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현대보테코

캐미칼리포트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 美 LA 주요 대학 30여 개 학부생 및 석·박사 과정 40여 명 대상 글로벌 인재 채용 행사 개최 - CEO 취임 후 6년째 해외 채용 행사 주관, 지구 3바퀴 반- 박진수 부회장, "LG화학 힘의 원천은 직원을 가장 소중한 가치로 여기는 것"                      "천리마가 마음껏 뛰어 놀 수 있는 놀이터로 오라"▲ LA BC Tour에서 채용된 직원들과 박진수 부회장(오른쪽에서 세번째)의 단체사진“천리마를 발굴한 백락(伯樂)처럼 우수한 글로벌 인재를 직접 데려오겠습니다.” LG화학 박진수 부회장이 미래 성장을 주도할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취임 후 6년 연속 미국을 찾았다. 이와 관련 LG화학은 지난 주말 미국 로스앤젤레스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CEO 박진수 부회장을 비롯해 CTO(최고기술경영자) 유진녕 사장, CHO(최고인사책임자) 노인호 전무 등 최고경영진들이 참석해 열린 채용행사인 ‘BC(Business & Campus)투어’를 개최했다고 밝혔다.박 부회장은 CEO 취임 이후 6년째 한 해도 거르지 않고 미국, 일본, 중국 등 해외 현지 채용행사를 직접 주관하고 있다. 실제 지금까지 이동 거리만 지구 세 바퀴 반(약 15만 km)에 달한다.이날 행사에는 스탠퍼드 대학(Stanford University), 듀크 대학(Duke University) 등 미국 주요 30여 개 대학 학부생 및 석·박사 40여 명이 초청됐으며, 박 부회장은 직접 이들에게 회사를 알리고 비전을 공유했다. 이 자리에서 박 부회장은 “LG화학이 올해 국내 기업 최초로 글로벌 Top10 화학회사에 진입했다”며 “이는 국내 최고를 넘어 세계 최고가 되겠다는 임직원들의 간절한 ‘꿈’과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기업문화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그는 1953년 건설된 당시 락희화학공업사의 부산 플라스틱 공장에 ‘종업원에 의한, 종업원을 위한, 종업원의 회사’라는 문구가 담긴 사진을 소개하며 “LG화학의 힘의 원천은 임직원을 가장 소중한 가치로 여기는 것에 있다”고 강조했다.이어 “중국 주나라 시대 천리마를 알아볼 수 있었던 최고의 말 감정가인 ‘백락(伯樂)*’처럼 회사를 이끌어 갈 천리마를 발굴하고, 키워내는 것이 CEO의 가장 큰 사명이기에 오늘 이 자리에 왔다”며, “천리마가 마음껏 뛰어 놀 수 있는 놀이터처럼 LG화학은 꿈꾸는 것을 마음껏 실행하며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락일고(伯樂一顧):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전략가들의 책략을 편집한 책 <전국책(戰國策)>에 나오는 고사성어로 “천리마가 당대 최고의 말 감정가인 백락을 만났기에 세상에 알려질 수 있었다”는 뜻이다. 이처럼 박진수 부회장이 인재채용에 직접 나선 것은 ‘인재가 있어야만 기업이 성장할 수 있다’는 그의 확고한 신념 때문이다.평소 그는 “성공한 프로젝트와 성공하지 못하는 프로젝트를 비교해 보면 결국 누가 하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거나 M&A를 할 때 자원이 얼마나 투입되는지, 경제성이 있는지 등을 묻기 전에 그 일을 할만한 인재가 있는지를 먼저 챙겨왔다LG화학 관계자는 “대규모 투자와 적극적인 신사업 발굴로 연평균 15%의 고도성장을 계획하고 있어 선제적인 인재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해졌다”며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경쟁력을 갖춘 인재 확보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애영 2018-09-11
기사제목
- 과감한 원료 교체 통해 유해 가스, 냄새 없앤 국내 최초 패키징용 친환경 접착제 개발- 라이온켐텍과 협업 통해 원가 절감, 협력사엔 꾸준한 수익창출기회 제공하는 "동반성장"- SK종합화학, 동반성장을 바탕으로 사회적 가치가 선순환 되는 시장 개척할 계획SK이노베이션의 화학사업 자회사인 SK종합화학이 친환경 제품 생산을 위해 협력사와 뜻을 모았다.SK종합화학(www.SKglobalchemical.com, 대표이사 김형건)이 협력사인 '라이온켐텍'과 함께 국내 최초로 친환경 접착제(Hot Melt Adhesive)를 생산한다. 친환경 소재 시장 확대를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에 함께 나설 계획이다.제품은 양사 간 협력을 통해 생산하게 된다. SK종합화학이 친환경 접착제 핵심 원료인 폴리올레핀 소재를열분해 독자 기술을 보유한 라이온켐텍에 공급하면 라이온켐텍이 접착제를 생산하는 구조다.양사가 얻는 효과도 극대화된다. SK종합화학은 별도 설비 신설이 따로 필요하지 않아 원가 절감 효과를 노릴 수 있다. 동시에 라이온켐텍은 안정적인 수익 창출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SK종합화학은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하고, 양사의 동반성장을 이루겠다는 목표다.기존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EVA(Ethylene Vinyl Acetat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원료로 사용해 왔다. 하지만 제조 과정에서 유해가스가 생성되고, 접착제가 굳은 후에도 특유의 냄새가 발생하는 단점 때문에 최근 기존 문제점을 개선한 친환경 접착제 수요가 늘어나는 중이다.이러한 시장 변화를 감지한 SK종합화학은 자체 기술로 상용화한 넥슬렌(NexleneTM)을 활용해 친환경 접착제 원료를 개발, 작년 말 상업 생산에 돌입했다. 이 제품은 무취에 위생성이 뛰어나, 식품용 포장 소재 및 필터 분야에 사용이 가능하다.또한, 포장재 접착 후의 내한성이 우수하여, 올 여름과 같은 폭염 시 야외나 실내 냉동조건에서 유통/보관 중 파손되어 버려지는 포장물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SK종합화학이 패키징용 친환경 접착제를 개발한 것은 국내에서는 최초, 세계에서는 다우 케미칼(現 다우듀폰)에 이어 두 번째다. 현재 국내 시장 외 북미, 유럽, 중국으로 판매 중이며, 향후 친환경 제품 수요가 풍부한 선진 시장을 중심으로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이다.SK종합화학은 협력사와 동반성장*을 통해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동시 창출을 이루겠다는 목표다. 이번 친환경 접착제는 SK종합화학과 협력사인 라이온켐텍이 개발 초기인 2014년부터 공동 개발한 제품으로, 앞으로도 양사는 차별화된 제품을 공동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SK종합화학은 에너지∙화학 업계에서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을 강력하게 추진하는 기업으로 꼽힌다. 지난 6월 '제 51차 동반성장위원회'에서 발표한 '2017년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는 업계 유일 6년 연속 최우수기업에 선정되기도 했다.판매는 양사가 보유한 마케팅 네트워크를 극대화해 각각 진행할 계획이다. 친환경 접착제는 SK종합화학에서 판매하지만, 동일한 설비를 통해 선택적으로 생산이 가능한 탄성 왁스*는 라이온켐텍이 판매한다. 양사의 판매망을 동시에 활용해 높은 효율의 마케팅을 시행하겠다는 목표다. *탄성 왁스는 기존 왁스 대비 고무 성질을 가진 왁스로 자동차/가전 소재에 첨가제로 사용됨SK종합화학 김형건 사장은 "수요 증가가 전망되는 친환경 포장재 시장에서 핵심 제품을 확보하게 되어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동시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며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을 바탕으로 사회적 가치가 선순환 되는 시장을 개척해 나가겠다"고 밝혔다.SK종합화학은 지난 6월 강도가 크게 개선된 신규 고결정성 플라스틱(HCPP)을 개발하는 등 친환경 제품 라인업을 강화 중이다. 기존 범용 플라스틱 대비 사용량을 줄이고, 자동차 연비 개선 및 배출 가스 감축을 유도하며 친환경 제품 생산을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에 앞장서고 있다.※ 라이온 켐텍: 기능성 왁스와 인조대리석을 생산/판매하는 회사로 왁스는 국내 1위, 인조대리석은 해외 4위의 시장   점유 중인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2017년 매출액 1,314억 수준의 중견기업)
박애영 2018-09-11
기사제목
- 육군 1군단 광개토부대에 3년 동안 독서카페 7곳 기증- 건군 70주년 기념 뮤지컬 ‘신흥무관학교’ 공연에 군장병 초청 후원효성이 군부대 내에 독서카페를 기증하고 군장병들을 뮤지컬 공연에 초청하는 등 군장병들의 문화생활 지원에 나섰다. 효성은 지난 8월 28일, 육군 1군단 광개토부대 예하 백학대대 외 2개 대대에 총 3곳의 독서카페를 기증했다. 효성은 지난 2016년부터 육군본부와 ‘책 읽는 병영 만들기’ 캠페인을 함께 해 2년간 4곳의 독서카페를 설치하는 등 그동안 총 7곳의 독서카페를 지원했다. 효성이 지원한 독서카페는 도서 1천여 권을 비치할 수 있고, 최대 14명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실내에 냉난방기기도 갖춰 장병들이 계절과 관계없이 쾌적한 환경에서 지식 함양을 할 수 있다. 한편 31일에는 육군본부에 군장병 문화생활 지원을 위한 후원금 1억 원을 전달했다. 이번 후원금은 건군 70주년 기념 창작 뮤지컬 ‘신흥무관학교’ 공연에 참전 용사와 육군 장병 및 문화생활을 접하기 어려운 취약계층을 초청하는 데 사용된다. 건군 70주년을 기념해 육군본부에서 제작한 창작 뮤지컬 ‘신흥무관학교’는 일제강점기 항일 독립 전쟁의 선봉에 섰던 신흥무관학교를 배경으로 일제에 항거하고 독립을 꿈꾸었던 청년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뮤지컬은 9월 9일부터 9월 22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 극장 ‘용’에서 상연 후 지방 주요 도시에서도 공연이 진행될 예정이다.효성 조현준 회장은 “나라를 지키기 위해 헌신하는 군장병들이 문화생활을 누리는 데 도움이 되기 바란다”가 말했다. 효성은 다양한 호국보훈 사회공헌 활동을 꾸준하게 펼치고 있다. 2012년부터 7년째 육군본부에 ‘나라 사랑 보금자리’ 사업을 후원해 형편이 어려운 참전 용사들의 주거환경 개선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부터는 6·25 참전 유공자와 보훈 가족의 여행을 지원하는 ‘뻔뻔한(fun fun) 프로젝트, 최고의 여행’을 통해 약 300명의 보훈 가족들의 나들이를 돕기도 했다. 한편 지난 6월에는 보훈 가족 700세대에 생필품을 지원해 국가보훈처로부터 감사패를 받았다.
이용우 2018-09-07
기사제목
- 기존 범용 플라스틱(PP) 소요량 대비 10%가량, 중형차 한 대당 10kg 감축 효과- 국내·중국시장 1위 발판으로 친환경 제품 중심의 오토모티브 사업 확장▲ 자동차 내·외장재 폴리프로필렌 적용 사례SK종합화학이 플라스틱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가볍고 튼튼해진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 개발에 성공했다. 이를 바탕으로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플라스틱 절감 행렬을 주도해, 화학 기업으로서 친환경 제품 생산을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SK종합화학(www.SKglobalchemical.com, 대표이사: 김형건)은 지난 8월 29일, 에너지 효율을 개선한 고성능 플라스틱*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이전 제품대비 강도가 크게 높아져 적은 양으로도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어, 더 가볍고 얇은 형태로 생산할 수 있다. 주로 자동차 범퍼, 대시보드 등 자동차 내·외장재에 사용된다.* 플라스틱은 용도에 맞게 물성을 조정하는 과정을 거쳐, 비닐부터 자동차 내·외장재까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된다. 대표 제품으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이 있다. SK종합화학은 연간 폴리에틸렌 40만 톤, 폴리프로필렌 40만 톤을 생산한다.새로 개발된 고결정성 플라스틱(HCPP)은 범용 플라스틱 대비 사용량을 10%가량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제품으로, 중형차 한 대를 기준으로 최대 10kg까지 무게를 줄여 가볍게 만들 수 있다. 최근 플라스틱 사용규제가 강화되면서 고성능 플라스틱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는 추세다.SK종합화학은 이러한 시장의 흐름을 선도함으로써 사업 본질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 나가기 위해, 지난해 말부터 개발을 시작한 기존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보다 가공성이 용이하고, 강도·충격 흡수기능이 뛰어난 새로운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제품을 지난 6월에 개발을 마치고 자동차 소재 업체들을 대상으로 적용을 검토 중이다.또한, 자동차가 가벼워지면 연비 개선되고 따라서 배출가스도 줄어들게 되는데, SK종합화학은 이 제품을 사용하게 되면 연비는 약 2.8%가 향상되고, 대기 오염의 주범인 이산화탄소(CO2), 질소산화물(NOx)을 각각 4.5, 8.8%씩 감축*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SK종합화학은 전체 폴리프로필렌 생산량의 약 40%인 15만 톤을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으로 생산하며 시장을 선도해 온 결과, 10년 가까이 국내·중국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매년 8%이상 가파른 성장이 기대되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시장에서 고성능 제품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SK종합화학의 시장 점유율을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SK종합화학 김형건 사장은 “환경적인 가치가 뛰어난 신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개발은 차별화된 기술을 바탕으로 시장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성과”라며, “앞으로도 환경친화적 플라스틱 제품라인 업을 확보해, 사업 가치 제고는 물론 사회적 가치 창출에도 앞장설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다.지난 ’16년 SK종합화학은 차세대 먹거리로 패키징(Packaging)과 오토모티브(Automotive) 등 고부가가치 화학 사업 중심의 성장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최근 플라스틱을 둘러싼 국내외 규제 강화에 대응키 위해 SK종합화학은 오토모티브 사업을 통해 친환경 플라스틱 제품 위주의 라인업 확보에 나서고 있다. 
이용우 2018-09-07
기사제목
- ’20년 IMO 규제 시행 앞서, 친환경 저유황 사업 확대 재편 “저유황유 시장 강자로 도약”- 어렵던 저유황 중유 블렌딩, ‘일하는 방식의 혁신’으로 사업도, 사회적 가치도 확대 SK이노베이션이 ‘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통해, 다가올 해상유 환경 규제를 기회로 삼아 친환경 해상유 시장 아·태 지역 강자로 발돋움하면서 사업 본질의 사회적 가치도 같이 키우고 있다.SK이노베이션(대표이사: 김준, www.SKinnovation.com) 석유제품 수출 및 트레이딩 전문 자회사인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이하 SKTI)을 통해 최근 저유황유 사업규모를 확대 중이라고 밝혔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지난 2016년, 환경보호 등을 위해 해상 연료유에 적용되는 황산화물 함량을 3.5%에서 0.5%로 대폭 감축시키는 안을 확정한 바 있다.이에 따라 2020년부터 해상 연료유 시장은 황산화물 0.5% 미만의 저유황 중유(LSFO, Low-Sulfur Fuel Oil), 선박용 경유(MGO, Marine Gas Oil), 액화천연가스(LNG) 등 저유황유 중심으로 재편될 예정이다. 하지만, 최근 해운업계 관심이 높아지며 본격 규제 시점보다 빠르게 시장수요가 증가하고 있다.SKTI는 이러한 시장 움직임을 환경 규제대응과 신규시장 개척의 적기로 판단하고, 저유황유 사업 확대에 적극 나섰다. 이를 위해 우선 SKTI는 국내 업체 중 최초이자, 유일하게 운영 중인 ‘해상 블렌딩 비즈니스’를 확대하기로 했다.SKTI는 2010년부터 싱가포르 현지에서 초대형 유조선을 임차해 블렌딩용 탱크로 활용, 반제품을 투입해 저유황 중유(LSFO)를 생산하는 ‘해상 블렌딩 사업’을 운영 중이다. 해상 블렌딩은 육상이 아닌 바다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만큼 어려움이 큰 사업으로 국내에서는 SK가 유일하게 시도하고 있고 해외에서도 일부 기업만 하고 있는 분야이다.SKTI는 이를 위해 해상 블렌딩을 통해 연간 100만 톤 수준의 저유황 중유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올해는 IMO 규제에 본격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존 저유황 중유보다 황 함량이 낮은 초 저유황 중유(ULSFO, Ultra Low-Sulfur Fuel Oil, 황 함량 0.1% 이하) 마케팅 물량을 지난해 대비 2배가량 늘리기로 했다. 이와 함께 고품질 저유황유 제품의 글로벌 판매망도 선제적으로 구축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SKTI가 진출해있는 싱가포르 해상 선박유 시장은 저유황 중유 생산에 적합한 다양한 블렌딩용 유분이 모여들어 이를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구매해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또한, 해상 물동량이 많아 해상유 제품 수요*가 꾸준한 매력적인 시장이다. 또 해상 저장탱크, 바지선 등 물류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어, 해상 블렌딩 비즈니스에 최적지로 평가받는다.* 해상 블렌딩을 통해 생산된 저유황 중유(LSFO)는 선박 연료, 발전소 및 정유 공장의 원료로 활용된다.저유황 중유(LSFO)를 블렌딩하는 사업은 과거에는 육상 시설에서만 제한적으로 운영됐던 터라, 해상에서의 블렌딩은 어려울 것이라는 시각이 있었으나, SKTI는 ‘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통해 과감하게 해상 저유황 중유 블렌딩 사업에 도전해 성공함으로써 기존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확장하는 쾌거를 이뤄냈다.SKTI 관계자는 “규제를 사업확대 기회로 받아들이고, 업계에서 어려워하는 해상 블렌딩을 확대하는 등 두 가지 차원에서 ‘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통해 사업을 확대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또한 “동시에 역내 최대 경유 수출자의 지위를 활용, 선박용 경유(MGO)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과 싱가포르로 시장을 확장함으로써 한국-중국-싱가포르를 잇는 해상유 물류 트레이딩 모델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SK이노베이션은 전사 차원에서 ‘IMO 2020’에 따른 해상유 환경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친환경 제품 생산을 늘리는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설비 신설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말, 석유사업 자회사인 SK에너지는 총 1조 원가량이 투입되는 감압 잔사유 탈황설비(VRDS) 신설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고유황 연료유인 감압 잔사유를 저유황, 디젤 등 고부가 제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설비다. 2020년 설비가 완공되면 SK이노베이션은 국내 1위의 저유황유 공급자로 도약하게 된다.
이용우 2018-09-07
기사제목
- 화장품 뚜껑에서 전기차 배터리까지… LG화학 70년 역사 한눈에- 1947년 매출 3억에서 2017년 25조 7천억 원으로, 8만 5천 배의 성장역사 담아국내 대표 화학기업인 LG화학의 70년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게 됐다. 이와 관련 LG화학은 지난 8월 31일, 1947년 창업 이후 70년의 도전과 혁신의 역사를 담은 디지털 역사관(http://www.lgchem.com/kr/lg-chem-history)을 오픈했다고 밝혔다.디지털 역사관은 ▲ 역사 하이라이트 ▲ 도전과 혁신 ▲ 한눈에 보는 LG화학 등 3개 전시관으로 구성됐으며, 국내 최초 화장품 뚜껑부터 세계 최초로 전기차 배터리를 개발하며 LG화학이 세계적인 소재 기업으로 성장하기까지의 역사적인 순간을 담고 있다.‘역사 하이라이트’는 1947년 락희화학공업사로 출발한 LG화학이 세계적인 화학기업으로 성장하는데 원동력이 된 ‘국내 최초’ 및 ‘세계 최초’의 제품 개발 및 생산 기록을 시기별로 다루고 있다. 또한, 1954년 세워진 부산 연지공장, 1979년 국내 화학기업 최초의 종합연구소인 중앙연구소 등 LG화학이 걸어온 발자취를 사진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임직원 수(1950년 약 20명→2017년 2만 9,573명), 매출액(1947년 3억 원→2017년 25조 7천억 원)등 숫자를 통해 LG화학의 성장 과정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럭키 PVC 파이프’ ‘럭키 여천공장 준공’ 등 추억과 향수가 담긴 흑백광고로 우리 경제의 변화상도 재미있게 관람할 수 있도록 했다. ‘도전과 혁신’은 LG화학이 최초의 역사를 써 내려갔던 스토리를 에피소드 형태로 묶어냈다. 깨지지 않는 화장품 뚜껑을 연구하다 플라스틱 사업에 진출하게 된 과정, LG화학만의 고유기술을 개발해 시장을 주도하던 경쟁자들을 제치고 편광판 시장에서 세계 1위에 올랐던 스토리, 미래를 내다보고 배터리 사업에 뛰어들어 전기차 배터리 세계 1위를 달성하기까지의 이야기 등 LG화학이 세계적인 기술력을 확보하게 된 과정을 흥미롭게 풀어냈다. 한편 ‘한눈에 보는 LG화학’은 반세기가 넘는 역사와 화학 사업의 발전상을 다룬 애니메이션 영상으로 각각 3분, 5분짜리 영상 2편을 감상할 수 있다. LG화학 성환두 상무는 “무겁고 딱딱할 수 있는 기업의 역사를 이미지, 인포그래픽, 영상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해 홈페이지 방문자들이 LG화학의 역사를 보다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디지털 역사관은 LG화학 홈페이지(http://www.lgchem.com)를 통해 방문할 수 있다. 
이용우 2018-09-07
기사제목
- 조석래 명예회장에 이어 2대째 끈끈한 신뢰 관계 구축- 조 회장, “저장성과 협력 강화해 글로벌 ‘100년 효성’ 만들 것”효성 조현준 회장이 지난 8월 25일, 반포 사옥에서 위안자쥔 (Yuan Jia Jin, 袁家军) 중국 저장성(Zhejiang, 浙江省) 성장을 만나 사업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만남은 지난 8월 23일부터 26일까지 한국을 방문한 위안 성장이 저장성에 투자한 대표적인 한국기업 효성의 조현준 회장에게 요청해 이뤄진 것이다. 저장성 최고지도자가 효성을 방문한 것은 2005년에 시진핑 주석(당시 저장성 당서기)이 조석래 명예회장과 만난 것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이날 회동에는 중국 저장성 측에서 위안자쥔 성장 외에 잉시옹(Ying Xiong, 应雄) 부비서장, 셩치우핑(Sheng Qiuping, 盛秋平) 상무청장 등 10여 명이 참석했다. 효성 측에서는 조현준 회장, 조현상 총괄사장, 박준형 효성화학 대표이사, 이창황 중국 스판덱스 총괄 동사장, 황윤언 중국 산업자재 총괄 동사장, 김용섭 효성티앤씨 대표이사 등이 함께 참석했다.조 회장은 이날 만남에서 “저장성은 글로벌 효성의 초석으로 지난 20년간 함께 성장해온 곳”이라며 “앞으로도 저장성과 효성이 우호적 관계를 지속함으로써 100년 효성의 동반자로 함께 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조현준 회장, “시진핑 주석 때부터 대를 이어 구축해 온 신뢰 관계”조 회장은 “현 시진핑 주석이 지난 2005년 저장성 당서기 자격으로 효성을 방문했을 때 조석래 명예회장님과 저장성의 경제발전 방안을 모색하기도 했다. 당시 명예회장님은 시 당서기가 주최한 투자설명회에도 직접 참여해 저장성의 투자유치 활동을 지원했다”며, “대를 이어 저장성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서 역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효성, 중국 저장성 진출 20년, ‘글로벌 효성’ 초석 다져효성은 올해 저장성 진출 20년째를 맞았다. 지난 1999년 해외 생산기지로는 처음으로 중국 저장성 자싱(Jiaxing, 嘉興)에 스판덱스 공장 건립을 추진했다. 당시 조현준 회장은 C(China)-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현지화 전략을 앞세워 저장성 자싱 지역을 중심으로 중국 내수 및 글로벌 시장 공략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 결과 효성은 2010년 전 세계 스판덱스 시장의 1위 기업으로 올라서게 됐다. 뿐만 아니라 자싱에 스판덱스 외에도 타이어코드, 나일론 필름, 폴리에스터 원사 등 주력제품 공장을 운영하며 중국 시장 내에서 시장 지배자적 위치를 견고하게 지키고 있다.조 회장은 지난 2015년 제2의 도약을 위해 당시 부성장이었던 위안 성장과 함께 저장성 취저우(Quzhou, 衢州)에 총 9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효성은 이 중 3억 달러를 우선 투자하고 2017년부터 스판덱스와 반도체용 세척가스인 NF3의 생산공장을 건립해 운영하고 있다. 효성은 2017년 자싱에도 7천2백만 달러를 투자해 식품 포장용 나일론 필름사업도 확대했다. 저장성 핑후(Pinghu, 平湖)시 짜푸(Zhapu, 乍浦)에도 3천9백만 달러를 투자, 스판덱스 원료인 PTMG 공장을 증설하고 올해 10월에 가동할 예정이다.위안 성장, “효성 투자로 저장성 경제 활성화 이뤄 고맙게 생각”효성은 이날 향후 사업 확대를 위한 기업 환경 개선도 요청했다. 신재생 에너지 도입 등 전력 인프라 구축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이날 위안자쥔 성장은 “지난 20년간 효성은 저장성 경제와 일자리 창출 등에서 많은 기여를 해왔으며, 향후 저장성 발전에도 큰 기여를 해줄 것으로 믿고 있다”며, “앞으로 저장성의 중점 산업 발전에도 동참해 함께 성장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한편, 효성은 지난 1988년 북경에 무역 사무소를 개설하고 중국 내수 및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전초기지로써 중국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왔다. 현재 효성은 저장성 자싱·취저우를 비롯해 주하이(Zhuhai, 珠海)·칭다오(靑島, Qingdao)·난퉁(Nantong, 南通) 등지에 15개 제조법인과 베이징·상하이·광저우에서 3개의 무역법인을 운영하고 있다.효성은 중국에 세계 1위 제품인 스판덱·타이어코드 등 핵심 제품사업에 15억 달러 이상 투자했다. 지난해 중국 법인 매출은 총 22억 달러를 넘어섰고 현지인도 7,000명 이상을 채용하며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했다. 또한, 지진 등 구호기금 지원, 우수 학생 한국 유학 지원, 섬유 기술 등의 산학협력, 장학금 지원 등을 통해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용우 2018-08-31
기사제목
- 대규모 단일설비를 갖춤으로써 경제성과 운영 효율성에서 경쟁우위 확보S-OIL이 연간 150만 톤 규모의 스팀 크래커와 올레핀 다운스트림 시설을 짓기 위한 타당성 검토를 수행 중이다. S-OIL은 사업 포트폴리오 확대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석유화학 2단계 프로젝트에 2023년까지 총 5조 원 이상을 투자할 것으로 보인다.S-OIL 스팀 크래커는 원유정제과정에서 생산되는 나프타와 부생가스를 원료로 투입하여 에틸렌 및 기타 석유화학 원재료를 생산하는 설비로, 원료 조달과 원가 경쟁력에서 이점을 갖고 있다. 이와 함께 올레핀 다운스트림 시설을 추진하여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 고부가가치 석유화학제품 생산을 증대할 계획이다.S-OIL은 2단계 프로젝트를 위해 울산시 온산공장에서 가까운 부지 약 40만㎡를 현대중공업으로부터 매입했다. 새 프로젝트가 계획대로 추진될 경우 대규모 단일설비를 갖춤으로써 경제성과 운영 효율성에서도 경쟁우위를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S-OIL은 2단계 프로젝트 건설과정 중 연평균 270만 명, 상시 고용 400명 충원 등 일자리 창출, 건설업계 활성화 및 수출 증대 등을 통해 국가 경제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고 밝혔다.S-OIL 관계자는 “석유화학 2단계 프로젝트가 RUC/ODC 프로젝트 이후 회사의 새로운 성장 엔진으로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경쟁력 제고, 안정적 수익구조 창출 등을 통해 회사의 지속성장 기반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특히, S-OIL은 프로젝트 완공 이후 셰일 오일, 전기자동차 등으로 인한 사업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더 잘 대응하고 가장 경쟁력 있고 존경받는 종합 에너지 화학기업을 목표로 하는 비전 2025에 한층 더 가까이 다가갈 것이라고 자신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S-OIL이 대규모 투자를 연달아 단행함으로써 아로마틱, 올레핀 분야에서 글로벌 강자로 입지를 굳히고 정유/석유화학 업계의 일대 지각 변동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용우 2018-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