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hpf미네랄스
현대보테코
K쇼배너

캐미칼리포트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 첫 행보로 국내 5개 공장 방문해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 들어 효성 조현준 회장이 지난 1월 16일, 마포 본사에서 임직원이 모인 가운데 조촐하게 취임식을 갖고 그룹 회장에 취임했다.신임 조 회장은 “효성의 새 시대를 여는 오늘 영광스러운 동시에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백년 효성으로 가기 위해 오늘부터 효성의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가겠다”는 힘찬 포부를 밝혔다. 조 회장은 지난 50년 간 효성의 발전을 위해 애쓴 임직원들에 대한 감사 인사를 전하면서 백년 효성으로 가기 위한 세 가지를 강조했다.먼저 조 회장은 “효성을 경청하는 회사로 만들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고객의 소리는 경영활동의 시작과 끝’이라고 강조하면서 “협력사는 소중한 파트너로서 세심한 배려로 상생의 관계를 이루어 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특히 신임 조 회장은 “현장에서 직접 느낀 고충과 개선점들이 기술개발과 품질혁신의 출발점이 된다.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작은 아이디어라도 자유롭게 말할 수 있게 배려하고 경청하는 문화를 정착시켜야 하겠다”고 말했다.다음으로 조 회장은 “기술로 자부심을 갖는 회사로 만들겠다”면서 “임직원들이 사명감을 발휘해 만든 기술과 제품이 세계 최고라는 긍지를 갖게 되길 바란다. 기술경쟁력이 효성의 성공DNA로 면면히 이어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평소 야구, 스키, 테니스, 축구 등 만능 스포츠맨으로 알려진 조 회장은 이날 취임식에서도 팀웍과 페어플레이 등 스포츠 정신을 강조했다. 조 회장은 “페어플레이 정신을 바탕으로 정정당당히 겨루되 반드시 승리하는 조직을 만들자”고 독려했다.특히 조 회장은 소설 삼총사에 나오는 “All For One, One For All”을 인용하면서 “팀을 위해 헌신하고, 서로 유기적으로 대응하는 선수들로 이루어진 팀만큼 무서운 팀은 없다. 팀웍으로 끈기 있게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할 때 승리에 더 가까이 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조 회장은 마지막으로 “어떠한 고난이 닥쳐오더라도 서로를 믿고 의지하면서 함께 세계를 향해, 미래를 향해 힘차게 도전해 백년 기업의 꿈을 이루는 주인공이 되자”는 당부로 취임사를 마쳤다.취임식에 앞서 조 회장은 첫 행보로 지난 1월 4~8일 효성의 모태인 울산공장을 비롯해 구미, 창원 등에 소재한 5개 국내 생산 공장 곳곳을 돌아보고 임직원들과 직접 만나 생생한 목소리를 경청하는 ‘현장 경영’을 실시했다. 이번 현장방문은 품질과 기술이 구현되고 있는 생산현장이 중요하다고 보고 생생한 임직원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기 위해 조 회장이 먼저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조 회장은 지난 4일, 구미의 스판덱스 공장과 노틸러스효성 구미공장을 방문한 데 이어 5일에는 효성그룹의 모태가 된 울산공장을 찾았다. 조 회장은 세계 1위 제품인 스판덱스와 타이어코드, ATM기기 등의 생산현장을 구석구석 살피면서 품질개선과 선도적인 기술개발을 이뤄낼 것을 주문했다.특히 조 회장은 “울산공장은 전 세계 사업장에 사관생도를 보낼 수 있게 훈련시키는 사관학교 같은 역할을 해야 한다”며, 마더 플랜트(Mother Plant) 역할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고객의 목소리가 제일 중요하며, 이를 위해 글로벌 사업장 및 현장 출장 등도 적극 권장하고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조 회장은 “현장의 개선 아이디어를 칭찬하고 시상하여 지속적으로 개선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달라”고 당부했다.
이용우 2017-01-19
기사제목
- 세 가지 신규 고반사율 실리콘 코팅 출시를 통해 실리콘과 실리콘 소재 기술 및 이노베이션 부문에서 글로벌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다우코닝(dowcorning.co.kr)은 지난 1월 17일,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자사의 첨단 LED 솔루션 포트폴리오에 세 가지 신규 고반사율 실리콘 코팅을 추가함으로써 LED 패키징 제조업체의 설계 유연성을 대폭 향상시켰다고 밝혔다.Dow Corning® 라벨 하에 도입된 세 가지 신규 고반사율 실리콘 코팅은 WR-3001 다이 엣지 코트(Die Edge Coat), WR-3100 다이 엣지 코트(Die Edge Coat) 및 WR-3120 반사율 코팅(Reflective Coating)이며, 향후 고객이 요구하는 공정에 부응하는 제품을 추가할 계획이다.세 가지 신규 고반사율 실리콘 코팅은 칩 스케일 패키지(Chip Scale Package, CSP) 및 칩 온-보드 패키징(Chip On-Board, COB)과 같이 첨단 LED 설계를 위한 선별적 솔루션뿐만 아니라 기존의 분사공정에서 최근 등장한 프린팅 방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공정을 위한 옵션도 제공한다.타쿠히로 츠치야(Takuhiro Tsuchiya) 다우코닝 글로벌 마케팅 매니저는 “제조업체들은 더 작고 효율적이며, 비용에 있어서도 더욱 효율적인 LED 패키지 설계를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있다. 이는 프린팅을 비롯한 적용공정의 진화를 가능하게 하고 점차 더 가혹해지고 있는 작동조건을 견딜 수 있는 첨단 신규 반사율 소재에 대한 수요를 창출해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다우의 세 가지 최첨단 코팅은 우리가 업계를 위해 준비하고 있는 다양한 신제품 중 첫 번째 제품에 불과하다. 다우코닝은 고객들이 직면한 가장 큰 설계 문제를 극복하고, 경쟁이 치열한 LED 시장에서 안정적이고 차별화된 제품을 제공하도록 세 가지 반사율 실리콘 코팅을 만들었다”고 덧붙였다.다우코닝의 모든 반사율 소재와 마찬가지로, 세 가지 신규 고반사율 실리콘 코팅도 낮은 두께에서 높은 반사율을 유지하고, 많은 유기코팅이 갈라지거나 황색으로 변하는 150°C의 지속온도에서 성능을 유지한다.증가하는 경도 순서에 따라 나열한 신규 제품은 다음과 같다.· WR-3001 다이 엣지 코트(Die Edge Coat) : 높은 열 안정성 및 광 안정성(photostability)을 지닌 LED 소재가 필요한 고출력 CSP 적용을 대상으로 한다. 기존 분사공정과 양립이 가능하다.· WR-3100 다이 엣지 코트(Die Edge Coat) : CSP 적용 및 중저출력 LED 패키지 설계를 대상으로 한다. 기존 분사장비와 호환이 가능하고, 경화처리 후 Shore D 경도 65의 비교적 높은 경도를 전달하기 때문에 칩 다이싱 공정에 적합하다.· WR-3120 반사율 코팅(Reflective Coating) : 고출력 LED 패키징 적용에 적합한 높은 열 안정성 및 광 안정성뿐만 아니라 다우코닝의 세 가지 신규 제품 중 가장 높은 경도를 제공한다. 프린팅 공정에 적합한 첨단 반사율 실리콘 코딩은 LED 성능 향상을 위한 최고의 반사율을 제공한다.LED 조명 컨셉을 위한 소재, 전문성 및 협력적 혁신에 있어서 시장을 선도하는 다우코닝은 모든 LED 조명분야 전반에 걸쳐 조명의 밀봉, 보호, 접착, 냉각 및 성형을 위한 안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LED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용우 2017-01-19
기사제목
- ‘고부가 CPVC 제조 기술’ 범용 대비 수익성 2배 수익성, 세계 최고 품질 PVC도 가능해져한화케미칼(사장 김창범)이 미래 먹거리가 될 2개의 원천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한화케미칼은 범용제품인 PVC의 기능을 향상시킨 ‘고부가 CPVC(염소화 PVC) 제조기술’과 기존 촉매의 물성을 한 단계 개선한 ‘메탈로센 하이브리드 촉매 시스템’을 개발해 지난 12월 21일 국가기술표준원으로부터 신기술 인증을 획득했다. 신기술 인증은 조기 상업화가 가능한 기술 중 기존 제품의 기능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해 국가에서 인증해주는 제도다. 고부가 CPVC는 기존 PVC에 염소함량을 높인 것으로 열과 압력, 부식에 견디는 성질이 우수해 소방용, 산업용 특수배관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높은 기술수준이 필요해 미국의 루브리졸(Lubrizol), 일본의 세키스이(Sekisui), 카네카(Kaneka)등 소수의 업체만이 생산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것을 한화케미칼이 처음 국산화 한 것이다. 작년 시장규모는 약 6,300억 원으로 매년 10% 이상씩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범용 PVC대비 수익성이 2배 이상 좋으며 용도의 특성상 대체가 어렵기 때문에 경기 변동에 영향을 덜 받고 안정적인 수익이 가능하다. 이 기술의 핵심은 염소의 흡수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PVC에 많은 구멍을 만들면서도 생산량 손실이 없도록 밀도를 높여 오히려 생산성을 30% 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이 기술을 범용 PVC에 적용할 경우 세계 최고수준 품질의 제품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내년 3월 상업생산을 목표로 현재 울산 제2공장에 연산 3만 톤 규모의 CPVC 공장을 건설하고 있으며, 중국 닝보 PVC 공장에도 이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해외업체와의 기술제휴가 아닌 자체기술로 공장을 건설함으로써 투자비, 운영비 절감은 물론 기술수출 가능성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한편 ‘차세대 촉매’로 불리는 메탈로센 촉매의 특성을 이용한 ‘메탈로센 하이브리드 촉매 시스템’도 개발했다. 메탈로센은 화학제품을 생산하는데 쓰이는 촉매의 일종으로 고부가 제품에 주로 활용된다. 단일 촉매를 사용하는 기존방식대비 강도와 가공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됐다. 이 기술을 적용할 경우 고온과 고압에서 50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제품생산이 가능하며 제품의 용도에 따라 맞춤식 제작도 가능하다. 한화케미칼은 대외 변수의 영향이 큰 화학 산업에서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하도록 제품 포트폴리오 조정과 원천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PVC, PE(폴리에틸렌)등 핵심사업 분야에서 고부가 특화제품의 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원천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올해 초에는 카이스트(KAIST)와 공동으로 미래기술연구소를 설립해 차세대 석유화학 물질 제조기술 개발, 혁신적 에너지 저감이 가능한 고순도 정제공정 개발 등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강민정 2017-01-09
기사제목
- 수소전기 차 압축용기에 적용되는 탄소섬유 사업과도 시너지정부의 ‘수소전기 차 충전소 보급’ 사업이 본격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효성이 서울지역에서 최초로 700바 수소충전소를 완공하는 등 수소충전소 사업을 적극 확대하고 있다. 효성은 최근 서울 양재동 소재 현대자동차 수소충전소에 수소전기 차 전용의 700바급 수소 충전시스템을 공급했다고 12월 26일 밝혔다.효성이 이번에 공급한 700바급 수소 충전시스템은 950바급 수소가스 압축패키지 1기와 700바/350바 겸용의 수소충전기, -40℃ 수소가스 냉각시스템으로 구성돼 있다. 700바급 수소 충전기는 기존 충전기에 비해 충전 속도가 빠르고, 고압 용기를 사용하면 더 많은 양의 수소가스 충전이 가능하다. 또한 수소가스 압축패키지와 수소충전기, 수소가스 냉각시스템 등 장비의 대부분을 국산화해 A/S가 신속한 것도 강점이다. 이번에 700바급 수소 충전시스템을 도입한 현대자동차 양재충전소 관계자 역시 “종전에 비해 시스템이 간단하고 사용하기 편리해 유지보수에 적합한 시스템”이라고 밝혔다.수소전기 차는 기존의 전기차가 충전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것과는 달리 3~5분이면 충전이 완료될 정도로 간편하며 수소 1kg 충전으로 약 80km를 주행할 수 있을 만큼 연비가 우수하다. 한번 충전으로 400Km이상 운행이 가능하며 운행 시에도 이산화탄소 등 대기오염물질이 전혀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차량으로 각광받고 있다. 연료로 쓰이는 수소가스 역시 석유화학공단 등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부생가스를 이용하고 있어 저렴한 가격에 공급이 가능하다.이와 함께 수소가스 저장용기에 대한 소재 공급기반이 확대된 점도 수소전기 차 시장 확대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CNG(Compressed Natural Gas ; 압축천연가스)용기나 수소가스 압축용기는 일반 공기보다 500~900배 이상의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탄소섬유로 감는 것이 핵심기술이다. 탄소섬유는 그동안 수입에 의존해 왔으나, 효성이 2013년 6월 전북 전주에 탄소섬유 생산설비를 준공하여 국내외 시장에 공급 중이다.또한 정부가 지난 해 12월 ‘제3차 환경친화적자동차 개발 및 보급 기본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금년 6월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을 통해 2020년까지 수소전기 차 1만대, 수소충전소 100개소 건설을 내용으로 하는 수소전기 차 및 수소 충전인프라 보급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확정하여 수소충전소 시장이 대폭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현철 효성 기전PU 사장은 “효성은 지난 50여 년간 회전기, 압축기 등 중공업 분야에서 쌓아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2000년 이래 전국에 약 200여기(시장점유율 40% 이상)의 CNG 압축시스템 및 6기(시장점유율 30% 이상)의 수소가스 압축시스템을 공급해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면서 “수소전기 차 시장이 활성화되면 효성은 충전소사업 확대는 물론 탄소섬유에 이르기까지 시너지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강민정 2017-01-09
기사제목
강민정 2017-01-09
기사제목
강민정 2016-12-26
기사제목
- 중국 친환경 자동차 시장점유율 확보를 위해 모빌리티 사업 강화미쓰이화학(Mitsui Chemicals, Inc. / 도쿄증권거래소 : 4183 / 사장 겸 최고경영자 : 단노와 쓰토무(Tsutomu Tannowa), 이하 ‘미쓰이화학’)과 포모사 플라스틱 코퍼레이션(Formosa Plastics Corporation / 회장 겸 사장 : 제이슨 린(Jason Lin), 이하 포모사 플라스틱)의 합작기업인 포모사 미쓰이 어드밴스드 케미칼(Formosa Mitsui Advanced Chemicals Co., Ltd., 이하 ‘FMAC’)이 리튬이온 배터리용 전해질 용액 생산시설 용량을 증대한다. 리튬이온 배터리 수요는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및 태블릿기기 시장의 성장에 따라 크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중국 시장의 경우 친환경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수요 급증으로 향후 모빌리티 시장(mobility market)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미쓰이화학은 포모사 플라스틱과 함께 팽창하고 있는 중국시장 수요에 부응할 수 있도록 FMAC에 고품질의 전해질용액 생산시설을 구축함에 있어 광범위하게 축적된 지식과 최첨단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으며, 2016년 7월부터 생산을 개시할 예정이다. 이러한 최근 계획에 따라 FMAC는 추가적인 시장 확대에 대비해 생산 및 공급 시스템을 확장할 예정이다. FMAC와 생산용량 확대계획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FMAC와 생산용량 확대계획 개요1. 상호 : 포모사 미쓰이 어드밴스드 케미칼(Formosa Mitsui Advanced Chemicals Co., Ltd.)2. 설립 : 2013년 8월 3. 자본금 : 미화 820만 달러 4. 지분율 : 미쓰이화학 50%, 포모사 플라스틱 50% 5. 소재지 : 중국 닝보 FPC 산업단지 6. 사업 분야 : 중국 내 전해질용액 제조, 판매 및 연구 7. 생산용량 : 연간 1500톤(상업 운전은 2016년 7월 개시) 8. 생산능력 확장 계획 : 후속 확장 - 연간 3500 톤 이상(연간 5000톤 달성)                               착공 예정 : 2016년 12월                               상업 운전 예정: 2017년 11월 리튬이온 배터리용 전해질용액 수요는 일본시장에서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특히 차내 장비(onboard equipment)의 경우 더욱 증가할 것이다. 미쓰이화학은 2016년 10월 나고야 공장에 연산 5000톤 규모의 생산시설을 구축했으며 상업운전은 2017년 4월 시작할 예정이다.미쓰이화학은 성장 동력으로 모빌리티 영역을 겨냥하고 있다. 이 분야의 성장을 주도하는 기업의 하나인 미쓰이화학은 리튬이온 배터리용 전해질용액 분야의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과 일본 내의 생산 및 공급 시스템을 확대함으로써 전해질용액 사업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포모사 플라스틱 개요1. 상호 : 포모사 플라스틱 코퍼레이션(FORMOSA PLASTICS CORPORATION) 2. 설립연도 : 1954년 11월 3. 자본금 : 미화 19억 3000만 달러 4. 소재지 : 201 Tung Hwa N. Road Taipei, Taiwan 5. 사업 분야 : 석유화학제품 및 화학제품 생산 및 판매 6. 직원 수: 6024명(2015년 기준) 
이용우 2016-12-23
기사제목
- 긴밀한 산학협력 통해 우리나라 그린 바이오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   LG화학이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과 손잡고 미래 그린 바이오(Bio)분야 기술 개발에 본격 나선다.이와 관련 LG화학은 지난 12월 19일, 서울대학교 농생대에서 LG화학 CEO 박진수 부회장, CTO 유진녕 사장,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정철영 학장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LG화학-서울대 농생대 연구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LG화학 CEO 박진수 부회장(우측)과 서울대 농생대 정철영 학장(좌측)이 연구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있다.그린 바이오 분야에서 대기업과 서울대가 손잡고 공동 기술 개발에 나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LG화학과 서울대는 향후 5년간 50여억 원의 연구재원을 투자해 종자, 작물보호제 등 그린 바이오 분야의 미래 핵심기술을 공동 개발해 나가기로 했다.이를 위해 LG화학과 서울대는 ‘내병성 관련 분자마커 개발’ 등 핵심 연구 과제 11건을 선정했다. 선정된 연구과제는 미래 먹거리 관련 과제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LG화학이 신사업으로 추진 중인 그린 바이오 분야의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LG화학 박진수 부회장은 “미래 식량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그린 바이오 분야에서의 국가별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어 기술 선점을 위한 학계와 산업계의 협력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라며, “긴밀한 산학협력을 통해 우리나라 그린 바이오산업의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LG화학은 올해 초 국내 작물보호제 1위, 종자/비료 시장 2위 등 국내 1위 업체인 팜한농을 인수하며 그린 바이오 사업 분야에 새롭게 진출했다. 그린 바이오 분야는 미래 식량부족 문제 해결의 핵심분야로 전 세계 시장규모는 2014년 1천억 불 규모에서 2020년 1,400억불 이상으로 연평균 약 6%의 높은 성장세가 예상된다.
이용우 2016-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