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현대보테코
K쇼배너

정책과 동향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 정부와 기업 공동 투자로 터키 폴리프로필렌 생산 시설 준공- 포장재 원부자재와 기계설비 수출 유망산업 특성플라스틱은 터키의 근간을 이루는 자동차, 백색가전, 건축 등의 산업에서 자재로 쓰이는 중요한 재료이다. 지난 2020년 터키 내에서 생산된 플라스틱은 954만 톤이다. 생산된 플라스틱 제품의 25%는 수출되며 남은 75%는 자국에서 소비한다. 플라스틱은 터키의 주요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도 중요하기 때문에 터키 기업들은 설비에 지속 투자하고 있다.터키 정부는 발전이 더딘 중간재 제조업을 무역수지 적자의 주원인으로 보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중간재 재조업 발전을 적극 추진 중이다. 플라스틱 산업 및 화학제품은 터키 경상수지 불균형의 원인 중 하나로 매년 60억 달러 내외로 수입이 발생한다. 터키 중소기업진흥청(KOSGEB)은 플라스틱 원재료의 국산화를 위해 플라스틱 및 석유화학 산업을 우선 육성산업으로 선정하여 자금의 제조업 분야 투입을 확대시킬 계획이다.주요 이슈터키 아다나(Adana)주 제이한(Ceyhan) 시에 민관합작 투자 대규모 석유화학 폴리프로필렌 제조 단지가 설립된다. 투자 규모는 터키와 알제리의 합작투자 회사 르네상스 홀딩에서 17억 달러, 터키 국부펀드에서 10억 달러를 투자한다. 현재 공사는 진행 중이며 2025년 말에 완공될 예정이다. 완공되면 해당 시설에서는 연간 45만 톤의 폴리프로필렌 생산이 가능하며 매년 2억5천만 달러의 부가가치를 생산한다. 이 시설을 가동하는 데에 필요한 전기 80%는 자체 수력발전소를 통해 조달하기 때문에 EU 연합의 탄소국경세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로울 것으로 전망된다.한편, 지난해 터키의 포장재, 일회용품과 의료 소모품 생산은 크게 증가했다. 코로나19로 방역과 위생이 중요해지며 상품의 소형화 및 개별 포장의 증가, 일회용품 사용 장려로 인해 포장재와 일회용품 생산이 증가했다. 아울러 터키 내 의료시설에서 코로나19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의료 소모품 사용이 증가하며 마스크, 라텍스 장갑, 주사기 등 의료용 소모품을 제조하는 업체의 생산 물량도 크게 증가했다.특히, ’20년 터키 플라스틱 원자재 수입 통계 분석 결과, HS Code 3920(플라스틱으로 만든 그 밖의 판·시트(sheet)·필름·박(箔)·스트립)) 품목이 가장 많이 수입(약 7.6억 달러가량)되었다. 해당 품목은 터키의 플라스틱 수입량의 42%, 플라스틱 수입액의 27%를 차지했다. 터키의 플라스틱 산업 전체 수입량 중 약 50%가량이 플라스틱 포장재를 만드는 데 사용될 정도로 수입의존도가 높은 산업이다.세계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반도체 쇼티지는 터키에도 타격을 주었다. 자동차 산업은 물론이며 부품업체, 가전, 핸드폰 등등 다수가 영향을 받으며 관련 생산이 감소하자 터키의 플라스틱 산업도 덩달아 영향을 받게 되었다. 이 때문에 포장재 외 다른 산업 분야에서는 플라스틱 사용이 소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급 현황20년 터키의 전체 플라스틱 생산량은 954만 톤이었다. 가장 많이 생산된 제품은 플라스틱 포장재로 400만 톤의 생산량을 기록했다. 이어서 건설 시장의 점진적 회복 덕에 약 2백만 톤의 생산량과 함께 건설용 플라스틱 자재가 2위를 기록했다. 이어서 백색가전용, 자동차용, 섬유, 농업 순이었으며, 자동차용 플라스틱 제품은 반도체 공급 중단 등의 이유로 위축세를 보였다.플라스틱 완제품의 경우 수입보다 수출이 큰 시장이며, 제품 설비에 대한 투자도 활발히 이루어지는 시장이다. 터키의 플라스틱 산업은 ’15~20년 사이 총 6년 동안 플라스틱 가공 기계에 총 8억4천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그중에 40%는 프레스 및 기타 성형기, 22%는 사출기, 17%는 압출기, 13%는 부분품, 5%는 열 성형기, 2%는 취입 성형기가 차지했다.SWOT 분석유망분야터키에는 1,400개 이상의 플라스틱 포장재 생산 업체가 영업 중이며, 포장재의 원부자재 수입이 플라스틱 원부자재 전체 수입량의 50%를 차지하는 만큼 수입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향후에도 수입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식품 포장용 필름 원자재는 수입 수요가 가장 높고 현지 업체들이 가장 많이 찾는 품목 중 하나이다.이와 더불어 터키 플라스틱 성형 기계 시장은 8억 달러가량의 수요가 매년 발생하지만, 국산 제품만으로는 수요에 대응할 수 없어 매년 5억~6억 달러 내외의 수입이 발생한다. 특히 프레스 기계와 사출기에 대한 수요가 높은 편으로, 우리 기업들이 제품 성능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면 가격 경쟁력과 품질로 양분화된 터키 시장에서 중국과 유럽을 제치고 좋은 대체재로 부상할 것이 예상된다.자료: 터키 환경부, 터키 통계청, PAGEV(터키 플라스틱산업협회), PAGÇEV, 터키 제11차 경제개발계획, 2020-2023 터키 신경제계획, Plastik Pazarı, plastik Ambalaj, 이스탄불무역관 자료 종합
편집부 2022-03-06
기사제목
- 2022년 7월부터 관련 조치 속속 시행- 2030년 플라스틱 일회용품 전면 퇴출 목표에 따라 친환경 상품 시장 지속 성장 기대‘버블티의 원조’ 대만, 연간 일회용 컵 20억 개 사용 추산대만은 테이크아웃 음료점이 많은 시장이다. 대만에서도 일회용품의 환경오염 문제는 비단 오늘내일 일이 아니다. 현지 환경단체인 ‘황야보호협회’는 대만의 연간 음료점 매출액에서 음료 하나당 판매가격을 50대만 달러로 잡고 계산할 때 연간 20억 개에 달하는 일회용 컵이 사용되는 것으로 추산했다. 음료점 외에도 편의점, 슈퍼마켓 등과 같은 소매유통업체, 음식점에서도 일회용 컵을 사용하는 만큼 실제 사용량은 이보다 많을 것으로 짐작된다. ‘황야보호협회’는 또 2020년에 대만에서 수거한 해양쓰레기 22만여 개 중 일회용 음료 컵이 1만 개를 넘었고 평균 1km당 수거한 일회용 음료 컵 쓰레기는 185개로 전년보다 20개가 늘었다고 말했다.대만 정부, 플라스틱 일회용 컵 규제 확대 추진일회용 컵 중에서도 특히 플라스틱 컵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만큼 대만 정부는 일회용 플라스틱 컵 사용 제한을 확대하기 위한 시행안을 2021년 말 발표했다.먼저 2022년 7월부터 음료점의 스티로폼 컵 사용을 금지한다. 타이베이에서는 스티로폼 컵을 거의 찾아볼 수 없지만, 스티로폼 컵이 종이컵이나 플라스틱 컵보다 보냉 효과가 좋다는 장점때문에 남부 지역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기타 플라스틱 소재 일회용 컵에 대한 규제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전국적으로 동시에 시행되는 스티로폼 컵 사용금지 조치와 달리 기타 플라스틱 소재 일회용 컵에 대한 규제는 지자체별로 시행할 방침이다.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현지 상황과 형편을 고려해 일회용 플라스틱 컵 사용 제한을 시행하는 시점을 정하고 중앙부처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는 방식이다.시행안에는 소비자들이 개인 컵(이하, 에코 컵)을 휴대해 사용하는 것을 장려하기 위한 조치도 포함돼 있다. 음료점·패스트푸드점·편의점·슈퍼마켓 프랜차이즈에서 에코 컵을 이용해 음료를 주문하면 최소 5 대만달러(원화로 200원 상당)를 할인해주도록 정해두었다. 지금도 높게는 4 대만달러까지 할인해주는 곳이 있으나 2 대만달러 수준인 곳도 있어서 소비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어렵다는 것이 대만 환경보호서의 설명이다. 대만 환경보호서는 사회 전반에 플라스틱 저감 분위기가 조성되면 에코 컵 이용 혜택의 적용 범위를 확대해 시행할 방침이다.다회용 컵 도입 확대 방안도 마련했다. 편의점·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의 경우, 2023년 1월부터 업체별로 전체 매장 중 최소 5%의 지점에서 무료로 다회용 컵을 대여해야 하고 2025년까지 이 비율을 30%로 늘릴 방침이다. 다회용 컵 사용 확대와 동시에 일회용 컵 사용량도 줄여나가도록 요구할 계획이다. 다회용컵 도입을 의무화하는 이 제도는 아직 도입하기 전이지만 세븐일레븐, 맥도날드 타이완 등 편의점·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업계에서는 이미 선제적으로 도입해 서비스를 확대해나가고 있다.일회용 컵 규제 확대에 에코 컵 시장은 기대감 상승플라스틱 일회용 컵 규제 확대 방침이 발표되자 대만의 대표적인 디자인 상품 쇼핑몰 Pinkoi에서는 에코 컵 관련 키워드 조회 수가 급증했다. Pinkoi 관계자 A씨는 2022년에 에코 컵 관련 상품 매출이 2배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매출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치기도 했다.이미 이전부터 친환경 소비 의식이 확산되고 있는 만큼 대만에서도 에코 컵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가치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많이 모이는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에서도 에코 컵은 해마다 인기를 모으고 있다. 현지 주요 크라우드펀딩 컨설팅업체인 베커파운더(Backer-Founer)에 따르면, 2021년에 후원자 수가 가장 많았던 10대 펀딩 프로젝트 가운데 에코 컵 상품이 7위와 9위에 이름을 올렸다.후원자 수 1만1,000여 명으로 7위를 차지한 호림(Ho-lim, 다음 그림 ① 참조)은 컵과 일체형으로 만든 빨대 디자인이 특징이다. 버블티에 들어있는 타피오카펄도 빨대를 따로 사용할 필요 없이 먹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PP 소재로 내열 온도가 110℃에 달해 뜨거운 차나 커피도 담을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을 출시해 소비자 개인 취향에 따른 선택의 폭을 넓혔다.1만여 명이 후원한 하이딩인(Hiding in, 그림 ② 참조)은 스테인리스 진공 컵이다. 내부 바닥에 경사가 있어 음료에 들어있는 알맹이를 모아서 먹기에 편하고 지갑·스마트폰 등과 함께 수납할 수 있는 전용 크로스백, 전용 드링크 백을 옵션으로 판매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가벼운 소재의 에코 컵을 찾는 소비자들과 보온·보냉 효과가 있는 진공 컵을 찾는 소비자들의 니즈가 각각 두 상품에 대한 후원으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겠다.빨대 컵인 엘리펀트쿠파(Elephant Cuppa, 그림 ③ 참조)는 2019년, 2020년 연속으로 후원자 수 기준 크라우드펀딩 히트상품 10위권에 올랐다. 내용물이 보이는 투명한 몸체에 불필요한 디자인을 최소화하고 실용성과 무독성을 강조한 제품이다. 실제로 대만 청년들이 이 제품을 가지고 다니는 모습을 자주 접할 수 있다. 외관상으로 기존 제품과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이나 미니멀한 디자인을 추구하고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호응을 이끌어 낸 것으로 보인다.시사점당장 2022년 7월부터 시행하는 스티로폼 컵 사용금지 조치는 시장 내 반발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스티로폼 컵은 일부 지역에서만 사용되는 수준이고, 환경호르몬의 위해성에 대한 인식도 확산해 있다. 대만 환경단체에서는 대만 정부가 스티로폼 컵 사용금지를 예고하며 일회용 플라스틱 컵 사용 제한을 본격화하는 신호를 시장에 보내고 에코 컵 사용 혜택을 늘리기로 한 만큼 일회용 플라스틱 컵 저감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반응을 보였다.대만 정부는 2030년부터 비닐 봉투, 수저/포크/나이프, 컵, 빨대의 플라스틱 일회용품 사용을 전면 금지한다는 계획을 2018년 2월 발표한 바 있다. 이런 정책 목표에 따라 단계적인 사용 제한이 시작되면서 기존에는 시장에서 보기 드물었던 에코 빨대, 에코 드링크 백 출시·판매가 늘었고, 에코백, 에코 컵 등과 함께 주요 친환경 상품으로 여전히 활발하게 유통되고 있다. 디자인 상품 쇼핑몰인 Pinkoi에서는 친환경 상품이 2021년 5대 인기 품목 중 하나를 차지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친환경이 라이프 스타일로 자리 잡았고 각자의 방식대로 친환경을 실천하고 있는 만큼 외형적인 멋과 사용 편리성을 고려한 디자인 상품에도 친환경 요소가 녹아든 것으로 보인다.대만에서도 정부 정책, 소비자 행동 측면에서 플라스틱 일회용품 퇴출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현지 시장 변화에 우리 기업들의 기민한 대응이 요구된다.자료: 대만 행정원 환경보호서, 대만 경제부 통계처, 환경정보센터, 그린피스 타이완, 황야보호협회, Crowd Watch, 자유시보, 경제일보, 중국시보 등 
편집부 2022-03-06
기사제목
김경유 KIET 시스템산업실  / 선임연구위원|kykim@kiet.re.kr|044-287-3125조철 KIET 시스템산업실  / 선임연구위원|chch@kiet.re.kr|044-287-3046< 요약 >■ 주요국들은 탄소중립을 위해 비중이 높고 관리가 용이한 수송부문을 중심으로 배출 규제를 강화하고 다양한 선언과 정책을 제시우리나라도 기존에 비해 강화된 수송부문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통해 자동차 부문 탄소배출 제로를 실현하는 방안 제시■ 탄소중립 규제 대응을 위해 자동차산업은 제품에서 생산공정까지 산업생태계 전반에 걸쳐 변화가 진행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전기동력차 시장 선점과 환경 규제 대응을 위해 완성차업체들은 전기차를 비롯한 전기동력차 공급 능력 확보에 주력전기동력차 생산이 확대됨에 따라 부품산업은 내연기관차 부품업체를 중심으로 사업전환 및 구조조정이 요구되며, 탄소중립 공급망 편입을 위한 생산공정 및 에너지 효율화 등 가치사슬 전반의 변화 대응 필요■ 전환기 탄소중립 규제는 우리 산업의 경쟁력과 우리 업체들의 글로벌 시장에서의 전략 등도 고려하여 추진 필요우리 자동차산업은 해외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탄소중립 전략도 세계적인 추세와 보조를 맞추는 것과 동시에 산업경쟁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적절한 전략 마련 중요■ 탄소중립 연착륙을 통한 전기동력차 산업생태계 조성 촉진 방안 모색기존 자동차산업 생태계가 전기동력차로 안정적으로 전환되기 위해 친 환경차 공급망 재구성 및 확장을 위한 자금 조달과 환경친화적 제품 및 생산기술 투자 지원 필요자동차 생산구조 변화에 따른 자동차부품 산업의 사업전환 방안 모색과 함께 다양한 기술적 가능성을 통한 대응 모색 필요1. 탄소중립과 자동차산업 배출 규제온실가스는 산업, 건물, 수송 등에서 주로 배출되며 산업부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수송 부문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지 않지만, 다른 부문에 비해 배출원 관리가 용이하여 주요국은 수송부문 특히 자동차에 대한 배출 규제를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국가별로 차이가 존재하는데, 역내 국제 운수도 포함하는 EU의 경우 총배출량의 22%가 수송부문이며, 미국은 29%에 달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송부문이 13.9%로, 유럽과 미국에 비해 낮은 편으로 이는 산업부문의 비중이 높은 것에서 기인한다.이에 따라 주요국들은 탄소중립을 위해 수송부문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선언과 정책들을 제시하고 있다.나라마다 탄소중립을 위한 조치가 차별적이며, 주로 북유럽 국가들이 100% 탄소 무배출 차량 완전 보급 등과 같은 강력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반면 주요 자동차 생산 및 소비국으로서 영향력이 큰 미국, EU, 중국, 일본은 자동차 탄소중립과 관련하여 국가별로 차별적인 특색을 보이고 있다.* 미국, EU, 일본, 중국은 글로벌 자동차산업에 생산 72.2%, 판매 73.8%를 차지(2020년 기준)최근 자동차산업 탄소중립은 단순히 주행단계뿐만 아니라 자동차 전주기(LCA, Life Cycle Assessment)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양을 관리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운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뿐만 아니라 원료-생산공정-부품생산 등의 제조과정과 자동차 운행을 위한 에너지 생산, 자동차 폐기 및 재활용 과정까지 관리가 요구된다. 또한 소재-공정-재활용 등 전주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탄소 저감 최적화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등 탄소중립에 대한 영향 및 대응 범위가 확대되는 추세다.2. 우리나라 자동차 부문 온실가스 배출 현황자동차산업은 생산, 사용, 폐기까지 전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크게 생산과정과 운행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구분된다.자동차산업 수송(운행)부문과 산업(생산)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은 총 1억 140만 톤으로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의 14.3%를 차지(2017년 기준)한다. 자동차 관련 온실가스 배출량 중 92.9%를 운행 부문이 차지하고 있으며, 여타 제조업과는 달리 생산과정보다 이용과정에서의 배출이 절대적으로 많은 특징을 지녔다.수송부문 전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9,830만 톤인데, 이 중 약 95.9%를 차지하는 도로수송 배출량 9,420만 톤을 자동차 운행에 의해 배출된 것으로 간주한다.한편 자동차 생산공정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720만 톤으로 부품생산에서 480만 톤, 완성차 생산에서 230만 톤 배출로 나타났다. 부품생산은 원부자재 투입과 열처리, 표면처리, 가공 공정을 위한 에너지 소비에 의해 주로 발생한는 것으로 나타났다.자동차 운행단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3년 이후 증가율이 완만해진 상태이나 큰 폭으로 개선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친환경차 판매 증가와 기술 향상에도 자동차 CO2 배출량 개선이 부진한 것은 SUV 및 대형 승용차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며, 편의 및 안전 장비 증가, 하이브리드 시스템, 후처리 장치 등 차량 평균 중량이 상승하고 있는 점도 요인 중 하나이다.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2019년 차종별 온실가스 배출량은 승용차가 52.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화물차 34.5%, 승합차 7.5%, 특수차 5.0% 순으로 나타났다.자동차 생산단계의 경우 조립공정 특성상 직접배출보다는 전력에 의한 간접배출이 대부분을 차지한다.직접배출의 경우 완성차 및 부품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설비가 대부분으로 도장공정의 공조기 및 건조설비, 스팀 생산을 위한 보일러, 생산 현장 공조를 위한 히터, 용해 및 건조를 위한 노(爐) 등이 대표적 설비다.완성차 제조공정의 경우 도장, 소재, 엔진 및 변속기 제조 등에서 비교적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것으로 파악됐으며, 부품업체 상당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고,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만 온실가스 인벤토리가 구축되어 있다.3. 주요국의 자동차 부문 탄소중립 대응과 시사점미국: 지난 8월 5일 바이든 대통령은 2030년 판매되는 자동차의 50%를 ZEV(Zero Emission Vehicle)1)로 한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인프라 구축, 에너지 효율 및 배출기준 개선 등에 대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목표 달성을 위해 환경국(EPA)과 고속도로안전국(NHTSA)은 트럼프 정부 당시 완화되었던 연비 및 배출기준을 다시 강화하는 방안을 도입하고 빠른 시일 내 시행할 예정이다.1) 전기차(B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 수소전기차(FCEV)를 포함.바이든 행정부는 현재 4만 1,000개 전기차 충전소에서 50만 개 충전소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150억 달러를 국회에 요구했다.향후 10년간 전기차 충전기는 450만 개가 구축되어야 하고 이에 소요되는 비용은 200억~3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미국이 기존 자동차산업에서 경쟁력을 잃고 있는 상황 속에서 전기자동차로의 빠른 전환에 대해 미국 자동차 업계와 노조(UAW)는 대체적으로 환영한다는 입장이다.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 외에 기존 미국 자동차 3사는 2030년 판매되는 자동차 중 전기차 비중을 40~50%까지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2021년 상반기 미국 자동차 시장의 전기차 점유율은 3.1%로서 EU나 중국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행정명령이 의무사항은 아니기 때문에 추가적인 강력한 규제나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2030년 50% 목표 달성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되고 있다.EU: 2030년에 1990년 대비 55%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는 “핏포 55(Fit for 55)” 법안을 유럽의회에 제출했다.이 법안은 2019년 제정된 2030년 자동차 CO2 배출기준(승용차 59g/km)을 개정하도록 촉구하고, 2035년부터 판매되는 승용차에 대해서는 100% 탄소를 감축하도록 법 개정을 제안하고 있다. 기술개발 등의 기간을 고려하여 2025년까지는 현행 계획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내연기관차 경쟁력이 높은 독일 등 유럽 완성차업체들은 단기적으로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자동차로 전환되는 것에 우려를 표시하고, 소비자 후생이나 고용, 부품업계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비교적 전기동력차 대응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폭스바겐이나 볼보는 전기차 생산에 적극적이지만, 나머지 유럽 완성차업체들은 대응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강력한 규제 조치로 유럽 주요국들의 전기차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판매 비중은 이미 16%에 달할 정도로 높은 수준이다.일본: 2021년 1월 스가 총리가 시정방침 연설에서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하면서 자동차 부문은 2035년까지 신차판매에서 전기동력차 비중을 100%로 실현하겠다고 밝혔다.일본의 전기동력차는 전기자동차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는 물론 하이브리드차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2050년에도 내연기관 자동차를 유지하겠다는 의지로 보이며, 하이브리드차를 포함한 내연기관 차량에 대해서는 차세대연료(이퓨얼, e-fuel2))를 통해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구상이다.일본도 탄소중립 계획에 따라 연비 및 배출가스 기준을 조정하겠지만, 현재의 계획된 규제로는 2030년의 경우, 연비 기준이 25.4km/l로 우리나라(33.1km/l)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일본 자동차 업계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있어 일본의 특수성을 고려하고, 전기차와 엔진 기술을 혼용하는 복합 기술을 채택하면서 이퓨얼(e-fuel)과 같은 탄소중립 연료의 기술혁신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은 전체 자동차 판매에서 하이브리드차는 39.5%에 달하는 반면, 전기자동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의 비중은 1.5%에 불과한 실정(2021년 상반기 기준)이다.중국: 14차 5개년 계획 등을 통해 2060년 탄소중립을 선언하였지만, 아직까지 이에 따른 자동차 부문의 계획 변화 움직임은 나오지 않고 있다.2021년 5월 중국 공업신식화부가 2035년까지 전면 전기동력화를 실시하는 계획을 발표하였으나 이는 민간차량은 제외한 공공 차량에 해당하며, 2020년 10월 공업신식화부가 발표한 “에너지절약 및 신에너지 자동차 기술로드맵 2.0”에 따르면, 전체 자동차 판매에서 친환경 자동차 비중이 2025년 20%, 2030년 40%, 2035년 50%3)에 도달하는 목표를 제시했다. 장기간에 걸친 전기차 보급 확대 등으로 중국 내 전기자동차 시장점유율은 10.1%로 높은 수준이다.2) 신재생에너지 전기를 이용하여 분해한 수소를 공기 중 탄소와 결합하여 만든 연료로 공기 중 탄소를 포집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순 탄소배출은 0이 되어 탄소중립이 가능.3) 승용차의 경우 나머지 50%도 하이브리드차로 판매하는 목표 제시.주요국들은 자동차 부문에서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 중이나, 경로나 방식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구체적인 규제 내용 개정이나 실행을 위한 절차 등은 아직 진행 중이다.유럽은 핏포 55 법안이 유럽의회에 제출되었지만, 회원국의 동의 절차 등이 남아 있고, 실질적으로 탄소배출을 제한하는 온실가스 배출 규제치 개정은 논의 중이다. 미국도 바이든 대통령이 제시한 2030년 50% ZEV 판매 목표는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후속 법안 개정 등이 필요한 상황이다. 일본은 탄소중립이라는 당위론적 측면에서 접근하면서 구체적인 배출량 규제에 대한 논의는 미진한 상황이며, 중국도 과거 선도적으로 친환경 자동차 보급 목표를 제시했던 것에 비해 탄소중립 선언 이후에는 특별한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이들 국가는 2050년 탄소중립이나 2030년 감축 목표와 배출규제치 설정을 언급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차량 구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다양한 방안을 모색중이다.EU는 도달방식을 특정 기술에 제약되지 않고 기술 중립적이며, 다양한 기술을 통해 탄소배출 제로 차량을 실현할 수 있다고 강조하여 내연기관 자동차의 존속을 배제하지 않았다. 다만, 현재 탄소배출 제로 차량으로는 배터리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와 수소연료 자동차 등을 설정하고 있어 정부 차원에서는 이들 차량이 순조롭게 보급될 수 있는 인프라 등을 조성하는 데 주력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일본도 자국 실정을 반영하여 복합 기술이라는 차원에서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중국은 2035년 전동화를 언급했지만, 최종적으로 어떤 선택을 할지 불분명한 상황이다. 미국은 대통령이 직접적으로 2030년 무배출 차량 50% 판매를 행정명령으로 발표하여 다른 국가와 다소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4. 우리나라 자동차 부문 탄소중립 논의 진행 상황우리 정부도 2021년 8월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4) 초안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량을 발표했다.수송부문은 1, 2안에서 2018년 9,810만 톤 대비 88.6% 감축하여 2050년 1,120만 톤 수준에 달하는 목표와 97.1% 감축하여 280만 톤에 달하는 3안의 목표를 제시했다. 산업부문5)의 경우 1, 2, 3안 모두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8년 2억 6,050만 톤에서 2050년 5,310만 톤으로, 2018년 대비 20.4% 수준으로 감축하는 목표를 제시했다.4) 화석연료 자원의 잔류에 따라 1~3안으로 나누어 세 가지 목표치를 제시하고 있으며, 수송부문에서 1, 2안은 동일한 목표치를 제시하고, 산업부문은 1~3안을 동일한 목표치로 제시함.5) 자동차산업은 산업부문에서 기계, 조선, 전기·전자, 섬유 등의 산업과 함께 기타산업에 포함되어 있으며 개별산업의 감축 목표치가 제시되지는 않음.CO2 배출 감축 목표가 상향되면서 과거에 비해 높은 수준의 온실가스 감축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1, 2안은 전기차, 수소차 보급률을 76%까지 올리고, 잔여 내연기관차도 탄소중립 대체 연료(e-fuel)로 전환하는 목표를 제시했으며, 3안은 차량의 97%를 전기차와 수소차로 전환하며 공유 차량을 통해 승용차 통행량도 감축하는 목표를 제시했다.또한 생산과정에서 설비 경량화, 열 손실 감소 기술, 노후 설비 교체 등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고 친환경 연·원료 전환 등의 온실가스 감축 방안을 제시했다.자동차산업에서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2030년 감축 목표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2021년 2월 발표된 4차 친환경차 기본계획에 비해 강화될 전망이다.제4차 친환경 자동차 기본계획(2021~2025)에서는 2030년 친환경차 누적 보급 목표가 전체 보유 차량의 30%인 785만 대(전기차 300만 대, 수소차 85만 대, 하이브리드차 400만 대)로 나타났다.친환경차 신차판매는 전체 판매의 83%에 달하는 150만 대(전기차 44만 대, 수소차 16만 대, 하이브리드차 90만 대)를 목표로 하여 중국이나 일본이 목표로 하는 2035년 판매 차량의 전동화 수치에 근접하는 수준을 보인다.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2030년 감축 목표를 상향해야 하지만, 기술개발과 시장 변화 속도 등을 고려하면 대응할 수 있는 시간이 적어 단기간 높은 수준의 목표 상향은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낮다는 문제가 존재한다.우리나라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친환경 자동차 보급에 주안점을 두지만 이에 부합하는 탄소배출 규제 개정이 필요하다. 2021년부터 시행되는 자동차 온실가스 및 연비규제는 이미 2030년까지 규제 기준을 70g/km로 제시하고 있는데, EU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이 기준 제정 시에도 업계가 애로를 호소하여 보다 높은 수준의 규제 조정은 업계에 큰 애로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5. 탄소중립이 자동차산업에 미치는 영향탄소중립으로 온실가스 배출 목표가 상향되면서 자동차산업 구조와 경쟁 요소 등이 더욱 빠르게 재편되는 등 자동차산업에 미칠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전기동력차 시장 선점과 환경 규제 대응을 위해 완성차업체들은 전기차를 비롯한 전기동력차 공급 능력 확보에 주력할 것이며, 차량의 주요 경쟁요인이 엔진 및 변속기 성능에 기반한 추진력, 운전성능 등에서 차량 연비, 경량화 등 효율성으로 변화될 전망이다.글로벌 자동차산업은 탄소중립 논의 이전부터 기후변화 문제 대응을 위해 친환경차 시장 확대노력이 지속될 전망이다.배터리 기술 발전으로 충전 시간, 일 충전 주행거리 등이 증가하고, 대규모 배터리 생산공장 건설로 공급이 증가될 전망이다. 또한 파괴적 혁신 기술을 보유하거나 전기차 관련 비즈니스 모델을 지닌 테슬라 등 신규업체 진입과 기존 완성차업체들의 전기차 모델 수 증가로 시장 활성화가 예상된다.기존 내연기관 중심의 산업구조에서 전기차, 수소차 등 전기동력차 산업구조로 변화가 진행 중이다동력장치 변화로 인해 엔진, 변속기는 물론 흡배기, 냉각계, 엔진 관련 전장부품 수요는 감소하고 배터리, 모터, 인버터, 전력용 반도체, 스택, 연료전지 등의 전기·전자부품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기·전자, IT, SW 업체들이 자동차산업에 새롭게 진입할 전망이다.전기동력차 수요 확대 전망에 따라 관련 주요 부품의 연구개발과 실용화가 활발히 진행되며, 에너지 저장관리시스템, 전기구동 시스템, 전력 변환 시스템 등이 핵심기술로 주목되고 있다.제품 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감축 노력도 요구되면서 공정 효율이나 에너지 효율 제고를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그러나 자동차산업은 조립공정 특성상 직접배출보다는 전력에 의한 간접배출이 대부분으로 온실가스 저감 잠재력이 낮은 편이다. 따라서 고효율 에너지 생산설비 교체를 위한 설비투자나 도장, 주조, 프레스 등의 공정 효율화를 위한 기술개발 투자 등 대규모의 지속적인 투자 비용이 발생한다. 철강, 플라스틱 등 온실가스 다 배출 산업에서 감축 비용을 제품가격에 전가할 경우 원자재 조달 비용 상승 압박이 우려된다.6. 우리 자동차 부문 탄소중립 규제 도입 방향우리 자동차산업은 수출 및 해외 생산 등 해외의존도가 높은 편으로 탄소중립 전략도 세계적인 추세와 보조를 맞추는 것과 함께 산업경쟁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적절한 전략 마련이 중요하다.글로벌 친환경 자동차 시장에 대한 전망은 기술 발전 속도, 기업 공급 전략 등 예측이 어려운 변수가 많아 전망 기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정확하게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다. 또한 각국 정부별로 탄소중립 목표, 배출 규제 등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변화 가능성이 매우 높다.우리 자동차산업은 해외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세계 시장 전망과 주요 교역국의 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며, 다양한 감축 수단과 기술을 고려하여 특정 수단과 기술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은 회피해야 한다.탄소중립 방법에 관한 벤치마크 사례로서, 탄소중립에서 가장 앞서 나가는 국가가 아닌 우리와 실정이 유사한 국가 선정 필요하다.자동차 탄소중립은 에너지 구조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국가마다 에너지 구조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EU나 미국보다 일본이 더 적합하다. 일본은 제조업 비중과 석유 의존도가 높은 현실적 한계를 인정하고 실현 가능한 대응 방안으로 탄소 저감 및 자원화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신재생에너지 생산비용이 매우 높고, 자체 신재생에너지로 수요 충족이 어려운 현실을 반영하여 자동차 온실가스 배출을 LCA 관점에서 전기자동차가 크게 친환경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논리가 존재한다. 특히, 수출 중심의 생산구조 등 자동차산업의 구조도 우리와 일본이 유사하다.국내 친환경차 생산능력을 넘어서는 보급 목표 상향은 수입 증가로 이어져 전기동력차 생태계구축에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어 전반적인 산업경쟁력을 고려한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수입 전기차의 국내 전기차 시장점유율이 32.9%(2020년 기준)로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의 수입차 점유율(15.3%)보다 높은 편으로 전기차 보급 목표 상향 시 전기동력차 수입이 단기간에 증가할 수 있다.조립산업 특성상 공급망 구축과 관리가 중요하여 단기간에 생산능력 확대가 어려운 상황에서 내수 물량 증가 대응을 위해 국내 공급에 주력하고 감소한 수출물량을 현지생산으로 대체할 경우 장기적으로 국내의 안정적인 전기차 생산 기반 구축에도 부정적이다.7. 탄소중립에 따른 부품산업의 대응 방향부품산업의 경우 탄소중립에 따른 자동차산업 구조변화 과정에서 전기동력차 관련 부품으로의 사업 재편도 요구되고 있다.전기동력차로 전환되면서 엔진 부품, 동력 전달 부품, 엔진 관련 전기장치 등의 내연기관 부품 수요는 크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이다. 엔진, 변속기, 클러치 등 파워트레인 관련 업체들은 향후 사업 축소 및 수익성 악화 가능성이 높으며, 업체 간 통폐합 진행이 필요하다. 산업부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부품업체 중 46.8%가 이들 부품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어 전기동력화 진전으로 사업 개편 등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부품의 경우 전기차로의 전환에 대한 대응과 함께 유럽,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 논의되고 있는 탄소국경세6)나 RE100(Re- newable Energy 100)7) 등도 우리 부품업체의 경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주요국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탄소국경세나 RE100 등은 새로운 관세 장벽으로 작용하여 수출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중장기적 관점에서 대응이 필요하다. 해외 OEM 납품 등 탄소중립 글로벌 공급망 편입을 위해 부품 생산과정에서의 제조 에너지원 탈탄소화, 제조공정 효율화 등의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에너지원을 교체하거나 생산 효율성이 일정 수준에 다다른 상황에서의 개선은 많은 자본과 장기간의 기술개발이 필요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면밀한 대처가 필요하다.수송부문 탄소중립에 따라 내연기관차 수요가 감소하여 매출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전기차 전환에 따른 제품 연구개발 투자와 생산 부문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생산설비 투자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이다.내연기관 부품의 경우 2030년을 기점으로 수요 급감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들 부품 생산공정이나 에너지 사용 효율화 연구개발과 시설 투자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당 기간 정부 정책 지원에 의존한 성장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6) 기후변화 정책을 시행하지 않는 국가들로 산업과 투자가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유럽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국가의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려는 방안.7) 2050년까지 생산에 필요한 전력을 100%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전환하자는 캠페인이나 글로벌 대기업을 중심으로 협력업체에도 동참을 요구.8. 탄소중립 연착륙을 위한 새로운 자동차산업 생태계 조성 방안 모색자동차 생산구조 변화에 따른 자동차부품 산업의 사업전환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전동화가 급격하게 진행될 경우 내연기관 관련 부품업체가 매출 감소에 따른 자금난으로 도산하거나 사업을 포기하여 자동차산업 생태계의 단기간 붕괴 상황 도래가 우려된다. 전동화로 사업전환이 시급한 엔진용 부품업체와 동력 전달 부품업체들의 경우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이 각각 3.0%와 2.0%로, 독자적으로 탄소중립을 위한 전동화 부품 개발이나 친환경 설비투자는 어려운 상황이다.내연기관 부품 수요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내연기관 부품업체들의 인수합병이나 사업전환 등 구조조정을 유도하여 축소된 내연기관 부품 시장에서 일정 수준의 이익률을 유지시켜 급격한 산업생태계 붕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기존 자동차산업 생태계가 전기동력차로 안정적으로 전환되기 위해 친환경차 공급망 재구성 및 확장을 위한 자금 조달과 환경친화적 제품 및 생산기술 투자 지원이 필요하다.최근 자동차 스마트화 진전으로 반도체 수급난에 따른 생산 차질 사례와 같이 안정적 공급망 구축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전기차 생산 차질이 우려된다. 급격한 환경 규제 강화가 부품업체 영업실적 악화로 이어져 친환경차 투자에 위축을 가져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이 불확실해지는 악순환 방지가 필요하다.자동차산업에서 지속적인 일자리를 창출하고 생산 기반을 확충하여 궁극적으로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선순환 구조 구축을 위한 대규모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이퓨얼(e-fuel) 등 탄소중립 연료와 같은 다양한 기술적 가능성을 통한 대응 모색이 필요하다. 이퓨얼은 메탄, 가솔린, 디젤 등의 형태로 기존 내연기관 차량에 사용 가능하며 독일, 일본 등 내연기관차 경쟁우위를 지닌 국가에서는 이퓨얼을 탄소중립의 수단 중 하나로 제시하고 있다.완성차업체들도 이퓨얼의 대체 연료로서의 가능성 확인을 위한 R&D와 기존 차량 적용을 위한 R&D를 추진 중이다. 국내에서 신재생에너지 생산비용이 높은 점을 고려할 때 생산비용이 낮은 해외에서 신재생 에너지를 개발하여 이퓨얼을 생산하고, 이를 수입하여 활용하면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다.자료제공: 산업연구원
편집부 2022-03-05
기사제목
- 한국에서의 수입 비율이 높은 제품- 자동차 업계에 좌우되는 일본금형업계, 의료 분야 등 새로운 분야 개척 필요상품 기본정보- 금속 주조 형틀(Molds For Rubber Or Plastics, Injection Or Compression Types)한국제품의 시장 점유율이 2위이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수출이 기대되는 제품이다.일본 금형 전체시장 동향금형 생산액일본의 금형 전체 생산액은 2019년에 약 1조3,602억 엔을 기록. 사업소 수는 6,700개소를 기록하며, 약 85,700명이 종사하고 있다. 금형산업이 제일 호황이었던 1991년 대비 생산액은 32%, 사업소 수는 48%, 종사자 수는 29% 감소하였다. 글로벌 규모로 살펴보면, 일본의 금형 생산액은 중국, 미국에 이어 3위이며, 글로벌 시장의 약 14.8%를 차지하며, 한국은 6.9%를 차지한다. 일본 금형산업의 특징 중의 하나가 종사자가 9명 이하의 소규모 제조소가 전체 사업소의 약 70%를 차지한다는 점이다. 10명 이상의 사업소는 계속 유지되고 있으나, 9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소는 계속해서 감소 경향이다.일본의 금형산업은 내수 감소에 따른 일본 국내 제조사 간의 가격경쟁, 서플라이체인 재편에 의한 금형의 현지 조달(해외 현지 조달) 가속화, 생산인구 감소로 인한 금형 생산 인원의 감소, 이 3가지 환경변화로 단순히 수주 생산만 하는 기업은 도태되어 갈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자동차 시장 외에도 수요를 발굴할 것이 기업 생존의 키포인트가 되고 있다.2020년의 수요 업계별 생산금액 구성비를 살펴보면, 자동차용이 73.7%로 제일 크며, 가전제품 등(4.1%), 완구·생활잡화(3.8%)가 이어지고 있다. 수출입을 살펴보면, 2020년의 금형 전체 수입액은 1,144억 엔(전년대비 –18.5%)이며, 중국이 45%, 한국이 35%를 차지한다. 수출은 2,272억 엔(전년대비 –21.8%)이며, 미국(점유율 28%), 중국(20%), 태국(13%) 순으로 수출이 많았다.플라스틱 금형 시장2019년의 플라스틱 금형 생산액은 4,108억 엔으로, 금형 전체 생산액의 29.7%를 차지하며, 지역별 생산액은 아이치현(13.9%), 도야마현(8.7%), 오사카부(8.4%), 시즈오카현(7.1%), 나가노현(6.9%) 순으로 큰 상황이다. 최근 3년간 수입 규모(한국 포함) 및 동향일본 수입시장, 2020년은 6억 3,912만 달러의 수입 규모HS Code 8480.71의 2020년 전체 수입액은 전년대비 약 15.4% 감소한 약 6억3,912만 달러 규모였으며, 이 중 약 45.6%를 중국 수입품이 차지하였다. 그 외에 한국, 태국, 베트남, 대만 순으로 수입액이 많다. 대한 수입액을 살펴보면, 2020년에는 전년대비 약 21.2% 감소한 약 2억5,204만 달러 수준이 수입되었다.  2021년 증가세2021년 1월부터 10월까지의 전체 수입액은 전년동기비 1.75% 증가한 5억4,809만 달러 규모를 기록하였는데, 한국에서는 전년동기비 약 5.7% 감소한 약 2억207만 달러가 수입되었다.경쟁 기업 /플라스틱 금형 생산 및 수입상사 /유통 구조금형 제작사가 해외에서 수입할 경우도 적지 않으며, 전문 수입 상사가 수입하는 경우도 있다.복합기나 카메라, 의료기기 메이커로 인지되어 있는 Canon 경우, 그룹사에 금형 전문 제작사가 있으며, 그룹사를 통해 공급을 받고 있다.바이어 인터뷰KOTRA 오사카무역관에서 과거에 한국제품을 검토 경험이 있는 일본 금형 제작사 A사에 한국제품의 경쟁력이나 일본 시장 상황을 인터뷰했다. 관세율, 수입 규제 인증WTO 협정 관세율은 무관세이며, 통관 시 소비세 10%가 부가된다. 특별한 수입 규제는 없다.시사점일본 시장은 세계 3위의 생산액을 자랑하는 국가이나 내수 부진으로 M&A나 영세기업의 도산 등 업계 재편이 진행되고 있다. 일본의 금형 업계는 생산액의 74%가 자동차 관련이며 자동차 생산을 주시할 수밖에 없으나 단순한 수주 생산으로는 살아남기 어렵다고 판단한 기업은 의료 분야 등 새로운 분야에 진출을 도모하는 분위기다. 해외 진출기업의 증가와 함께 해외에서의 유지보수 수요, 해외 조달도 추진되고 있다. 앞으로도 해외 조달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기업에서도 일본기업의 해외 진출 동향을 관심 있게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자료제공 : KOTRA
편집부 2022-02-09
기사제목
- 플라스틱 산업 터키 수출 10대 품목, ’20년 100억 달러 수출 기록- 산업 육성 위해 터키 정부 적극 지원시장 동향터키의 플라스틱 산업은 터키의 주요 산업 중 하나로, ’15~’20년 사이 연평균 2.1%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20년 기준 100억 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20년 터키의 플라스틱(HS Code 390120 산업용 플라스틱) 생산량은 954만 톤이었으며, 이 중에 25%(238만 톤)는 수출되었다. 내수시장에는 총 774만 톤이 판매되었다.제조업이 발달한 터키는 건설, 기계, 전기·전자, 화학, 섬유, 자동차, 가전 등 다양한 곳에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있는데, 터키 플라스틱협회에 따르면, 내수 판매량 중 4만 톤은 포장재, 1.9만 톤은 건축자재 생산에 사용되었다. 한편, 터키 정부는 발전이 더딘 중간재 제조업을 무역수지 적자의 주원인으로 보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중간재 제조업 발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플라스틱 산업 역시 이 중 하나로, 터키 정부는 플라스틱 원재료의 국산화를 위해 우선 육성산업으로 선정했다.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은 지난 ’20년 상반기 아다나주 제이한(Ceyhan) 지역에 대규모 석유화학 폴리프로필렌 제조 단지 설립 계획을 발표했다. 현재 프로젝트 기획 단계에 있으며, 투자 규모는 12억 달러로 완공되면 연간 45만 톤의 폴리프로필렌이 생산될 예정이다. 2021년 10월에는 터키의 르네상스 홀딩(Rönesans Holding)이 추가로 17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완공 시기는 2025년이다. 수입 동향터키는 총 100여 개 국가에서 산업용 플라스틱을 수입하고 있다. ’20년 수입 통계 기준, 터키의 산업용 플라스틱 수입 상위 10개국은 각각 수입량의 71%, 수입액의 75%를 차지할 만큼 수입 시장 내 점유율이 높다.2020년 터키의 산업용 플라스틱 수입 가격은 평균 4.86$/kg, 수출 가격은 2.30$/kg으로 수입 가격은 5.9% 상승한 반면, 수출 단가는 7.3% 하락했다.경쟁 동향이스탄불 상공회의소는 매년 매출액 기준으로 500대 기업을 선정한다. 그중 플라스틱 제조업체는 약 50여 개가 포함되어 있으며, 매출액순으로 상위 10개 기업은 다음 표와 같다.유통 구조산업용 플라스틱은 대부분 대형 유통업체가 해외로부터 원부자재를 수입한 후 터키 국내에 판매하는 형식이다. 플라스틱의 원자재를 생산할 수 있는 로컬기업이 PETKIM 외에 많지 않은 편이어서 국산 원자재는 국내 수요를 모두 대응하기에 부족하며, 그 외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기업들은 중소 규모로 직접 대량의 원료를 수입 및 보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수입 규제 및 관세터키 정부는 플라스류 제품에 6.3~6.5%의 수입 관세, 10~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따라서, 터키와 관세동맹 및 FTA를 체결하지 않은 국가 원산 제품의 경우 16.3~31.5%의 수입 관세를 내야 한다. 다만, 한국의 경우 2013년 발효된 한-터키 FTA 덕분에 수입 관세와 추가 관세가 모두 0% 적용되고 있다.그러나, 수입 관세와 추가 관세 외에도 터키 정부는 대부분의 플라스틱 제품에 수입 감시제를 적용하고 있다. 수입 감시제란, 터키 정부가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수입산 제품에 최저 가격을 정하고 기준 가격 미만으로 수입할 시에는 정부의 특별 허가를 받아야 하는 제도이다. 또한, 수입되더라도 해당 제품의 가격은 지속 모니터링되며 적정 시장가보다 현저히 낮아지면 터키 정부가 개입할 수 있다.이 때문에 터키 내 플라스틱 원부자재 수입 기업들은 협회를 통해 터키 무역부에 애로사항을 호소하고 있다. 터키 플라스틱협회 협회장 Y.E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세계적으로 에틸렌 공급 차질에 이어 지난해부터 이어져 온 물류비용 상승 등으로 인해 최근 터키 플라스틱 원자재 가격이 적게는 23%, 많게는 137%까지 상승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입 관세, 수입 감시제 등으로 제품의 단가는 더욱 증가하여 생산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많다고 전했다.시사점터키 플라스틱 산업은 원부자재의 수입 의존도가 높은 편으로, 해외 시장의 변수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 때문에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더라도 포장, 건설, 가전, 자동차 등 다수의 산업과 연계되어 있어 지속 수입 수요가 발생한다.터키가 플라스틱 제품에 대해 높은 수입 관세만 적용한다면, 중국이나 베트남의 제품과 비교했을 때 한국산 제품은 FTA 관세 우대혜택을 받더라도 가격 경쟁력에 뒤처졌을 수 있다. 그러나 터키 정부가 시행 중인 수입 감시제로 인해 최저 가격 기준이 모든 국가에 동일하게 적용되고 이때, 한국은 한-터키 FTA 관세 우대혜택 덕분에 수입 관세를 감면받아 가격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하지만, 터키 정부가 플라스틱 원부자재 국산화를 장려하는 한편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각종 규제를 시행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장기적으로는 현지 진출도 고려해볼 수 있다. 터키 정부는 각종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외국인 투자 유치에 힘쓰고 있다. 일례로 터키 중소기업진흥청(KOSGEB)은 제조업 분야에 발전 자금 투입을 확대하여 국내에서 활동하는 기업들의 R&D 활동을 돕겠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터키 정부가 제공하는 대부분의 투자 인센티브는 세금 감면이 주를 이루지만, R&D 분야에 한해서 연구자금 지원 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터키에 꾸준히 수출 중이거나, 시장에 관심 있는 기업이라면 단독 혹은 현지 기업과 합작 투자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자료: 터키 통계청, ITC Trade Statistics, Euromonitor, 이스탄불 상공회의소, Tariff-tr, haberler.com, Hurriyet, Dunya, PAGEV, PAGDER, PLASFED, 이스탄불무역관 자료 종합
편집부 2022-02-07
기사제목
- 정부의 화학산업 육성정책, 넓은 내수시장 등을 바탕으로 성장세 유지- 특수화학, 유기화학, 폴리머, 그린 케미칼 등 품목에 대한 수요 증가세인도의 화학산업은 8만여 개 이상의 상용 제품을 포괄하고 있으며, 크게 벌크화학, 특수화학, 농약, 석유화학, 고분자, 비료 등으로 구분된다. 인도는 세계 석유화학 원료 공급원인 중동과 인접해 있어 규모의 경제를 이루고 있으며, 2025년까지 3,400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전 세계 염료 및 염료 중간재 생산의 약 16%를 차지하고 있으며, 몇 가지 유해 화학물질을 제외하고는 허가가 필요 없는 등 석유화학 분야 진출에 우호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산업 특성인도 정부는 구자라트, 안드라프라데시, 오디샤 및 타밀나두주에 4개의 석유화학 투자지역 PCPIR(Petroleum, Chemicals, Petrochemical Investment Regions)를 승인하였으며, 인도 석유화학 투자지역(PCPIR)은 공동 인프라 및 지원 서비스를 통해 네트워킹과 효율성 제고를 꾀하도록 계획되었다. 또한 인도의 화학진흥개발계획(Chemical Promotion Development scheme)은 세미나, 전시회, 연구 및 컨설팅 등을 통해 재정적 지원을 확대하고, 화학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분석하여 인도의 석유화학 분야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인도는 유해 화학물질의 제조, 보관 및 수입에 관한 규제(Manufacture, Storage and Import of Hazardous Chemical Rules, 1989)를 제정하여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화학물질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고 있다. 정부는 인도 내 수입, 제조, 보관되는 화학제품을 3종으로 분류하여 관리 중인데 독성화학물질, 가연성 가스 및 액체 등과 같은 1종을 수입할 경우, 수입일 기준으로 30일 이내에 정부에 관련 서류 제출 등 수입절차를 완료해야 한다. 또한 1종 제품은 사고위험 물질로 규정되어 수입 시 화학산업부 및 산림환경부 승인과 안전 검사를 통과해야 한다.주요 이슈인도 화학산업의 성장은 산업 통합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제고, 중국의 경제성장에 따른 화학물질 수요 증가에 기반하고 있으며, 인프라, 제한된 원료 공급, 에너지 비용 및 숙련된 인적자원 부족 등 화학산업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소비재, 자동차 및 전자제품, 의료서비스 산업의 호황에 따라 성장이 가능한 분야이다.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무역분쟁 등 글로벌 경영환경의 변화는 인도 화학산업 발전에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많은 글로벌 석유·가스 관련 기업이 다운스트림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인도 내 석유화학 분야에 대한 투자 확대는 원료 공급 문제를 완화하고 자급률 제고에 기여할 전망이다.또한 엄격해진 환경 규범과 규제에 따라 변화를 맞고 있는 중국 화학산업은 중국으로부터 화학제품을 공급받는 기업에게는 불확실성의 증가로 여겨질 수 있으나, 인도에는 기회로 작용하고 있으며, 아시아 화학산업 시장이 주요 소비 허브로 부상함에 따라 서구 기업은 아시아에서의 입지를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인도에서 생산되는 농약의 약 50%는 수출되며, 이러한 수출 비중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이다. 석유화학제품에 대한 수요는 2015~2018년 기간 중 연평균 5.4% 증가하였는데, 이 수요의 31%는 폴리머에서, 22%는 올레핀에서 기인한다. 인도 비료 시장의 경우 2018년 기준 640억 달러 규모였으나, 2019~2023년 중 연평균 13%의 성장세를 보이며, 약 1,380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유기 화합 물질에 대한 수요는 2019~2023년 중 연평균 9%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페놀 수요는 1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인도 내 화학제품 제조 시 청산, 이소시아네이트 등과 같은 유독성 제품을 제외하고는 별도의 인증이 요구되지 않는다. 수산화나트륨, 붕산, 폴리 염화알루미늄, 아세트산 등 일부 화학물질은 인도표준국(Bureau of Indian Standards, BIS)의 인증을 필요로 하며, 자국의 산업 보호를 위해 화학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사 등 무역규제 조치가 시행되고 있는데,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반덤핑 조사, 페놀 세이프가드 조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주요 기업투자가 몰리고 있는 인도 화학산업2025년까지 인도의 화학 및 석유화학 부문에 INR 8조 루피(약 USD 1,060억 달러)의 투자가 예상된다. 2020년 10월 기준 주요 화학제품 생산량은 880,569MT(백만 톤), 석유화학제품 생산량은 1,808,997MT(백만 톤)이었다. 특수화학물질은 인도의 전체 화학물질 및 석유화학 제품 시장의 22%를 차지하며, 특수화학물질에 대한 수요는 202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 석유화학 제품의 수요는 2019년에서 2023년 사이에 7.5%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폴리머 수요는 8% 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 농약 시장은 8% CAGR을 기록하여 2022년까지 37억 달러, 2025년까지 47억 달러의 시장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시장규모특수화학 및 석유화학 부문에 대한 최종 사용자 부문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연평균 성장률 9.3%로 2025년까지 3,04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의 염료 및 안료 시장은 2022년까지 6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 세계 염료 생산량의 약 16%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석유화학 수요는 2019년에서 2023년 사이에 7.5% CAGR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폴리머 수요는 8%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인도의 농약 시장은 2021년에서 2026년 사이에 8.6% CAGR을 기록하여 7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2018년 사우디아라비아의 아람코는 ADNOC(Abu Dhabi National Oil Company) 및 인도의 RRPCL(Ratnagiri Refinery and Petrochemicals Limited)와 인도 서부 해안에 초대형 정유 및 석유화학 단지를 건설하였고, 2019년 말 Adani 그룹은 BASF 및 ADNOC, Borealis와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인도 내 화학공장 건설을 진행 중이다. 이러한 석유화학 부문 투자는 현재의 공급 원료 문제를 완화하고, 결과적으로 다운스트림 중간재 및 특수화학물질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기 때문에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수출입 현황인도는 네 번째로 큰 농약 순 수출국이며, 살충제 및 소독제 부분은 13위를 기록하고 있다. 저비용 제조, 기술 훈련을 받은 인력의 가용성, 계절적 내수 수요, 경쟁력 있는 가격 및 제네릭 살충제 제조에서의 강점들이 수출의 주요한 요인으로 꼽힌다.농업 부문의 수요 증가가 인도의 농약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2020년 10월, 인도 정부는 농약 업계 관계자들에게 농민의 이익을 위한 새로운 글로벌 표준을 준수할 것을 촉구했으며, 업계 기관인 CropLife India는 해당 부문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안정적인 정책과 규제 체제를 제시했다.인도 농약 시장은 2020년에 45억 달러 규모였다. EMR(전문가 시장 조사)에 따르면, 시장은 2021년에서 2026년 사이에 CAGR 8.6%로 증가하여 7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Chemexcil(화학품 수출 촉진위원회)에 따르면, 인도의 농약 수출액은 2020년 32억8,000만 달러, 2021년 35억7,000만 달러로 추정된다.유망 분야특수화학 부문은 다른 화학 부문보다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기술혁신에 따른 특수화학물질의 적용 사례가 확대되는 것 때문이다. 특수화학물질에는 농약, 화장품 첨가제, 접착제, 세정 재료, 색상, 건설 화학물질, 엘라스토머, 향료, 식품 첨가물, 윤활유, 페인트, 폴리머, 계면 활성제, 향료 등이 포함된다.유기 화합물에 대한 수요도 상승 추세를 따를 것으로 전망되는데, 주요 제품으로는 메탄, 에틸렌, 폴리에틸렌, 메틸알코올, 글리세롤,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톤, 옥살산, 포도당, 벤젠, 벤즈알데히드 등이 있다.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폴리머에 대한 수요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폴리머에 대한 수요는 2019~2023년 동안 연평균 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인도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및 친환경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이러한 화학물질에 대한 수요는 소비자 부문(에코 화장품, 친환경 식품 성분 및 첨가제, 바이오 플라스틱 등)과 산업 부문(에코 살충제, 친환경 농약, 바이오 비료 등) 모두에서 나타나고 있다.시사점인도 화학산업은 인프라, 제한된 원료 공급, 에너지 비용 및 숙련된 인적자원 부족 등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수요 확대에 기반한 지속적 성장이 예상된다. 특히 특수화학, 유기화학, 폴리머, 그린 케미칼 등의 품목에 대한 수요는 계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어 관련 시장의 전망이 매우 밝다. 인도 정부는 석유화학 투자지역(PCPIR) 지정을 통해 자국 화학산업 육성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며, 자국 산업 보호에도 적극적인데, ‘Make in India’ 정책에 따라 자국의 제조업 육성을 중점 추진 중인 인도 정부는 무역규제를 통해 자국 산업을 보호하려는 움직임이 있는바, 반덤핑관세 등 수입 통제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자료: Department for Promotion of Industry and Internal Trade,Global Data, IBEF, Invest India, KOTRA 뭄바이무역관 자료 종합
편집부 2022-02-07
기사제목
- 브라질 화학산업 규모는 세계 6위- 브라질 정부는 ‘신규 가스법’ 등 화학산업 육성정책 추진- 우리 기업의 브라질 정밀/특수화학 수출, 현지 투자 검토 필요브라질 화학산업 동향브라질 화학산업은 ‘산업 국민총생산(PIB Industrial)’의 11.3%를 차지하고, 200만 명의 근로자를 고용한다. 매출액으로 브라질 화학산업은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에 이어 세계 6위에 올라 있다. 2020년 브라질 화학산업 매출은 1,017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부문별로는 산업용 화학제품(441억 달러), 제약(156억 달러), 작물보호제(115억 달러), 비료(93억 달러) 순으로 매출액이 높았다. 화학제품은 건설, 자동차, 전자, 식품, 제약, 상하수도 등 대부분의 산업군에 원료로 들어가기 때문에 브라질의 경제가 산업이 성장하면서 화학산업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 코로나19 이후 배달 음식 주문이 급증하면서 폴리에틸렌, 폴리스타이렌 등 포장 용기에 들어가는 합성수지 수요가 커졌고, 코로나바이러스 창궐로 진단키트, 의약품 포장재 등의 포장재나 원료에 들어가는 화학제품 수요도 커졌다. 2020~2021년 대두, 옥수수, 사탕수수 등 브라질에서 재배하는 곡물 가격이 급증해 작물보호제, 비료 등 농화학 제품 매출도 증가했다. 브라질의 대형 석유화학 단지는 바이아(Bahia)주 카마사리(Camaçari), 히우그란지두술(Rio Grande do Sul) 트리운포(Triunfo), 상파울루(Sao Paulo) ABC파울리스타 등이 있는데, 원자재 수입이나 최종제품 수출이 용이한 해안가나 대형 소비지 인근에 자리 잡고 있다. 상파울루주 파울리니아 지역에도 로디아(Rhodia), 카리플렉스(Cariflex) 등 정밀/특수화학 플랜트가 많이 자리 잡고 있다. 브라질 화학산업은 글로벌 회사의 영향력이 강하다. 브라질 화학기업 매출 상위권에는 모자익(Mosaic), 야랴(Yara), 바스프(Basf), 바이에르(Bayer), 코르테바(Corteva) 등 미국이나 유럽기업들이 다수 포진하고 있다. 브라스켐. 우니팔, 우니겔 등 브라질의 화학 대기업도 여럿 있지만, 한국, 유럽 등과 비교해 회사 수가 많지 않고 내수나 메르코수르 시장에 집중해 매출액이 글로벌 회사에 비해 낮은 편이다. 에틸렌은 ‘석유화학의 쌀’이라고 불리며 많은 화학제품의 근본이 되는 제품으로 한국만 해도 에틸렌을 생산하는 회사가 LG화학, 롯데케미칼, SK지오센트릭, 여천NCC 등 많이 있으나 브라질은 브라스켐뿐이다. 브라질 경제위기 및 헤알화 약세를 틈타 글로벌 화학회사들은 브라질 기업들을 인수하고 있는데, 2021년 태국의 인도라마 벤처스(Indorama Ventrues)는 브라질 석유화학 회사 옥시테노(Oxiteno)를 11억 달러에 인수했다. 2010년대 중반 브라스켐은 모회사인 노보노어(구 오데브레시)가 라바자투(Lava Jato) 부패사건 조사 이후 경영난에 빠지자 신규투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 힘든 시기를 보냈다. 2019년에는 네델란드의 석유화학 회사인 리온델바젤(LyondellBasell)가 브라스켐 인수를 검토하기도 했다. 2021년 말에도 브라스켐의 대주주인 페트로브라스와 노보노어는 브라스켐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 브라질 화학산업 위기의 원인브라질은 원유나 천연가스 등 화학 원료를 자국에서 생산하고 소비인구도 2억1,000만 명으로 많은데, 왜 화학산업이 정체돼 있을까? 브라질은 2020년 기준 화학 소비량의 40~50%를 수입하는데 해가 갈수록 무역적자가 심해지고 있다. 무역적자는 207억 달러에서 2020년 304억 달러로 30%가량이나 상승했다. 베인앤컴파니 브라질 사무소는 보고서에서 “한 국가의 화학산업 발전을 위해서 내수 수요 성장, 원자재 확보의 용이성, 원가경쟁력, 인프라, 낮은 금융조달 비용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는데, 브라질 화학산업은 원가경쟁력이 낮고 파이프라인, 가스관, 철도/도로 등 인프라가 부족하다. 브라질 화학협회(Abiquim)은 “브라질 화학제품 운송의 18%가 철도를 통하는데 미국의 동 제품 철도운송 비중은 60%에 달한다”고 언급하면서, “바이아주 살바도르에서 상파울루주 산토스로 운송하는 컨테이너 단가와 중국 상하이에서 산토스로 운반하는 단가가 비슷하다”고 덧붙였다.고 원가 및 인프라 부족브라질은 석유화학의 원료인 납사/가스 및 전력가격이 한국, 유럽, 미국 등 경쟁국에 비해 높다. 브라질 화학산업협회(Abquim) 회장인 시로 마리노(Ciro Marino)는 “미국과 비교해 브라질의 천연가스와 전력가격은 300~400%, 납사는 14% 정도 높다”고 언급했으며, “화학제품 단가에서 관세/유통세 등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40~45% 수준인데, 경쟁국은 20~25%에 불과하다”라고 덧붙였다. 브라질은 원유와 가스가 프리살(Pre-Sal) 등 해상 유전에서 대량으로 생산되나 해상광구 특성상 원유/가스 채굴 비용이 많이 들고, 가스관 등 운송 인프라가 잘 갖추어지지 않아 원료 생산지에서 화학 플랜트까지로의 운송비용이 높다. 브라질은 농업 대국이나 포타쉬 등 농화학 원료를 대부분 수입하고 석유화학과 비슷한 이유로 농화학 플랜트 제조원가가 높아 비료, 작물보호제 등 상당수 농화학 제품을 수입하거나 글로벌 회사가 브라질에서 제조한다.비료유통협회(ANDA)는 브라질은 85%의 비료를 수입한다고, 또 환경재생천연자연연구소(IBAMA)는 브라질이 연간 76%의 작물보호제 원료를 수입한다고 발표했다. 비료는 가스 등 원재료가 제조원가의 80%에 육박하기 때문에 원료가격이 높으면 경쟁력을 가질 수 없다. 딜로이트는 브라질 화학산업을 분석하는 보고서에서 “1990~2011년 사이 289개의 브라질 비료회사가 폐업했으며 1,700개의 제품이 단종됐다”고 언급했다. 브라질 정부는 2013년 화학산업특별규정(Regime Especial da Indústria Química)를 제정해 화학회사들이 원료를 수입할 때 사회기여세(PIS/COFINS)를 감면해 주었으나, 2021년 연방정부는 세금개혁을 추진하면서 화학산업 특별규정에 따른 세제 혜택도 축소하자는 법안을 상정시켰다. 이 법안이 통과된다면 브라질 화학회사들은 더욱 심한 원가 압박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신규 투자 부족브라질 화학산업 투자액은 2012년 48억 달러로 정점을 찍었다가 지속적으로 하락해 2017년 이후로는 10억 달러를 밑돌고 있다. 투자액도 대부분 신규투자가 아닌 기존 플랜트 유지보수에 사용된다. 브라질 내 화학제품 생산비용이 높아지자 브라스켐은 2016년 멕시코 이데사(Idesa)와 멕시코 베라크루스에 석유화학 플랜트를 설립해 에틸렌, 폴리에틸렌 등을 생산하고 있다. 브라스켐-이데사는 멕시코 국영 석유회사인 페멕스(PEMEX)로부터 저렴한 에탄 원료를 구매할 수 있기에 브라질이 아닌 멕시코에 대규모 플랜트를 건설하기로 했다. 한 국가의 화학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투자해 공정을 개선하고 신제품을 개발하는 활동이 필요하다. 하지만 브라질 내 화학산업 투자는 정체돼 있으며, 시간이 지나고 플랜트들이 노후화될수록 경쟁국에 비해 경쟁력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브라질의 상황과 상반되게 중동, 미국, 동남아시아, 인도 등은 가스, 에탄 등 저렴한 원료를 활용하거나 대규모 소비지에 인접한 이점을 활용하기 위해 많은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거나 개시될 예정이다. 내수 위주의 산업정책으로 기업들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지 못함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등 화학산업이 발전한 국가들은 수출 및 해외 진출 위주의 전략을 추진해 전 세계를 대상으로 영업을 하고 생산량도 키워나갈 수 있었다. 하지만 브라질은 1960년대 수출 대체 정책의 일환으로 화학산업을 발전시켰고, 애초에 타겟지역이 브라질 내수 및 주위 메르코수르 국가였다. 브라질 자동차, 건설, 플라스틱 등 산업은 답보상태에 있으며 국민총생산도 2010년대 중반 이후 1~2% 성장을 하거나 하락하고 있다. 자연스럽게 생산량은 고정되고 생산 확대에 따른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힘들어진다. 화학산업 경쟁력 개선을 위한 정부의 움직임신규 가스법(Nova Lei do Gás)브라질 정부는 자국 화학산업의 경쟁력을 회복시키기 위해 여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연방정부가 상정하고 2021년 국회를 통과한 ‘신규 가스법(Novo marco legal do gás)’은 국영 석유회사인 페트로브라스(Petrobras)가 독점하던 가스수송관, 가스 재기화 설비 등 인프라 시장을 민간에 개방하는 것이 골자다. 쉘(Shell), 에퀴노르(Equinor), 콤파스(Compass) 등 에너지 회사들은 브라질 해상 유전에서 가스를 생산하지만, 운송 수단이 마땅치 않아 브라질의 석유화학 플랜트나 가스 유통회사에 공급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신규 가스법 통과 이후 민간기업들은 TAG 등 정부의 가스 인프라 회사를 인수하거나 신규설비를 건설하고 있으며, 공급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화학회사들은 보다 저렴하게 가스를 구매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솔베이그룹의 로디아(Rhodia)는 상파울루주에서 첫 번째로 ‘가스 자유 거래 시장’에 진입했고, 2023년부터 민간회사인 콤파스(Compass)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을 예정이다. 콤파스는 산토스에 LNG 재기화 설비를 건설하고 있으며, 가스관 건설에 투자해 볼리비아로부터도 가스를 도입해 브라질 회사들에 공급할 예정이다. 노르웨이 비료회사인 야라(Yara)도 2021년 8월 콤파스와 가스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신규 상하수도법(Nova Lei do Saneamento)2021년 국회를 통과한 ‘신규 상하수도 법령(Novo Marco de Saneamento)’도 화학 회사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브라질 연방정부는 2030년까지 상수도를 인구의 99%, 하수도를 인구의 90%에 제공한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상하수도 인프라 사업에 민간투자를 유치하고자 한다.2021년 현재 브라질 상수도 보급률은 60~70%, 하수도 보급률은 40%에 불과해 하수처리장, 파이프라인 등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폴리염화비닐(PVC) 제조/유통회사들은 브라질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브라질에서는 우니팔(Unipar), 브라스켐(Braskem) 등이 폴리염화비닐을 생산하며, 브라스켐은 40억 헤알을 투하해 알라고아스의 폴리염화비닐 공장을 증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민간화학기업의 원가절감 및 신사업 발굴을 위한 노력자유 전력거래시장에서 전력구매 확대브라질 화학기업들은 민간 전력회사들과 장기 전력구매 계약을 맺어 전력을 더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공급받고자 한다. 그동안 브라질 화학회사들은 ‘규제계약시장(ACR)’에서 고정된 가격으로 전력을 구매했으며, 가뭄 등으로 전력가격이 올라가면 속수무책으로 인상분을 지출해야 했다. 특히 2021년 브라질에 80년간 최악의 가뭄이 닥치면서 전력가격이 급등해 많은 기업들이 피해를 보았다. 자유 전력거래시장(ACL)이 보편화되면서 화학기업들은 자율적으로 민간 전력회사와 계약을 맺고 사전에 합의한 가격에 일정 기간 전력을 구매할 수 있다. 2021년 초 브라스켐은 신재생 에너지 회사인 카사두스벤투스(Casa dos Ventos)와 계약을 맺고, 20년간 전력을 공급받기로 했다. 프랑스 보탈리아(Votalia), 캐나다 캐나디안 솔라(Canadian Solar), EDF리뉴어블(Renewable) 등 민간 전력회사들도 브라스켐(Braskem), 우니겔(Unigel), 우니팔(Unipar) 등과 장기 전력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그린 플라스틱/재활용 플라스틱 시장브라스켐 등 브라질 화학기업들은 그린 플라스틱, 재활용 플라스틱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고 있다. 브라스켐은 2007년 사탕수수를 원료로 하는 폴리에틸렌을 개발했고, 히우그란지두술주 플랜트에서 연간 20만 톤의 바이오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생산하고 있다. 브라스켐은 2020년부터 시카고 일리노이 대학교와 이산화탄소(CO2)를 원료로 플라스틱 레진을 생산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 회사는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재활용 플라스틱 시장’에도 관심을 보이는데 발로렌(Valoren)과 합작해 상파울루주 인다이아투바에 폐기물 재처리 설비를 건설했다. 재활용된 플라스틱 잔여물은 브라스켐이 아질릭스(Agilyx) 사와 합작해 건설한 플랜트로 이송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원료로 사용될 예정이다. 미나스제라이스주 우베르란지아에 위치한 스마트 퀴미카(Smart Quimica)도 재활용 플라스틱을 원료로 위생제품 포장재를 생산하고 있다. 이 회사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수거하는 시설도 운영하는데 2030년까지 전체 원료 중 재생 플라스틱 비중을 90%까지 증대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바스프(Basf)는 ‘B-Cyble’ 공정을 도입해 재생 플라스틱의 고질적인 문제인 악취, 부식성, 약한 물성 등을 해결하고자 한다. ‘B-Cycle’은 브라질에 2022년에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 코멘트 아돌프 메네제스(Adolfo Menezes) 바이아주 사법부 의장은 “브라질 화학회사들이 원료를 수입할 때 받는 세제 혜택인 ‘화학산업특별규정(Regime Especial da Indústria Química)’이 폐지된다면 제조원가가 상승해 브라질 화학산업이 경쟁력을 상실할 것이며, 브라질은 앞으로 원자재 수출 국가로 남을 수밖에 없다”라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바이아주에서 화학은 정유산업에 이어 2번째로 큰 산업이며 화학 원료 구입에 대한 세금 혜택 폐지는 재앙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아 산업연맹(FIEB)은 화학 원료 구매에 대한 사회기여세(PIS/COFINS) 혜택이 사라지면 화학제품 생산량의 20%가 감소하고 3만3,000명의 실업자가 발생하며, 3억2,520만 헤알의 세수가 감소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브라질 화학산업 투자가 감소하고 화학제품 무역수지가 악화하자 많은 기업은 브라질 화학산업 전망을 비관적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정부에 세제 혜택, 보조금 지급, 에너지/원료 등 원가절감 등 해결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이렇듯 브라질 화학산업은 원자재 단가 전력비용 등 외부 변동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점차 경쟁국에 비해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다. 만약 이 트렌드가 지속된다면 브라질 화학제품 무역적자는 심화되고 화학산업 매출 규모도 축소될 수 있는 위기에 빠져있다. 시사점브라질 정부는 ‘신규 가스법’, ‘신규 상하수도 법령’ 등 화학산업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회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브라질이 매년 300~400억 달러의 화학제품을 수입하는 점을 고려해 우리 기업은 브라질에 제품을 수출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만, 한국에서 브라질로 제품을 운송할 때 드는 높은 운송비를 고려해 범용 화학제품이 아닌 특수/정밀화학 제품 위주로 수출제품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브라질이나 메르코수르 내 수요가 많은 제품을 생산한다면 브라질 현지에 공장을 설립하거나 현지의 생산설비를 인수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DL케미칼은 2021년 인수한 미국회사 카리플렉스(Cariflex)의 브라질 파울리나 합성고무/라텍스 공장을 증설하고 있으며, 효성티앤씨는 2011년 산타카타리나에 스판덱스 공장을 건설했고, 2020년 증설을 결정할 정도로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브라질에서 ‘그린 플라스틱 관련 신사업’을 추진하는 것도 검토해볼 수 있다. 브라스켐 등 브라질 기업들은 사탕수수/옥수수 등 풍부한 바이오연료를 바탕으로 친환경/그린 화학산업을 발전시켰으며, 앞으로도 성장 가능성도 크다. 한국의 우수한 기술력과 브라질의 풍부한 바이오연료를 결합하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자료: Valor Economico, Estadao, Exame, KOTRA 상파울루무역관 자료 종합
편집부 2022-02-06
기사제목
국내 코로나 첫 확진자가 확인되었던 지난 2020년 1월 20일로부터 만 2년의 시간이 지나갔다. 그동안 많은 인명 피해(총 누적 확진자는 약 70만 명, 누적 사망자는 약 6,300명에 달함)가 발생했으며, 대규모의 사회적 손실도 발생하였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이번 코로나 위기는 통상의 침체 국면이나, 과거 경제 위기와는 달리 수요 및 산업구조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이에 코로나 위기 직전인 2019년과 그로부터 만 2년이 경과된 2021년의 경제 및 산업구조에 어떠한 변화 양상이 나타났고, 앞으로 어떤 부문이 성장을 주도할 가능성이 큰지를 살펴보았다.경제구조 변화의 특징① 외수(수출)와 내수교역의존도 급증: 한국 경제의 교역의존도(국민계정 상 재화와 서비스 수출입/GDP)는 코로나 위기 이전 2019년 75.9%에서 2021년 76.9%로 1%p가 상승하였다. 교역의존도를 수출의존도와 수입의존도로 나누어 보면, 수출의존도는 2019년(1~3분기) 39.3%에서 2021년(1~3분기) 40.4%로 높아졌다. 반면, 수입의존도는 2019년(1~3분기 36.6%)과 2021년(1~3분기 36.5%)이 비슷한 수준이다.소비 위축: 소비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코로나 위기 이전보다 크게 하락하였다. 2019년 1~3분기에 국민계정 상 총소비(민간 소비+정부 소비)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5.9%에 달하였으나, 2021년 1~3분기에 64.8%로 크게 낮아졌다.순 수출 성장 기여도 급증: 순 수출(수출—수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코로나 위기 이후 크게 상승하였다. 국민계정 상 재화와 서비스 수출에서 재화와 서비스 수입을 뺀 순(純) 수출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코로나 위기 이전인 2019년 1~3분기 2.6%에서 2021년 1~3분기에 3.9%로 1.3%p나 급등하였다.② 정부 수요와 민간수요민간 활력 저하: 국민계정 상 민간수요(민간 소비 + 민간 고정투자)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코로나 위기 이전인 2019년 78.2%에서 위기 이후 2021년 77.0%로 크게 하락하였다. 반면 정부 수요의 GDP 대비 비중은 2019년 1~3분기 21.8%에서 2021년 1~3분기에는 23.0%로 높아졌다. 또한, 전체 소비에서 민간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하락하고 정부 소비 비중은 높아지는 추세로 소비 회복은 정부 수요가 견인 중인 것으로 판단된다. 민간소비가 총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코로나 위기 이전인 2019년 1~3분기에 73.9%에서 위기 이후 2021년 1~3분기에 71.5%로 하락 추세를 지속하였다. 반면, 정부 소비가 총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코로나 위기 이전인 2019년 1~3분기에 26.1%에서 2021년 1~3분기에 28.5%로 높아지는 추세이다. 한편, 투자는 정부투자보다 민간투자가 회복을 견인 중인 것으로 판단된다. 민간 고정투자가 총 고정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코로나 위기 이전인 2019년 1~3분기에 84.4%에서 위기 이후 2021년 1~3분기에 85.2%로 오히려 크게 높아졌다. 반면, 정부 고정투자가 총 고정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코로나 위기 이전인 2019년 1~3분기에 15.6%에서 2021년 1~3분기에 14.8%로 낮아졌다.산업구조 변화의 특징① 대분류 산업별 생산위기 전후 대분류 산업비중 변화 미미: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경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코로나 위기 이전과 이후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국민계정 상 제조업 부가가치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코로나 위기 이전인 2019년 1~3분기 25.6%에서 2020년 1~3분기에 24.9%로 급락하였으나, 2021년 1~3분기에는 25.6%로 코로나 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또한, 서비스업도 그 부가가치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21년 1~3분기 57.2%로 코로나 위기 이전인 2019년 1~3분기 57.3%와 비슷한 수준이다.② ICT-비ICT경제 성장의 ICT 의존도 증가: ICT 산업 부가가치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코로나 위기 이후 크게 높아졌다. ICT 산업(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제조업 + 정보통신업) 부가가치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코로나 위기 이전인 2019년 1~3분기 10.9%에서 2020년 1~3분기에 10.8%로 낮아졌으나, 2021년 1~3분기에는 11.3%로 크게 높아졌다. ICT 서비스업이 전체 ICT 산업 비중 상승을 주도하고 있으며, 예상외로 ICT 제조업 비중은 코로나 위기 이전과 이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2021년 1~3분기 ICT 제조업(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제조업) 부가가치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7%로 코로나 위기 이전인 2019년 1~3분기와 동일한 수준이다. 반면, 2021년 1~3분기 ICT 서비스업(정보통신업) 부가가치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6%로 코로나 위기 이전인 2019년 1~3분기의 4.2% 대비 0.4%p가 높아졌다.③ 제조업ICT의 수출 견인: 수출 통계를 이용하여 제조업 세부 업종의 수출 비중을 살펴보면, 코로나 위기를 전후로 ICT 산업이 전체 수출 경기를 견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2019년(1~3분기)과 2021년(1~3분기)을 비교할 경우 비ICT 산업 수출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42.4%와 42.3%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ICT 산업 수출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26.6%에서 2021년 29.5%로 불과 2년 만에 2.9%p가 상승하였다. 비ICT 수출 중에서 특히, 기계와 자동차가 코로나 위기 이전의 위상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계 산업 수출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8.6%에서 2021년 7.8%로 크게 하락하였다. 자동차 산업 수출(부품 포함)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9년 12.1%에서 2021년 10.8%로 크게 하락하였다. 또한, ICT 수출도 컴퓨터와 반도체만이 수출 비중을 높이고 있을 뿐, 여타 ICT 산업의 위상은 낮아지거나 정체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컴퓨터 산업 수출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1.6%에서 2021년 2.6%로 상승하였다. 반도체 산업 수출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9년 17.3%에서 2021년 19.7%로 2.4%p 상승하였다. 반면, 이외 무선통신기기, 가전 수출 비중은 거의 변화가 없으며, FDP(평판디스플레이) 수출 비중은 2019년 3.8%에서 2021년에 오히려 3.3%로 낮아졌다.④ 서비스업비대면 시장 성장에 따른 산업구조 급변: 경제 전체로 보면 코로나 위기를 전후로 서비스업의 부가가치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변화가 없으나, 서비스업 내 세부 업종별로는 위상 변화가 뚜렷해지는 모습이다. 예상했던 바와 같이 코로나 위기의 충격이 집중되는 서비스업은 대면 시장을 주된 수요로 가지는 업종인 것으로 분석된다. 전체 서비스업 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하락한 업종으로는 도소매업(2019년 1~3분기 12.6%에서 2021년 1~3분기 12.0%), 숙박·음식업(4.1%에서 3.2%), 문화·기타 산업(4.3%에서 3.4%) 등이다. 반면, 금융·부동산(22.6%에서 23.3%), 정보통신업(7.4%에서 8.1%) 등은 코로나 위기가 오히려 시장 수요를 확대시켜 업종 성장에 수혜를 입은 것으로 판단된다.시사점코로나 위기 이후 경제 및 산업구조 급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첫째, 코로나 이후 경기 회복의 핵심 동력인 수출의 회복세를 유지하기 위해 시장 외연을 확대하고 공급망 교란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 둘째, 직접적인 정부소비지출보다 민간 소비를 견인할 수 있는 간접적인 내수진작책이 필요하다. 셋째, 코로나 위기에도 기업 투자 확대가 지속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시장 규제 완화 노력이 요구된다. 넷째, ICT 산업의 양적 성장이 경제·산업 구조의 질적 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술 확산 가속을 통한 기존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모색해야 한다.자료제공: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 주원 경제연구실장(010-3768-9450, 02-2072-6235, juwon@hri.co.kr)
편집부 2022-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