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현대보테코

캐미칼리포트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 ESS, 송·배전 그리드 등 전력 분야 협력도 강화키로- 조현준 회장 “아람코의 경영 노하우와 효성의 기술력 더해 탄소섬유 등 신사업 성장시키는 계기 만들 것”효성이 세계최대의 종합 석유화학기업인 사우디 아람코(Saudi Aramco; Arabian American Oil Company)를 파트너로 삼아 공장 설립 등 탄소섬유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효성 조현준 회장은 지난 6월 25일,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콘래드호텔에서 글로벌 종합 석유화학기업인 사우디 아람코 아민 나세르(Amin H. Nasser) CEO와 탄소섬유 공장 설립 검토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 효성과 아람코는 이번 MOU를 통해 탄소섬유 생산기술개발과 적용에 협력하여 향후 사우디아라비아나 국내 등에 탄소섬유 공장을 신설, 증설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또한, 효성이 개발한 첨단신소재인 폴리케톤과 PPDH 등 화학 분야, 그리고 ESS, 송·배전 그리드 등 전력 분야에서도 상호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효성 조현준 회장은 26일 청와대에서 열린 무함마드 빈 살만(Mohammed bin Salman) 사우디 왕세자를 위한 공식 오찬에도 참석해 사우디 측 참석자들과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탄소섬유는 철에 비해 무게는 1/4에 불과하지만, 강도는 10배 이상 강한 섬유로 효성이 지난 2011년 국내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독자 개발에 성공했다. 2013년부터 전북 전주에 연산 2,000톤 규모의 탄소섬유 공장을 건립해 운영하고 있으며, 지난 2월부터 전주 공장부지에 연산 2,000톤 규모의 탄소섬유 공장을 추가 증설하고 있다. 탄소섬유는 수소 에너지의 안전한 저장과 수송, 이용에 반드시 필요한 핵심소재다. 가벼우면서도 일반 공기보다 수백 배의 고압에 견뎌야 하는 수소연료탱크의 핵심이 되는 것이 바로 탄소섬유다.한편, 효성 조현준 회장은 지난 3월에도 아람코와 화학, 첨단소재 및 수소 관련 사업 협력을 위해 포괄적 MOU를 체결한 바 있다. 아람코는 자동차, 신재생에너지 부문 등에서 신규사업을 검토하면서 탄소섬유를 비롯한 첨단소재 부문에서 독자적인 기술력을 확보해 온 효성과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아람코 아흐메드 알사디(Ahmad A. Al-Sa’adi) 수석 부회장을 비롯한 주요 경영진이 전주의 탄소섬유 공장을 방문해 탄소섬유 생산라인을 꼼꼼히 체크하면서 효성의 차별화된 기술력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며 신뢰감을 나타냈다. 조현준 회장은 “아람코의 경영 노하우와 효성의 독자적인 기술이 합해져 앞으로 탄소섬유를 비롯한 미래 신사업이 성장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리자 2019-07-12
기사제목
- SK 경영방식인 구성원 개념 확장… 협력사에 인프라‧자산 공유해 상생 SV 창출- SK종합화학, 협력사 자금‧운영지원/기술협업/경영‧SHE 교육/인재채용지원 등 수행K종합화학이 지난 6월 27일, 동반성장위원회에서 발표한 ‘2018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7년 연속 최우수기업에 선정됐다. 에너지‧화학업계에서 7년 연속으로 최고등급인 최우수기업에 선정된 것은 SK종합화학이 최초며, 3년 이상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아 ‘최우수 명예기업’으로도 꼽혔다.이는 SK그룹과 SK이노베이션 계열이 추구하는 ‘행복동반자 경영’을 SK종합화학이 실제 경영 속에서 진정성 있게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결과로, 중소기업과 동반성장을 통한 유‧무형의 사회적 가치창출 효과를 인정받은 성과다. 평가 대상 189개 기업은 최우수, 우수, 양호, 보통, 미흡으로 구분되며, SK종합화학이 속한 최우수 등급은 31곳에 불과하다.SK종합화학이 중점 추진 중인 협력회사 동반성장 활동은 ▲협력사 자금‧운영지원, ▲협력사 기술협업, ▲협력사 임직원 대상 경영 및 SHE(Safety 안전, Health 보건, Environment 환경) 관련 교육 실시, ▲협력사 인재 채용 지원 등으로 구분된다. 먼저 SK종합화학은 협력회사들이 자금 흐름을 개선하고 회사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213개 협력사와 동반성장협약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100억 원의 기금을 마련해 협력사에 직접 대여하는 한편, 동반성장펀드 550억 원도 별도 조성‧지원하고 있다.또한, SK종합화학은 협력업체와 기술협업을 바탕으로 대-중소기업 간 사업 시너지를 내고 있다. 협력사인 라이온켐텍과 친환경 접착제를 공동 개발해 판매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두 회사는 지난 2014년부터 친환경 접착제 공동 개발을 시작해 작년부터 제품을 시판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SK종합화학은 기술혁신연구원을 통해 라이온켐텍의 부족한 기술력에 도움을 줬을 뿐만 아니라, 대-중소기업의 공동기술개발에 있어 민감한 이슈인 친환경 접착제 관련 특허권을 라이온켐텍에 양보했다. SK종합화학은 협력업체 임직원에게 경영·기술·안전 등에 관한 교육을 제공하기도 한다. 기존 프로그램 외에도 ‘친환경 플라스틱과 사회적 가치 창출 아카데미’ 등의 커리큘럼을 신설하고, 다양한 안전 메뉴얼과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 협력사 안전관리 수준 역시 지속적으로 높여 나간다는 목표다. 또한, SK종합화학은 규모가 영세한 협력업체들의 가장 큰 고민거리 중 하나인 인력난 해소에도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2013년부터 매년 ‘SK 동반성장 협력사 채용박람회’를 개최하고 있다. 협력사의 우수 인재 채용뿐만 아니라 구직자들의 취업률 증가에도 기여함으로써 지역사회로부터 큰 호평을 받고 있는 행사다.이외에도 SK종합화학은 중국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플라스틱 박람회인 ‘차이나플라스’에 2010년부터 매년 20여 명 규모의 협력사 참관단을 만들어 제반 비용을 제공‧운영하고 있다. 대기업에 비해 해외 박람회, 컨퍼런스 등에 참석하기 어려운 협력사의 여건을 고려한 것으로 이들의 글로벌 역량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다. SK종합화학은 SK의 핵심 경영철학인 DBL(Double Bottom Line)의 적극적인 실천을 위해 협력사와 상호 발전을 토대로 한 상생 경영을 더욱 가속화해 나간다는 목표다. 최근 발표한 그린밸런스 프로그램에 관련 생태계와 협력하는 모델을 도입하기로 한 것도 같은 차원이다. SK종합화학 나경수 사장은 “SK 경영방식인 구성원의 개념을 협력사까지 확장해 이들과 동반자적 신뢰 관계를 구축,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다양한 지원을 확대해 왔다”라며, “협력업체와 공동 성장 및 산업 생태계 발전을 위해 여러 상생방안을 지속 발굴‧실행함으로써 협력사와 함께 만들어 가는 사회적 가치의 크기를 지속적으로 키워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취재부 2019-07-12
기사제목
- 사회적 SV 제고 위해 4개 소셜 벤처 대상 구성원 크라우드펀딩 시작 첫날 한 시간도 안돼 ‘완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대기업과 소셜벤처 간 협업 모델에 대한 구성원의 높은 관심과 기대 보여SK이노베이션이 사회적인 그린밸런스를 위한 독한 혁신의 첫 단계로 진행 중인 소셜 벤처와의 협업을 통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SV2 임팩트 파트너링*’이 성공적으로 첫발을 뗐다.* SV2 임팩트 파트너링: 소셜벤처(SV, Social Venture)와 협업을 통해 사회적 가치(SV, Social Value)를 제곱으로 창출하겠다는 의미를 담은 경영용어SK이노베이션(대표이사 사장 김준, www.SKinnovation.com)은 지난 6월 28일 시작한 소셜 벤처 대상 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10시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을 통해 모집을 시작한 지 한 시간도 안 돼 준비한 물량이 소진됐다.이번 크라우드펀딩에서 SK이노베이션 구성원 천여 명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모인 약 19.5억 원 투자금은 구성원들이 선택한 4개 소셜벤처의 R&D 투자 및 생산설비 확충 등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사용될 계획이다. 이번 크라우드펀딩은 SK이노베이션의 대기업-벤처기업 상생 모델인 SV2 임팩트 파트너링의 첫 단계다. 앞서 6월 26일까지 진행된 사전 참여에도 SK이노베이션 구성원 2천여 명이 참여하며 높은 관심을 끌었다. 크라우드펀딩에 참여한 소셜벤처는 ▲인진(파도를 이용한 전기 생산), ▲마린이노베이션(해조류를 이용한 1회용품 및 생분해 비닐생산), ▲오투엠(우주인 호흡장치 기술에 기반한 일회용 산소마스크 생산), ▲이노마드(흐르는 물을 활용한 휴대용 수력발전기 생산) 등 친환경 분야 소셜벤처 4개사다. SK이노베이션은 사전에 사회적 가치 창출 효과, SK이노베이션과 시너지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종 4개 소셜벤처를 선정했다.투자에 참여한 SK이노베이션 오준환 부장은 “신생 회사에 투자한다는 위험부담이 있지만, 소셜벤처 성장에 직접 기여하며 사회적 가치 창출을 체험할 수 있다는 점에 매력을 느껴 투자에 참여하게 됐다”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은 역대 최대 수준의 규모로 진행된 크라우드펀딩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서 SV2 임팩트 파트너링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대표 상생모델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 구성원들은 자발적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을 경험하며, 소셜벤처는 SK이노베이션의 인프라와 구성원 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대기업과 벤처기업 간 서로 윈-윈(Win-win)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SK이노베이션은 각 구성원 투자금액 100만 원과 동일한 금액을 매칭 펀드(Matching Fund)로 지원한다. 구성원들은 회사 지원금을 포함해 각자 200만 원을 자신이 선택한 소셜 벤처에 투자했다.SK이노베이션은 6월 중순,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에 기반한 소셜벤처와 파트너링을 통해 DBL(Double Bottom Line) 관점의 사회적 가치 창출을 가속화 하는 ‘SV2 임팩트 파트너링 모델(SV2 Impact Partnering Model)’을 구축‧실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SV2 임팩트 파트너링은 소셜벤처(SV, Social Venture)와 협업을 통해 사회적 가치(SV, Social Value)를 제곱으로 창출하겠다는 의미를 담은 경영용어다. 재무적인 관점에서 수익을 창출함과 동시에 사회적‧환경적 성과도 달성하는 임팩트 투자와 유사한 개념이다.SK이노베이션은 향후 구성원 프로보노 등을 진행하여 구성원의 참여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8월 이후부터 재무/법무/홍보/연구‧개발 등 전문 역량을 갖고 있는 구성원을 모집해 프로보노 형태로 소셜벤처를 직접 지원할 예정이며, 향후 소셜벤처와 공동으로 비즈니스를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SK이노베이션 임수길 홍보실장은 “회사 구성원들이 친환경 SV 창출에 대한 높은 공감대가 이번 친환경 소셜벤처 투자를 통해 증명된 것으로 판단된다”라며, “이제는 회사가 가진 인프라와 구성원들의 역량을 모아 투자한 소셜벤처가 확실한 비즈니스 모델을 갖춘 회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돕겠다”고 말했다. 
편집부 2019-07-12
기사제목
-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 일행, SK이노베이션 서산 배터리 공장 등 방문- SK그룹 경영진과 만나 함께 성장하기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 협의하기도취임 후 첫 해외 출장으로 투자유치단과 함께 한국을 방문 중인 브라이언 켐프(Brian Kemp) 美 조지아 주지사가 SK이노베이션을 방문해 장기적인 협력 방안을 협의했다.SK이노베이션 서산 배터리 공장을 방문한 브라이언 켐프 미국 조지아주 주지사 일행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왼쪽 다섯 번째부터 브라이언 켐프 美 조지아주 주지사, SK이노베이션 윤예선 배터리 사업대표)SK이노베이션 서산 배터리 공장을 방문한 브리이언 켐프 미국 조지아주 주지사(왼쪽)와 SK이노베이션 윤예선 배터리 사업대표(오른쪽)가 서산 배터리 공장을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SK이노베이션(대표이사 사장 김준, http://www.skinnovation.com)은 지난 6월 27일,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 및 조지아주 경제개발부 대표단이 서산 배터리 공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은 미국 조지아주 잭슨카운티 커머스시(Commerce, Jackson County, GA-US) 인근 약 34만 6천 평 부지에 2022년까지 16.7억 달러(한화 약 1.9조 원)를 투자해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짓기로 하고, 지난 3월 19일 현지에서 기공식을 개최한 바 있다. SK이노베이션의 이번 투자는 조지아주 외국인 투자 역사상 최대 규모다.켐프 주지사의 이번 방문은 전 세계로 확장 중인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사업의 출발점이자 글로벌 생산기지에 세계 최고 수준의 전기차 배터리 제조기술과 역량을 전파하는 생산기술본부를 직접 둘러보기 위한 것이다. 켐프 주지사 일행은 서산 배터리 공장을 비롯한 전 세계로 확장 중인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사업 현황과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제조기술 등에 대해 브리핑을 받았다. 이어 최첨단 기술이 결합된 서산 배터리 1, 2공장을 차례로 둘러봤다. 특히 켐프 주지사는 최신 첨단 기술이 접목된 서산 배터리 2공장에서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배터리 공장과의 차이점, 적용되는 기술 특장점 등을 물어보며 깊은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SK이노베이션 서산 배터리 공장을 방문한 브라이언 켐프 미국 조지아주 주지사 일행이 생산 및 기술 현황에 대해 브리핑받고 있다.브라이언 켐프 주지사는 지난 3월 기공식에서 “SK이노베이션의 투자는 조지아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일자리 창출 계획”이라며, “오늘은 열심히 사는 조지아 주민들에게 정말 신나는 날이다”라며 SK이노베이션의 전기차 배터리 공장 투자에 큰 기대를 나타낸 바 있다. 켐프 주지사 일행은 서산 배터리 공장 방문을 마친 후, SK그룹 최재원 수석부회장, SK이노베이션 김준 총괄사장 등 SK그룹 경영진과 만나 배터리 산업 전문인력 육성방안 등 향후 함께 성장하기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SK이노베이션 김준 총괄사장은 “SK이노베이션이 건설 중인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은 향후 북미시장 공략을 위한 핵심 생산기지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한국과 미국, 그리고 SK이노베이션과 조지아주 간 상호협력에 기반한 성공적 파트너십을 만들어 가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관리자 2019-07-12
기사제목
- 베트남 경제 컨트롤 타워 브엉 딘 후에부총리와 환담조현준 효성 회장(왼쪽)이 브엉 딘 후에(Vuong Dinh Hue) 베트남 부총리(오른쪽)와 만나 상호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약속했다조현준 회장이 지난 6월 19일 한국을 방문한 브엉 딘 후에(Vuong Dinh Hue) 베트남 부총리와 만나 상호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약속했다.후에 부총리는 재무부와 투자기획부, 중앙은행 등을 관할하는 베트남의 경제 컨트롤 타워다.이날 면담에서 조 회장은 바리아붕따우성 폴리프로필렌(PP) 공장과 광남성 타이어코드 공장 설립 등 신규 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베트남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조 회장은 “베트남은 효성의 핵심 제품을 모두 생산하는 글로벌 복합 생산기지로 효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라며, “서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협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베트남 후에 부총리는 “효성은 베트남 내 최대 투자 회사 중의 하나로, 효성이 추진하고 있는 남부 바리아붕따우성 PP 공장과 중부 광남성 타이어코드 공장 설립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조 회장은 2016년과 지난해에도 응우웬 쑤언 푹(Nguyen Xuan Phuc) 베트남 총리를 만나 사업 협력을 논의하는 등 베트남 고위 관계자들과 지속적으로 우호적인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관리자 2019-07-02
기사제목
- 바스프의 액정기술 활용한 클랩(CLAP)은 우수하고 신뢰성 있는 고기능성 광학필름 공급 가능- 노치 없는 OLED 풀스크린 휴대폰 개발에 필수적인 기술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 위치한 한국바스프 서울사무소에서 진행된 협약식(왼쪽부터: 크린ŽN 승문수 대표, 클랩 김성호 대표, 바스프 전자재료사업 부문 로타 라우피클러(Dr. Lothar Laupichler) 수석 부사장, 한국바스프 김영률 대표이사)글로벌 화학기업 바스프(BASF)는 지난 6월 25일, 한국 광학필름 제조업체 클랩(CLAP, 대표이사 김성호)과 OLED 패널 뒷면 센서(UPS, Under Panel Sensor) 코팅용 광학필름 기술이전 및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다양하게 진화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 선점 및 디스플레이 생태계 강화 목표로 진행된 이번 계약을 통해 클랩은 바스프가 제공하는 액정 재료 및 코팅 기술 기반으로 광학필름을 생산하여 디스플레이 시장 고객을 대상으로 판매권을 갖게 된다.OLED 풀스크린 휴대폰 패널을 구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뒷면에 UPS를 설치하면 내부에서 빛이 반사되어 노이즈 문제가 발생하는데, 바스프의 액정 재료 및 기술이 적용된 클랩 광학필름은 박막 코팅기술을 활용한 편광판(Polarizer) 및 위상지연(Retardation) 필름으로 노이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편광(Polarization) 및 위상지연 특성을 센서 영역별로 차별화할 수 있는 미세 패터닝(Patterning) 기술이 적용되어 다양한 광학 센서 디자인 설계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바스프의 전자재료사업 부문을 총괄 담당하고 있는 로타 라우피클러(Dr. Lothar Laupichler) 수석 부사장은 “클랩은 디스플레이 전문가들로 구성된 광학필름 제조 전문기업으로, 바스프가 보유하고 있는 원천 재료기술을 기민하게 사업화할 수 있는 파트너”라며, “바스프의 액정 재료기술은 수년간 축적된 연구개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개발되어 휴대폰 센서의 특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이상적인 솔루션으로, 클랩의 디바이스 기술을 통해 디스플레이 시장 고객에게 신뢰성이 입증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클랩의 김성호 대표는 “바스프의 탁월한 기능성 광학재료를 통해 기존 패널 뒷면 광학 센서의 문제점을 해결해 고객사가 원하는 수준까지 품질을 올릴 수 있다”라며, “이와 같은 기술은 휴대폰의 노치 없는 디스플레이 구현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한편, 클랩의 모회사인 크린ŽN의 승문수 대표는 “앞으로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혁신 제품의 사업 비중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바스프의 독자적 기술 및 제품 포트폴리오는 전자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장 고객들의 이 같은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이상적인 솔루션”이라고 덧붙였다. 
편집부 2019-07-02
기사제목
- 국내 산업용 고무제품 전문기업 ‘오톡스‘, 아디프렌 C930 사출성형으로 광업용 스크린망 생산 - 열주조 우레탄의 뛰어난 물성과 사출성형의 장점 결합… 높은 생산율과 비용 효율성, 폐기물 발생도 현저히 줄어 독일계 특수화학기업 랑세스(LANXESS)의 열주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아디프렌 C930(Adiprene C930)’이 국내 산업용 고무제품 전문기업 오톡스의 광업용 스크린 망에 적용됐다.국내 산업용 고무제품 전문기업 오톡스가 랑세스 아디프렌 LF 열주조 폴리우레탄으로 사출 성형해서 만든 광업용 스크린 망을 출시했다.1983년 설립된 오톡스(Autox)는 산업용 고무제품 전문기업으로 각종 자동차 및 중장비 부품을 개발 및 생산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 63개국 259개 기업에 다양한 산업용 고무제품을 공급하고 있다.오톡스가 아디프렌 C930을 사출 성형하여 스크린 망 생산에 성공하면서 랑세스 열주조 폴리우레탄이 사출성형에도 적합한 소재로 증명된 셈이다. 덕분에 내구성, 내마모성이 뛰어난 열주조 우레탄의 물성과 빠른 대량생산이 가능한 사출성형의 장점을 모두 누릴 수 있게 됐다. 아디프렌 C930은 랑세스 고유의 로우 프리(Low Free, LF) 기술이 적용된 MDI 기반 열주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로 뛰어난 내구성과 안전성이 특징이다. 사출성형으로 제작 시간 단축, 높은 생산율 이점 누릴 수 있어사출성형 공정의 최대 장점 중 하나는 높은 생산율이다. 인력을 보다 적게 투입하고도 시간당 생산 개수를 대폭 늘릴 수 있다. 통상 열주조 공정으로 광업용 스크린 망 한 개를 제작하는 데 35분이 소요되는데, 사출성형 공정으로는 단 5분이면 가능하다. 덕분에 공정 효율을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랑세스의 아디프렌 LF 프리폴리머는 일반 프리폴리머 대비 점도가 낮아 사출성형 공정에 완벽히 부합한다. 가공 용이성은 물론, 산업 현장의 안전성 개선에도 기여한다. 인체 유해 성분으로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함유율이 0.1%에 불과해 작업자가 유해 성분에 노출될 확률을 최소화하기 때문이다.제품 수명 연장 및 작업 효율성 향상 광업용 스크린 망은 광산이라는 거친 작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만큼 높은 내구성을 필요로 한다. 카프로락톤 기반 아디프렌 C930은 뛰어난 내마모성과 탄성 회복력이 특징으로 스크린 망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실제 현장테스트 결과, 아디프렌 C930으로 제작된 스크린 망은 기존 고품질 제품보다도 3배 이상 긴 수명을 자랑했다. 긴 사용 수명은 채광 작업 중단시간을 줄이고 유지보수 비용 절감에 기여한다. 폐기물 관리 개선오톡스의 열주조 폴리우레탄 사출성형 생산공정은 품질관리가 수월하고 폐기물 관리에도 유리하다. 일정한 품질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후처리 공정에서 폐기물 발생이 적다. 또한, 주입 압력이 주형제품의 세세한 부분까지 균일하게 가해지는 덕분에 구조가 복잡한 제품도 쉽게 제작할 수 있다. 김건희 랑세스코리아 우레탄시스템 사업부 차장은 “아디프렌 C930은 기존 열주조 공정뿐만 아니라 사출성형에도 적합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라며, “랑세스의 열주조 폴리우레탄과 오톡스의 혁신적인 사출성형 공정을 접목해 다양한 분야에서 더 많은 응용제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편집부 2019-06-27
기사제목
– 美서 ‘2019 SK 글로벌 포럼’ 주관SK이노베이션 김준 총괄사장이 미국 현지에서 글로벌 핵심인재 확보에 나섰다.SK이노베이션 김준 총괄사장은 지난 6월 15일(현지 시간), 美 동부 허드슨강 연안에 위치한 저지 시티(Jersey City, 뉴저지州)에서 열린 ‘2019 SK 글로벌 포럼’을 주관하며 에너지‧화학 분야 글로벌 우수 인재들과의 만남을 가졌다.美 저지 시티에서 열린 ‘2019 SK 글로벌 포럼’SK 그룹은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은 기술력을 갖춘 전문 역량 확보가 좌우한다는 신념으로, 글로벌 최고 수준 인재들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지난 2012년부터 ‘SK 글로벌 포럼’을 매년 개최하고 있다.올해로 8회째인 ‘SK 글로벌 포럼’은 에너지‧화학, ICT, 반도체, 바이오 등 SK 핵심 성장동력 분야의 미주 현지 전문가를 초청해 SK 그룹의 성장 전략을 공유하고 최신 기술과 글로벌 시장 동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이 과정에서 인재 발굴과 영입도 진행한다.지난 6월 15일 진행된 ‘2019 SK 글로벌 포럼’에는 SK이노베이션 김준 총괄사장을 비롯한 SK 그룹 최고 경영층 및 관계사 임원 50여 명이 참석했으며, 현지에서는 미국 내 글로벌 기업, 학계, 연구소 등에 몸담고 있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3백여 명이 함께했다.美 저지시티에서 개최된 ‘2019 SK 글로벌 포럼’에서 회사 전략 방향을 설명하고 있는 SK이노베이션 김준 총괄사장(우측)뉴저지州 저지 시티에서 열린 동부 포럼을 주관한 SK이노베이션 김준 총괄사장은 경영 환경 변화에 따라 SK이노베이션이 선제적으로 성장 전략을 변화시켰다고 설명하고, 각 사업별 Key Focus와 비전을 공유했다.이어 차세대 배터리 및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 시스템) 기술 동향, 미래 자동차 소재 개발 및 Packaging Recyclability, 이산화탄소 저감기술 동향 및 전망 등 8개의 토의 세션이 진행됐다.‘2019 SK 글로벌 포럼’에서 진행된 토의 세션이 자리에 함께한 현지 전문가들은 세션에서 직접 발표를 하거나 패널 토론을 주도하며 전문 지식을 공유했을 뿐 아니라 경영층과도 적극적으로 의견을 교환했다. 또한, 사전 신청을 통해 세션에 함께 한 참석자들은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SK이노베이션을 비롯한 SK 그룹은 딥 체인지(Deep Change) 추진을 위한 필수 요건인 ‘글로벌 핵심인재 확보’ 및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에서의 협업, 공유 강화’를 위해, 네트워킹 플랫폼으로 자리 잡은 ‘SK 글로벌 포럼’을 지속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취재부 2019-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