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현대보테코

캐미칼리포트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 프랑스 수에즈社‧캐나다 루프社 손잡고 국내기업 최초 유럽 플라스틱 재활용 공장 설립 - 프랑스 북동부 생타볼 지역에 ’27년 완공… 연간 7만 톤 재생 플라스틱(PET) 양산 예정   SK이노베이션 화학사업 자회사 SK지오센트릭이 플라스틱 재활용 합작공장을 프랑스에 짓고 유럽지역 순환 경제 구축의 전진기지로 삼는다.SK지오센트릭은 프랑스 수자원 및 폐기물 관리기업 수에즈(SUEZ), 플라스틱 재활용 해중합* 기술보유 캐나다 루프 인더스트리(Loop Industries, 이하 루프)와 함께 플라스틱 재활용 합작공장 설립을 위해 프랑스 북동부 생타볼(Saint-Avold) 지역 부지선정을 완료했다고 2월 17일(한국시간) 밝혔다. * 해중합 기술: 유색 페트병, 폴리에스테르 원단 등 플라스틱(PET)을 이루는 큰 분자 덩어리의 중합을 해체시켜 플라스틱의 기초 원료물질로 되돌리는 기술     SK지오센트릭 등 3社는 약 4억5천만 유로(약 6,200억 원)를 투자해 오는 ’25년 초 공장 착공에 나서 ’27년 완공해 연간 약 7만 톤 규모 재생 플라스틱(PET) 공급능력을 갖추기로 했다.이번 부지선정은 지난 ’22년 6월 3社가 공동 발표한 플라스틱 재활용 합작법인 설립 업무협약 계획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공장 설립은 프랑스 정부, 그랑이스트(GRAND Est) 주, 그리고 생타볼의 지원 아래 진행되며, SK지오센트릭의 석유화학 공정 운영 경험, 수에즈의 폐기물자원관리 능력과 루프의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이 활용된다.생타볼은 유럽 북동부 인구 밀집 지역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도로 및 철도 등 효율적인 산업 인프라를 바탕으로 재활용 공장 설립에 최적의 환경을 갖췄다. 공장 완공 시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한편 신규 일자리 창출 등 고용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공장은 재활용 플라스틱을 활용한 포장재 및 제품 생산목표를 가진 기업들에게 솔루션을 제공할 뿐 아니라, 유럽 환경 규제로 인해 증가하고 있는 재생 플라스틱(PET) 수요에도 대응한다. 또한, 지금까지 매립-소각되던 플라스틱 재활용률도 높여 글로벌 플라스틱 문제 해결에도 기여한다.공장의 재활용 설비는 루프가 개발한 해중합 공정을 적용한다. 이를 통해 적은 양의 에너지를 사용하면서도 매우 광범위한 플라스틱 원료를 가공할 수 있게 된다. 공정에 투입하는 폐플라스틱은 수에즈社가 보유한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공급한다. 롤랑 레퀴르(Roland Lescure) 프랑스 경제재정부 산업담당 장관은 “SK지오센트릭, 수에즈, 루프가 프랑스 생타볼 지역을 플라스틱 재활용 공장부지로 선정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 플라스틱 재활용 공장 설립은 프랑스 정부의 기후환경에 대한 목표가 친환경 산업재편에도 기여가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SK지오센트릭 나경수 사장은 “유럽 최초 플라스틱 재활용 공장 설립을 위한 부지선정이라는 의미 있는 이정표를 달성하게 되어 기쁘다”며, “유럽지역의 지속 가능한 순환 경제 구축을 이끌어 가도록 SK지오센트릭이 보유한 폭넓은 석유화학 공정 운영 경험을 공유할 것”이라고 말했다.루프 CEO 다니엘 솔로미타(Daniel Solomita)는 “공장 부지선정은 루프의 재활용 기술을 세계적으로 상용화하는 데 있어 중요한 단계”라며, “폐플라스틱 원료 공급원과 가까우며 유럽 전역으로 재활용 제품을 쉽게 공급할 수 있는 광범위한 교통 인프라를 갖춘 생타볼 지역을 선정했다”고 말했다. 수에즈 CEO 사브리나 수잔(Sabrina Soussan)은 “유럽 및 전세계에서 늘어나는 플라스틱 재활용 과제를 해결하는 혁신적인 프로젝트의 협업이 진행되어 기쁘다”며, “이번 협업은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통해 순환 경제 구축을 달성하는 직접적인 지원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편집부 2023-03-22
기사제목
- 美 피드몬트 리튬과 리튬정광 20만 톤 공급 계약- 북미산 리튬으로 양극재 만들어 북미 소재 공급망 구축   LG화학이 국내 전지 소재 업체 중 처음으로 북미산 리튬정광을 확보하며 공급망 강화에 나섰다. 리튬정광은 리튬 광석을 가공해 농축한 고순도 광물로, 배터리 핵심 원료인 수산화 리튬을 추출할 수 있다.LG화학은 지난 2월 17일, 미국 광산 업체 피드몬트 리튬과 총 20만 톤 규모의 리튬정광 구매 계약(Offtake)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피드몬트 리튬은 캐나다 광산에서 나오는 리튬정광을 올해 3분기부터 연간 5만 톤씩 4년간 LG화학에 공급할 계획이다. 이는 리튬 약 3만 톤을 추출할 수 있는 양으로 고성능 전기차 약 50만 대에 들어가는 규모다.   북미에서 올해 유일하게 상업 생산이 가능한 캐나다 퀘벡의 NAL 리튬 광산   피드몬트 리튬이 지분 투자를 통해 간접 보유한 캐나다 퀘벡 NAL 광산*은, 올해 북미에서 유일하게 상업 생산이 가능한 리튬 광산이다. LG화학은 북미에서 채굴한 리튬을 북미 주요 고객에 공급하는 양극재 생산에 사용할 예정이다.* NAL(North American Lithium) 광산: 캐나다 퀘벡에 위치한 광산으로, 피드몬트 리튬이 지분 25% 보유   국내 전지 소재 업체 중 북미산 리튬을 확보한 것은 LG화학이 처음이다. 북미산 리튬정광을 사용하면 미국 IRA(Inflation Reduction Act 미국 정부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에 따른 세제 혜택 기준을 충족시키면서 이차전지 핵심 광물의 지역 편중을 완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LG화학은 피드몬트 리튬과 7,500만 달러(약 960억 원) 규모의 지분 투자 계약도 체결하며 지분 약 6%를 확보했다. LG화학은 퀘벡 광산의 리튬정광 외에도 피드몬트 리튬이 미국에서 생산하는 수산화리튬 물량 연 1만 톤에 대한 우선협상권을 얻는 등 원재료 공급 안정성을 한층 높이게 됐다.2016년 설립된 피드몬트 리튬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에 본사를 둔 리튬 광산 업체다. 미국 뉴욕 증시에 상장돼 있으며, 호주증권거래소에도 2차 상장돼 있다. 피드몬트 리튬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와 테네시에서 리튬 광산 개발 및 리튬 생산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캐나다 퀘벡, 가나 케이프코스트에서 개발 중인 리튬 광산 개발 업체에도 지분을 가지고 있다.키스 필립스 피드몬트 CEO는 “북미에서 생산된 리튬 자원을 LG화학에 공급하게 돼 기쁘다”며, “LG화학은 미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 강한 의지를 보이는 만큼, 북미 지역에서 협력 확대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LG화학은 안정적인 원재료 수급과 원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피드몬트 리튬 등 다양한 글로벌 원자재 업체와 협력하고 있다. 호주 광산을 보유한 톈치리튬(천제리튬, Tianqi Lithium)에 전략적 지분 투자를 진행하기도 했다. LG화학은 앞으로도 IRA와 RMA(유럽 핵심원자재법, Critical Raw Materials Act) 기준을 충족하는 핵심 전지 소재 확보를 위한 투자를 이어나갈 방침이다.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핵심 시장인 미국에서 선제적으로 원재료를 확보하며 고객에게 IRA 기준을 충족한 제품을 제공하는 등 차별화된 가치를 전달할 것”이라며, “전기차‧배터리 업체와의 공동 메탈 투자를 포함한 다양한 파트너십 구축을 추진하며 전지 소재 시장을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편집부 2023-03-22
기사제목
- 폐플라스틱 자원을 재활용해 만든 가소제, 국내 최초 상업화- 글로벌 가소제 메이커로서 넷 제로 선도하며 미래 시장 선점     애경케미칼(대표 표경원)이 국내 최초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자원 선순환 형 친환경 가소제 양산에 돌입한다.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할 경우 기존 석유화학에 기반한 생산 과정에 비해 탄소 저감 효과가 기대된다. 이를 통해 자원 선순환에 기여하고 최근 기후변화 대응 트렌드인 넷 제로(Net Zero) 선도 기업으로 거듭난다는 각오다.애경케미칼은 최근 폐플라스틱(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을 재활용해 만든 자원 선순환 형 친환경 가소제(NEO-T+) 개발에 성공해 본격 양산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전용 생산 설비를 구축했으며 앞으로 시장 수요에 맞춰 점차 생산량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애경케미칼, 친환경 가소제 개발로 획득한 ISCC PLUS 인증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가소제를 만드는 방식은 국내 최초의 사례로, 기술의 차별성과 제품의 우수함을 바탕으로 특허를 출원했다. 또한 최근 국제 친환경 제품 인증인 ‘ISCC PLUS’를 획득하며 원료부터 제품 생산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Life-cycle)에서 자원 선순환에 기여하고 있음을 인정받았다. 이 외에 재활용 원료를 사용한 제품에 주어지는 GRS(Global Recycled Standard) 인증 획득도 추진 중이다.가소제는 폴리염화비닐(PVC)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필수 첨가제다. 애경케미칼이 선보인 자원 선순환 형 친환경 가소제는 비프탈레이트 가소제로써 인체·환경과 밀접한 용도로 적용이 가능하고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대응 흐름에 맞춰 선진국 시장에서 사용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http://www.aekyungchemical.co.kr/    
편집부 2023-03-10
기사제목
- 2025년까지 초산비닐 25만 톤 증설 목표- 연산 70만 톤까지 생산량 늘려 고객에게 안정적인 원료 공급 실현- 일상생활 제품부터 친환경 첨단 소재 등에 폭넓게 활용   롯데이네오스화학(대표이사 정승원·이탁용)이 국내외의 수요 확대에 대응해 2025년 말 공장 가동을 목표로 초산비닐 생산 설비를 증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국내 유일의 초산 및 초산비닐(VAM) 생산 기업인 롯데이네오스화학은 2020년 초산비닐 2공장 증설을 완료한 데 이어 3년 만에 3공장 증설을 추진한다.이를 위해 기존 울산공장 인근 부지를 매입하고 롯데건설과 기본 설계 계약을 체결하는 등 공장 건설을 위한 본격적인 업무에 돌입했다. 롯데이네오스화학은 증설을 통해 현재 45만 톤인 초산비닐 생산 능력을 70만 톤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울산에 위치한 롯데이네오스화학 초산비닐 2공장 전경   초산비닐은 식품용 포장재, 무독성 접착제 및 도료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제품을 비롯해 태양 전지 모듈 하우징과 디스플레이용 편광 필름과 같은 친환경 첨단 소재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태양광 발전 설비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초산비닐에 대한 수요도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다.롯데이네오스화학은 1989년 영국의 BP사와의 합작 계약을 통해 설립됐고, 2021년 INEOS를 새로운 파트너로 맞이해 도약하고 있다. 롯데이네오스화학은 고부가가치 정밀 화학제품인 초산과 그 유도체인 초산비닐(VAM)을 생산하는 국내 유일의 기업으로서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고 우수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또한 깨끗한 환경, 건강한 생활을 위한 HSE(HEALTH, SAFETY, ENVIRONMENT) 정책을 바탕으로, 환경 친화 기업 경영과 안전 예방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전 직원의 건강과 안전뿐만 아니라 자라나는 후손의 환경까지 생각하는 환경 안전 선도 기업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https://www.lottechem.com      
편집부 2023-03-10
기사제목
- 2024년 말 가동 목표, 연산 5,000톤 규모 증설로 국내 최대 규모- 전기자동차 부품, 전기·전자 기기, 주택 및 산업용 부품 등 시장 확대에 대응- 주원료 NaSH 증설도 병행, 세계 최초의 원료·수지·콤파운드 일관 공장 위상 강화   도레이첨단소재(대표이사 전해상)가 새만금산업단지에 위치한 군산공장에 2024년 말 가동을 목표로 연산 5,000톤 규모의 PPS 수지(브랜드명: TORELINA) 생산설비를 증설한다고 밝혔다.이번 증설을 통해 국내 최대인 연산 1만3,600톤의 생산 규모를 확보함으로써 국내의 공급망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며, 도레이그룹도 글로벌 생산량을 연산 3만2,600톤까지 확대해 세계 최대의 PPS 수지 메이커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하게 된다.아울러 도레이첨단소재는 PPS 수지의 주원료인 황화수소나트륨(NaSH)도 연산 4,800톤 규모로 증설해 세계 최초의 원료부터 수지, 콤파운드까지의 일관 공장으로서의 위상을 한층 강화할 전망이다.도레이첨단소재의 PPS 군산공장 전경   도레이첨단소재는 전후방 산업과의 전략적 협업으로 내수를 확대하고 한국의 FTA 네트워크를 활용해 수출도 확대하는 한편, 중국, 유럽, 아세안 등 도레이그룹의 각 콤파운드 거점에도 공급하는 등 글로벌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PPS는 내열성, 내화학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해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전기자동차의 경량화 및 전장부품을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전기·전자기기, 주택 설비 및 산업용 부품 등으로 시장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수지에 기능성을 추가한 PPS 콤파운드 시장은 2022년 약 12만 톤으로 추정되며, 2026년 약 16만 톤으로 연평균 6%의 고성장이 전망된다.도레이첨단소재는 새만금산업단지에 외국인 투자기업 최초로 입주해 2016년 군산공장을 준공,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지역사회와 동반성장하고 있으며 이번 증설도 산업통상자원부, 전라북도, 군산시, KOTRA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으로 추진됐다.   http://www.torayamk.com  
편집부 2023-03-10
기사제목
- 유튜브 통해 친근감 있게 친환경 소비 필요성 전파- 런칭 영상 통해 사옥 소개·그린 소재 팝업 스토어 생생한 현장 담아내   국내 화학업체가 유튜브를 개설하고 환경을 위한 플라스틱 사용 문화에 앞장서고 있다.SK케미칼은 유튜브 “화학과 바이오의 케미스토리”를 개설하고 운영을 본격화한다고 2월 1일 밝혔다. 화학과 전문의약품을 주력 사업으로 하는 SK케미칼이 공식 유튜브 채널을 개설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K케미칼이 공식 유튜브를 1일 오픈했다. 런칭 영상에는 SK케미칼의 사옥 소개와 지난해 말 진행된 이음 팝업 스토어 현장이 담겼다. 사진은 런칭 영상 주요 장면.   공개된 런칭 영상은 SK케미칼에 입사한 유튜브 담당자가 런칭 영상 제작을 위해 고민하는 에피소드를 통해 본사와 연구소가 위치한 사옥 에코랩의 사무 공간과 휴게 공간을 소개하고, 지난해 말 현대백화점 판교점에서 전시된 그린 소재 팝업 스토어의 생생한 현장을 담았다.다소 딱딱하고 식상할 수 있는 기업 문화와 화학 사업 아이템을 B급 감성으로 독자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풀어냈다는 평가다.회사 측은 이 채널을 통해 △ 리사이클링 플라스틱·바이오 소재 등 그린 소재의 필요성과 특장점 △ 환경친화적 소비 습관을 위한 캠페인 △ 의약품·바이오 사업 및 건강 정보 △ ESG 및 채용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로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SK케미칼 전성철 커뮤니케이션 실장은 “플라스틱과 지구 환경의 공존을 위해서는 리사이클링 등 기술 개발과 더불어 화학 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 등 많은 이해관계자들의 공감대와 동참이 필수적”이라며, “보다 많은 사람들이 플라스틱 문제 해결에 대해 관심을 갖고 환경 문제 해소를 위해 함께 노력할 수 있도록 유튜브를 통해 친근감 있게 소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SK케미칼 공식 채널은 유튜브 내 ‘SK케미칼’, ‘SK케미칼 브이로그’ 등 키워드 검색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고, SK케미칼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접속할 수 있다.  
편집부 2023-03-10
기사제목
- 미국 FDA 등 세계 각국의 규제 등록 및 승인 획득한 믿을 수 있는 안전성- 우수한 고순도, 고품질 착색제로 수십 년간 변치 않는 착색력 자랑- 매일 접촉하는 스마트폰, 냉장고 등 컬러 가전에 필요한 인체 무해성 특징   글로벌 특수화학기업 랑세스의 프리미엄 유기염료 마크로렉스(Macrolex®)가 ‘컬러 가전’을 위한 친환경·고품질 착색제로 주목받고 있다.랑세스 마크로렉스는 플라스틱 착색용 고품질 유기염료로 밝고 일정한 색 구현, 수십 년이 지나도 변치 않는 우수한 색 지속성이 특징이다. 세계 각국의 각종 규제 승인을 획득한 우수한 인체 안전성, 그리고 다양한 소재에 적용 가능한 뛰어난 착색력으로 국내 유수 컬러 가전 제조사의 선택을 받고 있다.   마크로렉스는 미국 FDA, 일본 JCII등 각국의 엄격한 환경 규제와 까다로운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탁월한 안전성이 특징이다.   마크로렉스의 큰 특징 중 하나는 미국 FDA 및 일본 JCII[1] 등의 각국의 엄격한 환경 규제와 까다로운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탁월한 안전성이다. 냉장고나 스마트폰과 같은 가전제품은 일상생활에서 손 등과 빈번히 접촉하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무해성이 매우 중요하다.랑세스 마크로렉스는 음식물과의 접촉은 물론 어린이용품에 사용 가능할 정도로 안전성이 입증됐다. 덕분에 한국 가전기업들의 냉장고, 세탁기, 의류 건조기, 에어컨, 스마트폰 등 프리미엄 ‘컬러 가전’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으며, 세계 시장에서는 어린이 장난감, 플라스틱 음료병 및 화장품 용기 등에 널리 활용되는 중이다.[1] 2021년 3월 31일부로 일본화학혁신연구소(Japan Chemical Innovation and Inspection Institute, JCII)가 일본위생수지협의회(JHOSPA)의 식품접촉물질 인증을 통합 운영   마크로렉스는 20여 가지 색상을 기반으로 다양한 맞춤형 컬러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일관된 색 품질을 자랑한다.   마크로렉스는 20여 가지 색상을 기반으로 다양한 맞춤형 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준 색과의 색상 차이를 수치화한 델타 E(Delta E)[2] 값을 0.7 이하(dE≤0.7)로 엄격하게 관리해 일관된 색 품질을 자랑한다. 같은 색이라도 델타 E 값이 1 이상인 경우 미묘한 색 차이를 눈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1 미만인 경우 육안으로 구분이 어려운 수준이다.[2] Delta E: 실제 의도한 색과 육안상 식별되는 색의 차이, 또는 두 지점 간 색 차이를 나타내는 표준색 편찻값으로 LDC 모니터 같은 전자기기 디스플레이 색 구현 정확성을 평가하는 척도가 됨   또한, 열 안정성과 착색력이 뛰어나 폴리스티렌(PS), ABS, 폴리카보네이트(PC), PMMA, 폴리아미드(PA)와 같이 고온의 혹독한 공정을 거쳐야 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적용도 용이하다.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의 공정 과정에서는 염료가 350°C 이상의 온도를 견뎌야 하는데, 마크로렉스는 고온 공정에서도 변질 및 변색되지 않는 탁월한 내화학성을 지녔다.랑세스코리아 폴리머 첨가제 사업부 이신영 이사는 “국내 가전기업들은 세계 가전 선두주자로서 글로벌 규제 및 등록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소재에 대한 니즈가 크다”며, “마크로렉스는 고품질뿐 아니라 안전성, 유해성, 위생표준 등 세계 각국의 가장 까다로운 규제 등록 및 승인을 만족하는 착색제로, 랑세스는 컬러 가전이 세계적인 트렌드로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하는 글로벌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마크로렉스(Macrolex®)는 1960년대 초 개발되어 현재까지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랑세스의 착색제 제품군은 우수한 호환성을 갖춰 광범위한 폴리머 제품과 가공 공정에 적용이 용이하다. 특히 식품 포장재 및 어린이 장난감에 사용될 만큼 안전하며, 엄격한 법적 안전기준을 충족하고 있다.랑세스는 마크로렉스 제품군 외에도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150여 종의 다양한 염‧안료 제품군을 공급하는 중이다.보다 자세한 제품 정보는 마크로렉스 웹사이트(https://lanxess.com/en/Products-and-Solutions/Brands/Macrolex)에서 확인할 수 있다.  
편집부 2023-03-09
기사제목
- 듀레탄 PA6 컴파운드, PA66 대체 가능한 우수한 물성으로 비용 절감 및 기후 친화적 혜택 제공- 폐유리 재활용한 에코 유리섬유 적용해 탄소발자국 추가 감축 가능- 고객 맞춤형 기술서비스 하이앤트(HiAnt)로 부품 개발 전 과정에 필요한 기술 지원 제공   글로벌 특수화학기업 랑세스가 고가의 폴리아미드 66(PA66) 컴파운드를 대체할 수 있는 PA6 기반의 듀레탄(Durethan) 고성능 플라스틱 소재를 소개한다.듀레탄 PA6는 PA66 소재와 동등한 수준의 물성과 경량화 설계, 안전성을 보장하면서 비용 절감을 통해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고성능 플라스틱 컴파운드다. 특히 PA66 대비 탄소발자국이 40%가량 낮은 저탄소 소재로 비용효율성과 탄소발자국 저감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만큼, 지속 가능한 기후 중립적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요를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랑세스의 듀레탄 PA6 컴파운드는 PA66의 유럽 산업 평균 대비 탄소발자국을 40% 이상 낮출 수 있다.   폐유리 활용 ‘에코 유리섬유’로 탄소발자국 추가 저감 가능듀레탄 PA6 컴파운드는 자체 개발한 자원 절약형 ‘에코 유리섬유’를 적용해 탄소발자국을 추가로 감축할 수 있다. 에코 유리섬유는 산업용 유리 폐기물을 원료로 사용해 자원을 절약하고 에너지 소비와 폐기물 발생을 줄인다. 덕분에 기존 유리섬유 대비 탄소발자국이 2/3 수준에 불과하다.랑세스는 최대 60%의 에코 유리섬유를 적용한 PA6 컴파운드를 ‘듀레탄 에코’ 브랜드로 공급한다. 듀레탄 에코는 ISCC Plus(International Sustainability & Carbon Certification) 인증의 물질수지법을 통해 지속가능한 원료 비율을 투명하게 확인, 최종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탄소발자국 감소를 위한 경량 설계랑세스는 독자적인 기술서비스 하이앤트(HiAnt)를 통해 PA66를 PA6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 하이앤트는 부품 설계를 위한 컨셉 개발, 원료 최적화에서 첨단 CAE(컴퓨터 지원 엔지니어링) 기반의 부품 물성 예측에 이르기까지 부품개발 전 과정을 지원한다. 올바른 소재 선택과 중량 절감에 최적화된 설계를 통해 탄소발자국 감축에도 기여할 수 있다.   글로벌 특수화학기업 랑세스의 ‘에코 유리섬유’ 강화 듀레탄 PA6 소재로 제작한 전기차 온-보드 배터리 충전기 커버는 일반 부품 대비 탄소발자국을 최대 46%까지 감축할 수 있다.   듀레탄 PA6로 제작된 전기차 온-보드 배터리 충전기 커버, PA66 소재 대비 36% 이상 탄소발자국 감축듀레탄 PA6 컴파운드는 PA66를 대체할 수 있는 물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탄소발자국 감축에도 기여한다. 50% 유리 단섬유 강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듀레탄 BKV50H3.0로 제작된 전기차 배터리의 온-보드 충전기 커버는 동일한 양의 유리섬유로 강화된 PA66 제품 대비 탄소 배출량을 36%가량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에코 유리섬유를 적용하면 탄소 배출량을 10%가량 추가 감축이 가능하다.듀레탄 PA6의 탄소발자국은 공인 인증기관으로부터 확인된 수치이며, PA66 기반 기초 원료와의 비교 자료는 유럽플라스틱생산자협회(PlasticsEurope)가 발행한 ‘Eco-profiles PA66’ 발표 수치를 기반으로 한다.  
편집부 2023-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