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현대보테코
K쇼배너

정책과 동향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개요현대경제연구원은 2022년 10대 경제 키워드로 『AFTER TIMES(코로나 이후의 미래)』를 제시했다. 이는 2021년 경제 트렌드의 키워드인 『WITH CORONA(코로나와 함께)』에서 멀어지는 보다 진전된 세상을 기대한다는 의미를 가지며, 마이클 셔머(2021)에서 언급된 “코로나 이전 시대(Before Time)와 코로나 이후 시대(After Time)”에서 모티브가 되었다.① Asymmetric recovery(비대칭 회복) - 글로벌 경제의 완만한 개선의미: 2022년에도 세계 경제 회복 기조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여전히 팬데믹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코로나 위기 이전의 정상 성장 추세로의 안착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선진국 경제 상황이 신흥·개도국보다 안정적일 것으로 보인다.주요 내용: 2022년 세계 경제는 스우시 형 경기 회복(sw-oosh recovery)의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세계 실질 GDP 규모로 보면 위기 이전의 정상 성장 추세 선상을 기준으로 약 1.2%가 미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GDP 갭률 -1.2%). 또한 선진국(AE, Advanced Economies)보다 신흥·개도국(EMDE, Emerging Market and Developing Economies)의 경기 회복이 상대적으로 더 느릴 것으로 예상되는데, 2022년 선진국의 GDP 갭률은 -1.1%인 반면, 신흥·개도국은 -1.5%로 선진국보다 신흥·개도국의 회복세가 더딜 것으로 보인다.시사점: 현재 중요한 성장 동력이면서 경제 안전판 역할을 하고 있는 수출 경기의 회복세를 유지하기 위해, 수출 시장의 외연 확대와 더불어 시장별 차별적인 접근 전략이 필요하다.② Forward guidance(사전적 정책 방향) - 미 연준의 제로금리 탈출의미: 2022년 2분기 무렵부터는 미 연준(FED)의 포워드 가이던스(forward guidance, 사전적 정책 방향)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고용시장이 개선되면서 금리 인상이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주요 내용: 미 연준이 지난 2020년 9월 FOMC에서 명확하게 제시했던 포워드 가이던스 중, 현재 물가상승률이 2% 이상의 수준을 유지한다는 인플레이션 조건은 충족되었다. 한편, 고용상황이 완전고용(현대경제연구원 추정 미국의 자연실업률 3.5%)을 달성한다는 조건은 2022년 상반기 중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미 연준은 2022년 2분기 또는 3분기 중 정책금리인 연방기금금리 인상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리 인상은 최소 두 번에서 최대 세 번 정도로 보이며, 이에 따라 정책금리인 연방기금금리는 현 제로금리(하한 0%)에서 2022년 말 1.0% 내외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양적완화(QE, Quantitative Easing)가 완전히 종료되고 빠른 양적 긴축(QT, Quantitative Tightening)을 동시에 추진할 가능성도 있다.시사점: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이 가져올 수 있는 금융시장 불안정성에 대응하여, 투기자본의 유출입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일정 수준에서 유지할 수 있는 적극적인 시장 안정화 노력이 필요하다.③ Twin deficit(쌍둥이 적자) - 신흥시장의 불안정성 확대의미: 2022년 상당수 신흥·개도국은 제한적 경기 회복으로 인한 펀더멘틀 취약성으로, 경상수지와 재정수지가 동시에 적자가 되는 쌍둥이 적자 문제에 직면하면서 신용 경색에 따른 채무 불이행의 우려가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주요 내용: 2022년 세계 경제가 선진국 중심의 성장 국면을 보이는 가운데, 선진국들의 통화정책 추세가 지속되면 신흥·개도국으로부터의 자본 이탈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2022년 주요 신흥국들이 대부분 쌍둥이 적자(경상 적자+재정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보여, 국제금융시장의 자본이동 방향성이 전환될 경우 신용 경색이나 디폴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 시사점: 대내외 건전성이 취약한 신흥·개도국에 대해서는 교역(수출, 공급망) 및 투자 연관성, 금융시장 노출도 등을 고려하여, 시장 의존도가 높은 기업과 금융기관은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 마련과 비상계획(contingency plan)의 실행 능력 점검이 필요하다.④ Endgame(종반전) - 팬데믹 불확실성 속 정상화 단계 진입의미: 2022년 세계 경제는 연초 오미크론 발 글로벌 대유행으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나, 시간이 지나면서 백신과 치료제의 개발과 보급 확대, 방역 기술의 발전, 경제의 내성 강화 등의 요인으로 COVID-19와의 전쟁에서 근소하게나마 우위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주요 내용: 글로벌 방역 상황은 현재 4차 대유행 국면에 진입하였으며, 이번 4차 대유행의 확진자 수는 이전의 1~3차 대유행기를 크게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주요국들이 연초 오미크론에 의한 확진자 수 급증에 방역 강화나 봉쇄 조치가 단행하면서 세계 경제가 위축될 수도 있다. 다만, 이후 계절적 요인으로 방역 상황이 개선되면서 글로벌 경제가 다시 회복 국면으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WHO 사무총장인 거브러여수스(Tedros Adhanom Ghebreyesus)가 2022년 신년사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2022년 말 일상 회복에 대한 가능성도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시사점: 연초 글로벌 4차 대유행으로 인한 일시적 GVC 교란 가능성에 대비하고, 국내 방역에서 노정된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팬데믹에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국가 방역 시스템을 재정립함으로써 ‘방역’과 ‘경제회복’을 모두 도모할 수 있는 ‘위드 코로나’ 기조를 정착시켜야 한다.⑤ Rhino(코뿔소) - 차이나리스크의 심화의미: 중국의 구조적 문제점인 ‘세 마리 회색코뿔소’ 이슈가 부상하면서 중국 경제가 경착륙하는 차이나리스크 가능성이 상승 중이다.주요 내용: 최근 헝다(恒大, China Evergrande)그룹 사태에서 보듯이 중국 내 부동산 버블, 그림자 금융, 지방정부 부채의 ‘세 마리 회색코뿔소(gray rhino)’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중국의 CDS(Credit Default Swap, 신용부도스와프) 프리미엄은 헝다그룹의 유동성 위기가 시작된 2021년 9월부터 크게 높아져 있는 상황이다. 이는 시장에서 차이나리스크를 심각하게 보고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특히,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금리 인상을 시작했거나 시작하려는 움직임이 있는 반면, 중국인민은행은 2021년 12월 15일 금융기관 지급준비율을 0.5%포인트 인하하였으며, 20일에는 기준금리(대출 우대금리, LPR)를 0.05%포인트 인하하며 신용 경색을 차단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다만, 중국 금융시장의 개방도가 낮아 부동산 버블이 붕괴하더라도 국제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사태로 중국 경제가 경착륙할 경우, 대중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 큰 충격을 미칠 가능성이 우려된다. 시사점: 중국 경제의 불확실성에 대응하여 중국 정부의 위기관리 능력을 예의주시하고, 중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기업은 우리 금융·통상 당국과의 소통 채널을 강화하여, 유연하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공조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⑥ Taylor’s rule(테일러 준칙) - 한국은행의 출구전략 지속의미: 2022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적정금리 수준에 대한 논쟁이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그 기준으로 자주 사용되는 테일러 준칙(Taylor’s rul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주요 내용: 한국은행은 2021년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하며 출구전략(exit strategy)을 시작하였다. 2022년에도 기준금리 인상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2022년 말 기준 현대경제연구원이 예상하는 테일러 준칙에 의한 기준금리 수준은 약 2.0%일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한국은행의 출구전략이 지속될 경우 여전히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가 부실화되면서 후행 위기를 유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 시사점: 과잉유동성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통화정책 정상화는 필요하지만, 그 과정에서 부작용이 취약 계층에 집중되지 않도록, 자영업과 저소득층에 대한 부채조정 노력과 저금리 대출 규모 확대 등의 미시적 대응을 병행해야 한다.⑦ Inertia effect(관성효과) - 보복 소비 기대와 회복 지연 우려 병존의미: 2022년에는 방역 상황이 개선될 경우 톱니효과(ratchet effect)라는 관성효과가 작용하면서 보복 소비의 가능성이 열려 있다. 반면 소비 침체 장기화에 따른 미래 불확실성 발 예비적 저축 동기(precautionary saving)라는 관성효과로 오히려 소비 회복이 상당 기간 지연될 가능성도 병존한다. 주요 내용: 코로나 위기 이후 국내 소비지출 증가율은 소득 증가율을 밑도는 추세가 지속 중이다. 특히, 3분기를 기준으로 보면, 국내 평균소비성향(소비지출/처분가능소득)은 코로나 위기 이전인 2019년 3분기에 72.9%에서, 2020년 3분기 68.9%, 그리고 2021년 3분기 67.4%로 하락하고 있다. 이는 여전히 보복 소비에 대한 동기보다 미래 불확실성을 고려한 저축 확대의 동기가 더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2022년에도 방역 상황이 크게 개선되지 않을 경우, 보복 소비로 코로나 이전의 소비 수준으로 회귀하려는 관성보다, 절약하고 현재의 소비 수준을 유지하려는 관성이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다. 시사점: 소비 침체가 장기화하는 관성효과를 막기 위해서는 경제의 고용창출력을 높여 소득이 안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고용유지 인센티브 확대, 실직자 지원 제도 확충 등 다각적인 고용시장 안정화 노력이 요구되며, 무엇보다도 민간 부문에서 질 좋은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도록 「투자 확대 → 고용 창출」의 파급 효과를 도모해야 한다.⑧ Mild recession(연착륙) - 경기 상승세의 둔화의미: 2022년 상반기 한국 경제는 일시적으로 경기 회복세가 약화하면서 연착륙(soft landing) 또는 소프트패치(soft patch)가 발생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일시적 경기 둔화의 강도는 방역 상황과 수출 경기 수준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주요 내용: 2000년대 후반 금융위기 기간과 최근 코로나 위기 기간의 동행지수순환변동치 추세에 유사한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금융위기가 시작되는 경기저점은 2009년 2월이며, 이후 2011년 8월까지 약 30개월 동안의 회복 과정을 거쳤다. 그러나 그 기간 중 동행지수는 2010년 7월 단기 고점을 형성한 이후 약 4개월 동안 경기가 일시적으로 하강하는 소(小) 사이클 국면이 포함된다. 현재 코로나 위기 이후의 모습을 보면 2020년 5월을 경기저점으로 경기가 회복 추세를 지속하다가 2021년 7월 이후 동행지수순환변동치가 정체되고 있다. 최근 국내 5차 대유행의 여파와 이후 뒤따라올 것으로 예상되는 오미크론 변이 발 6차 대유행의 가능성을 고려하면, 최근 경기 회복력의 약화는 최소 2022년 1분기에서 최대 2분기까지도 이어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시사점: 상반기 경기 회복력 약화 가능성에 대응하여 재정지출의 조기 집행률 제고와 재정지출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요구된다.⑨ Economic misery index(경제고통지수) - 서민 체감 경기의 부진의미: 2021년은 경제고통지수(물가상승률+실업률)가 최근 10년 내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2022년에도 비록 지수가 하락하겠으나 그 정도는 미약할 것으로 보여 서민 체감 경기는 크게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내용: 2021년 경제고통지수(economic misery index)는 약 6p 내외로 추정되는데, 이는 2011년(7.4p)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나아가 2022년 경제고통지수는 물가상승률의 둔화와 실업률의 하락 등으로 2021년보다 소폭 개선된 5p 대 중후반으로 전망된다.시사점: 최근 서민 경제 활력을 약화시키는 주된 요인인 인플레이션의 심화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물가 불안 품목의 수입 쿼터 제한 완화, 물류·유통 시스템 전반의 투명성 확보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⑩ Secular stagnation(장기 침체) - 저성장 장기화에 대한 우려의미: 코로나 경제위기가 종결된 이후 한국 경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될 것이 확실시되는 성장잠재력의 급락과 이에 따르는 ‘장기 침체 또는 저성장 장기화(secular stagnation)’가 우려된다.주요 내용: 팬데믹의 종료 시점을 알 수는 없으나 코로나 경제충격이 마무리된 이후, 한국 경제의 최대 화두는 잠재성장률의 급락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현대경제연구원의 추정에 따르면, 한국 잠재성장률은 2016~2020년 연평균 2.5%에서 2021~25년 2.0%, 그리고 2026~30년 1.7%로 빠르게 하락할 전망이다. 이러한 잠재성장률 급락의 주된 원인은 생산가능인구 급감에 따른 노동력 부족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73.4%로 이미 정점을 형성하고 낮아져 2022년에는 71.0%에 이르고, 2030년에는 66.0%까지 하락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생산가능인구 규모 자체도 2019년 3,762만8,000명으로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2022년 3,700만 명대가 붕괴(3,667만5,000명)되고, 다시 2030년에는 3,381만3,000명으로 급감할 것이 전망된다. 이외에도 높은 시장 규제, 노동시장의 경직성 등으로 생산, R&D 등 기업 활동의 공간이 국내에서 해외로 이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자본축적 정체와 기술 혁신력 약화로 이어지면서 잠재성장률 하락을 가속화시키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시사점: 저성장 장기 침체를 막기 위하여 경제활력을 확보할 수 있고 성장잠재력을 제고할 수 있는 적극적인 성장 정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제고, 외국인 인력의 활용 확대, 출산율 제고 등을 통해 노동력 감소 추세를 완화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시장 규제 및 조세 제도의 정비,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 등을 통해 기업 투자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특히, 기술 혁신이 성장의 중심이 되도록, 정부 연구개발사업의 실효성 확보, 민간 R&D 투자의 저변 확대, 신성장 동력인 디지털 전환 및 그린 전환 관련 기술 개발 노력 강화 등이 필요하다.
편집부 2022-02-04
기사제목
- 화이트 바이오, 산업육성과 규제 부처 간 정책 엇박자새해에도 화이트 바이오에 대한 시장 확대 분위기는 형성되고 있으나, 관련 규제와 부처 간 엇박자로 산업 활성화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본 참고자료는, 최근 한국바이오협회가 ’21년 이슈 및 성과, ’22년 전망 및 과제에 대해 국내 주요 화이트 바이오 기업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이다.탄소중립으로 산업육성 분위기는 만들어졌으나, 부처별 육성-규제 엇박자 아쉬워2021년은 각 국별로 탄소중립 선언 및 ESG 경영 강화에 대한 목소리가 높았다. 또한,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비대면 소비 증가로 일회용품 사용이 급증하는 한편, 중국, 유럽 등에서의 플라스틱 사용규제가 강화됐다. 이에, 중국의 경우 난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한 규제로 생분해성 플라스틱 시장과 기업이 급증하고 있다. 유럽의 경우 일부 국가에서 바이오매스 함량을 50% 이상 사용을 규제하고 있어 생분해 플라스틱에 바이오매스 함량을 증가시키는 R&D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생분해성 수지 중 하나인 PBAT의 경우 매우 높은 수요로 인해 2월~5월에는 전년동기대비 100% 높은 가격에, 6월~12월의 경우에도 전년대비 50~70% 증가한 가격에 거래됐다.국내의 경우 LG화학, GS칼텍스, 롯데케미칼, CJ제일제당, SKC 등 주요 화학 대기업에서 미래 먹거리로 바이오 플라스틱에 대해 본격 시동을 건 한해였다. 또한, 2021년 4월 화이트 바이오 연대협력 협의체가 발족하면서 민관 협력 생태계가 마련되었다고 평가된다.2022년에는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바이오매스 기반 플라스틱과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 확대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친환경과 ESG 경영에 대한 기조가 가속화되고, 탄소중립 및 탈탄소에 대한 이슈와 맞물려 바이오 기반 소재, 가공, 활용제품 확대가 예상된다.다만, 국내는 산업 활성화 주무 부처인 산업부와 관련 규제를 담당하는 환경부 간 정책 조율을 통한 시너지가 필요하다. 특히, 포장재, 생분해성 수지, 바이오매스 수지 제품 중 일회용품은 환경표지 인증에서 제외되는 정책에 대해 업계 반발이 큰 상황이다. 또한, 생분해 플라스틱에 대한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인증체계 마련과 생분해 플라스틱 분리수거 시스템을 구축하되 기존 일반 플라스틱 재활용 분리수거 체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 검토가 필요하다고 제안하고 있다.한편, 산업부와 환경부는 지난해 12월 30일,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형(K)-순환 경제 이행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 계획에 따르면, 기존 석유계 플라스틱을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대체를 촉진하고, 바이오 플라스틱에 대한 분리배출과 환경표지 인증체계 마련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바이오 플라스틱은 크게 바이오매스 플라스틱과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나뉘는데, 정부에서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에 집중하는 정책보다는 균형 잡힌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중소기업들이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주도하고 있는데, 정부의 정책에 따라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업체들의 생산과 매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아울러, 업계에서는 화이트 바이오와 관련된 친환경 제품의 경우 대부분 위해성과 유해성이 없음에도 신규 화학물질로 등록되도록 하고 있는바, 절차를 완화하여 빠르게 제품화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얘기하고 있다.유럽 바이오 플라스틱협회가 2021년 12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전 세계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은 2백4십만 톤에서 2026년에 7백5십만 톤으로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 세계적인 플라스틱 사용 제한, 탄소중립, ESG 경영과 맞물려 시장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이오 플라스틱 육성을 위해 정부와 민간이 연대와 협력을 통해 화이트 바이오 선도국가로 나아갈 수 있는 튼튼한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는 2022년이 되길 기대한다.출처: 한국바이오협회
편집부 2022-02-04
기사제목
- 전 세계적으로 직원 10,000명당 로봇 수는 2015년 66대에서 2020년 126대로 급증 - 같은 기간 미국에서는 176대에서 255대로 45% 증가   국제로봇연맹(IFR;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의 2021년 세계 로봇 통계 보고서는 전 세계 산업에서 로봇 채택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로봇 밀도 지표(직원 10,000명당 로봇)는 2015년 66개에서 불과 5년 후 126개로 증가했다.   2020년 제조 IFR 로봇 밀도국제로봇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은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제조업 로봇 밀도가 상승세를 보였으며, 이는 중국과 한국에 의해 주도됐다. 사진 제공: 국제로봇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   IFR은 지리적 기준으로 아시아/호주가 134개 단위로 세계를 이끌고 있으며, 유럽(123개)과 아메리카(111개)가 그 뒤를 잇는다고 보고했다. 세계에서 가장 자동화된 상위 5개국은 한국, 싱가포르, 일본, 독일, 스웨덴이며, 2015년 176개에서 2020년 255개로 밀도가 증가한 미국은 대만(248개), 중국(246개)을 제치고 세계 7위를 차지했다.그 기간에 중국의 밀도는 2015년 49대에서 2020년 246대로 거의 5배 증가하여 다른 어떤 국가보다 많이 증가했다. 중국의 로봇 밀도는 2015년 25위에서 현재 전 세계 9위다. 중국의 이웃 국가인 한국은 2010년 이래로 로봇 밀도가 10,000명당 932대로 유지되면서 가장 자동화된 국가로 남아 있다. IFR은 한국의 2대 산업인 자동차와 전자산업이 산업용 로봇의 2대 산업이라고 지적했다.싱가포르는 10,000명당 605개의 로봇 비율로 세계 2위이며, 로봇 밀도는 2015년 이후 매년 평균 27%씩 ​​증가하고 있다. 일본은 10,000명당 390개의 로봇이 설치되어 3위를 차지했다. 일본은 2020년에 일본 공급업체의 생산 능력이 174,000대에 달하는 세계 최대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이기도 하다. 일본은 전 세계 로봇 공급의 45%를 차지하고 있다.유럽에서 독일은 가장 자동화된 국가로 371대로 세계 4위이다. 프랑스는 로봇 밀도가 194대로 스페인(203대), 오스트리아(205대), 네덜란드(209대)보다 적으며, 이들 국가는 스웨덴(289), 덴마크(246), 이탈리아(224)에 뒤처져 있다. 그 뒤를 영국이 101대로 전 세계적으로 24위를 기록했다. 그나마 밀도가 71이었던 2015년보다 개선되었다.  
편집부 2022-01-10
기사제목
- 2021 상반기 수입액, 전년 동기대비 111.8% 증가 - 대한국 수입 급증, 주요 수입국 중 4순위, 전체 수입의 7% 차지시장동향리튬이온배터리로 대표되는 2차 전지 수요가 급증하면서 2차 전지 생산에 필요한 핵심 소재들에 대한 안정적 공급망 확보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2차 전지(리튬이온배터리)는 소형 전자기기 및 가전에서부터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분야와 산업에 활용되며 전 세계적으로 앞다투어 동 기술개발에 전력을 쏟고 있다.2차 전지 생산에 필요한 4대 핵심 소재로 양극활물질, 음극활물질, 분리막, 전해질 등이 있으며, 이 중 분리막은 배터리 원가의 15~20%가량을 차지할 만큼 핵심적인 부품이면서 배터리 성능과 안전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소재로, 특히 ‘전기차의 안전성’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유럽의 환경정책과 함께 추진하고 있는 전기차로의 전환과 함께 전기차용 리튬이온배터리(2차 전지) 수요가 급증할 전망임과 동시에, 전기차 배터리 생산에 필수 소재인 분리막 역시 수요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Eurostat의 통계자료를 기초로 볼 때, 폴란드 2차 전지 분리막 시장 규모는 2015년부터 꾸준히 증가해왔으며, 2020년에 7,785만 유로에 달했다. 수입 동향폴란드의 2차 전지 분리막을 포함하는 HS CODE 392119를 기준으로 볼 때, 해당 품목은 2020년에 1억765만 유로 수입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11.55% 증가한 것이었다. 2021년 1~7월 기간은 전년도 연간 수입보다 더 많은 1억2,165만 유로 규모 수입되었으며, 이는 전년 동기대비 111.8%나 많이 증가한 것이다.주요 수입국의 순위를 볼 때, 2020년과 2021년 사이에 큰 변동이 있었다. 2020년까지는 이탈리아와 독일이 각각 1위와 2위를 앞다투었고 두 국가에서의 수입이 전체 수입의 60%를 상회하였으나, 2021년 1~7월에 일본에서의 수입이 1위가 되었고 일본의 수입 비율이 전체의 41%를 차지했다. 또한, 한국에서의 수입이 크게 증가해 전체 수입의 7.19% 구성하고 주요 수입국 4위를 차지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분리막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일본, 한국, 중국의 제품이 시장을 주도하게 된 것을 방증해준다고 하겠다.경쟁 동향2차 전지 분리막의 세계적 주요 업체로는 일본의 Asahi Kasei·Celgard·Toray, 중국의 Senior, 한국의 SK 하이텍, 더블유스코프 등을 들 수 있다. 핵심 소재인 분리막의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해 SK 하이텍, Toray 등 메이저 업체들은 폴란드 및 헝가리 등 유럽 내에 생산공장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 외 독일 업체로서 Dr. Dietrich Müller 사가 주요 생산업체이다.유통구조2차 전지 분리막의 경우 국내외 제조사로부터 바로 배터리 제조사에게 직접 B2B로 유통되는 것으로 파악된다.관세율(HS code 392119 기준)- 제3국 관세율: 6.5 %- FTA 적용기준 대한국 관세율: 0 %- 부가세: 23%인증 및 안전 지침배터리 분리막은 전체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에 핵심 소재인 만큼 요구되는 기술 수준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분리막 단품에 대한 유럽인증은 별도로 없으며, 배터리 전체의 안전과 직결돼 있어 관련 인증은 리튬이온배터리 전체의 안전 지침에 포함되어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리튬이온배터리의 경우는 전기용품안전법 규정에 기초한 CE 인증이 필수이며, 그 외에도 라벨링 규칙, 운송 안전 지침 등 다방 면에서 구체적인 규제와 규정들을 준수해야 한다.유럽연합은 2006년 제정한 배터리 지침에서 한층 보완되고 향상된 새로운 배터리 규제안(Batteries Regulation)을 2020년 12월에 발표했다. 신규 배터리 규제안은 EU 시장에서 거래되는 배터리들의 안전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으며, 배터리 생산을 위한 모든 가치사슬(Value chain)과 폐기 및 재활용까지의 공정이 유럽 그린 딜(European Green Deal)의 목표 달성에 부합해야 한다는 내용이 골자를 이루고 있다.• 유럽 배터리 관련 규정 사이트:https://ec.europa.eu/environment/topics/waste-and-recycling/batteries-and-accumulators_en• 폐 전기가전제품 폐기에 대한 지침 사이트: https://eur-lex.europa.eu/legal-content/EN/TXT/HTML/?uri=CELEX:32012L0019&from=EN전문가 인터뷰폴란드 무역투자청 직원과의 인터뷰에 의하면, 유럽 내 전기차로의 전환과 에너지 저장 시장 확대 정책으로 최근 수년간 2차 전지 산업 투자가 활발했으며, 핵심 소재인 2차 전지 분리막의 수요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의견이다. 소재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폴란드와 유럽 내 분리막 생산공장이 투자되고 있지만, 전체적인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서는 수입 부분도 향후 몇 년간 지속 증가할 것으로 내다본다.시사점에너지 저장 및 2차 전지 발달과 수요증가로 핵심 소재인 2차 전지 분리막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폴란드를 포함한 유럽 내 전기차 배터리 생산 기지가 증가하면서 분리막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유럽연합의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일본, 한국, 중국에서의 수입이 크게 증가하였다.2차 전지 분리막은 리튬이온배터리 제조사에서 직접 수입을 하는 공급 채널을 형성하며, 기술적인 면에서 배터리의 안전성을 위해 매우 세세하고 높은 요건을 필요로 한다. 이와 동시에 지속적으로 신소재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품목이다. 배터리 안전을 책임지는 소재인 만큼 폴란드를 포함한 유럽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고내강도, 고내열성, 박막화 등을 갖춘 지속적 신제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자료: Eurostat, Global Trade Atlas, 경제 일간지, SK 하이텍 홈페이지, KOTRA 바르샤바무역관 자료 종합
취재부 2022-01-09
기사제목
- 플라스틱을 대체하기 위해 다양한 친환경 포장 용기 출시- 홍콩 소비자 친환경 활동 실천 의향 높아, 친환경 활동의 일환이 될 수 있는 전략 수립 필요2019년 홍콩 환경국(Environment Bureau)에서 발표한 홍콩 폐기물 통계에 따르면, 홍콩에서 하루 평균 1만1,057통의 폐기물이 발생하며, 그중 플라스틱의 폐기량이 2,320톤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플라스틱 사용에 따른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변화를 도모하는 소비자와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다.홍콩 포장 용기 사용 현황글로벌 시장연구기관인 Euromonitor에 따르면, 생산 및 제조 과정에서 플라스틱에 대한 사용 비중이 아직 높은 편이지만, 지난 5년간 경질 플라스틱(Rigid Plastic)과 플라스틱 연포장(Flexible Packaging)*에 대한 사용량 증가세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경질 플라스틱의 사용량은 최초로 전년 대비 약 10만 개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플라스틱 용기를 대체하는 종이 기반 용기에 대한 사용은 전년 대비 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 플라스틱 필름, 종이, 알루미늄 포일 및 섬유 등 유연성을 가진 재료를 사용하여 단일 층 또는 복합 다층의 형태로 구성된 포장재  홍콩 정부, 식음료업계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제재 본격화지난 8월 홍콩 환경국에서 2025년까지 일회용 플라스틱 식기류 사용을 단계별로 규제하는 정책을 발표하면서 친환경 포장재 관련 인증 제도가 도입될 예정이다. 현지 90% 이상의 식당과 호텔에 식기류를 제공하고 있는 Wah Fat Group의 관계자에 따르면, 해당 정책 방안을 발표한 이후 현지 식당과 호텔들이 친환경 식기에 대한 수요가 약 2배로 급증하고 있다.이에 따라 대나무, 식물, 옥수수, 볏짚, 나무의 수피 등 천연 성분으로 만든 플라스틱 대체재가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식물성 재질은 유해 물질이 없으며, 자연에서 100% 분해될 수 있어 환경에 대한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또한 식품과 생활용품을 판매하는 현지 매장에서는 최근 수용성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 비닐봉지를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PVA는 플라스틱과 비슷한 효능과 더불어 수용성 화합물로서 뜨거운 물에 녹을 수 있어 비닐봉지 폐기 문제를 줄일 수 있다. PVA 비닐봉지를 개발한 홍콩 스타트업 Distinctive Action에 따르면, PVA 비닐봉지를 물에 넣어 분해시키는 것이 소비자들에게는 다소 생소하고 불편하게 다가올 수도 있지만, 일반 비닐봉지처럼 매립으로 처리되어도 PVA 재질이 미생물균에 의해 분해되어 이산화탄소로 전환한다. Distinctive Action 사에서 진행한 분해 효과 시험 결과에 따르면, 흙에 넣은 PVA 비닐봉지는 90% 이상의 성분이 180일 이내에 이산화탄소로 전환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합성 수용성 고분자의 일종으로 물에 녹는 독특한 성질을 가져 현재는 투명 포장용 필름, 종이의 코팅제를 위주로 상업화됨홍콩 소비자 70%, 친환경 행동 실천 의향 높아올해 3월 홍콩 내 대표적인 화장품 그룹 L’Oréal Hong Kong에서 진행한 ‘그린 뷰티(Green Beauty)’ 소비자 설문조사(중복응답 가능)에 따르면, 1,000명의 응답자 중 70%는 기후변화 및 지구온난화가 심각한 환경 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플라스틱 사용을 줄일 의향이 있다’라고 답하였다. 화장품 사용 습관 관련된 조사에서는 40~50대(69%)의 소비자들이 이미 사용한 화장품 용기를 재활용하는 경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30대(52%) 소비자들은 친환경 행동 실천 의식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화장품 브랜드들이 젊은 층의 화장품 재활용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노 플라스틱’의 트렌드에 따라 홍콩 화장품 업계에서는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에 노력하고 있다. 제품 내용물에 비해 과대한 포장을 자제하며 재활용이 용이한 소재로 대체하는 것이다.글로벌 화장품 브랜드인 L’Occitane에서는 기존 포장보다 재료가 약 90% 적게 사용한 에코 리필(Eco Refill) 화장품 시리즈를 출시하였으며, 사용한 빈 용기를 반납하면 구매 포인트를 돌려받을 수 있는 재활용 캠페인을 준비하고 있다. 빈 용기 재사용으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브랜드에 대한 고객 충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홍콩에서 최초로 포장용 용기, 비닐봉지 등을 사용하지 않는 가게인 Live Zero는 음식 재료뿐만 아니라 스킨 캐어, 바디 캐어 제품의 내용물을 대용량의 용기에 담아 판매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구매한 물품을 담기 위한 용기를 직접 가져와야 하므로 환경보호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얻을 수 있으며, 친환경 의식을 제고시킬 수 있다. 그린테크(Green Tech) 산업발전으로 더욱 친환경의 포장재 출시식물성 소재 기반의 포장재에 대한 활용도가 증가하는 가운데 올해 홍콩 그린테크(Green Tech) 기업 Ecoinno에서는 식물성 기반 포장재보다 더욱 친환경적인 재질 Green Composite Material(GCM) 개발을 통해 포장 용기 제조 산업에 혁신을 가져왔다. GCM는 농업폐기물로부터 추출한 천연섬유에서 가공된 재질로서 내수성과 내열성이 강하며 최종 분해까지 70일밖에 걸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 빨대, 포크 등 식기에서부터 커피 캡슐 상품 용기, 비닐봉지, 의료용품에까지 활용할 수 있어 향후 여러 산업 분야에 걸쳐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기업의 시점에서는 GCM로 만든 포장 용기가 기존 용기 대비 가격이 30% 낮은 수준에 용기 무게도 약 절반으로 줄일 수 있는 점 등 플라스틱을 대체하기에 비용 효율이 높은 선택으로 볼 수 있다.홍콩 호텔 산업 전시회 HOFEX 2021에 참가한 친환경 식기 제조업체 KNK에서는 굴 껍데기 분말로 만든 포장용 그릇을 개발하였다. 굴 껍데기 분말은 대나무 분말이나 옥수수 전분보다 내열성이 뛰어나며, 뚜껑과 용기가 밀착력이 우수하여 안에 있는 내용물이 샐 가능성이 낮은 특성이 있다. 향후 모든 산업에서 친환경 포장재에 대한 사용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하였다.시사점기후변화의 물리적인 영향을 체감하면서 환경보호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의 선택을 받기 위해 기업의 친환경 활동과 지속 가능한 브랜드 포지셔닝(positioning)은 경영을 위한 필수 요건으로 되었다. 특히 홍콩은 2025년까지 플라스틱 사용을 전면으로 제재하는 계획에 따라 친환경 포장재와 포장 용기를 개발하기 위한 기업 간의 경쟁이 치열하다. 한국의 그린테크 기업들은 현재 ‘노 플라스틱’의 트렌드를 잡아 홍콩의 포장 용기 제조기업과 공동연구와 합작투자를 통해 기술이전을 실시할 수 있다.홍콩 환경보호국(Environmental Protection Department)에서는 ‘기업지원 재활용 기금 프로그램(Enterprise Support Programme)’을 통해 현지 법규에 따라 설립·등록된 기업들이 친환경 경영을 추진하기 위한 재활용 상품 개발, 마케팅 및 프로모션 등을 지원하고 있다. 홍콩에 진출한 기업들은 현지 정부의 도움으로 재활용 포장 사용, 에너지 절약, 친환경 행사 마련 등으로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로의 혁신을 추구할 수 있다.자료: Distinctive Action, Euromonitor, Ecoinno, green queen, HOFEX 2021, KNK, Live Zero, L’Occitane Hong Kong, Startupbeat, Wah Fat Group, 홍콩 무역발전국(HKTDC), 홍콩 환경보호국(Environmental Protection Department), KOTRA 홍콩무역관 자료 종합
취재부 2022-01-09
기사제목
- 베트남의 플라스틱 시장 규모는 221억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9% 증가 - 2021년부터 2026년까지 향후 5년간 연평균 15.88% 성장할 것베트남 산업 무역부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플라스틱 산업은 연평균 16~18% 높은 비율로 발전했다. 일부 플라스틱 품목은 연간 성장률이 약 100%에 달할 정도로 고성장을 이루는 분야이다. 또한 베트남 환경부에 따르면, 평균 플라스틱 소비량은 41.3kg으로 1990년 3.8kg보다 10배 이상 많고, 특히 도시 지역에서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19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플라스틱 산업은 높은 시장 성장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베트남 플라스틱협회(VPA)는 2020년 시장 규모가 221억 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9% 증가했다고 밝혔다.시장 규모 및 동향베트남 플라스틱협회(VPA)에 따르면, 현재 베트남 내 현지 기업 중 폴리카보네이트(HS Code 390740)를 생산 가능한 업체는 없으며, 시장 수요는 전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2020년 해당 품목의 총 수입액은 3억2,433만1,000달러로, 2016년부터 2018년까지는 2년간 연평균 25.45%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2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7.11%로 수입 둔화를 보였다. 그러나 시장 전망기관인 Mordor Intelligence는 베트남의 폴리카보네이트 시장이 2021년부터 2026년까지 향후 5년간 연평균 15.88% 성장할 것이라 내다보았다.수입 가격베트남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입 가격은 2018년 톤당 3,413달러로 최고점을 찍은 후, 점차 감소하여 2020년 톤당 2,830달러에 이르렀다. 세계 폴리카보네이트 시장의 가격은 최근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6년부터 2020년까지 4년간 베트남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입 가격 역시 연평균 8.5% 하락했다.시장 수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머 비즈(Polycarbonate Polymer Beads)는 건설 및 기술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가 건축 자재 생산에서 가장 크게 적용되는 분야는 폴리카보네이트 시트(polycarbonate sheet)이다. 소켓, 플러그, 전기·전자 산업의 플라스틱 부품, 보호안경, 헬멧 안경, 문구류 등의 생산에 사용된다. 또한 온실을 만들기 위한 자재로 조립식 폴리카보네이트 온실 패널이 널리 쓰이므로 농업이 발달한 베트남에서는 유망한 부문이다. 이 외에도 베트남의 건설 경기가 호조이기 때문에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들어진 경량 지붕 혹은 건축자재에 대한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의 건설 경기와 농업경기의 호조는 베트남 폴리카보네이트 시장 성장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수입 규모베트남에 폴리카보네이트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는 한국이다. 2020년 베트남의 폴리카보네이트 대한 수입 규모는 1억2,280만 달러, 전체 수입의 37%를 차지하며, 중국(21.9%), 일본(14.7%), 태국(12.3%), 대만(5.4%), 사우디아라비아(4.6%)가 그 뒤를 잇고 있다. 한국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 회사는 롯데 케미칼이 대표적으로, 이 회사는 무역의 용이성을 위해 하노이와 호찌민 등 베트남의 양대 도시에 지점을 두고 있다.경쟁 동향베트남 현지 생산 플라스틱의 주요 원료는 PP, PET, PVC이며, 해외 의존도가 높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재활용 플라스틱 재료의 공급은 매우 부족하고 플라스틱 산업을 위한 지원 산업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베트남에 폴리카보네이트를 수출하는 주요 업체로는 롯데케미칼(한국), Teijin(일본), Covestro AG(독일), 그리고 Sabic(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있다.유통구조베트남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자재 및 부품을 생산하기 위한 원료는 전량 수입되는 실정이다. 원자재 수입 후 건축용 및 기술용 폴리카보네이트 자재 및 부품 생산업체로 보내져서 각 기업에서 생산된 후, 최종 소비자에게 보내지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유통업자나 무역상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제조공장으로 직접 보내지게 된다.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의 1차 소비자는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현재 전국적으로 2,000개 이상의 기업이 있으며, 주로 호찌민시(84% 이상)를 중심으로 민간 기업이 99.8%를 차지하고 있다. 기업 수로는 베트남 현지 기업이 85%를 차지하며 압도적으로 많으나, 투자 자본으로는 외국기업이 40%를 차지할 정도로 비율이 높다. 수입 관세 및 규제/인증- 수입 관세율베트남으로 HS Code 390740 (폴리카보네이트)를 수입할 경우 한-베트남 FTA로 인하여 수입 관세는 없으며, 부가가치세 10%가 있다.- 규제/인증한국에서 폴리카보네이트를 베트남으로 수출할 경우, 관련 베트남 수입 규제가 없으며, 인증도 불필요하다.시사점베트남 플라스틱협회(VPA)의 관계자는 KOTRA 하노이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베트남의 플라스틱 산업은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6%~18%(통신 및 섬유에 이어 세 번째)로 베트남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 중 하나라고 밝혔다. 베트남의 플라스틱 제품은 약 160개국에 수출되며, 베트남 플라스틱 기업의 주요 수출시장은 일본, 미국, 독일, 네덜란드, ASEAN(캄보디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한국 등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시장이 앞으로도 유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높은 열편향 온도, 저주파 및 고전압 절연 특성, 매우 적은 수분 흡수율 등은 폴리카보네이트가 전기·전자 산업과 건축산업에서 사랑받는 이유이다. 특히 폴리카보네이트의 투명성은 자동차 부품(테일, 백업, 안개등 등)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음식 및 제품 포장 용기, 가전 및 소비재(전기 주전자, 냉장고, 식품 믹서 등) 부품, 전기 및 전자제품 부품(휴대폰, 컴퓨터, 팩스 등의 구성품) 등으로 요긴하게 쓰인다. 전자상거래 시장이 성장하면서 포장 시장도 더불어 성장하고 있으며, 폴리카보네이트는 가볍기 목재 및 유리(포장) 포장재의 대체품으로 간주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유리나 목재 포장재보다 저렴하며, 내구성 또한 강하다. 또 여과성, 확산성, 지면광 균일성 등 덕분에 폴리카보네이트는 태양 전지판을 제조할 때 주요 재료로 선호된다. 이처럼 광범위한 폴리카보네이트 시장은 전자 산업, 자동차 산업, 건축산업 및 전자상거래 산업 성장과 함께 앞으로도 유망할 것으로 예상된다.플라스틱 관련 진출 희망 기업은 2022년에 예정된 다음 전시회를 참고하여 베트남의 플라스틱 산업 동향을 파악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취재부 2022-01-09
기사제목
박혜리 무역통상실 무역투자정책팀 전문연구원 (hrpark@kiep.go.kr, Tel: 044-414-1029)박지현 무역통상실 신통상전략팀 선임연구원 (jhpark@kiep.go.kr, Tel: 044-414-1136)차례1. 개요2. 국내 중소기업에 대한 CBAM의 영향3. 해외의 중소기업 탄소중립 정책 및 특징 4. 평가 및 시사점주요 내용▶ 중소기업의 대EU CBAM 대상 품목 수출액은 6억 1천만 달러로 대EU 수출의 1.3%(2019년 기준) 수준이지만, 수출기업에 납품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파급영향까지 고려하면 CBAM이 국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CBAM의 적용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CBAM의 직·간접적인 영향 경로를 고려하면 사실상 우리나라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CBAM의 영향을 받게 된다.▶ CBAM에 대한 중소기업 측면에서의 취약성을 평가한 결과 산업별로 취약 요인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산업별로 차별화된 대응 방안 및 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산업별 취약 요인에 따라 탄소감축 지원, 국내기업에 대한 피해보상, 탄소배출 측정 및 보고 역량 강화 지원 등 가장 적합한 대응 전략 및 지원 프로그램을 설계해야 한다. ▶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직접 수출에 내재된 탄소 배출량은 5,806만 톤, 간접수출에 내재된 탄소 배출량은 8,333만 톤이며, 직·간접 수출을 모두 고려할 때 탄소 비용 부담이 가장 큰 산업은 철강 가공 산업이다.철강 가공 산업은 CBAM 대상 품목이면서 간접수출 비중이 높기 때문에 신속한 CBAM 대응과 피해 지원정책이 마련되어야 하고, 기업당 탄소 배출량이 많은 석탄 및 석유 제품, 1차 금속, 화학섬유 산업은 개별 기업당 탄소중립 지원 규모 확대가 필요하다. ▶ 현재 CBAM 및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국내 중소기업 대상 중장기 정책 방향과 추진전략이 미비한바, 중소기업에 초점을 맞춘 대응체계 구축이 요구된다.무역조정지원제도의 지원범위를 탄소중립으로 인한 피해로까지 확대하는 방안, ‘중소기업 CBAM 자문기관’ 신설, 주무 부처를 중심으로 하는 ‘중소기업 CBAM 대응반’ 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해외 주요국의 중소기업에 대한 탄소중립 관련 정책 중 우리나라가 참고할 만한 정책으로는, △ 중소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기업 주도 탄소중립 정책 △ 중소기업의 환경 제품 및 기술에 대한 수출지원사업 △ 저 탄소화를 위한 ICT 활용 또는 디지털 전환 지원 △ 지방정부의 탄소중립 지원제도 및 프로젝트 확대 △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협력 네트워크 사업 등이다. 1. 개요2021년 7월 EU는 국경 간 거래되는 상품에 내재된 탄소에 비용을 부과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를 발표하였으며, 이에 따라 2026년부터 EU 시장에 수출하는 모든 기업은 수출에 내재된 탄소량에 상응하는 탄소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CBAM에 대한 대응 논의는 CBAM 대상 품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철강업계와 대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 중소기업에 대한 CABM의 영향분석이나 대응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향후 CBAM 적용 범위와 수준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바, 국내 중소기업에 대한 영향 경로와 산업별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정책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1)에서는 CBAM 대상 품목에 대한 중소기업의 직·간접 수출 현황을 살펴보고, CBAM에 대한 국내 중소기업의 산업별 취약성 평가, 중소기업 수출에 내재된 탄소 비용에 기반한 CBAM 취약 산업을 선정하여 CBAM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또한 해외 주요국의 중소기업에 대한 탄소중립 정책사례를 살펴보고, 국내 정책과의 비교 및 평가를 통해 벤치마킹할 수 있는 정책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2. 국내 중소기업에 대한 CBAM의 영향가. CBAM 대상 산업에 대한 중소기업의 대EU 수출 현황CBAM 대상 산업에 대한 중소기업의 대EU 수출 규모는 6억 1천만 달러로, 대EU CBAM 대상 산업 총수출의 약 20.4%, 대EU 전 산업 수출의 1.3%를 차지한다. CBAM 대상 산업 중 EU 시장에 대한 중소기업 수출 규모가 가장 큰 산업은 철강(HS72)으로 3억6,810만 달러이며, 뒤이어 철강 제품(HS73) 2억370만 달러 규모로 철강 산업2)이 CBAM 중소기업 수출의 약 93%를 차지하고 있다. 산업별로 볼 때 중소기업의 수출 비중이 가장 큰 산업은 철강 제품(59.9%)이며, 그 뒤를 이어 비료 산업도 53.4%로 비중이 크다.1) 본 자료는 박혜리, 박지현(2021),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한 중소기업 대응 방안 연구』(발간 예정)의 내용을 요약·정리하여 작성하였음.2) 중소기업의 주요 수출품은 철강으로 만든 구조물(HS7308),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 압연제품(HS7208, HS7210) 등임. CBAM 대상 품목에 대한 중소기업의 간접 수출3) 규모는 7억 6천만 달러로 추정되며, 이는 직접 수출(6억 1천만 달러) 규모보다 크다. 중소기업의 간접수출 비중이 높은 산업은 철강 제품과 알루미늄 산업으로, 각각의 비중은 65.6%와 70.9%다.중소기업의 간접수출 비중이 크다는 것은 CBAM의 영향이 국내 중소기업으로 파급될 가능성이 높고 영향범위가 넓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소기업에 대한 CBAM의 영향을 평가하고 지원제도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간접수출을 고려하여 중소기업의 피해 범위를 산정하고 지원 규모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3) 간접수출이란 국내 수출업체가 수출하는 제품의 원자재나 중간재를 공급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출을 의미함[구경현 외(2019), p. 29, 표 1-1 인용].나. 중소기업의 산업별 CBAM 취약성 평가4)중소기업의 산업별 CBAM 취약성 평가는 산업별 중소기업의 비중, 무역 특성, 배출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들을 활용하여 각 산업의 CBAM에 대한 취약 요인을 분석하였다.5)[그림 1]은 각 산업별로 CBAM의 취약 요인(수출에 내재된 탄소집약도, 중소기업 수출 비중, 간접수출 비중)을 고려한 CBAM에 대한 취약성을 나타내며,6) 이를 통해 각 산업의 상대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예시) 철강 가공 제품은 고탄소 산업이지만, 중소기업의 직접 수출 비중이 낮다. 그러나 간접수출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CBAM의 영향이 국내 중소기업으로 파급될 가능성이 높아 CBAM 취약 산업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국내 간접수출 기업에 대한 지원, 탄소감축 지원이 필요한 산업으로 평가할 수 있다.4) CBAM에 대한 취약성 평가는 기발표된 CBAM 입법안에 포함된 품목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향후 CBAM이 확대 적용되고 우리나라의 주요 교역상대국들이 CBAM 유사 조치를 도입할 경우를 가정하여 모든 산업에 CBAM이 적용된 경우를 분석한 결과임(CBAM 취약성 평가에 대한 상세 내용은 2021년 발간 예정인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한 중소기업의 대응방안 연구』 참고).5) 일반적으로 배출집약도와 무역집약도는 무상할당을 결정하거나 탄소누출지수를 산정할 때 고려하는 지표들인데, 배출집약도와 무역집약도가 높은 산업일수록 CBAM으로 피해를 보거나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높음. 6) 탄소집약도가 높을수록(위쪽에 위치할수록), 중소기업 수출 비중이 클수록(우측에 위치할수록) 중소기업 측면에서 CBAM에 취약한 산업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원의 면적이 클수록 간접수출 비중이 큰 산업으로 CBAM의 영향이 국내 중소기업으로 파급될 가능성이 높은 산업이라고 판단할 수 있음.[그림 2]는 주요 산업의 CBAM 취약성 평가지표(수출에 내재된 탄소집약도, 중소기업 수출 비중, 간접수출 비중, 산업의 무역의존도, 중소기업의 생산 비중)를 보여주며, 이를 통해 각 산업의 취약 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고무 플라스틱 산업의 경우 수출에 내재된 탄소집약도는 낮지만, 산업의 무역의존도와 중소기업의 수출 비중이 높고, 직접 수출 대비 간접수출 비중도 높은 편으로 중소기업 측면에서 CBAM에 취약 산업으로 판단된다. 반면 1차 금속산업은 탄소집약도가 매우 높고 무역의존도도 높은 편이지만, 중소기업의 수출 비중과 간접수출 비중은 낮기 때문에 CBAM에 대한 중소기업의 취약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7)중소기업의 산업별 CBAM 취약성 평가 결과 각 산업별로 CBAM에 대한 피해 경로가 다르며, 이러한 피해 경로 및 취약 요인에 따라 산업별로 차별화된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다. 중소기업 수출에 내재된 탄소 배출량 추정중소기업 수출에 내재된 탄소 배출량을 추산8)하여 CBAM이 적용될 경우 산업별로 부담해야 하는 탄소 비용 규모를 파악한 후 취약 산업 순위를 선정했다. 7) 산업별 CBAM에 대한 중소기업 취약성에 대한 보다 정확한 판단은 이어지는 중소기업 수출에 내재된 탄소 배출량 추정자료를 통해 판단할 수 있음. 8) 중소기업 수출에 내재된 탄소 배출량은 산업별 직·간접 수출 자료와 수출 탄소집약도를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산업별 중소기업의 수출에 내재된 탄소 배출량을 각 산업의 중소기업 수로 나누어 산업별로 개별 중소기업의 평균 탄소 배출량을 계산함.[표 3]은 중소기업의 직접 수출과 간접수출에 내재된 산업별 탄소 배출량을 보여주며, 순위는 중소기업의 직·간접 수출을 모두 포함하는 총수출에 내재된 탄소량을 기준으로 중소기업의 수출로 인한 탄소 비용 부담이 가장 많은 산업 순서다.9)수출에 내재된 탄소량이 가장 많은 산업은 철강 가공제품 산업(3,062만 톤)이며, 2위인 기계 산업은 2,100만 톤, 3위인 화학섬유 산업은 1,950만 톤이다. 중소기업의 직접 수출만 고려할 경우 취약 산업 순위가 기계(1,267만 톤), 화학섬유(932만 톤), 전자기기(690만 톤), 철강 가공제품(616만 톤) 순으로 나타난다. 철강 가공 산업의 경우는 국내 간접수출 비중이 크기 때문에 간접수출 요인을 고려했을 때 가장 취약한 산업으로 나타난다.일반적으로 CBAM에 대한 영향분석은 직접 수출만 고려하지만, 간접수출까지 고려할 경우 CBAM 취약 산업 순위가 달라진다. 특히 우리나라는 중소기업의 간접수출 비중이 크기 때문에 중소기업에 대한 CBAM 영향평가 및 대응 방안 마련 시 반드시 간접수출 부문을 고려해야 한다. CBAM에 가장 취약한 산업으로 선정된 철강 가공제품은 현행 CBAM 대상 품목에도 포함되어 있는바, 신속한 대응 및 지원정책 마련이 필요하며, 석탄 및 석유 제품, 1차 금속, 화학섬유 산업은 중소기업당 탄소 배출량이 많은 산업이므로 개별기업 당 탄소중립 지원 규모 확대가 필요하다.9) 이는 중소기업의 직접수출을 통한 탄소 비용뿐 아니라 국내에서 간접수출을 통해 부담해야 하는 탄소량까지 고려했을 때 해당 산업에의 탄소 비용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산업의 순서임. 3. 해외의 중소기업 탄소중립 정책 및 특징 영국, 일본, EU, 미국 등 해외 주요국의 중소기업에 대한 탄소중립 관련 지원정책을 살펴보고, 참고할 만한 정책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영국] 영국의 탄소 감축 관련 중소기업 지원정책은 크게 인프라 지원, 자문(consulting), 연구 지원, 금융 지원, 중소기업 참여, 대기업 연계, 지방정부의 지원 등으로 구분된다.중소기업의 저탄소 공정 전환을 위한 첨단기술 혁신과 에너지 관리 시스템 설치를 지속적으로 지원한다.10) 중소기업의 저탄소 제품 및 서비스 수출을 위한 무역금융을 지원함으로써 중소기업에 국제화 기회를 제공한다.11) ‘비즈니스 기후 허브’ 플랫폼을 통해 중소기업의 온실 가스 감축 컨설팅 등을 지원하고, ‘비즈니스 기후 리더 캠페인’을 시행하여 중소기업이 대기업과 연결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며, 대기업의 중소기업 지원을 촉진한다. 지방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중소기업에 대한 저탄소 전환 지원정책을 시행한다.12)[일본] 일본은 기금 조성,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탄소 저감 지원, 세제 지원, 기업 주도 프로젝트 지원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탄소중립을 지원한다.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조 엔 규모의 녹색 혁신기금을 조성하여 10년간 기업(중소기업 포함)을 지원한다.13) ICT 활용을 통해 중소기업의 탄소 저감을 지원한다.14)탄소중립 건설공정 실현을 위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i-Construction(ICT-assisted construction)’ 도입을 확대(ICT 활용으로 건설 현장의 생산성이 향상되면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CO2 배출량 감소에 기여)한다. 중소기업이 온실가스 감축으로 이어지는 생산설비를 도입하는 경우 법인세 경감 조치를 시행한다. 기업 주도의 탈탄소화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제로 배출 챌린지(Zero-Emission Challenge)’ 프로젝트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사업, 저연비 기술 활용, 차세대 전지 사업 등의 그린 벤처에 자금 지원하며, 탈탄소 사회를 향한 혁신을 위해 노력하는 기업이 민간자금(ESG 투자 포함)을 유치하도록 장려한다.10) EC(2021.3), “Industrial Decarbonization Strategy.”11) Vivid Economics(2019), “Energy Innovations Needs Assessment: Hydrogen and fuel cells.” 12) 지역 중소기업이 에너지 및 물 사용을 줄일 수 있도록 무료 에너지 평가 및 보조금 제공 프로젝트(영국 더럼 카운티), 보조금,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효율 기술 자문을 통한 지역 중소기업의 탄소배출 감축 계획(영국 레스터셔 카운티) 등. Interreg Europe(2020), “Assisting SMEs in the low-carbon transition.” 13) METI(2021.5.31), “Green innovation fund.”14) METI(2020.12.25), “‘Green Growth Strategy Through Achieving Carbon Neutrality in 2050’ Formulated.”[EU] EU는 금융 지원, 탈탄소화를 위한 디지털 전환 지원, 중소기업 전담 자문 지원, 기금 마련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탄소중립을 지원한다.녹색기술을 개발하고 채택하는 혁신적인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 온실가스 감축 기술, 에너지 이용 효율화 기술, 청정에너지 기술 등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채택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 접근성을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15)한다.중소기업의 탈탄소화를 위해 디지털 전환을 지원한다.16) ‘European Skills Agenda’는 기술 협약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친환경 및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중소기업에 녹색 전환을 위한 기술을 보유한 인력이 필요함에 따라 근로자의 녹색 전환을 위한 기술 습득을 지원17)한다.녹색 전환 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 전담 자문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태양광 패널 사용, 에너지효율 등 탈탄소화를 촉진한다. 다양한 기금을 통해 중소기업의 탄소중립을 지원한다. 유럽지역개발기금(ERDF: European Regional Development Fund)은 중소기업에 대한 혁신 및 연구, 디지털화, 중소기업 지원, 친환경 및 저탄소 경제와 같은 주요 우선순위 분야에 투자를 집중한다. 공정전환기금(JTF: Just Transition Fund)은 기후 중립(climate neutrality)18) 전환에 따라 가장 크게 영향받는 지역을 지원하는데, 주로 석탄 생산 근로자가 많은 지역이나 온실가스 집약 산업이 있는 지역에 보조금을 제공하여 녹색 전환을 지원한다.[미국] 미국은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2050년까지 100% 청정에너지 경제와 넷제로 배출 달성을 목표로 탄소중립을 위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을 포함한 기업에 대한 지원도 확대할 예정이다.미국의 모든 주에서 제조 부문의 저 탄소화를 위한 국가전략을 마련해 첨단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저 탄소화를 위한 역량이 향상되도록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2021년 3월에 발표한 ‘American Jobs Plan’을 통해 청정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산업구조 전환으로 영향을 받게 될 제조업과 중소기업에 3,000억 달러를 지원19)한다.2050년까지 넷제로 배출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광범위한 기술 솔루션을 개발·배포하는 중소기업 프로젝트에 대해 자금을 지원한다. 환경 기술의 수출을 지원한다. 국가무역 확대 프로그램(STEP: State Trade Expansion Program)은 중소기업의 수출 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주와 지역에 보조금 지원20)한다. 환경수출금융(Environmental Export Financing)을 통해 에너지효율 기술, 대기오염 기술 등을 수출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단기자금, 중장기 대출 보증, 수출신용보험 등을 지원한다. 15) EC(2020.3), “An SME Strategy for a sustainable and digital Europe.”16) EU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그린 경제로의 전환(녹색 전환) 등을 위해 지속가능성과 디지털화를 위한 역량 구축 및 지원 등이 필요함을 강조[EC(2020. 3. 10), “Questions & Answers: EUROPEAN INDUSTRIAL STRATEGY PACKAGE”].17) EC(2020.7.1), “Questions and answers: European Skills Agenda for sustainable competitiveness, social fairness and resilience.”18) 탄소중립은 이산화탄소뿐 아니라 6대 온실가스 모두의 순 배출을 제로화한다는 개념임.19) The White House(2021.3), “Fact Sheet: The American Jobs Plan.” 20) 한국환경산업기술원(2020), 「해외 진출 지원사업 개편방안 마련 연구」, p. 131.주요국의 탄소중립 관련 지원정책 중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만 구분해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첫째, 탄소중립 관련 중소기업 지원정책 중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는 부문은 금융 지원, 전문가 자문 등이다. 금융 지원은 저탄소 산업구조로의 전환으로 영향을 받을 중소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이나 대출, 녹색 기금 등을 통한 지원이며, 중소기업에 대한 자문 지원은 에너지효율 진단과 설계, 기술 자문 등이다. 영국의 경우 온라인 플랫폼(비즈니스 기후 허브)을 활용한 자문을, EU는 중소기업 전담 자문을 지원한다.둘째, 중소기업의 탈탄소화 및 탄소 저감을 위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고 디지털 전환을 지원한다. EU는 탈탄소화를 위해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역량 구축을 지원, 일본은 건설공정에서 중소기업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ICT 활용을 지원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ICT 기반 탄소 저감 공정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공장 지원제도가 있다.(부표 참고) 셋째, 중소기업의 환경 제품 및 기술에 대한 수출지원 제도를 운영한다. 영국의 경우 중소기업의 저탄소 제품과 서비스 수출을 지원하는 수출 무역금융지원제도가 마련되어 있으며, 미국은 환경 기술의 해외수출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 수출 금융지원제도가 있다. 넷째, 최근 들어 중소기업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기업 주도의 탄소중립 정책이나 프로젝트가 증가하고 있다. 일본의 챌린지 제로 프로젝트는 그린 벤처 중소기업을 포함한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민간자금 유치를 촉진한다. 미국의 경우도 넷제로 배출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개발·보급하는 프로젝트에 중소기업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정부는 프로젝트 자금을 지원한다.마지막으로, 지방정부에 의한 중소기업 탄소중립 지원제도나 프로젝트가 증가하고 있다. 지방정부 차원에서 지역에 속해 있는 중소기업에 대한 저 탄소화 지원, 중소기업의 탄소중립 성과에 따른 지원 등이 마련된다.4. 평가 및 시사점현재 발표된 CBAM 대상 품목의 중소기업 수출 규모는 크지 않지만 CBAM의 확대 적용과 국내 중소기업에 대한 다양한 파급경로를 고려하여 대응 방안 및 지원정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우리 중소기업들의 경우 국내 납품을 통해 간접적인 방식으로 수출 활동에 참여하는 비중이 높은데, CBAM의 직·간접적인 영향 경로를 모두 고려하면 사실상 대부분의 우리 중소기업들은 CBAM의 영향을 받게 된다. 어떤 경로를 통해서든 우리 중소기업들이 탄소중립 요구를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CBAM에 대한 대응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중소기업 탄소중립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향후 CBAM이 복합재, 공급망으로까지 확대될 경우, 국내 중소기업들도 CBAM의 직접적인 규제 대상에 포함되며, 수출기업들은 수출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CBAM 대응 비용과 의무를 하청 업체에 전가하거나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 간접수출을 고려할 경우 중소기업의 CBAM 취약 산업은 직접 수출만 고려했을 경우와 다르게 나타나는 바, 중소기업에 대한 CBAM 영향을 평가하고 적정한 지원제도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간접수출 부문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CBAM 취약성 평가 결과 산업별로 취약 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효과적인 지원정책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각 산업의 취약 요인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지원정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철강 가공 산업은 고탄소 산업이면서 간접수출 비중이 큰 산업이므로 탄소 감축 지원과 국내 중소기업에 대한 피해 지원방안이 고려되어야 하고, 기업당 탄소 배출량이 많은 석탄 및 석유 제품, 1차 금속, 화학섬유 산업 등은 개별 기업당 탄소중립 지원 규모를 확대해야 한다. 국내 중소기업의 CBAM 대응 및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중소기업에 초점을 맞춘 지원정책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현재 국내 중소기업의 CBAM 및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중장기 정책 방향과 추진전략이 미비한 상황이므로 중소기업의 특성과 애로사항을 반영한 대응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향후 개정될 무역 조정 지원요건에 해외 탄소규제로 인한 피해를 포함하고, ‘중소기업 전담 CBAM 자문 기관’ 신설, 주무 부처를 중심으로 한 ‘중소기업 CBAM 대응반’ 운영을 고려할 수 있다. 중소기업 CBAM 대응 가이드 라인, 중소기업의 배출량 보고역량 강화 컨설팅, 중소기업의 탄소배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다.최근의 해외 중소기업 탄소중립 정책을 살펴보고 참고할 만한 유용한 사례를 발굴하는 것도 중요하다.우리나라의 탄소중립 관련 중소기업 지원정책은 주로 공정개선과 설비보급 등 인프라 구축 지원과 금융 지원, 전문가 자문 등이다.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기업 주도의 탄소중립 프로젝트나 중소기업의 탄소중립 참여를 유도하는 지방정부의 제도 및 지원도 미미한 실정이며, 중앙정부의 탄소중립 관련 중소기업 지원정책도 중·단기성 사업 위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해외 주요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중소기업에 대한 탄소중립 관련 정책 중 △ 중소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기업 주도 탄소중립 정책 △ 중소기업의 환경 제품 및 기술에 대한 수출지원제도 △ 저 탄소화를 위한 ICT 활용 또는 디지털 전환 지원 △ 지방정부의 탄소중립 지원제도 및 프로젝트 확대 △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협력 강화 등은 참고할 만한 사례들로, 정책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자료제공: KIEP
취재부 2021-12-15
기사제목
- 플라스틱 주방용품 수입 규모 연평균 5.6%로 성장세 유지 - 차별화된 품질과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플라스틱 주방용품 시장 공략 필요시장동향 및 수입 규모플라스틱 주방용품(HS Code: 392410)은 가볍고 파손될 우려가 적어 영·유아 또는 반려동물이 있는 가정에서 선호하는 편이며, 캠핑을 자주 즐기는 소비자들에게 주요 캠핑용 식기구로 꼽히기도 한다. 최근 플라스틱 주방용품은 실용성뿐 아니라 감각적인 디자인까지 갖춰 장식용 또는 개인 소장을 위해 구매하는 소비자도 생겨났다.대만 경제부 통계처는 플라스틱 주방용품을 ‘용기’와 ‘식기’로 구분해 통계자료를 정리하고 있다. 경제부 통계처 자료에 따르면, 플라스틱 주방용품의 판매액은 지난 5년간(2016~2020년) 연평균 3.6% 성장했으나, 2020년에는 224억 대만달러(한화 약 9531억 원)로 전년대비 4.7% 하락했다.2020년 기준으로 플라스틱 주방용품의 제품별 시장규모를 살펴보면, 플라스틱 용기가 79.6%, 플라스틱 식기가 20.4%로 용기 제품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최근에는 편의점 및 커피 브랜드에서도 플라스틱을 사용한 주방용품을 출시하고 있다. 대만 편의점 체인 세븐일레븐은 디즈니와 스누피 캐릭터가 그려진 플라스틱 컵과 도시락 용기를 출시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외식보다 가정 내 조리 수요가 증가하면서 도시락을 싸서 다니는 회사원과 학생들이 많아진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커피 브랜드인 스타벅스는 일회용 컵 사용으로 인한 탄소 배출을 줄이고자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다회용 컵을 출시해 소비자의 이목을 끌었다. 해당 제품을 통해 친환경 프로젝트에 동참하면서 특유의 스타벅스 로고가 그려진 다회용 컵을 소장할 수 있는 점이 소비자 구매 욕구를 높인 것으로 보인다.HS CODE 3924.10 기준으로 플라스틱 주방용품 수입 규모를 확인한 결과, 지난 5년간 연평균 5.6%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2018년에 4,000만 달러를 돌파한 수입액은 2019년에 3,618만 달러로 다소 감소했으나, 2020년에는 전년대비 3.4% 증가하며 3,744만 달러를 기록했다.전체 플라스틱 주방용품 수입에서 중국, 일본 등 5대 수입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87%다. 2020년 기준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59%로 가장 높고, 일본(12.1%), 태국(5.5%)이 뒤를 이었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100만 달러대를 유지하다가 2020년에 전년대비 두 배 가까이 늘어난 203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4위에 올랐다. 통관 및 유통플라스틱 주방용품 관세율은 5%이며, 부가가치세 5%가 부과된다. 플라스틱 주방용품은 「식품 및 관련 제품에 대한 수입검사 방법(F01), (F02)」에 따라 제품 수입 시, 대만 위생복리부 식품약물관리서(대만FDA)의 수입검사를 받을 수 있다.플라스틱 주방용품은 일반적으로 대형 마트(Carrefour, RT-mart, Costco 등), 슈퍼마켓(POYA, Wellcome, Pxmart 등)이나 백화점(Shin Kong Mitsukoshi, Breeze, Sogo 등)에서 유통되며, 온라인 쇼핑몰(Shopee, PC Home, momo, etmall 등)에서도 활발하게 판매되고 있다.2020년 기준, 주방용품(플라스틱 주방용품 포함)의 오프라인 매장 유통 비중은 89%에 달했으며, 온라인 유통은 11% 수준이다. 따라서 대만 소비자는 오프라인 매장을 통한 구매를 선호하는 편으로 파악된다.경쟁 동향대만 시중에는 저렴하면서도 실용성 있는 다양한 디자인의 플라스틱 제품이 출시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플라스틱 주방용품이 인기다.온라인과 생활용품 잡화점, 마트에서 판매되는 노브랜드 제품은 주로 중국이나 대만제품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며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편이다. ‘IKEA’, ‘DAISO’, ‘NITORI’, ‘I color’와 같은 가구 및 생활용품 체인점은 지역별로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고 직접 보고 구매할 수 있으며 가격도 노브랜드 제품만큼 저렴하다. 이밖에 한국 제품인 ‘락앤락’, ‘센스’, ‘네오플램’, ‘나인웨어’도 대만 온·오프라인에서 활발하게 유통 중이다. 한국 브랜드 제품의 경우, 다른 제품에 비해 저렴한 편은 아니나 FDA, KCL, SGS와 같은 국제 인증을 취득해 대만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였다.몇몇 해외 브랜드의 제품 원산지가 ‘중국’, ‘베트남’, ‘태국’으로 표기된 것을 보아 해당 브랜드 제품은 제조국에서 대만으로 직접 수입되는 경우가 비교적 많은 것으로 확인된다.시사점대만 시중에는 저렴하면서도 실용성 있는 다양한 디자인의 플라스틱 제품이 출시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플라스틱 주방용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대만 소비자는 오프라인 구매를 더 선호하기 때문에 제품 마케팅을 위해 대형매장뿐 아니라 마트, 식료품점을 타깃으로 배너 홍보, 할인쿠폰 제공과 같은 마케팅 전략도 고려해 볼 만하다.플라스틱 주방용품을 직접 수입 중인 C사는 “대만은 LocknLock, IKEA, DAISO 등의 해외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가 높기 때문에 현지 바이어가 새로운 제품 수입을 고려할 때 차별화된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중요하게 고려한다”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대만 플라스틱 주방용품 시장에 진출하기 전에 경쟁사 제품 정보, 가격 등을 사전에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ISO9001, SGS, KCL과 같은 국제 인증을 취득한다면 현지 소비자와 수입 업체에게 제품을 어필하고 신뢰도를 높이는 게 더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자료: 대만 경제부 통계처, 재정부 관무서, 유로모니터, 7-Eleven Taiwan, Starbucks Taiwan, momo, PC home, Shopee, TEST RITE RETAIL, IKEA, LocknLock, NITORI, KOTRA 타이베이무역관 종합자료제공: KOTRA
편집부 2021-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