모습이다. 소비자태도지수는 2021년 11월 39.2p로 추세적인 회복세를 보였으나, 2022년 2월 35.3p로 하락했다.내수 부문의 경기 개선세가 미약하나, 수출과 법인기업 실적이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1년 2분기 10%대의 회복세를 보였던 산업생산은 이후 증가세가 둔화되어 등락을 반복했다. 상품 수출 증가율은 코로나19 충격 시점 10~20%대의 감소세에서 10~40% 수준으로 회복하여 내수경기 대비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으며, 2021년 2분기부터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법인기업의 실적이 개선되면서 설비투자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제조업 PMI는 2022년 2월 52.7p로 2021년 2월 이후 50p를 상회하고 있으나, 서비스업 PMI는 44.2p로 코로나 재확산의 영향으로 급락했다.2021년 들어 노동시장의 개선세가 지속하고 물가상승률이 플러스로 전환되었으며, 경기선행지수도 기준선을 상회하였다. 코로나19로 3.1%까지 상승했던 실업률은 2022년 1월 2.8%로 개선되었고, 유효구인배율도 유효구인배율은 1.2배로 개선되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 2022년 1월 0.5%를 기록하였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 중이며, 경기선행지수는 2021년 3월 이후 기준선을 넘어 추세적으로 개선되어 2022년 1월 103.7p를 기록함에 따라 향후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를 나타내고 있다.④ 중국: 경기 하방 리스크 확대 전망중국 경제는 금리 인하 등 경기 부양 정책에 힘입어 내·외수 동반 회복세를 보이나,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및 코로나19 재확산 등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커질 전망중국 경제는 2021년 하반기 부동산발 쇼크 등 경기 하방 압력으로 냉각국면이 이어졌으나, 지난해 말부터 진행한 금리 인하 등 완화된 통화정책에 힘입어 소폭 회복이 예상된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발생한 전력난, 헝다(恒大集団) 사태 등에 따른 경기 하방 압력 대응을 위해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 우대금리(LPR, Loan Prime Rate)를 2개월(’21.12.20, ’22.1.20) 연속 2차례 인하를 단행했다. 또한, 최근 폐막한 양회에서 올해 성장목표를 5.5%로 설정하며, 부동산, 빅테크 및 환경, 사교육 등 공동부유1) 관련 구조개혁 분야에 대한 규제 완화를 통한 경기 부양 가능성도 커졌다. 이에 따라, 1분기는 전력 및 산업생산 개선으로 소매 판매 회복세가 나타났으며, 전력 생산은 2022년 2월 4% 증가하며 지난해 9월 이후 4개월 연속 둔화세에서 전환하였고, 산업생산은 최근 5개월 연속 상승세를 지속했다. 소매 판매 증가율은 2022년 2월 6.7%를 기록하며,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1) 공동부유(共同富裕)란 2021년 8월 17일, 제10차 중앙재정위원회에서 제시된 시진핑 주석의 새로운 국정 통치 이념으로 성장에서 분배로의 전환을 추구한다는 내용. 이에 지난해 하반기부터 빅테크 및 사교육, 부동산 등 분배정책을 내세운 전방위적 규제가 강화되었음.투자는 최근 금리 인하, 부동산 규제 완화 등 경기 부양 효과로 회복 양상을 보이나, 헝다 사태 등 부동산발 부실화 재확산 가능성으로 불확실성이 상존한다. 고정자산 투자는 올 2월 누적 증가율이 12.2%를 기록, 2월 발표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상향, 대도시 주택구매 제한 완화 등 정책효과가 반영되었다고 판단된다. 주택개발 투자도 2022년 2월 3.7% 증가하며, 2021년 9월부터 12월까지 4개월 연속 마이너스 증가율에서 벗어나는 양상이다. 다만, 주택 평균 가격2) 증가율은 2월 기준 1.89%로 지난해 5월 이후 9개월 연속 둔화세가 지속하면서 헝다발 부동산 부실 문제 여파는 지속되고 있다.2) 중국지수연구원이 매월 집계하는 100대 도시 주택 평균 가격에 대한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을 의미.한편, 우크라이나 사태에도 불구하고 수출 호조세가 여전히 지속하는 가운데, 제조업 PMI도 회복 국면을 나타냈다. 경기선행지수는 2021년 12월 95.6p로 저점을 지나며 향후 상승 가능성이 증대되었으며, 제조업 PMI도 2022년 2월 현재 차이신 및 관방 제조업 PMI 모두 50p를 상회하고 있어 경기 회복 기대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다만, 우크라이나-러시아 사태 장기화, 코로나19 재확산 등 대내외 돌발 리스크 확산에 따른 공급망 약화 지속, 수입 물가 상승 등 하방 압력은 당분간 지속할 전망이다.⑤ 인도 : 경기 회복세 지속인도 경제는 오미크론 확산 완화, 인프라 투자 확대 등으로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나,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대외 불확실성 확대는 우려 요인인도 경제 성장률(전년동기 대비)은 2021년 2분기 20.3%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한 이후, 하반기에도 완만한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다. 인도는 기저효과에 힘입어 2021년 2분기 경제 성장률 20.3%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3분기 8.5%, 4분기 5.4%로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다. 특히 크게 위축되었던 소비와 투자가 회복세를 지속하여 경제성장을 견인하고 있다.민간 소비와 산업생산이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불확실성 확대 등은 경기 회복세를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민간 소비 부문은 2021년 2분기 14.2%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이후, 3분기 10.2%, 4분기 7.0%로 완만한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산업생산 증가율 또한 2021년 4월 133.5%로 크게 상승한 이후 증가 폭은 축소되었으나 2022년 1월 1.3%를 기록하는 등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다. 오미크론 대유행 완화와 인도 정부의 대규모 인프라 투자 계획 등에 의해 소비와 생산의 회복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나,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대외 불확실성 확대가 경기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상존하고 있다.⑥ 베트남: 경기 반등세 지속2021년 3분기 역성장에서 벗어나 제조업 생산을 중심으로 경제성장률 반등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소매 판매 등 일부 지표의 개선세는 미흡베트남 경제 성장률은 2021년 3분기 역성장 이후 반등하면서 회복하는 모습이다. 2021년 3분기 베트남 경제 성장률은 델타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에 따른 봉쇄 조치로 전년동기 대비 –6.2%를 기록했다. 한편 2021년 4분기에는 경제 성장률이 5.2%로 반등하였고, 위드코로나 정책 확대로 개선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위드코로나 정책 확대로 산업생산이 점진적으로 회복하고 있으나, 소매 판매의 개선세는 미흡한 수준이다. 산업생산 증가율은 2022년 2월 전년동기 대비 8.5% 증가하면서 2021년 8월 –7.4%를 기록한 이후 회복세를 보이도 있다. 다만 코로나19 여파로 2021년 8~12월 간 마이너스 증가율을 보인 소매 판매는 2022년 2월 1.7%로 개선이 미흡하다. 최근 코로나 확산세 지속에도 불구하고 위드코로나 정책 확대 및 입국자 격리 면제 등의 조치로 경기 개선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나,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한 물가 불안 및 수입 증가 등의 리스크 요인도 존재한다.3. 최근 글로벌 경제 주요 이슈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가능성과 경제적 비용러시아-우크라이나 간 전쟁 장기화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주요국 금융시장 혼란이 가중되는 등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고조지난 2월 24일 러시아의 對 우크라이나 특별 군사작전을 시작으로 전쟁 발발, 이후 미국과 EU 등 서방국을 중심으로 對 러시아 경제제재 조치가 강화되면 글로벌 상품 및 금융시장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4차 협상이 진행 중이나 의견 차이가 커 난항을 겪으면서 전쟁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장기화 시에는 글로벌 금융시장뿐 아니라 국제유가 상승 등에 따르는 상품가격 불안정성 확대 및 인플레 압력 고조, 실물 경기 침체 등과 같은 막대한 경제적 비용이 동반될 것으로 우려 국내의 경우, 국제유가 상승만 해도 경제 성장률, 소비자물가 상승률 등 주요 거시경제 변수와 산업별 원가 상승 등의 악영향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제유가가 연평균 100달러에 달하면 경제 성장률은 0.3%p 둔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1%p 상승, 경상수지는 300억 달러 이상 악화될 것으로 추정된다. 산업별로도 높게는 23.5%(정유)에서 낮게는 약 0.3%(반도체) 정도의 원가 상승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된다.② 미국, 긴축의 길 시작미국연방준비제도는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 0.25%p 인상 등 통화 긴축을 본격화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미국 경기 연착륙 여부,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 등에 대한 우려 상존3월 FOMC에서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억제하기 위해 정책금리를 인상하고 향후 상당 기간 긴축기조를 강화할 것을 시사했다. 미국의 정책금리는 2020년 3월부터 24개월 동안 0∼0.25%를 유지해오다가 2022년 3월 17일 0.25%p 인상을 단행했다. 최근 미국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 파월의장은 미국 경제 및 노동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과 자신감을 강조했다. 이에 FOMC는 인플레이션 전망을 크게 상향 조정한 반면, 성장률 전망은 하향 조정했다.향후 물가 경로에 따라 긴축강도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긴축강도가 강화될 경우 미국 경기 위축 가능성도 상존한다. 2022년은 7회 금리 인상이 유력하며, 자산 매입이 3월에 종료되는 가운데 대차대조표 축소 등 양적 긴축도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국제신용평가사인 피치그룹과 캐나다왕립은행은 연준의 자산이 2024년에 각각 6.4조 달러, 6.2조 달러로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과거 금리 인상 시기 중 고물가 시기에 금리 인상 후 미국 경제 침체기에 접어든 사례가 존재하며, 2022년은 금리 인상과 연준 자산 축소 등 양적 긴축이 함께 진행되기에 경기 불확실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1971년 이후 금리 인상 시기는 9번으로 대부분 금리 인상 후 미국 경기는 연착륙이 나타났다. 다만, 상대적으로 물가 위험이 큰 금리 인상 시기인 1972∼1974년, 1976∼1980년, 1980년대에 금리 인상 이후 미국은 경기 후퇴기를 경험했다. 이번 금리인상기도 미국 경제의 자신감으로 연착륙이 기대되지만 향후 유가 상승 등 물가 경로의 불확실성과 양적 긴축이라는 변수가 존재해 연착륙을 낙관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전망이다.③ 중국경제 5.5% 성장 목표 달성 조건지난 3월 발표된 중국 정부의 5.5% 내외 경제 성장률 목표치는 타 기관 전망치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판단 중국 정부는 2022년 경제 성장률 목표치로 5.5% 내외 수준을 제시한 바 있으나, 이는 사회과학원, IMF 등 타 기관의 전망치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지난 3월 5일 열린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정부 업무 보고에서 리커창 총리는 2022년 경제 성장률 목표치를 5.5% 내외로 제시했다. 이에 반해, 중국사회과학원은 5.3%, IMF는 이보다 더 낮은 4.8%를 제시했다.중국 정부의 경제 성장률 목표치 달성을 위해서는 대외 리스크의 안정화, 코로나19 재확산 억제, 부동산 시장을 중심으로 한 투자 회복,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실천 등의 조건이 선결될 필요가 있음대외적으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국과의 갈등 심화 등과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의 안정화가 필요하다.코로나19 재확산 억제를 통한 경제 운영 정상화도 시급한 과제다. 최근 중국의 코로나19 신규 감염자 수가 급증하면서 지린성 창춘시, 상둥성 훼이하이시와 더저우시, 광둥성 선전시 등 주요 도시에 대해 봉쇄 조치가 시행되는 등 경기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는 실정이다.부동산 시장 등을 중심으로 한 투자 회복을 통한 내수 선순환 고리의 형성 역시 중요하다. 2022년 들어 중국의 총 고정자산투자가 회복세로 전환되고는 있으나, 부동산 가격 회복 지연에 따르는 투자 부진, 인프라 투자 축소 등의 리스크가 상존해 있는 상황3)이다. 재정의 역할이 제한적인 가운데 투자 회복, 고용 증대, 소비 확대로 이어지는 내수 선순환 고리 복원은 경제 성장률 목표치 달성의 주요 선결 조건이다.재정의 경기 안정화 지원 역할이 상당히 제한될 가능성이 커 금융통화정책의 역할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중국 인민은행에 따르면, 중국의 사회융자총액 증가세가 2020년말 13% 중후반대에서 2021년 10%대 초중반대로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정부는 2022년 재정적자 비중을 2021년 3.2% 내외 수준에서 2.8% 내외 수준으로 낮추는 등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중시4)했다. 3)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22년 1월 주요 70개 도시의 신규상품주택가격은 전월 비 0.1%로 지난 2021년 9월 이후 4개월 만에 플러스 전환했으나, 헝다 사태 등에 따르는 주택구매심리 약화 영향이 크게 남아 있는 상황으로 판단4) 한국은행, ‘2022년 전국인민대표대회, 중국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 현지 정보, 북경사무소, 2022년 3월 7일지방정부 역시 마찬가지로 약 3.7조 위안에 이르는 지방정부 전용 채권 발행한도가 유지되는 한편 2020년말 기준 약 39.3조 위안(IMF 추정치)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는 지방정부융자기구(LGFV)의 부채 역시 지방정부의 재정 및 투자 여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4. 시사점 최근 주요국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發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한 정책 방향 전환, 중국경제 둔화 등과 같은 리스크 요인이 상존해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할 대응이 필요함첫째, 대외 리스크의 국내 전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사전적인 대응이 중요하다.각종 대외 리스크로 인해 수출 경기의 둔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업종별 국가 또는 시장별로 사전 대응책을 마련하여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원자재 등의 수급 불안, 글로벌 공급망 경색 현상 심화 등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자원 외교 강화를 통해 단기 수급 불균형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글로벌 금융시장 모니터링 강화 및 국내 금융시장에 대한 사전적이고 지속적인 미세조정 및 안정화 조치 시행 등을 통해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국내 금융시장 불안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사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둘째, 국내적으로는 정치적 경기사이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거시경제 전반의 안정화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신정부 출범에 따르는 정책 공백이나 정책 변화 등 정치적인 이슈가 경기 변동성을 확대하지 않도록 남은 기간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특히, 올해는 대형 대외 리스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서 거시경제 안정화를 위한 정책 노력이 어느 때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다. 더군다나, 올해는 인플레 우려와 미국 연준(Fed)의 통화 긴축 등이 예정되어 있는 등 통화금융의 경기 안정화 또는 경기 부양 기능에 제약이 큰 만큼 재정 측면에서 이를 보완할 필요성이 크다.셋째, 경제와 방역을 모두 고려하는 엔데믹 전환이라 하더라도 선제적인 로드맵 제시와 부작용 최소화를 위한 유연한 정책 집행 체제 구축 등의 정책 배려가 필요하다.방역 수준의 대폭적인 완화 또는 엔데믹 전환 결정에 있어서는 민간경제주체들의 혼란을 피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로드맵이 선제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특히, 이미 엔데믹화하고 있는 주요 선진국을 모델로 하더라도 우리 경제와 사회의 특성에 맞는 기조로 재해석하여 적절한 적용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넷째, 국내 기업들도 원자재 가격이나 글로벌 공급망에 관한 이슈들이 경영 환경에 심각한 리스크로 작용하지 않도록 사전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며, 정부 및 공공부문에서는 이런 기업 노력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당장, 핵심 원부자재의 재고 확대, 수입선 다변화 등과 같은 대응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개별 기업이 역량이 이에 미치지 못할 시에는 정부 및 공공 부문에서 이를 적극 보완해야 할 것이다. 단기적인 비용 압력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해 추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혁신, 생산성 제고 등의 노력을 통해 유사 리스크 재발 시 대응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편집부 2022-04-05
기사제목
- 2월 14일, 중소기업 원스톱 통합마케팅 채널 ‘KOTRA 무역투자 24’ 오픈 - 고객 접근성·편의성을 크게 높인 통합시스템… “디지털 전환 대응”   KOTRA(사장 유정열)가 2월 14일, 디지털 전환 추세에 발맞춰 새롭게 개편한 대표 홈페이지 ‘KOTRA 무역투자 24’를 선보인다.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디지털 서비스 개선을 목표로 고객들이 KOTRA가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찾아보고, 물어보고, 신청하는’ 원스톱 창구를 구축했다.     고객에게 개별적으로 제공되던 △ 해외정보 △ 사업안내 △ 문의·상담 서비스를 무역투자 24를 통해 한데 묶어 제공함으로써, 고객들의 정보접근성과 서비스 이용 편의를 함께 높일 계획이다. KOTRA 이용고객은 무역투자 24에서 관심 국가와 관심 품목에 따라 선별된 해외시장 뉴스와 바잉 오퍼 조회부터 빅데이터 잠재파트너 추천까지 맞춤형 서비스 혜택을 누릴 수 있다.KOTRA의 무역투자 24는 고객·사업 관리에 대해 예외 없는 온라인화를 추진하고, 반응형 웹으로 설계해 한층 강화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전화·이메일 등으로 관리·운영되던 해외무역관 사업참가 고객들의 불편이 해소되고, KOTRA 서비스 접근이 한층 쉬워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고객의 사업참가 프로세스 표준화, 모바일결제 등 통합결제 서비스 도입, 고객 알림서비스 제공 등으로 고객지원 서비스가 개선됐다.김윤태 KOTRA 중소중견기업 본부장은 “KOTRA 무역투자 24는 중소기업이 무역·투자 관련 해외시장 정보와 지원사업 정보를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이라며, “앞으로 무역·투자 활동의 나침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편집부 2022-03-10
기사제목
- 2020년 전 세계 로봇 사용 대수 약 300만 대로 사상 최고치 기록, 코로나19에도 시장은 지속 성장- 2023년 전 세계 산업용 로봇 약 16만 대 판매 전망 아래 독일은 선행 기업의 투자 활발- 국내 기업, 전 세계 로봇 밀도 1위 국가에서 기술 개발 강화를 통한 생산입지로의 전향이 중요2021년 10월 국제로봇협회(IFR)는 2020년 코로나19 위기에도 불구하고 세계 산업용 로봇 판매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1위인 한국에 이어 세계 로봇 밀도 4위인 독일은 로봇의 사용 못지않게 생산입지 구축을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코로나19에 따른 산업 및 생활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부상하고 있는 자율 이동 로봇 시장의 잠재력을 점검해본다.2020년 글로벌 로봇 사용 대수 약 300만 대로 사상 최고치 기록지난 2021년 10월 말 발표된 국제로봇협회(IFR)의 ‘World Robotics 2021’에 따르면, 2020년 코로나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산업용 로봇 판매는 전 세계적으로 0.5% 증가한 38만 4,000대를 기록했다고 한다. 전 세계 공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산업용 로봇은 약 300만 대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2010년 이래 산업용 로봇의 수요는 지속적인 자동화 추세와 로봇 공학의 기술 혁신으로 인해 크게 증가했으며, 2015~2020년까지 연간 설치 규모는 매년 평균 9% 증가했다. 국제로봇협회(IFR)의 게리(Milton Guerry) 협회장은 전 세계 로봇 설치 규모가 2021년 13% 증가한 43만5,000대로 증가해 2018년의 기록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유럽의 경우 8% 증가한 약 73,000대가 전망된다.한편, 국제로봇협회(IFR)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 평균 로봇 밀도의 경우 산업 근로자 1만 명당 로봇 126대로 유럽 123대보다 약간 높은 편이다. 세계 로봇 밀도는 2015년 평균 66대에서 5년 동안 거의 두 배로 증가했다. 로봇 밀도 측면에서 한국은 932대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932), 싱가포르(605), 일본(390)에 이어 세계 4위를 기록한 독일에는 근로자 1만 명당 371대의 산업용 로봇이 소재하며, 유럽에서 가장 높은 로봇 밀도를 자랑한다. 스웨덴은 289대로 2위의 입지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가장 역동적으로 성장한 시장은 세계 제2위 경제 규모인 중국으로, 중국은 2015년 49대→2020년 246대로 급증했고, 미국(255대), 대만(248대)에 이어 세계 9위를 차지하고 있다.또한 전 세계 로봇 설치의 76%가 중국, 일본, 미국, 한국, 독일 등 5대 시장에서 이뤄지고 있는데, 유럽에서는 연간 설치되는 산업용 로봇의 33%가 독일에 투입되고 있으며, 유럽 전체 산업용 로봇의 38%가 독일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제로봇협회(IFR)의 게리(Milton Guerry) 회장은 “로봇 밀도는 경제별로 자동화 정도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이며, “영국은 로봇 밀도가 101대로 세계 평균보다 낮은 24위를 차지하는 유일한 서방 산업 국가(G7)”라고 밝히고 있다.자율 이동 로봇(AMR: Autonomous Mobile Robots)이 뜬다.전체 로봇 시장의 성장세와 더불어 특히 자율 이동 로봇의 활용은 보다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제로봇협회(IFR)에 따르면, 2020년 글로벌 운반 로봇 사용은 총 약 10만 대로 2019년 대비 3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산업용 로봇의 증가율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이다. 특히 이는 코로나 팬데믹의 악재 속 산업 생산이 둔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나온 수치라 더 흥미롭다.일례로 독일 진델핑엔(Sindelfingen)에 소재하는 메르체데스 벤츠의 새로운 디지털 네트워크화된 공장인 ‘Factory 56’에서는 수백 대의 이동 운반 로봇이 운행되고 있다. 자율 로봇은 새로운 S 클래스의 엔진과 좌석을 조립한다. 충돌은 발생하지 않고, 로봇은 상호 네트워크로 연결돼 있다. 동 공장에 로봇을 공급하고 있는 독일의 이동 로봇 전문 제조기업 세이프로그(Safelog)의 경영 파트너(Executive Partner) 볼터(Michael Wolter)는 “대규모로 투입된 로봇이 원활하게 작동하는 것을 볼 때, 이는 전체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 로봇 제조사는 ‘Factory 56’에만 거의 500대의 로봇을 공급했다고 한다. 다임러(Daimler)는 전 세계적으로 약 2,500대의 세이프로그 로봇을 사용 중이다.자율 운반 로봇 활용 선도기업 사례 I: 세이프로그(Safelog), 시리즈 생산에 주안점세이프로그(Safelog)는 이미 업계에서 3대 생산 기업 중 하나이다. 업계 추산에 따르면, 이 기업의 매출은 최근 몇 년 동안 매년 두 자릿수 비율로 증가해 2021년에는 3,400만 유로 이상으로 증가했다. 오더는 심지어 50%나 증가했다고 한다. 라이히아이혀(Michael Reicheicher) 대표는 “2021년은 칩과 재료의 부족으로 성장이 둔화되었지만, 다수의 대규모 신규 고객이 확보되었다”고 전한다.세이프로그(Safelog)의 파트너 볼터에 따르면, 산업계 로봇 사용률이 상당히 높은 독일에서도 자율 운반 로봇은 처음에 업계에서 자리를 잡는 데 더디었다고 한다. 볼터는 주요 요인으로 높은 가격과 물류 및 생산 프로세스에 통합하기가 어려웠던 점을 꼽는다. 돌파구가 기대했던 것보다 늦었던 또 다른 이유 중 하나는 다른 공급업체의 자동차 산업 분야 시범 프로젝트가 실패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볼터는 “때로는 요구사항이 너무 복잡했고, 매우 복잡한 맞춤형 제품은 각 프로젝트에 맞게 설계되었으며, 이를 프로세스에 통합시키기 어려웠다”고 말한다.이에 반해 세이프로그는 이동 운반 로봇 생산의 산업화에 주력하고 있다, 즉, 동사는 시리즈 모델 생산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 기업은 1교대 작업으로 연간 2,500대의 이동 운반 로봇을 생산해 내고 있고, 모든 모델은 지속적으로 개발 중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이를 통해 생산된 로봇은 약 20,000유로~50,000유로 가격대로, 신뢰할 수 있고, 불필요한 기술적 장치가 없이 일종의 일꾼 역할을 해내고 있다.세이프로그는 특히 주문 피킹(picking)을 위한 센서 기반 시스템으로 빠르게 성공을 거두었다. 동사는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해 직원이 선반에서 올바른 부품을 꺼내는지 확인이 가능한 조명별 선별 시스템(Pick-by-light)을 개발했다. 선반 구획에는 광학 디스플레이로 표기된다. 그 결과 주문 피킹(picking)을 위한 자체 추진 자동 카트인 비머 트롤리가 올바른 작업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라이트 스팟(Lichtspot)은 직원이 다음으로 작업해야 하는 구획을 보여준다. 볼터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특허를 출원하였으며, 다임러(Daimler)에서도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이는 무인 운송 시스템을 위한 플랫폼으로 가는 한 단계에 불과하다. 이제 무인 운송 시스템은 표준화되어 대량으로 제조되고 있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점점 더 많은 공장에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세이프로그는 현재 4세대 이동 로봇을 생산하고 있는데, 이들은 완전히 다른 운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고 한다. ‘Factory 56’에서 1년의 경험을 쌓은 다임러(Daimler)도 이제 E 클래스 생산을 위해 이 4세대 로봇도 주문한 상황이라고 한다. 단, 영업 대표인 라이히아이혀(Michael Reicheicher)는 “기계는 고객에게 1~2년 이내에 비용을 감가상각할 수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고 전하며, 비용 효율성을 강조한다.로봇 제조업계 내 전략적 투자 활발업계의 높은 성장률은 또한 투자 매력도를 상승시키며, 전략적 투자자들도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시장 조사 기관 기크(Geek)에 따르면, 이동 운반 로봇 제조기업은 2020년 전 세계적으로 약 4억7,000만 달러를 유치했다고 한다. 2021년의 경우 하락세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나, 코로나19 사태 이후 다시 빠르게 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독일 경제 일간지 한델스블라트(Handelsblatt)는 아마존은 지금까지 많은 이동 운송 로봇을 구축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온라인 유통기업은 주문 창고에서 수만 대의 로봇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마존은 이미 2012년 창고 로봇 제조업체인 키바시스템스(Kiva Systems)를 7억 7,500만 달러에 인수한 바 있다.또 한 예로 2021년 7월 에너지 및 자동화 기술 그룹인 ABB는 공급업체인 아스티 이동 로보틱스(Asti Mobile Robotics)를 인수했는데, 이는 산업용 로봇의 전통적인 제조기업들도 이 사업 영역을 점점 더 중요하게 받아들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2021년 11월 기계 엔지니어링 회사 융하인리히(Jungheinrich)도 뮌헨에 기반을 둔 로봇 기업 아르쿨루스(Arculus)를 인수하였는데, 한델스블라트는 이에 대해 대기업들이 이제 무인 운반 시스템 부문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고, 자율 이동 로봇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자율 운반 로봇 활용 선도기업 사례 II: 융하인리히(Jungheinrich), M&A로 시너지 효과 극대화지금까지 자율 운반 로봇이 종종 프로세스에 제대로 통합되지 않았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어왔다. 예를 들어 기계가 홀을 통해 독립적으로 운전하나, 손으로 물건을 싣고 내려야 하는 경우에는 제한된 정도로만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다.융하인리히는 이러한 추세를 인지하고 스타트업인 아르쿨루스(Arculus)을 인수했다. 동사가 최근 인수한 아르쿨루스는 바로 이 점에 착안해 기술 개발 중이다. 아르쿨루스의 설립자 루지취카(Fabian Rusitschka)는 “지금까지 생산의 개별 프로세스가 크게 자동화되었으나, 개별 단계의 연결은 작동하지 않았다”고 한다. 중요한 점은 동일한 시스템에서 생산 및 물류 흐름을 함께 가져오는 것이며, 이에 따라 아르쿨루스는 로봇을 개발할 뿐만 아니라 로봇을 제어하고 제조 프로세스에 통합하는 소프트웨어도 개발하고 있다고 한다. 이와 더불어 많은 곳에서 기존 조립라인이 무인 운반 시스템으로 운영할 수 있는 모듈식 아일랜드로 대체되고 있다.융하인리히의 브조스카(Lars Brzoska) 대표는 “아르쿨루스와 함께 자동화 물류 분야에서 성장 시너지를 활용하고 있다”고 전한다. “로봇을 내부 작업 플로우 또는 물류 프로세스에 통합하면 고객에게 새로운 수준의 유연성, 제어 및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한다. 융하인리히는 이미 창고 관리를 위한 다수의 무인 운송 시스템을 포트폴리오에 보유하고 있다.국제로봇협회(IFR), 2023년 약 16만 대 판매 전망 아래 ‛모바일 혁명’ 기대자율 이동 운반 로봇은 대규모 생산에 진입하면서 이제 여러 대규모 공장에서 더 많이 투입될 수 있게 되었다. 국제로봇협회(IFR)는 물류용 이동 운반 로봇의 판매가 2020년에서 2023년 사이 매년 평균 31% 증가하여 2023년에는 약 160,000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시장조사기관 LogisticsIQ 전망에 따르면, 이동 운반 로봇은 설치 기준으로 2020년 64,000대에서 2026년 890,000대로 증가할 것이라고 한다. IFR의 게리 협회장은 “향후 10년 동안 흥미로운 발전을 기대한다”고 밝히고, “로봇은 더 가볍고 유연해지며 점점 더 사람들과 많이 접촉하게 될 것”이라고 낙관한다. 이로써 국제로봇협회(IFR)는 더 나아가 ‛모바일 혁명’이라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전망 및 시사점코로나 팬데믹으로 우리의 생활은 많이 달라졌다. 그동안 지체되던 디지털화가 급속도로 진전되며, 일상에서 의료서비스나, 비즈니스 등에서 큰 변화를 가져왔다. 코로나19 위기로 온라인 유통이 활성화되면서 물류 시장의 기능 및 유연성의 중요성도 한층 부각되고 있다. 유연한 물류 시스템 구축은 물론 단시간에 가능한 일은 아니나, 자동화 토털 솔루션으로서만이 아닌 반복되거나 위험한 작업을 수행하며, 인력의 업무 강도나 근로 위험을 줄여 주는 등의 이점도 크기 때문에, 앞으로의 지속 성장이 예상된다. 특히 코로나19가 우리의 삶의 방식을 계속 변화시키고 있는 상황에서 의료 분야에서 향후 차세대 서비스 로봇에 대한 기대감도 그 어느 때 보다 크다. 생산 현장의 안전성을 높이고, 산업공정에서 작업을 지원하는 산업용 로봇 역시 대량 시리즈 생산으로 확대되며 큰 성장 잠재력을 시사해주는 한편, 바이러스 소독이나 감염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안전 조치 등을 위한 공공 보건을 위한 서비스 로봇이나 배달 로봇 등이 모든 공동 공간에서 크게 활약할 수 있을 것으로 예견된다.이러한 가운데, 한국은 자동차, 반도체, 철강, 조선, 디스플레이 등의 제조업을 토대로 전 세계에서 산업용 로봇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국가로 부상했다. 그러나 로봇 국산화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생산입지로서는 갈 길이 멀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국내 기업 가운데서는 이미 H사와 D사가 이미 오래전에 독일 진출을 통해 시장 진출을 꾀하고 있고, 일부 중견기업의 진출도 이어지고 있다. 또 최근 들어 현대차가 지난 1월 美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2에 로보틱스 비전을 제시하며 모든 사물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MoT(Mobility of Things) 생태계 실현을 위한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기도 하다.* 현대차는 2020년 12월 글로벌 로봇 분야 선도기업 중 하나인 美 보스턴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를 인수한 바 있다. 최근 2022년 1월 독일 물류 기업 DHL은 북미 공장에 총 1,500만 유로를 투자해 보스턴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의 물류 정리 전용 로봇인 ‛스트렛치(Stretch)’ 로봇을 공급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국내 중소·중견기업도 독일 시장 진출에 성공한 사례가 있는데, 관계자에 따르면, 국내 R 기업의 경우 인지도 면에서 낮고, 중국 대비 낮은 경쟁력 속에서도 시장 진출에 성공했다고 한다.처음 샘플 형식으로 1대의 로봇을 공급한 이후 현재 4~5대의 오더를 획득하였으며, 특히 거래 중인 독일 바이어가 자동화 기술에 대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기술 및 현장 지원 등의 서비스 업무 대행을 해주며, 시장 진출을 확대해나가고 있다고 한다. 즉, 제품의 품질이나 가격을 차치하고, 현지 진출을 하지 않은 국내 기업의 시장 진출의 관건이 되는 기술 지원의 부담을 덜 수 있었던 게 시장 진출 성공의 한 요소로 볼 수 있다고 전했다. 또한 국내 한 협동로봇 스타트업인 Y사 역시 로봇 부속품의 대유럽 수출에 성공하였는데, 2020년 12월 유럽 내 높은 시장 점유율을 점하고 있는 덴마크 기업 UR의 공식 인증 UR+을 취득하면서, 수출 물꼬를 트게 됐다고 한다. 이를 통해 동사의 부품은 시장 내 선도기업인 UR 로봇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기업에는 다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잠재적인 시장을 확보하게 되는 셈이다.코로나 팬데믹과 반도체 수급난의 장기화 속에서도 기업의 물류 자동화 추진과 모빌리티 산업의 주도권 경쟁은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더불어 모빌리티 시장의 주도권 및 로봇 등과 같은 신 성장 동력 분야에서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업의 투자 역시 더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기업의 로봇 생산입지 구축 및 성공적인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관련 분야에 대한 기술 투자뿐만 아니라 전문 엔지니어링을 필요로 하는 분야이니만큼 관련 인력 배양 등을 토대로 한 시장 진출에 역량을 집중할 때이다. 산업용 로봇은 고도의 유연성과 함께 업종에 따른 별도의 솔루션이 필요한 만큼 좋은 품질과 함께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며, 국제 표준인 ISO 10218-1을 비롯해 ISO 3691-4 등 업계 최신 안전 표준을 준수하는 것은 물론, 시장 진출 시 안전 및 기술 지원 제공도 시장 진출의 성공 포인트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로봇 수요의 성장과 더불어 관련 소프트웨어, 제어 기술, 센서, 3D 카메라, 관제시스템, 레이더를 위시한 다양한 장비 및 자동화 솔루션 등의 수출에서도 편승 효과가 기대된다.코로나19로 훨씬 급격하게 바뀌고 있는 산업 및 생활환경 속 인간이 처한 위험과 업무를 상호보완적으로 지원해 나갈 수 있는 차세대 자율 로봇 및 부품이 꾸준한 기술 혁신과 더불어 ‘K-로봇’이라는 트렌드 하에 차세대 우리 주요 수출품으로 자리 잡아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자료: 국제로봇협회(IFR), Handelsblatt, 독일기계제조및설비협회(VDMA), Heise Online, 현대차 그룹, 관계자 인터뷰 및 KOTRA 자체 정보 종합자료제공: KOTRA
편집부 2022-03-06
기사제목
- 코로나19 사태로 플라스틱 폐기물 급증- 단일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 적극 권장, 차후 디지털 워터마크를 활용한 패키징에 기대- 국내 수출기업 역시, 제품 포장 디자인에서 폐기물 재활용에 이르는 폐기물 관리에 적극적 행보 및 책임 의식 고취 필요코로나19 위기로 록다운 시행과 함께 온라인 쇼핑이 활성화되면서 ‘기후 중립’을 향한 독일 및 EU 차원의 노력이 무색하게도 플라스틱 폐기물은 증가 추세이다. 여러 현실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탈 플라스틱’이라는 시대적 도전과제를 헤쳐 나가기 위해서는 적절한 분리수거 외에도 제품 포장 디자인이나 재활용 프로세스 최적화 등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통해 미래에는 포장재 플라스틱 소재의 75%가 재활용이 가능할 전망이다.‛탈 플라스틱’은 시대적 도전과제독일에서는 현재 폐기물 수거*를 위시해 플라스틱 봉투 유상제, 일회용 음료수병 및 음료수 캔에 대한 회수 의무(Pfandpflicht), 두께 15∼50마이크로미터(μm) 두께의 일회용 플라스틱 봉투 사용 금지 등 다양한 재활용 및 탈 플라스틱 정책을 펼쳐 나가고 있다.* 독일은 1996년 10월 6일 처음 발효된 순환 경제 및 폐기물법(KrW-/AbfG)에 의거한 생산자의 제품에 대한 책임을 요구하는 ‘생산자책임 재활용제도’를 도입해 특정 품목군에 대한 재생(recovery), 재사용(re-use), 리사이클(recycle) 비율과 무료 수거를 의무화하고 있다.또한, 독일은 폐유(75/439/EWG), 유해 물질(91/689/EWG), 포장재(94/62/EG), 노후 차량(2000/53/EG), 전기·전자기기(2002/96/EG), 폐배터리(2006/66/EG) 등 다양한 품목군에 대해 재활용 회수 비중을 상향 조정하고 적용 품목군을 지속 확대해나가는 등 재활용을 위한 규제를 강화해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독일은 EU 기후 보호 정책을 선도하는 모범국가*로 이러한 탈 플라스틱 정책은 독일의 기후 보호 목표 하의 실행적 조치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2021년 5월 5일 이래 독일은 기후 중립 목표와 관련해 기존의 2050년→2045년으로 조기 달성하고, 2030년까지 CO2 감축 목표 역시 기존의 55%→65%로 상향 조정하고 이에 발맞춰 전방위 산업군에서 CO2 감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EU 차원에서는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탄소 배출량을 55% 감축하고 2050년 기후 중립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코로나19, 재활용에 대한 인식 변화를 촉진EU 차원에서도 이미 오래전부터 중장기적으로 플라스틱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등 실행 방안을 마련해 추진 중에 있으나, 코로나19 사태 확산과 함께 온라인 쇼핑이나 배달 음식, 일회용품 사용이 크게 증가하며, 전반적으로 플라스틱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가 사회적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재활용에 대한 인식 변화를 더욱 촉진시키고 있다.* 지난 2021년 11월 8일 독일 MDR 방송은 WWF(세계자연기금)를 인용해 2021년 8월까지 840만t의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했으며, 이 중 수만 t이 이미 바다로 유입되었을 것이라고 전하면서 코로나19가 플라스틱의 환경오염 문제를 더욱 악화시켰다고 밝힌 바 있다. 유엔환경계획(UNEP)에 따르면, 연간 전 지구상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폐기물량은 약 3억t에 이른다고 한다.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노력은 정부나 EU 차원에서의 목표 상향 조정 등의 노력뿐만 아니라 코카콜라나 스타벅스 등 글로벌 유명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에 이르는 개별 기업의 자발적으로 노력으로 구체화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 들어 크게 확산하는 추세이다. 또한 그 방법이나 방식에서도 다양한 리사이클링의 의미를 담아 전개되고 있는 양상을 보인다.EU, 2030년까지 플라스틱병 생산 시 재활용 소재의 비율 30% 목표독일 경제일간지 한델스블라트(Handelsblatt)가 전문가를 인용 보도한 바에 따르면, 2020년 유럽 내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총 2,950만t에 달하고, 이 중 재활용량은 1,020만t에 이른다고 한다.한편, 현재 집계 기준 최신 수치인 2019년 유럽 플라스틱 가공에서의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량은 194만5,000t으로 10% 증가했으나, 신규 플라스틱 사용량에 비하면 여전히 1/10 수준으로 매우 낮다.이러한 배경하에 EU와 산업계는 재활용 플라스틱(Rezyklat)을 포장재에 활용하고자 하는 야심 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2021년 9월 이래 EU에서는 2030년까지 모든 페트병에 사용되는 재활용 소재의 비율을 25%로, 기타 모든 플라스틱병에 사용되는 재활용 소재의 비율 목표를 30% 이상으로 합의가 이뤄졌다. EU 환경정책위원 싱케비치우스(Virginijus Sinkevicius)는 플라스틱병 제조 시 30%의 재활용 목표를 전체 부가가치 사슬을 바꿀 잠재력이 있는 ‘게임 체인저’로 보고 있다.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 비율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가 곧 다른 포장재에도 적용될 것이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러한 야심 찬 계획이 현실적인 문제로 실패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이는 목표에 도달하는 길이 멀 뿐만 아니라 수십억 유로의 비용이 들 수 있고, 보다 많은 플라스틱 폐기물이 필요하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드레스덴 공대(TU Dresden)의 추산에 따르면, 독일 경제는 재활용 재료의 비중이 1% 증가할 때마다 최소 1억 유로를 투자해야 한다고 한다. 이는 오늘날 추정되는 13%→30%로 점유율을 높이는 데만 최소 17억 유로의 비용이 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독일 및 유럽에서 이름난 헹켈(Henkel), 바이어스도르프(Beiersdorf), 로레알(L’Oréal) 등과 같은 소비재 기업이 그 대부분을 부담해야 하는 실정이다.기업의 플라스틱 재활용 사용 비중 확산 행보 잇달아독일 세제 브랜드 프로쉬(Frosch)의 제조기업인 베르너와 메르츠(Werner & Mertz)는 일반인이 원유로 만든 기존의 포장과 구별할 수 없는 100% 재활용 소재로 포장재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로 손꼽힌다. 동 사는 포장에 폐플라스틱을 사용한 선구자로 이 기업은 이미 100% 재활용 재료로 만든 5억5,000만 개 이상의 페트병을 유통에 투입했고, 이미 2015년부터 병 제조 시 재활용 플라스틱만 사용하고 있다. 고품질의 재활용 플라스틱이 부족하기 때문에 동 사는 폐기물 처리기업과 협력을 통해 포장에 노란색 자루를 통해 수거된 플라스틱 사용량을 점점 더 늘리면서 전년도부터 재활용 플라스틱의 절반을 이를 통해 얻고 있다. 이는 그 어느 제조사도 보여주지 못한 성과이다. 이 재활용 플라스틱은 매우 순수하고 무공해 소재로 미국 식품의약청(FDA)에 따르면, 식품과 접촉하는 것도 허용된다고 한다.이 회사의 대표 슈나이더(Reinhard Schneider)는 다만 문제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들고 독일에서 통용되는 플라스틱 포장재 수거용 노란색 자루(Gelber Sack)로 수거된 재활용 플라스틱의 상당 부분이 여전히 소각되기 때문에 단일 종류의 폐플라스틱은 희소하다고 한다. 이를 변경하기 이해서는 분류방식이 개선되어야 하고 처리에 막대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한다. 더 나아가 슈나이더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100% 사용하는 것이 표준이 된다면, 단가도 기존 포장 가격 아래로 떨어질 것”이라고 전한다.이러한 일부 모범 사례를 차치하면, 독일 주요 소비재 브랜드 제품의 재활용 소재 사용 비중은 여전히 낮은 편이다. 2020년 말 세제 브랜드 페르질(Persil)의 제조사이자 독일의 대표적 소비재 기업 헹켈(Henkel)은 사용된 플라스틱의 15%를, 유니레버는 개별 부문에서 최다 20%를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나며, 로레알은 현재 수치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또 니베아(Nivea) 브랜드로 유명한 독일 소비재 기업 바이어스도르프(Beyersdorf)의 경우에도 현재 기준 최신 집계된 2020년 말 이 회사 포장의 재활용품 비율은 4%에 불과한 수준이다.그러나 최근 들어 이러한 소비재 대기업도 높은 목표를 설정하는 추세이다. 헹켈(Henkel)의 경우 2025년까지 포장재에 30% 이상의 재활용품을 사용하고자 하며, 유니레버(Unilever)는 25%를 목표로 하고 있고 바이어스도르프는 2025년까지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크림, 샴푸, 데오드란트 용품 포장의 최소 30%를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생산하고자 한다. 화장품 제조사인 로레알(L’Oréal)은 50%까지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기업들은 2022년에도 지속가능성 차원에서 큰 야망을 갖고 포장에 사용된 플라스틱 폐기물의 비중을 대폭 증가시켜 수만 t에 이르는 CO2를 절감하고자 한다.재활용 플라스틱 사용 확대를 위한 실천적 과제–재활용 플라스틱 분리수거, 재료 결함 극복 등 한델스블라트는 모든 기업은 재활용 플라스틱이 부족하면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재활용 플라스틱이 부족하기 때문에 기업은 새 플라스틱보다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단기간에 큰 변화가 있을 것 같지 않다고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폐기물 및 순환경제 연구소의 리사이클링 전문가 말레츠(Roman Maletz) 및 산업 협회는 대형 재활용 기업이 이미 연말까지 재활용 소재 판매가 완료됐다고 전한다. 따라서 재활용 플라스틱을 찾는 사람은 배송까지 최대 1년을 기다려야 한다고 한다.또, 다른 한편으로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일반적으로 해결책으로 볼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대안인 종이 포장재와 비교할 때 샤워 젤이나 세제가 새는 것을 확실하게 보호하고 유리와 달리 깨지지 않는 장점이 크기 때문이다. 단. 새 플라스틱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다. 한델스블라트에 따르면, 1t을 생산하는 데 2t의 석유가 사용되며 플라스틱이 자연에 반출될 경우 썩는 데 수십 년이 걸린다고 한다. 이는 소비재 제조기업의 이미지를 훼손하고 친환경 실천에 대한 압박으로 작용하게 된다.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소비재 분야 대기업은 오래된 플라스틱의 대규모 사용에 대해 여전히 회의적이다. 가장 큰 이유는 품질 문제이다. 헹켈에서 세제 부문 글로벌 포장 개발을 이끌고 있는 매니저 레오폴트(Thorsten Leopold)는 “재활용 플라스틱 재료는 특성 면에서 새로운 소재만큼 안정적이지 않다”고 말하고, 따라서 재활용품에 재료 결함이 있는지 훨씬 더 집중적으로 확인해야 한다고 한다.바이어스도르프의 포장 부문 매니저인 멘첼(Norbert Menzel)도 “제품 안전에 대한 우리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고품질 재활용 소재를 찾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한다. 멘첼은 재활용 플라스틱은 크림이나 샤워 젤에 이물질이 없고 냄새가 나지 않는 고품질이어야 한다고 한다. 바이어스도르프는 우선 샤워 젤과 샴푸의 포장을 재활용으로 바꿨는데 이는 내용물이 피부에 오래 머물지 않기 때문이며, 이 포장재는 97%가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그다음 단계로 피부에 흡수되는 바디 로션과 크림인데, 어떠한 위험을 감수하지 않기 위해 재활용 플라스틱 함량을 50%로 시작해 점차 단계적으로 늘리고자 한다. 이는 재활용 산업에 관련된 모든 파트너와 함께 매우 집중적으로 개발해야 하는 작업이라고 전한다.단일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 vs 디지털 워터마킹** 디지털 워터마킹(Digital Watermarking)은 우표 크기의 QR코드의 일종으로 사진이나 동영상 같은 각종 디지털 데이터에 저작권 정보와 같은 비밀 정보를 그림이나 문자로 삽입하여 관리하는 기술을 말한다.전체 가치사슬을 따라 업계 내에는 점점 더 많은 파트너십이 존재한다. 재활용 기업은 결국 소비재 회사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적응해야 하며 새 기계에 투자하고 분류 프로세스를 최적화해야 한다. 해당 업계 관계자는 많은 유형의 플라스틱은 재활용하기 어려우며, 특히 서로 다른 유형의 플라스틱을 함께 붙여 사용할 때 문제가 된다고 한다. 순환 경제는 플라스틱이 단일 유형일 때 가장 잘 작동한다고 한다.이것이 업계에서 현재 ‘홀리 그래일(Holy Grail) 2.0’ 프로젝트 하에서 디지털 워터마크를 테스트하고 있는 이유이다. 바이어스도르프와 헹켈을 포함해 130개 이상의 회사가 동참하고 있다. 제조업체는 재활용 회사가 플라스틱의 유형을 읽을 수 있도록 포장에 디지털 워터마크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분류가 더 쉬워지고 재활용품의 양이 늘어난다.* HolyGrail 2.0은 2016년~2019년 P&G가 기타 소비재 제조기업, 유통기업 및 재활용 기업과 함께 추진 중인 프로젝트이다. 이를 통해 개발된 플라스틱 포장용 ‘디지털 워터마크’는 소비자에게는 보이지 않지만, 분류시스템의 특수 스캐너가 인식할 수 있는 코드로 포장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저장된 정보는 생산에서 재활용에 이르는 전체 가치사슬에 걸쳐 사용될 수 있어 포장재의 전체 수명 주기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HolyGrail 1.0에 이은 두 번째 단계에서는 선별 효율성, 소비자 참여 및 유통 추적에 대한 테스트가 이뤄지고 있으며, 2022년 9월 프로젝트 결과가 공개될 예정이라고 한다.현재 추진되는 ‘홀리 그래일(Holy Grail) 2.0’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유럽 내에서는 2023년부터 유럽 폐기물 처리를 지속 가능하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향후 디지털 워터마크는 보다 많은 폐기물을 재활용하는데 유용한 재활용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으로 정착할 전망이다.다른 한편으로는 이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도 존재한다. 물론 이는 이론상으로는 좋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여전히 어려움이 크다. 결국 포장에 표시해야 할 뿐만 아니라 모든 분류시스템도 감지를 위해 개조해야 한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이러한 프로세스는 소규모 파일럿 테스트에서만 사용되었다. 폐기물 처리기업 알바(Alba)의 베를린 공장 책임자인 쉬비히(Björn Schwich)는 “시스템의 복잡성 정도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고 말하고, 분류시스템에는 개별 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두 자릿수의 적외선 분리기가 이미 있다고 한다. 쉬비히는 디지털 워터마크와 같은 표시 방법을 ‘만병통치약’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의 관점에서 목표는 한 번에 한 가지 재료로 포장재를 생산하는 것으로, 그런 다음 기존의 분리 공정을 사용하여 잘 분류할 수 있다고 한다. 즉, 분류기기는 포장재가 어떠하냐에 따라 잘 작동할 수 있다고 하며, 단일 포장재 사용을 선호하는 입장을 내보이고 있다.공통 표준 개발 및 제품 포장 디자인은 궁극적 도전과제또 다른 어려움은 제조업체와 딜러가 오랫동안 글로벌 차원에서 생산 또는 유통에 임하고 있으나 폐기물 처리에 대한 범국가적 표준이 없다는 것이다. 유럽 내에서도 국가마다 분류시스템이 다르며, 전 세계적으로는 더욱 그런 상황이다. 로레알의 지속가능성 이사인 바인더(Irene Binder)는 “프랑스에서 재활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포장재가 반드시 독일에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한다. 이는 특히 글로벌 기업에는 어려운데, 각 국마다 자체 재료로 포장을 개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바인더가 말하듯이 가능한 한 많은 국가에서 포장재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가장 낮은 공통분모를 찾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소비재 그룹도 공동 표준을 개발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독일에서는 바이어스도르프, 베르너와 메르츠, 프라운호퍼(Fraunhofe) 연구소의 전문가 간의 협력이 진행 중인데, 재활용품을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을 명확히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EU 규정에 따르면, 제조업체는 안전한 제품만 유통할 수 있다. 그러나 재활용품을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을 정확히 정의하고 있지는 않다.이에 글로벌 제조기업인 미국 프락터 앤 갬블(Procter & Gamble)과 유럽 최대 소매업체인 슈바르츠 그룹(Schwarz Group)은 최근 혁신적인 포장재를 공동 개발하기 위해 제휴를 맺었다. 슈바르츠 그룹은 자회사인 프레제로(Prezero)에서 자체 폐기물 처리 작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가치사슬을 따라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다. Prezero의 CEO인 키리아키스(Thomas Kyriakis)는 “포장 관리의 핵심은 처음부터 제품 디자인”이라고 말한다. 나중에 쉽게 분리, 분류, 재활용하여 생산 사이클에 다시 넣을 수 있도록 포장을 디자인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게 되면, 재활용 가능한 재료를 적절하게 분리하지 않아 처리가 안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키리아키스는 “최고의 포장재를 사용하면 소비자가 나중에 아무것도 분리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한다.전망 및 시사점리사이클링 전문가 말레츠(Maletz)는 미래에 포장 플라스틱의 75% 이상이 재활용될 수 있다고 전한다. 최소한 제조업체가 포장을 적절하게 디자인하고 소비자가 쓰레기를 올바르게 분리하고 재활용 회사가 프로세스를 최적화한다는 조건 하에서이다. 하지만 거기까지 가는 길은 멀고도 험난하다. 이를 이유로 독일 소비재 기업은 정부의 지원을 통해 이러한 프로세스를 가속화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원유 가격이 하락할 때마다 현재와 같이 비용상의 이유로 원유에서 더 많은 플라스틱이 만들어지고 재활용품에 대한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가공 기계 활용도가 떨어지고 재활용품 가격이 상승하는 악순환을 방지하자는 취지이다. 이러한 노력 속에 제품 포장 디자인에서 폐플라스틱 재활용에 이르기까지의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은 EU 및 독일의 플라스틱 규제와 더불어 플라스틱 소재, 제품 생산 및 유통(특히 식품) 분야에 새로운 변화를 유발하고 있고 그 속도는 점점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국내에서도 화장품 기업을 중심으로 포장재에 사용되는 신규 플라스틱 사용량 감축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도 지속 가능한 순환 경제 실현을 위해 화장품 업계가 공동 추진하는 ‘2030 화장품 플라스틱 이니셔티브’에 동참하는 추세이다.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과 용기 경량화 및 용기 디자인 변경, 판매한 용기의 자체 회수 등을 통한 다양한 시도 속에 탈 플라스틱 행보에 발맞춰 친환경을 실천하는 착한 기업 이미지를 굳히기 위한 노력은 기업의 자발적인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확산되고 있다.이에 따라 장기적 관점에서 독일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제조기업은 제품의 품질 외에도 포장재 구성이나 방식 등을 적극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EU에서는 제조업체에 대한 플라스틱 포장재 폐기 비용 분담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국내의 대 EU 수출기업은 사전에 이와 관련해 거래 공급업체와의 협의 및 조율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2022년 1월1일부터 모든 음료수 캔 및 페트병에 25ct의 보증금이 부과되므로 회수 의무화 확대 조치에 따른 기업의 부담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KOTRA 해외시장뉴스 ‘2022년 달라지는 정책 및 규정, 미리 알고 대응하자’ 참조 요망)* 독일 진출에 성공한 한국 음료기업 O사의 경우 독일 수입 업체에서 음료수병 회수(Pfand)를 위한 조치를 별도로 제공해 독일 내 판매가 가능했던 반면에 다른 한 기업의 경우, 독일 수입기업 G사가 한국 음료수 제품에는 관심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품 포장재가 회수(Pfand) 처리 부담이 따르는 플라스틱이라는 사유로 유리병 사용을 희망했고, 이 역시 폐기 처리 부담 및 제조기업과의 협상 문제로 수입 거래가 불발된 경우가 있다.특히 독일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소비재 제조기업은 전반적으로 향후 과다한 포장이나 플라스틱 포장을 지양하고 보다 지속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패키징에도 보다 많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지속 가능한 소재 제품이나 포장 디자인 개발도 좋지만 가능한 경우라면 단일 소재 플라스틱을 적용해 ‘Simple is the Best’(단순한 게 최고)라는 말을 적극 실천에 옮겨 볼 만하다.이미 독일과 유럽 소비는 환경을 위해 아름다운 포장보다는 심플하고 재활용 가능한 포장을 선호하는 스마트한 소비에 익숙해지고 있기 때문이다.플라스틱 소재의 재활용률을 지속적으로 개선시키고 재활용 플라스틱의 품질을 개선하는 노력은 플라스틱 가치사슬 속에서 우리 모두가 실행해 나가야 할 과제이다. 그린 경제로의 전환과 성장은 정부, 기업, 소비자 모두가 협업할 때 한층 더 앞당겨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노력 속에 향후 저탄소·친환경 기술 관련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도출되기를 기대해본다.자료: 독일 정부, Handelsblatt, abendblatt.de, MDR, digitalwatermarks.eu, 관계자 인터뷰 및 KOTRA 프랑크푸르트무역관 자료 종합
편집부 2022-03-06
기사제목
- 정부와 기업 공동 투자로 터키 폴리프로필렌 생산 시설 준공- 포장재 원부자재와 기계설비 수출 유망산업 특성플라스틱은 터키의 근간을 이루는 자동차, 백색가전, 건축 등의 산업에서 자재로 쓰이는 중요한 재료이다. 지난 2020년 터키 내에서 생산된 플라스틱은 954만 톤이다. 생산된 플라스틱 제품의 25%는 수출되며 남은 75%는 자국에서 소비한다. 플라스틱은 터키의 주요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도 중요하기 때문에 터키 기업들은 설비에 지속 투자하고 있다.터키 정부는 발전이 더딘 중간재 제조업을 무역수지 적자의 주원인으로 보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중간재 재조업 발전을 적극 추진 중이다. 플라스틱 산업 및 화학제품은 터키 경상수지 불균형의 원인 중 하나로 매년 60억 달러 내외로 수입이 발생한다. 터키 중소기업진흥청(KOSGEB)은 플라스틱 원재료의 국산화를 위해 플라스틱 및 석유화학 산업을 우선 육성산업으로 선정하여 자금의 제조업 분야 투입을 확대시킬 계획이다.주요 이슈터키 아다나(Adana)주 제이한(Ceyhan) 시에 민관합작 투자 대규모 석유화학 폴리프로필렌 제조 단지가 설립된다. 투자 규모는 터키와 알제리의 합작투자 회사 르네상스 홀딩에서 17억 달러, 터키 국부펀드에서 10억 달러를 투자한다. 현재 공사는 진행 중이며 2025년 말에 완공될 예정이다. 완공되면 해당 시설에서는 연간 45만 톤의 폴리프로필렌 생산이 가능하며 매년 2억5천만 달러의 부가가치를 생산한다. 이 시설을 가동하는 데에 필요한 전기 80%는 자체 수력발전소를 통해 조달하기 때문에 EU 연합의 탄소국경세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로울 것으로 전망된다.한편, 지난해 터키의 포장재, 일회용품과 의료 소모품 생산은 크게 증가했다. 코로나19로 방역과 위생이 중요해지며 상품의 소형화 및 개별 포장의 증가, 일회용품 사용 장려로 인해 포장재와 일회용품 생산이 증가했다. 아울러 터키 내 의료시설에서 코로나19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의료 소모품 사용이 증가하며 마스크, 라텍스 장갑, 주사기 등 의료용 소모품을 제조하는 업체의 생산 물량도 크게 증가했다.특히, ’20년 터키 플라스틱 원자재 수입 통계 분석 결과, HS Code 3920(플라스틱으로 만든 그 밖의 판·시트(sheet)·필름·박(箔)·스트립)) 품목이 가장 많이 수입(약 7.6억 달러가량)되었다. 해당 품목은 터키의 플라스틱 수입량의 42%, 플라스틱 수입액의 27%를 차지했다. 터키의 플라스틱 산업 전체 수입량 중 약 50%가량이 플라스틱 포장재를 만드는 데 사용될 정도로 수입의존도가 높은 산업이다.세계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반도체 쇼티지는 터키에도 타격을 주었다. 자동차 산업은 물론이며 부품업체, 가전, 핸드폰 등등 다수가 영향을 받으며 관련 생산이 감소하자 터키의 플라스틱 산업도 덩달아 영향을 받게 되었다. 이 때문에 포장재 외 다른 산업 분야에서는 플라스틱 사용이 소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급 현황20년 터키의 전체 플라스틱 생산량은 954만 톤이었다. 가장 많이 생산된 제품은 플라스틱 포장재로 400만 톤의 생산량을 기록했다. 이어서 건설 시장의 점진적 회복 덕에 약 2백만 톤의 생산량과 함께 건설용 플라스틱 자재가 2위를 기록했다. 이어서 백색가전용, 자동차용, 섬유, 농업 순이었으며, 자동차용 플라스틱 제품은 반도체 공급 중단 등의 이유로 위축세를 보였다.플라스틱 완제품의 경우 수입보다 수출이 큰 시장이며, 제품 설비에 대한 투자도 활발히 이루어지는 시장이다. 터키의 플라스틱 산업은 ’15~20년 사이 총 6년 동안 플라스틱 가공 기계에 총 8억4천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그중에 40%는 프레스 및 기타 성형기, 22%는 사출기, 17%는 압출기, 13%는 부분품, 5%는 열 성형기, 2%는 취입 성형기가 차지했다.SWOT 분석유망분야터키에는 1,400개 이상의 플라스틱 포장재 생산 업체가 영업 중이며, 포장재의 원부자재 수입이 플라스틱 원부자재 전체 수입량의 50%를 차지하는 만큼 수입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향후에도 수입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식품 포장용 필름 원자재는 수입 수요가 가장 높고 현지 업체들이 가장 많이 찾는 품목 중 하나이다.이와 더불어 터키 플라스틱 성형 기계 시장은 8억 달러가량의 수요가 매년 발생하지만, 국산 제품만으로는 수요에 대응할 수 없어 매년 5억~6억 달러 내외의 수입이 발생한다. 특히 프레스 기계와 사출기에 대한 수요가 높은 편으로, 우리 기업들이 제품 성능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면 가격 경쟁력과 품질로 양분화된 터키 시장에서 중국과 유럽을 제치고 좋은 대체재로 부상할 것이 예상된다.자료: 터키 환경부, 터키 통계청, PAGEV(터키 플라스틱산업협회), PAGÇEV, 터키 제11차 경제개발계획, 2020-2023 터키 신경제계획, Plastik Pazarı, plastik Ambalaj, 이스탄불무역관 자료 종합
편집부 2022-03-06
기사제목
- 2022년 7월부터 관련 조치 속속 시행- 2030년 플라스틱 일회용품 전면 퇴출 목표에 따라 친환경 상품 시장 지속 성장 기대‘버블티의 원조’ 대만, 연간 일회용 컵 20억 개 사용 추산대만은 테이크아웃 음료점이 많은 시장이다. 대만에서도 일회용품의 환경오염 문제는 비단 오늘내일 일이 아니다. 현지 환경단체인 ‘황야보호협회’는 대만의 연간 음료점 매출액에서 음료 하나당 판매가격을 50대만 달러로 잡고 계산할 때 연간 20억 개에 달하는 일회용 컵이 사용되는 것으로 추산했다. 음료점 외에도 편의점, 슈퍼마켓 등과 같은 소매유통업체, 음식점에서도 일회용 컵을 사용하는 만큼 실제 사용량은 이보다 많을 것으로 짐작된다. ‘황야보호협회’는 또 2020년에 대만에서 수거한 해양쓰레기 22만여 개 중 일회용 음료 컵이 1만 개를 넘었고 평균 1km당 수거한 일회용 음료 컵 쓰레기는 185개로 전년보다 20개가 늘었다고 말했다.대만 정부, 플라스틱 일회용 컵 규제 확대 추진일회용 컵 중에서도 특히 플라스틱 컵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만큼 대만 정부는 일회용 플라스틱 컵 사용 제한을 확대하기 위한 시행안을 2021년 말 발표했다.먼저 2022년 7월부터 음료점의 스티로폼 컵 사용을 금지한다. 타이베이에서는 스티로폼 컵을 거의 찾아볼 수 없지만, 스티로폼 컵이 종이컵이나 플라스틱 컵보다 보냉 효과가 좋다는 장점때문에 남부 지역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기타 플라스틱 소재 일회용 컵에 대한 규제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전국적으로 동시에 시행되는 스티로폼 컵 사용금지 조치와 달리 기타 플라스틱 소재 일회용 컵에 대한 규제는 지자체별로 시행할 방침이다.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현지 상황과 형편을 고려해 일회용 플라스틱 컵 사용 제한을 시행하는 시점을 정하고 중앙부처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는 방식이다.시행안에는 소비자들이 개인 컵(이하, 에코 컵)을 휴대해 사용하는 것을 장려하기 위한 조치도 포함돼 있다. 음료점·패스트푸드점·편의점·슈퍼마켓 프랜차이즈에서 에코 컵을 이용해 음료를 주문하면 최소 5 대만달러(원화로 200원 상당)를 할인해주도록 정해두었다. 지금도 높게는 4 대만달러까지 할인해주는 곳이 있으나 2 대만달러 수준인 곳도 있어서 소비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어렵다는 것이 대만 환경보호서의 설명이다. 대만 환경보호서는 사회 전반에 플라스틱 저감 분위기가 조성되면 에코 컵 이용 혜택의 적용 범위를 확대해 시행할 방침이다.다회용 컵 도입 확대 방안도 마련했다. 편의점·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의 경우, 2023년 1월부터 업체별로 전체 매장 중 최소 5%의 지점에서 무료로 다회용 컵을 대여해야 하고 2025년까지 이 비율을 30%로 늘릴 방침이다. 다회용 컵 사용 확대와 동시에 일회용 컵 사용량도 줄여나가도록 요구할 계획이다. 다회용컵 도입을 의무화하는 이 제도는 아직 도입하기 전이지만 세븐일레븐, 맥도날드 타이완 등 편의점·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업계에서는 이미 선제적으로 도입해 서비스를 확대해나가고 있다.일회용 컵 규제 확대에 에코 컵 시장은 기대감 상승플라스틱 일회용 컵 규제 확대 방침이 발표되자 대만의 대표적인 디자인 상품 쇼핑몰 Pinkoi에서는 에코 컵 관련 키워드 조회 수가 급증했다. Pinkoi 관계자 A씨는 2022년에 에코 컵 관련 상품 매출이 2배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매출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치기도 했다.이미 이전부터 친환경 소비 의식이 확산되고 있는 만큼 대만에서도 에코 컵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가치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많이 모이는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에서도 에코 컵은 해마다 인기를 모으고 있다. 현지 주요 크라우드펀딩 컨설팅업체인 베커파운더(Backer-Founer)에 따르면, 2021년에 후원자 수가 가장 많았던 10대 펀딩 프로젝트 가운데 에코 컵 상품이 7위와 9위에 이름을 올렸다.후원자 수 1만1,000여 명으로 7위를 차지한 호림(Ho-lim, 다음 그림 ① 참조)은 컵과 일체형으로 만든 빨대 디자인이 특징이다. 버블티에 들어있는 타피오카펄도 빨대를 따로 사용할 필요 없이 먹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PP 소재로 내열 온도가 110℃에 달해 뜨거운 차나 커피도 담을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을 출시해 소비자 개인 취향에 따른 선택의 폭을 넓혔다.1만여 명이 후원한 하이딩인(Hiding in, 그림 ② 참조)은 스테인리스 진공 컵이다. 내부 바닥에 경사가 있어 음료에 들어있는 알맹이를 모아서 먹기에 편하고 지갑·스마트폰 등과 함께 수납할 수 있는 전용 크로스백, 전용 드링크 백을 옵션으로 판매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가벼운 소재의 에코 컵을 찾는 소비자들과 보온·보냉 효과가 있는 진공 컵을 찾는 소비자들의 니즈가 각각 두 상품에 대한 후원으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겠다.빨대 컵인 엘리펀트쿠파(Elephant Cuppa, 그림 ③ 참조)는 2019년, 2020년 연속으로 후원자 수 기준 크라우드펀딩 히트상품 10위권에 올랐다. 내용물이 보이는 투명한 몸체에 불필요한 디자인을 최소화하고 실용성과 무독성을 강조한 제품이다. 실제로 대만 청년들이 이 제품을 가지고 다니는 모습을 자주 접할 수 있다. 외관상으로 기존 제품과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이나 미니멀한 디자인을 추구하고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호응을 이끌어 낸 것으로 보인다.시사점당장 2022년 7월부터 시행하는 스티로폼 컵 사용금지 조치는 시장 내 반발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스티로폼 컵은 일부 지역에서만 사용되는 수준이고, 환경호르몬의 위해성에 대한 인식도 확산해 있다. 대만 환경단체에서는 대만 정부가 스티로폼 컵 사용금지를 예고하며 일회용 플라스틱 컵 사용 제한을 본격화하는 신호를 시장에 보내고 에코 컵 사용 혜택을 늘리기로 한 만큼 일회용 플라스틱 컵 저감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반응을 보였다.대만 정부는 2030년부터 비닐 봉투, 수저/포크/나이프, 컵, 빨대의 플라스틱 일회용품 사용을 전면 금지한다는 계획을 2018년 2월 발표한 바 있다. 이런 정책 목표에 따라 단계적인 사용 제한이 시작되면서 기존에는 시장에서 보기 드물었던 에코 빨대, 에코 드링크 백 출시·판매가 늘었고, 에코백, 에코 컵 등과 함께 주요 친환경 상품으로 여전히 활발하게 유통되고 있다. 디자인 상품 쇼핑몰인 Pinkoi에서는 친환경 상품이 2021년 5대 인기 품목 중 하나를 차지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친환경이 라이프 스타일로 자리 잡았고 각자의 방식대로 친환경을 실천하고 있는 만큼 외형적인 멋과 사용 편리성을 고려한 디자인 상품에도 친환경 요소가 녹아든 것으로 보인다.대만에서도 정부 정책, 소비자 행동 측면에서 플라스틱 일회용품 퇴출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현지 시장 변화에 우리 기업들의 기민한 대응이 요구된다.자료: 대만 행정원 환경보호서, 대만 경제부 통계처, 환경정보센터, 그린피스 타이완, 황야보호협회, Crowd Watch, 자유시보, 경제일보, 중국시보 등 
편집부 2022-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