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현대보테코

정책과 동향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 산업계, 전문가, 소비자단체가 함께 폭넓은 의견수렴을 통해 재포장 세부기준을 마련… 폐비닐 연간 2.7만 톤, 전체 폐비닐의 8% 감축 예상- 산업계·환경부, 재포장을 줄이기 위한 자발적 협약 연이어 체결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산업계, 전문가, 소비자단체로 구성된 협의체에서 합성수지 재질의 재포장을 줄이기 위한 적용대상과 예외기준을 9월 21일 마련했으며, 이번 확대협의체안에 대한 국민 의견*을 수렴한 후 세부기준(안)을 행정 예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민생각함(www.epeople.go.kr/idea) ‘20.9.21.(월)~9.25.(금)환경부는 올해 6월 재포장을 줄이는 제도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해 현장의 산업계, 전문가와 소비자단체로부터 의견을 더 들은 후 세부기준(안)을 마련하고 합의하는 과정을 거치기로 하고, 7월부터 분야별 협의체*(분야별 각각 2회)와 확대협의체**(4회)를 운영하였다.* 4대 분야(식품제조업, 기타 제품 제조업, 유통업, 소비자단체) 92개 기관 참여** 산업계 10, 전문가 5, 소비자단체 2 등 17개 기관으로 구성이번 재포장 세부기준은 분야별 협의체를 통해 산업계 등 각 분야에서 먼저 세부기준안을 제시·제안하였고, 이를 토대로 확대협의체에서 함께 논의하여 마련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우선, 재포장 줄이기 적용대상은 △ 판매과정에서 추가 포장하거나, △ 일시적 또는 특정 유통채널을 위한 N+1 형태, 증정·사은품 제공 등의 행사 기획 포장 또는 △ 낱개로 판매되는 제품 3개 이하를 함께 포장하는 경우 가운데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서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시트로 최종 포장하는 것으로 정했다.※ 함께 재포장하지 않고 낱개로 판매‧제공하거나, 띠지·고리 등으로 묶는 경우는 재포장 줄이기 적용대상이 아님다만, 이 경우에도 △ 1차 식품인 경우, △ 낱개로 판매하지 않는 제품을 묶어 단위제품으로 포장하는 경우, △ 구매자가 선물포장 등을 요구하는 경우, △ 수송·운반·위생·안전 등을 위해 불가피한 경우 등은 예외로 하기로 했다.시행시기는 내년 1월부터로 하되, 포장설비 변경, 기존 포장재 소진 등을 감안해 3개월의 계도기간을 부여하고, 중소기업 등에 대해서는 내년 7월부터 시행하는 등 탄력적으로 적용하기로 했다.이 제도가 시행되면 연간 2만7천여 톤, 전체 폐비닐 발생량(2019년 34만1천여 톤)의 약 8.0%에 달하는 적지 않은 양을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비대면 일상화, 온라인 유통 확대로 포장 폐기물 지속 증가 추세- 최근 10년간 생활계 플라스틱은 약 70%, 합성수지 포장재는 약 100% 증가- 20.上 전년 대비 비닐류 11.1%, 플라스틱류 15.6%, 종이류 29.3% 증가확대협의체는 이번 기준의 내용이 구체적이기 때문에 적용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향후 재포장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불명확한 사례가 생길 수도 있다고 보고, 이를 판단하기 위해 산업계, 전문가, 소비자단체 등이 참여하는 심의절차도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아울러, 재포장과 관련하여 산업계의 문의에 응대하기 위해 포장검사 전문기관(한국환경공단 전화 032-590-4911)을 통해 전문적인 상담을 제공할 계획이다.한편, 환경부와 산업계는 제도 시행에 앞서 자발적 협약을 연이어 체결하여, 선제적으로 재포장을 줄이기로 했다.지난 9월 4일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유통·제조·수입업계*와 자발적 협약을 체결하고, 행사 기획 등 목적의 과도한 포장을 자제하기로 한 바 있으며, 올해 10~12월동안 156개 제품의 포장 폐기물 298톤을 감축할 계획이다.* 유통업계 3개사: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제조·수입업계 7개사: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애경, 유한킴벌리, 한국피앤지, 로레알 코리아, 헨켈홈케어코리아 또 식품기업 23개사*와 협약을 체결하여 1+1, 2+1, 사은품 증정 등을 위한 재포장을 자제하고 띠지, 고리 등을 사용해 포장재 감량을 추진하며, 포장 재질 개선방법도 적극 강구하기로 했다.* 라면류 4개사: 농심, 삼양식품, 오뚜기라면, 팔도, 제과류 4개사: 롯데제과, 오리온, 크라운제과, 해태제과, 유제품·음료류 8개사: 남양유업, 동서식품, 롯데칠성음료, 매일유업, 빙그레, 삼육식품, 서울우유, 정식품, 장류·두부류·기타 7개사: 대상, 사조대림, 샘표식품, 씨제이제일제당, 오뚜기, 풀무원, 한국인삼공사이번 협약 참여기업들은 총 147개 제품의 포장 및 용기를 개선함으로써 올해 10~12월동안 지난해 해당 제품을 생산하는 데 소요된 비닐 사용량(분기 평균 749톤)의 약 29.6% 수준인 222톤을 감축하고, 그 외 플라스틱, 종이 등도 745톤을 줄일 계획이다.또한, 환경부는 이번 합성수지 재포장을 줄이는 제도 이외에도 포장 폐기물을 줄이기 위해 다각도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먼저, 음식 배달 용기에 대해서는 포장·배달 업계*와 지난 5월 29일 용기 규격화로 용기 개수를 줄이고, 두께를 최소화하는 등 용기를 경량화하여 플라스틱 사용량을 20% 줄이기로 자발적 협약을 체결하였으며, 이에 대한 이행 여부를 지속해서 점검할 예정이다.* 협약기관: 환경부, 한국플라스틱포장용기협회, 한국프랜차이즈협회, 배달의민족, 자원순환사회연대또 택배 배송 등을 위한 수송 포장에 대해서는 현재 법적 기준이 없는 상황으로 제품 포장과 같이 포장기준을 마련하고, 택배 배송 시 사용하는 종이상자 등을 다회용 포장재로 전환하는 시범사업도 올해 중으로 추진할 계획이다.아울러, 내년부터 순환이용성 평가제도*를 활용하여 과도하거나 재활용이 어려운 포장에 대해 평가하고 필요 시 개선을 권고한다.* 제품 등이 폐기물로 되는 경우 재활용‧재사용 등 순환이용성을 평가하는 제도평가항목: ① 순환이용·적정처분 가능성 ② 폐기물로 되는 경우 중량·부피·재질 및 성분 ③ 유해물질의 종류와 양 ④ 내구성이영기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산업계와 소비자단체 등이 함께 머리를 맞대 재포장 세부기준을 만든 만큼, 이번 기준을 충실히 반영하여 고시를 제정하겠다”라면서, “비대면 활성화로 포장재 등 폐기물 발생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지속 가능한 자원순환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산업계 및 국민 모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재포장 줄이기 세부기준 적용 대상 예시 >증정·사은품 제공 등 행사 기획을 위해 합성수지 필름·시트로 함께 포장, 낱개 판매제품 3개 이하를 합성수지 필름·시트로 함께 포장※ 함께 재포장하지 않고 낱개로 판매‧제공하거나, 띠지·고리 등으로 묶는 경우는 재포장 줄이기 적용대상이 아님< 음식 포장‧배달 플라스틱 감량 자발적 협약 추진 내용 >
편집부 2020-10-13
기사제목
- 화상상담 16,000 건 넘기며 30배 늘어… 플랫폼 입점도 4배↑“코로나19로 과거 수출 마케팅 방식은 통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코로나19 이후, 세계는 새 시대로 접어들었다. 어느 분야, 어느 산업이든 새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접근법을 요구받고 있다. 글로벌 교역에서도 전시회, 무역사절단, 바이어 초청 상담 등 전통적 마케팅 활동이 어려워지며 새로운 돌파구가 절실하다.KOTRA(사장 권평오)는 3월부터 코로나19 대응 태세로 전면 전환해 신규 서비스를 시행해 왔다. ▲ 화상상담 ▲ 온라인 플랫폼 입점 ▲ 긴급 지사화 ▲ 온라인 전시관 ▲ 글로벌 소싱 다변화 등 ‘비대면’ 사업을 도입하면서 새로운 수출길을 열고 있다.KOTRA가 새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수출길을 열고 있다. KOTRA는 3월부터 코로나19 대응 태세로 전면 전환해 ‘비대면’ 서비스를 시행해오고 있다. 권평오 KOTRA 사장(오른쪽)이 온라인 무역상담 현장을 방문해 거래 논의 중인 바이어와 화상으로 인사를 나누고 있다.지난 6개월간 활동을 점검한 결과, KOTRA는 비대면 방식으로 우리 중소·중견기업 16,309개사를 추가 지원했다. 계약은 1,490건으로 5.99억 달러 수출 성과를 냈다.<’19~’20 KOTRA 대표 ‘비대면’ 서비스 성과>▶ 화상상담KOTRA는 대표적 원격·비대면 해외 마케팅 서비스인 화상상담을 통해 중소·중견기업 6,160개사를 지원했다. 우리 기업이 바이어와 진행한 상담은 현재 16,594건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558건에 비하면 30배에 달할 만큼 상담 규모가 대폭 늘어났다.▶ 온라인 플랫폼 입점코로나19로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대한 관심이 한층 뜨겁다. KOTRA는 기업-소비자 간 거래(B2C) 방식으로 우리 기업이 글로벌 온라인 플랫폼에 입점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서비스를 받은 기업은 1,252개로 지난해 590개에 비해 두 배 넘게 늘어났다. 이중 입점에 성공한 기업은 644개사로 작년 168개사와 비교해 3.8배 증가했다.▶ 긴급 지사화‘지사화(化)’는 국외 출장이 쉽지 않은 우리 기업을 대신해 KOTRA 직원이 현지에서 해외 지사 임무를 수행하는 서비스다. 하늘길이 막히면서 발생하는 판로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KOTRA는 3월 ‘긴급 지사화’ 서비스를 도입했다. 긴급 지사화 사업에는 495개 수출기업이 가입해 2억 달러 성약이 창출됐다.4월, KOTRA는 코로나19에 맞서 1만 개 중소·중견기업의 해외 지사가 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에 긴급 지사화뿐 아니라 내수기업 전용 지사화, 온라인 지사화로 사업을 세분화했다. 7월 시작된 온라인 지사화 서비스에는 3,068개사가 몰려 6,500만 달러 성약이 나왔다. 9월 현재 ‘지사화’ 서비스에 가입한 수출기업 수는 모두 8,762개다.한편 KOTRA는 새 시대의 새로운 수출길을 넓히기 위해 기존 무역·투자 진흥 서비스를 혁신하고 있다. 고객, 사업, 업무 등 세 분야로 나눠 KOTRA형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 중이다. ▲ 새로운 고객가치와 경험을 창출하고 ▲ 새로운 사업 모델로 무역·투자 생태계를 구축하며 ▲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기 위한 로드맵이 올해 안에 수립될 예정이다. 2021년부터는 디지털 전환에 본격 돌입한다는 각오다.권평오 KOTRA 사장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수출 마케팅 서비스를 긴급 편성해 6개월간 우리 기업을 지원해왔다”며, “앞으로는 시장별 수요·소비 패턴 변화에 맞춘 서비스를 강화해 ‘뉴노멀’을 우리 수출이 도약하는 기회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관리자 2020-10-13
기사제목
- 국내 72개 부품사 참가… 스웨덴 기업과 온라인 세미나·상담72개 부품사가 스웨덴 제조업 가치사슬 진입을 위한 전략을 찾는다. KOTRA(사장 권평오)가 부산테크노파크와 9월 18일까지 ‘글로벌파트너링(GP) 스웨덴’을 열었다.GP는 우리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가치사슬에 들어갈 수 있도록 KOTRA가 해외 협력 수요를 발굴해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 처음 열린 ‘GP 스웨덴’은 북유럽 제조 강국 스웨덴 시장을 공략하려는 한국기업을 위해 마련됐다.9월 10일에는 ‘포스트 코로나 북유럽 자동차 시장전망 및 글로벌 소싱전략 설명회’가 열렸다. 연사로 나선 스웨덴자동차산업협회의 마티아스 베리만(Mattias Bergman) 대표는 북유럽 자동차산업의 메가트렌드와 미래 공급체인 변화를 안내했다.웹세미나에 참가한 S사는 “친환경차 시대 자동차 부품사의 글로벌 진출전략을 고민하고 있다”며, “앞으로 스웨덴 기업과 협력을 모색할 예정이다”고 말했다.우리 참가사는 스웨덴 글로벌 기업과 온라인 상담도 진행했다. KOTRA는 볼보, 에스케이에프를 비롯해 현지 1‧2차 협력업체 및 유통기업의 협력 수요를 발굴했다. 한국기업은 단순 부품공급뿐 아니라 공동 연구개발, A/S 마켓 입점 등 다양한 진출방식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볼보의 구매 담당자는 “탄소 감축을 목표로 전기차 생산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혀 우리 기업은 전기차 가치사슬 진입도 노릴 수 있다.김상묵 KOTRA 혁신성장본부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글로벌 기업과 전략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며, “GP 스웨덴을 계기로 글로벌 기업의 협력 수요를 보다 많이 발굴해 우리 기업의 기회를 계속 창출하겠다”고 밝혔다.문의: KOTRA 소재부품팀 최규철 팀장 (02-3460-7631, 010-5328-6927)KOTRA 부산지원단 김하중 사원 (051-740-4155, 010-6330-9826)KOTRA 스톡홀름무역관 최병훈 관장 (+46-8-1210-4511, +46-70-878-6438)
편집부 2020-10-11
기사제목
- 사례별 분리배출 방법 대국민 홍보 강화환경부(장관 조명래)는 국민들이 제품‧포장재를 쉽게 분리배출 할 수 있도록 재질 중심에서 배출방법 중심으로 분리 배출표시를 바꾼다.환경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포장재 재질구조 등급표시 및 분리배출 표시에 관한 고시’ 개정안을 9월 10일부터 20일간 행정예고 하고, 국민과 관련 업계의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또한, 올바른 분리배출을 이끌기 위해 틀리기 쉬운 분리배출 사례를 그림으로 정리하여 지속적으로 알리고, 분리 배출표시 의무 대상 제품·포장재의 분리 배출표시 여부 등을 지자체, 한국환경공단과 함께 9월 15일부터 약 2주간 집중적으로 조사한다.이에 따라 현재 분리 배출표시에서 쓰이는 ‘철’, ‘알미늄’,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의 재질명과 함께 ‘깨끗이 씻어서’, ‘라벨을 떼서’ 등 배출방법도 표기하도록 변경된다. 분리 배출표시의 심벌마크 크기도 확대(8㎜→12㎜)하여 보다 쉽게 분리 배출방법을 알 수 있도록 개선한다. 현행 분리 배출표시 상 플라스틱, 비닐, 캔의 경우에는 재질*을 표기하지만, 국민들이 세부적인 배출방법을 일일이 알기 어려워 적정한 분리배출을 유도하는데 실효성이 높지 않았다. * ▲ 플라스틱, 비닐: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티렌(PS), 기타(OTHER), ▲ 캔류: 철, 알미늄< 분리 배출표시 도안 변경(안) >이번 행정예고에 앞서 진행한 대국민 온라인 설문조사*에서도 ‘분리 배출표시 개선 필요(72.3%)’, ‘분리 배출표시가 도움은 되나 실효성 부족(66.9%)’, ‘분리 배출표시 크기 확대 필요(68.6%)’ 등 분리 배출표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국민권익위의 온라인 설문조사 플랫폼 “국민생각함” 이용(‘20.7.27∼8.10)환경부는 업계부담을 줄이기 위해 2021년까지 기존 도안과 변경된 도안을 모두 허용하여 순차적으로 도안을 개선하고, 이번 행정예고를 통해 폭넓게 의견을 수렴한 후 개정안을 최종확정할 계획이다.한편, 환경부는 재활용품이 적정하게 분리 배출되어 재활용 과정에서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품목별 분리배출 방법, 재활용품으로 잘못 배출되는 사례를 그림으로 정리하여 8월 말 전국 공동주택에 배포했다.< 품목별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 >또한, 지자체와 함께 사회관계망(SNS) 등 다양한 온라인 소통창구를 통해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을 지속적으로 홍보할 예정이다.< 일반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하는 품목(예시) >아울러, 제1기 자원관리 도우미들이 9월부터 공동주택 재활용 현장에 배치되어 올바른 분리배출 홍보와 분리배출 지원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추가모집 중인 제2기 자원관리 도우미도 9월 말까지 투입하여 총 1만여 명이 현장에서 활동하게 된다.환경부는 전국 지자체, 한국환경공단과 함께 9월 15일부터 약 2주간 제품·포장재, 배달 용기에 대해 분리 배출표시 의무 준수 여부 등을 집중 조사한다. 분리 배출표시는 ‘분리배출 표시에 관한 지침’에 따른 적정 도안을 사용해야 하며, 제품·포장재의 정면·측면 또는 바코드 상하좌우에 심벌마크 크기를 8㎜ 이상으로 표시하는 것이 원칙이다.분리 배출표시 의무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한국환경공단의 승인을 받아야 하나, 복합재질의 플라스틱 제품(문구‧완구류 등), 합성수지가 코팅된 종이 등 임의로 분리배출 표시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어 이를 자세히 살필 예정이다.이영기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재활용품으로 옷, 가방, 화장품 용기 등을 만드는 고품질 재활용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배출단계부터 올바로 분리 배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라면서, “이번 분리 배출표시 개정은 국민들이 보다 쉽게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제도의 본래 취지를 최대한 살리는 것으로, 행정예고 등으로 보다 많은 국민들과 업계 의견을 수렴하여 개선안을 확정하겠다”라고 말했다.
편집부 2020-10-04
기사제목
-‘울산기술강소기업 허브화(2019~2028)’ 추진 일환… 기업체 간담회도 함께 개최  울산시(시장 송철호)와 울산테크노파크(원장 차동형), 이전 기술강소기업(11개사)은 지난 9월 1일, 울산테크노파크 대회의실에서 ‘기술강소기업 연구개발 지원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협약 내용에 따르면, 이전 기술강소기업 11개사는 4차 산업혁명 선도도시 육성과 기술 중심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적극 노력하기로 했으며, 울산시와 울산테크노파크는 이전 기술강소기업이 울산에 정착, 성장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지난해부터 울산시는 ‘기술강소기업 허브화’를 시정 10대 핵심과제로 추진하였고, 기술력이 뛰어난 기술강소기업의 울산 이전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조례·규칙을 개정하고, 보조금 지원 지침도 정비하였다.울산시와 울산테크노파크 등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협업과 노력, 투자유치 활동으로 지난해 기술강소기업 54개사를 유치, 일자리 129개를 창출하였다.또한, 올해는 울산지역으로 이전을 희망하는 기술강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강소기업 유치지원사업’을 추진, 주력산업과 신산업 분야를 대상으로 최종 11개사를 선정하여 기업별 최대 8,000만 원(총사업비 6억 7,000만 원)의 연구개발자금을 지원하였다.이번에 선정된 기업들은 ㈜대륙신소재, 바론코리아(주), ㈜벡셀, ㈜씨이엔나노, ㈜아이디케이, ㈜에스에스테크, ㈜에이블이엔씨, ㈜엠티지, ㈜유엔티, ㈜코마스솔라, ㈜태강 등으로 본사 5개사, 공장 2개사, 기업부설 연구소 4개사가 울산지역으로 이전(예정)하였고, 앞으로 울산이 기술강소기업 허브화로 도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된다.울산시는 앞으로도 고부가 지식서비스산업 기업 유치, 울산경제자유구역과도 연계하여 수소산업, 미래자동차산업, 바이오헬스산업, 3D프린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력을 갖춘 기술강소기업을 중점 유치할 계획이다.울산시 관계자는 “오늘 양해각서(MOU) 체결을 통하여, 울산이 기술강소기업 허브화로 도약하는 데 발판이 마련되었다”라면서, “울산시는 기술강소기업을 위한 연구개발자금 지원뿐만 아니라, 집적화 단지 및 입주공간 조성과 대기업-중소기업의 건전한 산업생태계 등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지원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양해각서 체결 후에는 울산테크노파크 주관으로 기술강소기업 유치 및 육성을 위해, 기술강소기업의 애로사항과 의견을 청취하는 기업체 간담회가 열렸다.
편집부 2020-10-04
기사제목
- 5개 거점대학을 선정하여, 3년간 228억 원 투입- 반도체·기계 등 5개 특화분야 기술개발, 기술자문, 실증평가 등 소부장 기업 집중 지원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지난 9월 11일(금), 「소부장 혁신 연구소(랩) 출범식」을 온라인으로 개최하고, 지역별로 특화된 소부장 기술혁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 소부장 혁신 연구소 출범식 개요 >- 일시/장소: ’20.9.11(금) 온라인 간담회(14시, 화상회의) / 현판식(14:50, 전북대)- 참석: 산업부 소재부품장비협력관, 산기평 소재부품정책단장, 혁신연구소 센터장 및 관계자 등 20여 명이 사업은 지역에 소재한 소재·부품·장비 전문기업의 기술 역량을 높이는 한편, 지역 내 소부장 고급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추진한다. 5개 권역별 소부장 특화 분야에 연계하여 5개 거점대학을 “소부장 혁신 연구소”로 선정하고, 기술이전 방식의 연구개발과 기술자문, 대학 보유 장비 지원 등 지역에 특성화된 서비스를 대학과 연계하여 지원하는 사업이다. 산업부는 혁신 연구소로 선정된 5개 대학에 ‘20년 42억 원을 포함하여 3년간 총 228억 원을 집중 투입할 예정이다.※ 5개 권역: ① 수도권, ② 충청·강원권, ③ 호남·제주권, ④ 경북권, ⑤ 경남권산업부는 그간 지역 내 수요조사, 전문가 의견 수렴 및 온라인 공청회 등을 거쳐 권역별 지원 분야를 선정하였고, 연세대, 순천향대, 전북대, 경북대, 울산과기원 등 최종 5개 거점대학(혁신 연구소)을 선정하였다. 수도권에서는 연세대를 중심으로 차세대 반도체 박막공법인 원자층증착(ALD) 관련 소재·부품을, 충청·강원권은 순천향대를 중심으로 퀀텀닷 유기발광다이오드(QD-OLED용 발광체 잉크 소재와 잉크젯 인쇄 장비 개발을 수행한다. 또한, 호남·제주권(전북대)에서는 의료·광산업 분야에 활용할 나노탄소복합소재, 경북권(경북대)에서는 전기차용 복합성능 모터 및 배터리관리시스템, 경남권(울산과학기술원)에서는 친환경차용 초경량 고내식성 마그네슘 개발에 나선다.  < 선정 현황 >이번에 혁신 연구소로 선정된 대학은 참여기업과 공동으로 기술개발 및 이전을 추진하는 한편, 권역 내 소부장 기업에 대해서는 기술자문, 장비·인력 지원 등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혁신 연구소는 권역 내 기업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수요조사 등을 통한 1:1 기술자문 등을 추진하며, 소통 기반 구축을 통한 지속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지역의 32개 공공연구기관으로 구성된 “소부장 융합혁신지원단”과도 연계하여 지역 내 대학과 연구소가 힘을 합쳐 소부장 기업을 지원하도록 할 방침이다.산업통상자원부 박동일 소재부품장비협력관은 “혁신 연구소 사업이 지역 내 대학과 기업들의 소부장 혁신역량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성과 창출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편집부 2020-10-04
기사제목
- 상반기 생산은 전년 대비 3.6% 감소한 10,396천 톤, 수요는 12.1% 감소한 4,935천 톤, 수출은 6.6% 증가한 6,154천 톤 기록 국내 석유화학 업계는 올 하반기 생산·수출 감소를 전망했다.한국석유화학협회의 ‘2020년 상반기 석유화학 수급 현황 및 하반기 전망’에 따르면, 상반기에는 생산이 전년 대비 3.6% 감소한 10,396천 톤, 수요는 12.1% 감소한 4,935천 톤을 기록했으며, 수출의 경우 합섬원료와 합성고무가 감소하였으나, 합성수지 수출이 크게 증가해 전년 대비 6.6% 증가한 6,154천 톤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한편 하반기 생산은 일부 설비 가동중단 및 폐쇄로 인한 생산 감소로 전년 대비 0.2% 감소한 10,735천 톤을, 수출은 생산 감소와 코로나19에 의한 불확실성 지속으로 글로벌 수요가 침체되어 전년 대비 1.5% 감소한 5,939천 톤을 기록할 전망이며, 수요는 국내 주요 전방산업 경기 둔화 및 민간소비 심리 부진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에 그친 5,459천 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국내외 경제 동향 및 전망2020년 국내 경기는 코로나19 글로벌 확산의 영향으로 금년 상반기 중 크게 위축되겠으나, 민간소비와 상품 수출의 부진이 점차 완화되면서 완만하게 개선 예상된다.* 국내 GDP 전망(%) : (’19) 2.0 → (’20e) -0.2 → (’21e) 3.1현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순환변동치는 2020년 1월을 정점으로 하락 추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경기 방향성을 예고해주는 선행지수순환변동치가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어 소비 확대에 부정적 영향의 가능성이 보인다.* 동행지수순환변동치(p): (’20.1) 100.4 → (2) 99.8 → (3p) 98.6 → (4p) 97.3 → (5p) 96.5* 선행지수순환변동치(p): (’20.1) 100.3 → (2) 100.2 → (3p) 99.6 → (4p) 99.2 → (5p) 98.9민간소비는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부진하나, 정부 정책 등으로 소득 여건이 다소 개선되면서 하반기에 증가세로 전환될 전망이며, 설비투자는 비 IT 부문 회복 지연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등 IT 부문을 중심으로 소폭 증가가 전망된다. 또한, 건설투자는 민간부문의 부진이 이어지면서 조정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설비투자지수(계절조정지수): (’20.1) 107.0 → (2) 102.3 → (3p) 110.0 → (4p) 115.1 → (5p) 108.3* 건설기성 증가율(경상, 전년 대비, %): (’20.1) -5.0 → (2) 6.9 → (3) 4.6 → (4p) -2.3 → (5p) -4.9상품 수출은 코로나19 글로벌 확산으로 감소 전환되나, 각국 경제 활동이 점차 재개되면서 하반기부터 완만하게 개선이 전망된다.* 수출 증가율(전년 대비, %): (’20.1) -6.6 → (2) 3.5 → (3) -1.6 → (4) -25.5 → (5) -23.7 → (6) -10.9세계 경제는 금년 상반기 중 코로나19 확산과 이에 대응한 각국 봉쇄조치 영향으로 성장세가 크게 위축되었으며, 국가별로 코로나19 사태 전개 양상이 다르게 진행되면서 글로벌 경기 회복속도는 완만할 전망이다. 선진국 경기의 경우, 미국은 상반기 중 크게 위축된 후 완만하게 개선될 전망이며, 유로존은 경기침체 정도가 주요국 중 가장 심각한 가운데 회복속도도 더딜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은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경기침체가 심화되면서 회복이 지연될 전망이다.신흥국 경기의 경우, 코로나19 전개 양상에 따라 국별로 경기침체 정도 및 향후 개선 속도가 차별화된 모습을 나타낼 전망이며, 중국은 1/4분기 충격에서 벗어나 정부의 적극적 내수부양정책에 힘입어 개선 흐름이 예상된다.주요 전방산업 동향 및 전망건설산업은 코로나19 영향으로 하반기 이후 민간 수주에 부정적 영향 가시화가 예상된다.* 건설투자(전년 대비): (’19.1Q) -8.0% → (2Q) -2.7% → (3Q) -2.2% → (4Q) 3.2% → (’20.1Q) 4.5%- 상반기: 기저효과, 공공 발주 지연, 코로나19 영향으로 3월 이후 수주 감소세 전환- 하반기: 민간 부분 부진이 이어지면서 조정 흐름 지속 예상내구 소비재 성격을 지닌 가전제품은 코로나19와 해외생산 확대 영향으로 생산 감소세가 예상된다. - 상반기: 코로나19 이후 수요 부진으로 생산 감소하였으나, 정부의 가전 보조금 지급 정책으로 감소 폭 완화- 하반기: 해외생산 확대 및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위축으로 감소세 지속 전망언택트 문화 확산 및 신제품 수요 호조로 생산 증가가 예상된다.- 상반기: 수출 및 내수 확대로 전년 대비 증가했는데, 비대면 사회 도래에 따른 데이터센터용 SSD 수요 증가가 견인- 하반기: 5G 확산에 따른 기기 수요 증대 등으로 생산 증가섬유산업은 내수 및 수출 부진과 국내 투자 감소, 생산기반 약화로 감소가 전망된다.- 상반기: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부진으로 국내외 섬유 수요가 감소하여 업황 침체 지속- 하반기: 내수 및 수출 둔화, 해외생산 확대와 수입증가로 생산부진 지속자동차산업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위축되어 역성장이 전망된다.- 상반기: 코로나19 초기 중국 부품공급 차질 및 해외 수요 감소로 생산 급감- 하반기: 일부 업체 생산 조정과 수출 및 내수 부진으로 감소 전망되나, 신규 차종 생산 등 긍정 요인으로 상반기에 비해 크게 회복상반기 국내 수급 현황 및 하반기 전망1) 개요(3대부문 기준)상반기 생산은 전년 대비 3.6% 감소한 10,396천 톤, 수요는 전년 대비 12.1% 감소한 4,935천 톤을 기록했다.합성수지 생산은 증가하였으나, 합섬원료와 합성고무는 시황 부진과 설비 가동중단으로 인해 생산이 감소하여 전년 대비 3.6% 감소한 10,396천 톤을 기록했으며, 수출의 경우 합섬원료와 합성고무 중심으로 수출이 감소하였으나, 합성수지 수출이 크게 증가하여 전년 대비 6.6% 증가한 6,154천 톤을 기록했다. 수요의 경우, 전방산업 수요 부진 영향으로 전년 대비 12.1% 감소한 4,935천 톤을 기록했다. * 소비자심리지수 추이(한국은행): (’20.1) 104.2 → (2) 96.9 → (3) 78.4 → (4) 70.8 → (5) 77.6 → (6) 81.8하반기 생산은 전년 대비 0.2% 감소한 10,735천 톤, 수요는 전년 대비 1.5% 증가한 5,459천 톤을 기록할 전망이다.생산의 경우, 일부 설비 가동중단 및 폐쇄로 인한 생산 감소로 전년 대비 0.2% 감소한 10,735천 톤을 기록할 전망이며, 수출은 생산 감소와 코로나19에 의한 불확실성 지속으로 글로벌 수요가 침체 되어 전년 대비 1.5% 감소한 5,939천 톤을 기록할 전망이다.수요의 경우, 국내 주요 전방산업 경기 둔화 및 민간소비 심리 부진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에 그친 5,459천 톤을 기록할 전망이다. 다만, 국내 제조업 생산기반이 비교적 잘 유지되고 있고, 기업의 대응 능력이 세계적으로 우수하기 때문에 코로나19 회복 즉시, 국내수요는 확대 가능성이 보인다.2) 합성수지상반기 국내 합성수지 생산은 전년 대비 4.5% 증가한 7,135천 톤, 수요는 전년 대비 2.3%감소한 3,01천 톤을 기록했다. 생산의 경우, 코로나19 확대와 일부 NCC 설비 가동중단에도 불구, NCC 정기보수 규모 감소와 합성수지 설비 증설로 전년 대비 4.5% 증가한 7,135천 톤을 기록했으며, HDPE와 PP는 신증설로 상반기 생산이 각각 21.0%와 9.5% 생산 증가하였으며, LDPE는 0.9% 증가했다. 다만, PVC는 LG화학 여수 소재 설비 스크랩(’19.5~)으로 물량 증가에 한계를 보였다.* HDPE 증설: 대한유화 80천 톤(’19.10) / 한화토탈 400천 톤(’20.1)* PP 증설: 폴리미래 30천 톤(’19.1) / 대한유화 60천 톤(’19.10)* LLDPE 증설: 한화솔루션 70천 톤(’19.6)* PVC 증설: 한화솔루션 130천 톤(’20.3)수출의 경우, 코로나19 영향에도 불구하고 1월 제외 전년 대비 대부분 제품의 수출이 증가하여 상반기 합성수지 수출은 전년 대비 10.5% 증가한 4,473천 톤을 기록했다. 對中 수출은 PP, HDPE, LDPE, ABS, PC 등 대부분 제품 수출이 크게 증가하여 전년 대비 29.0% 증가한 2,766천 톤을 기록했다.* 對中 합성수지 수출(천 톤, 전년 대비, MTI 214 기준): (’19.上) 2,144 → (’20.上) 2,766 (29.0%↑)* 수출 물량 증가율(MTI 214기준): PP 588천 톤(35.1%↑), HDPE 524천 톤(50.0%↑), PC162천 톤(37.7%↑), ABS 236천 톤(16.0%↑), PS 88천 톤(21.4%↑), PVC 58천 톤(65.6%↑)수출 2위인 베트남 수출도 전년 대비 12.7% 증가한 565천 톤을 기록했다.* 對베트남 합성수지 수출(천 톤, 전년 대비, MTI 214 기준): (’19.上) 501 → (’20.上) 565 (12.7%↑)* 수출 물량(증가율): PP 189천 톤(34.8%↑), HDPE 57천 톤(63.5%↑), ABS 35천 톤(27.8%↑), PVC 20천 톤(98.8%↑)수요의 경우, 코로나19 영향으로 주요 전방산업 업황이 부진하여 대부분 제품의 수요 축소됨에 따라 전년 대비 2.3% 감소한 3,011천 톤을 기록했다. 주요 전방산업인 자동차 생산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건설투자는 다소 반등하였으나 여전히 부진한 상황이다.* 자동차 생산(천대, 전년 대비): (’16) 4,29 (-7.2%) → (’17) 4,15 (-2.7%) → (’18) 4,029(-2.1%) → (’19) 3,951 (-1.9%) → (’20.上) 1,628 (-19.8%)* 건설투자(조원, 전년 대비) : (’16) 263.7 (10.0%) → (’17) 282.9 (7.3%) → (’18) 269.8(-4.6%) → (’19) 262.9 (-2.5%) → (’20.1Q) 68.1 (4.5%)LDPE(LLD, EVA 제외)와 HDPE 수요 증가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코로나19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거래 확대에 따른 포장재 수요와 온라인 음식 서비스 및 음식료품 거래 증가에 기인한다.* LDPE(only) 내수(천 톤, 전년 대비): (’19.上) 234 → (’20.上) 253 (8.5%↑)* HDPE 내수(천 톤, 전년 대비): (’19.上) 490 → (’20.上) 528 (7.7%↑)* 온라인 쇼핑몰 거래액(조원, 전년 대비) : (’19.5 누계) 53.5 → (’20.5 누계) 61.7 (17.8%↑)* 온라인 음식 서비스 거래액(조원, 전년 대비) : (’19.5 누계) 3.4 → (’20.5 누계) 6.0 (78.3%↑)* 온라인 음식료품 거래액(조원, 전년 대비) : (’19.5 누계) 5.3 → (’20.5 누계) 7.5 (43.0%↑)PVC와 EPS 수요는 주요 전방산업인 건설경기 침체 영향으로 각각 8.1%, 3.5% 감소했다.한편 하반기 국내 합성수지 생산은 전년 대비 4.8% 증가한 7,291천 톤, 수요는 전년 대비 2.9% 증가한 3,083천 톤을 기록할 전망이다.생산의 경우, NCC 설비 정기보수 감소, HDPE, PVC 등 증설 설비 정상 가동에 따른 생산 확대로 전년 대비 4.8% 증가한 7,291천 톤을 기록할 전망이다.* 한화토탈 HDPE 40천 톤(’20.1), 한화솔루션 PVC 130천 톤(’20.3) 증설수출은 생산 증가와 국내 전방산업 수요 정체로 수출 여력이 확대되어 전년 대비 5.8% 증가한 4,561천 톤을 기록할 전망이다. 특히, 생산 능력이 확충된 HDPE와 PVC를 중심으로 수출 증가가 예상된다.수요는 주요 전방산업 전망이 다소 부정적이나, 언택트 문화 확산에 따른 포장재 수요 및 홈 엔터테인먼트 등 가전 수요가 증가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 활성화 정책에 따라 점진적으로 개선되어 전년 대비 2.9% 증가한 3,083천 톤을 기록할 전망이다. 다만, 당분간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제품별 수요 편차 심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3) 합섬원료상반기 국내 합섬원료 생산은 전년 대비 18.8% 감소한 2,913천 톤, 수요는 전년 대비 24.5% 감소한 1,787천 톤을 기록했다.생산은 시황 악화로 합섬원료 전 품목 가동률이 부진하여 전년 대비 18.8% 감소한 2,913천 톤을 기록했다. EG는 롯데케미칼 NCC 가동중단에 의한 원료수급 차질로 EG 설비가 가동 중단되어 생산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수출은 코로나19에 의한 락다운 및 교역 둔화 등으로 전년 대비 2.8% 감소한 1,434천 톤을 기록했다. 특히 ’19년 합섬원료 수출 1, 2위인 중국과 인도向 수출이 락다운 등으로 크게 감소했다.* 對중국 합섬원료 수출(천 톤, 전년 대비, MTI 213 기준): (’19.上) 432.9 → (’20.上) 394.9(-8.8%)* 對인도 합섬원료 수출(천 톤, 전년 대비, MTI 213 기준) : (’19.上) 29.9 → (’20.上) 65.8(-71.4%)수요의 경우, 주요 전방산업인 화학섬유 생산 축소로 전년 대비 24.5% 감소한 1,787천 톤을 기록했다. 국내 화섬 생산은 코로나19에 따른 수요 감소로 전 품목 생산이 감소하여 전년 대비 15.2% 감소한 505천 톤을 기록했다.하반기 합섬원료 생산은 전년 대비 9.8% 감소한 3,090천 톤, 수요는 전년과 유사한 2,234천 톤을 기록할 전망이다. 생산은 일부 설비의 타 제품으로 생산 전환과 가동 차질 지속에 따라 전년 대비 9.8% 감소한 3,090천 톤을 기록할 전망이다.* 롯데케미칼 TPA(60천 톤/년) 설비를 PIA 설비로 전환 예정(’20년 7월)* 롯데케미칼 대산 #1 EG 설비(30천 톤/년) 재가동 일정 미정수출의 경우, 생산 감소에 의한 수출 여력 축소, 역내 업황 부진 지속으로 전년 대비 2.2% 감소한 1,134천 톤을 기록할 전망이며, 수요는 국내 화섬 생산 정체로 전년과 유사한 2,234천 톤을 기록할 전망이다.4) 합성고무상반기 합성고무 생산은 전년 대비 6.7% 감소한 348천 톤, 수요는 전년 대비 17.8% 감소한 137천 톤을 기록했다.생산은 코로나19에 따른 자동차(타이어) 생산 및 역내 수요 위축으로 전년 대비 6.7% 감소한 348천 톤을 기록했다. 글로벌 공급망 붕괴·재편, 자금난에 따른 신규 모델 출시 연기 등으로 완성차기업의 신차 공급능력이 저하되어 완성차 공급용 OE 타이어 수요의 감소와 더불어 코로나19 확산으로 세계 주요국 봉쇄 및 락다운 조치 등으로 교체용 RE 타이어 수요도 감소했다.수출은 최대 수요처인 중국 자급률 상승과 코로나19 영향에 의한 자동차 생산량 감소로 타이어 생산이 부진해 전년 대비 0.1% 감소한 246천 톤을 기록했으며, 수요는 주요 전방산업인 자동차용 타이어 생산 감소로 17.8% 감소한 137천 톤을 기록했다. 상반기 국내 타이어 생산은 전년 대비 23.8% 감소한 34,304천 개를 기록하였는데, 이중 신차용 OE 수요가 2.4% 감소하며 타이어 수요 감소를 견인했다.하반기 합성고무 생산은 전년 대비 5.8% 감소한 355천 톤, 수요는 전년 대비 6.1% 감소한 141천 톤으로 전망된다.생산은 주요 전방산업인 자동차산업 침체 지속 예상, 타이어 설비 가동률 하락으로, 전년 대비 5.8% 감소한 355천 톤을 기록할 전망이다. 코로나19가 상반기 대비 다소 안정되면서 주요국 락다운 해제 등으로 수요는 소폭 개선되나, 완전히 해소되기까지 시일 소요가 예상된다. 글로벌 자동차 수요는 각국의 코로나19 전개 양상과 밀접할 것으로 예상되며, 확진자가 증가하여 통행 제한 등이 실시되면 자동차/타이어 수요 급감은 불가피하다. 다만, 공유경제 활성화는 자동차 수요 개선 한계 요인으로 지속 제기되었으나, 코로나19 영향으로 공유나 대중교통 이용보다 소유를 택하는 비중이 높아지며 중장기적으로는 개인용 차량 수요증가 가능성도 제기된다. 또한, 전기자동차 판매 확대는 타이어 수요 확대 요인으로 작용된다. * 전기자동차는 기존 내연기관 대비 중량이 무거워 마모도가 크기 때문에 타이어 교체 주기가 짧다.수출의 경우, 최대 수요처인 중국 자급률 상승 및 글로벌 자동차 판매 부진으로 타이어 생산이 감소하여 전년 대비 5.8% 감소한 243천 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요는 주요 전방산업인 타이어 생산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전년 대비 6.1% 감소한 141천 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당분간 코로나19 영향에 의한 불확실성 확대로 소비자 구매심리 및 외부 활동이 위축되어 타이어 수요증가는 어려울 전망이다.5) 에틸렌상반기 에틸렌 생산은 전년 대비 9.5% 증가한 4,468천 톤, 수요는 6.8% 증가한 4,001천 톤을 기록했다.생산은 신증설 설비 정상 가동과 정기보수 및 가동 중단설비를 제외한 모든 설비 정상 가동으로 전년 대비 9.5% 증가한 4,468천 톤을 기록했다.* 롯데케미칼 대산 NCC 260천 톤 증설(’19.5), 한화토탈 대산 NCC 281천 톤 증설(’19.9)* ’19년 상반기 NCC 가동중단: 대한유화 울산(800천 톤, 31일간), 한화토탈(1,095천 톤, 85일간), LG화학 대산(1,040천 톤, 36일간/18일간), 여천NCC(90천 톤, 36일간)* ’20년 상반기 NCC 가동중단: LG화학 대산(1,300천 톤, 7일간), 롯데케미칼 대산(1,100천 톤, 119일간)수출은 생산 증가에 의한 수출 여력 확대로 전년 대비 18.9% 증가한 507천 톤을 기록했으며, 수요는 증설된 다운스트림 설비 정상 가동으로 에틸렌 수요가 확대되어 전년 대비 6.8% 증가한 4,001천 톤을 기록했다.하반기 에틸렌 생산은 전년 대비 8.9% 감소한 4,283천 톤, 수요는 2.3% 감소한 3,962천 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생산의 경우, 대규모 설비 신증설 부재 하에 정기보수 설비 증가로 전년 대비 8.9% 감소한 4,283천 톤을 기록할 전망이다.* 한화토탈 대산 NCC 281천 톤 증설(’19.9)* ‘19년 하반기 NCC 가동중단: 롯데케미칼 대산(1,100천 톤, 28일간)* ‘20년 하반기 NCC 가동중단: SK종합화학 #2(660천 톤, 44일간), 한화토탈(1,376천 톤, 45일간), 여천NCC #2(580천 톤, 60일간), 롯데케미칼 대산(1,100천 톤, 미정)수출은 생산 감소에 따른 수출 여력 축소로 전년 대비 49.3% 감소한 337천 톤을 기록할 전망이며, 수요는 에틸렌 다운스트림 설비 동반 가동중단에 따라 전년 대비 2.3% 감소한 3,962천 톤을 기록할 전망이다.2020년 상반기 석유화학 수출 현황 및 하반기 전망(MTI 21 기준)상반기 석유화학 수출은 유가 하락 및 코로나19에 의한 수요 위축으로, 전년 대비 20.3% 감소한 17,285백만 불을 기록했다.* 수출액(백만불, 전년 대비): (’19.上) 21,68 → (’20.上) 17,285 (20.3%↓)단가의 경우, 유가 하락 및 수요 부진에 따른 단가 하락으로 전년 대비 21.7% 하락한 919불/톤을 기록했다.* 유가(두바이, 불/B, 전년 대비): (’19.上) 65.45 → (’20.上) 40.65 (37.9%↓)* 수출단가(불/톤, 전년 대비): (’19.上) 1,175 → (’20.上) 919 (21.7%↓)제품별로 보면, 단가 하락 영향으로 전 제품이 수출 감소하였으며, 특히 역내 수요가 감소한 합섬원료 수출이 크게 하락했다.* 합성수지(백만불, 전년 대비): (’19.上) 10,260 → (’20.上) 9,055 (-1.7%)* 합섬원료(백만불, 전년 대비): (’19.上) 1,282 → (’20.上) 792 (-38.2%)* 합성고무(백만불, 전년 대비): (’19.上) 1,351 → (’20.上) 1,106 (-18.1%)지역별로 보면, 중국과 아세안 수출 물량 증가에도 불구, 단가 하락 영향으로 전 지역 수출이 감소했다.* 중국(백만불, 전년 대비): (’19.上) 9,329 → (’20.上) 7,382 (-20.9%)* 아세안(백만불, 전년 대비): (’19.上) 2,704 → (’20.上) 2,414 (-10.7%)* 미국(백만불, 전년 대비): (’19.上) 1,141 → (’20.上) 947 (-17.0%)* EU(백만불, 전년 대비): (’19.上) 2,090 → (’20.上) 1,525 (-27.0%)하반기에는 포장재와 위생용품 및 의료용품 관련 제품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나, 코로나19 지속 여부에 따라 변동성이 매우 크며, 불확실성에 의한 전반적인 수요 부진은 불가피할 것이다. 다만, 코로나19 절정기 대비 유가 및 제품 단가가 상승 추세이며, 전방산업(자동차, 전기·전자 등) 가동률도 회복 흐름세를 보이고 있다.* 수출액(백만불, 전년 대비): (’19.下) 20,879 → (’20.下e) 17,613 (-15.6%)단가는 전년 대비 유가 하락 영향으로 전년 대비 1.5% 하락한 947불/톤이 전망된다.* 유가(두바이, 불/B, 전년 대비): (’19.下) 61.64 → (’20.下e) 42.18 (-31.6%)* 수출단가(불/톤, 전년 대비): (’19.下) 1,070 → (’20.下e) 947 (-11.5%)제품별로 보면, 글로벌 경기 둔화에 의한 수요 위축, 전년 대비 저유가 상황 지속으로 수출 감소가 전망된다. 전방산업 가동률 회복 추세이나 코로나19 이전 수준 회복까지 다소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합성수지(백만불, 전년 대비): (’19.下) 9,991 → (’20.下e) 8,509 (-14.8%)* 합섬원료(백만불, 전년 대비): (’19.下) 1,031 → (’20.下e) 949 (-8.0%)* 합성고무(백만불, 전년 대비) : (’19.下) 1,343 → (’20.下e) 1,148 (-14.6%)지역별로 보면, 전년 대비 저유가 상황으로 수출단가 하락으로 대부분 지역 수출 감소가 전망되나, 글로벌 경제활동 재개에 따라 세계 최대 수요국인 중국을 중심으로 수요 개선이 기대된다.* 중국(백만불, 전년 대비): (’19.下) 9,212 → (’20.下e) 7,462 (-19.0%)* 아세안(백만불, 전년 대비): (’19.下) 2,74 → (’20.下e) 2,254 (-17.9%)* 미국(백만불, 전년 대비): (’19.下) 1,156 → (’20.下e) 962 (-16.8%)* EU(백만불, 전년 대비): (’19.下) 1,744 → (’20.下e) 1,629 (-6.6%)
편집부 2020-10-04
기사제목
– 2019년 멕시코 총 GDP의 3.8%, 제조산업 20.5% 지탱하는 자동차산업– USMCA 발효로 인해 글로벌→지역 중심으로 가치사슬 재편산업 특성• 관련 정책 및 규제- 수입: 멕시코에서 자동차 수입을 하려는 기업 또는 개인은 수입자 등록(padrón de importadores)을 해야 하며, 이 등록과는 별도로 특정 산업등록(Padrón de Sectores Específicos)을 득해야 한다. 또한, 수입 시 필요 서류 등의 검토를 위해 경험 있는 관세사의 자문을 받는 것이 좋다.- 관세율 및 중고차 수입허가: 자동차산업의 경우 관련 부품 및 완성차 수입 관세율은 0~20% 범위로, 자동차부품의 경우 무관세, 승용차 수입의 경우 20%의 관세가 붙는다. 중고차 수입 시 관세율은 50%다. 일부 특정 부품의 경우 연방 경제부의 사전 수입허가를 받아야 하며, 중고차 수입의 경우 연방 재무부 고시가격(Precio Estimado) 범위를 충족해야 한다.- 멕시코표준규격(NOM; Normas Oficiales Mexicanas): 멕시코 내 자동차 상용화 및 판매를 위해서는 일련의 NOM을 충족해야 하는데, 자동차 안전 벨트 사양 및 테스트 방법을 규정한 NOM-119-SCFI-2000, 탄화수소, 일산화탄소 등 배기가스 최대 허용 배출에 대해 규정한 NOM-076-SEMARNAT-2011, NOM-044-SEMARNAT-2006 등이 있다.- 관련 정책 및 인센티브: 멕시코 정부는 제조업 진흥 및 수출 장려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주요 기업 현황멕시코 전역에는 총 32개의 승용차 및 경량 트럭 완성차 제조기업들이 진출해 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이 글로벌 기업으로, General Motors, Nissan, Chrysler, Kia, Volkswagen, Ford, Honda, Audi, BMW 등이 진출해 있다. 2019년 기준, 멕시코에서 가장 많은 완성차를 생산한 기업은 GM(23%), Nissan(18%), Chrysler(15%), Volkswagen(12%), KIA(8%) 순이다.이들 기업은 저렴한 노동력과 가격 경쟁력 확보가 가능한 점, 그리고 북미와 중남미 사이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을 멕시코 진출 사유로 꼽고 있다.자동차부품 기업의 경우, 멕시코 전역에 2,041여 개의 기업이 있으며, 이들 부품 기업은 내수 및 글로벌 시장의 수요를 충족하고 있다.잘 알려진 주요 부품기업으로는 Aptiv, Yazaki, Bocar Group, GIS, Nemak, Hitachi, Johnson Controls, Federal-Mogul, Forza Global Solutions, Magna, Industrias Cazel, Mikel’s, Meritor, Metalsa, PPG, Rassini, SAG, Bosch, Condumex, Sisamex, Visteon, Vitro 등이 있다.• 최신 기술 동향멕시코에는 대부분의 글로벌 완성차 기업 및 계열사들이 진출해 있으며 전 세계 제4위의 자동차 수출국으로,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산업의 글로벌 트렌드에 밝다.최근 자동차산업에서 두드러진 동향은 콤팩트한 승용차 및 SUV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으로, 특히 미국에서 이들 차량의 수요가 높아진 점이 멕시코에서 생산 증대로 이어지고 있다.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차량 10대 중 9대가 수출용으로, 이 중 7대는 미국향 수출이다.KOTRA 멕시코시티무역관이 멕시코 자동차산업협회(AMIA)와 인터뷰한 결과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의 주요 트렌드는 자동차산업에서도 기술적인 혁신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으로, 소비자들의 기대가 점점 높아지고 있어 자동차에 장착되는 소프트웨어나, 자동차 간의 커넥션 개발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또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에 대한 수요 및 생산이 높아지고 있으며, 멕시코에서도 이러한 모델들을 생산하여 상용화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전기차 중 가장 많이 판매되는 종류는 풀 하이브리드(93.6%)이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5.2%), 전기차(1.2%)가 그 뒤를 잇고 있다.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수요는 교통량이 많은 멕시코에서 효율적인 연료 소비 방식을 누릴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히며, 배기가스 검사료가 들지 않거나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정책 등의 인센티브도 존재한다.자동차부품의 경우에도 역시 하이브리드, 전기차 관련 혁신부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좀 더 친환경적이고, 연료 소비 시 효율적인 스마트 부품들이 유망하다. 또한, 자동차 경량화를 위해 가벼운 제품이나 연료 효율이 높고 배터리 성능이 높은 부품들이 선호된다. 최근 몇 년간의 트렌드를 보면, 주로 조향 및 서스펜션 시스템 관련 부품의 수요가 높았으며, 엔진오일 필터, 거울, 에어컨 등의 부품도 꾸준한 수요를 보인다.• 주요 이슈1) USMCA 발효지난 2020년 7월 1일, NAFTA를 대체하는 USMCA 체제가 출범하여 자동차산업의 경우 원산지 규정(역내 가치비율 및 노동 가치비율)이 강화됐다.자동차 생산에 사용되는 철강 및 알루미늄의 70%는 북미지역 생산품이어야 한다. 또한, 노동 가치비율 규정이 신설되어, 자동차부품 생산인력 임금이 부가급부를 제외한 시간당 16달러 이상이어야 무관세 혜택 적용이 가능하다.2) 코로나19로 인한 타격멕시코 정부는 지난 4~5월 간 코로나19로 인한 보건 비상사태(Emergencia Sanitaria) 선포 및 대대적인 사회적 격리, 필수업종을 제외한 전 분야 경제 봉쇄를 단행했다.자동차산업의 경우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필수산업에 해당하지 않아, 3월 말부터 6월 말까지 두 달 이상 조업이 불가하였다. 보건 비상사태와 별도로 3월부터 중국산 부품 공급망 단절로 인해 생산 조립에 차질이 있었던 상황이었다.4월과 5월 자동차 판매 규모는 전년 동기대비 각각 64.5% 및 59% 하락하였으며, 생산량도 전년 동기대비 각각 98.8%, 93.8% 하락하여 역사상 최저 실적을 기록했다.2020년 상반기 자동차 판매는 전년 동기대비 31.9% 하락한 436,455대에 그쳐, 2011년 이후 최악의 실적을 기록하였고, 생산량도 전년 동기대비 40.8% 감소했다.멕시코 자동차딜러협회(AMDA)에 따르면, 자동차 오프라인 판매매장도 계속된 격리 조치로 인해 당분간 매장폐쇄가 불가피한바, 이들은 온라인 채널을 통한 판매 및 고객의 가정에 직접 납품을 하는 식으로 영업 및 판매전략을 변경했다.멕시코 및 멕시코 자동차 주요 수출국인 미국의 경기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2019년의 수준을 회복하기까지는 2024년 혹은 2025년까지도 오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산업의 수급 현황• 투자2019년 기준 자동차산업에 대한 투자 규모는 총 74억 달러 규모로, 멕시코 총 외국인 직접투자(FDI) 중 22%를 차지하고, 멕시코 제조업 투자 중 47%를 차지했다. 승용차 및 경량트럭 제조업이 가장 많으며, 자동차부품 제조업이 그 뒤를 이었다.자동차산업은 투자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17년부터 USMCA로 인한 불확실성 및 2018년 정권교체로 인해 대체적으로 투자자의 신뢰도 하락 및 시장 불안정을 겪고 있으나, 경제 전문가들은 USMCA의 발효로 인해 투자가 재촉진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생산멕시코 자동차 생산 규모는 2015년에 비해 2019년 54%의 성장률을 기록, 자동차부품은 동 기간동안 47%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자동차: 2019년 기준 자동차 총생산량은 375만 대로, 이 중 42%가 SUV로 가장 많이 생산됐다.- 자동차부품: 자동차부품 중 가장 많이 생산된 제품은 엔진(21%)으로, 그 뒤를 전기·전자제품(19%) 및 변속기(12%)가 이었다.• 내수판매멕시코 통계청(INEGI) 데이터에 따르면, 멕시코 내 자동차 판매는 2015년 이래로 꾸준히 증가했으며, 2019년에는 2015년 대비 61%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자동차: 2019년 기준 멕시코 내 승용차 판매 대수는 132만 대로, 이 중 66%가 수입 자동차, 34%가 멕시코에서 생산된 자동차다.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한 브랜드는 Nissan(20.3%)이며, 그 뒤를 GM(16.1%), Volkswagen(10.9%), Toyota(8%), KIA(7.3%)가 차지했다.- 자동차부품: 자동차부품의 경우 엔진, 전기·전자제품, 변속기, 좌석 및 내부 액세서리 부품 등으로 판매량이 많았다.• 수출입2019년 기준 자동차산업의 교역은 전년 대비 소폭 하락하여 수출 3% 감소, 수입 1% 감소했다.- 자동차: 2019년 주요 수입국은 미국(30.5%), 일본(16.2%), 중국(10.9%), 인도(9.2%), 대한민국(6.5%) 순이며, 주요 수출국은 미국(71.4%), 독일(10.6%), 캐나다(4.4%), 브라질(1.7%), 이탈리아(1%) 순이다.- 자동차부품: 2019년 자동차부품 주요 수입국은 미국(54.6%), 중국(10.7%), 독일(6.9%), 대한민국(6.2%), 일본(6%) 순이며, 주요 수출국은 미국(82%), 캐나다(5.2%), 브라질(3.3%), 중국(2.6%), 독일(1.5%) 순이다.진출 전략• SWOT 분석• 유망 분야- 온라인 영업 및 판매: 자동차 부문의 전자상거래 분야는 코로나19를 계기로 급속히 성장했다. 2019년에는 단 5%만이 온라인 판매로 이뤄졌는데, 코로나19를 계기로 오프라인 판매장이 폐쇄되고, 감염에 대한 두려움으로 고객들이 매장에 직접 가는 것을 꺼리면서 온라인 판매율이 15%까지 성장했다. 자동차부품의 경우에도 지난 3년간 꾸준히 온라인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동 자동차는 2016년에 비해 2019년 매출이 3배 이상 증가하여 2016년에는 단 8,265대에 그치던 것이 2019년에는 25,608대의 판매를 기록했다.(그러나 아직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의 비율은 미미함. 2019년 기준 1.9%를 차지) 이러한 수요는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오염 배출을 줄이고자 하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 및 부품의 경량화: 연비 효율화 등의 이유로 점점 더 많은 기업이 자동차를 경량화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따라서 가벼우면서도 품질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긴 자동차부품들이 유망할 것으로 판단된다.자료: 멕시코 자동차산업협회(AMIA), 멕시코 자동차딜러협회(AMDA), Expansión, El Financiero, El Economista, Forbes, Banxico, 스페인 대외무역청(ICEX), 멕시코 연방경제부(Secretaría de Economía), 멕시코 통계청(INEGI), Fitch Solutions, Revista Comercio exterior, 멕시코 자동차부품협회(INA), Deloitte, KOTRA 멕시코시티무역관 보유자료 종합자료제공: KOTRA
취재부 2020-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