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현대보테코

국내/해외뉴스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나우로보틱스, 코스닥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 나우로보틱스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 통과- 글로벌 수준의 로봇 기업 도약할 것      산업용 로봇과 자율주행 물류로봇으로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이는 로봇 전문 기업인 나우로보틱스(대표 이종주)가 코스닥 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했다고 지난 9월 24일 밝혔다.   앞서 나우로보틱스는 지난 6월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에 통과했다. 대신증권을 대표 주관사로 선정해 이르면 연내 하반기를 목표로 기술특례상장을 추진 중에 있다. 나우로보틱스는 한국거래소가 선정한 평가기관에서 A등급을 받게되면서 소부장특례 트랙을 통해 기술성 평가에 통과했다.  나우로보틱스는 2016년 이종주 대표가 설립한 이래, 기업의 로봇 도입과 로봇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돕는 산업용 로봇 및 자율주행 물류로봇을 개발하고 제조하여 대기업은 물론 중견·중소기업에 공급해 왔다. 주력 제품인 직교로봇(NURO 시리즈), 다관절 로봇(NURO X 시리즈), 스카라 로봇(NUCA 시리즈), 물류로봇(NUGO 시리즈)은 기술력을 인정받아 국내외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나우로보틱스는 설립 이후 꾸준한 매출 성장을 이어나가며, 사용자 친화적인 로봇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출시했다. 또한 고객 맞춤형 로봇 시스템과 E.O.A.T 설계를 제공해 엔드유저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왔다. 현재 나우로보틱스는 500개 이상의 로봇 자동화 구축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하기 위해 지난해 5월 동유럽 지사를 설립한 데 이어, 북미 시장 공략을 위해 미국 지사와 멕시코 연락사무소를 개설했다.  나우로보틱스 이종주 대표는 “이번 코스닥 상장을 통해 나우로보틱스의 기술력과 안정적인 성장을 한층 더 공고히 하겠다”며 “글로벌 수준의 로봇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이종주 대표는 지난해 10월 제18회 로봇대상 시상식에서 열린 로봇 산업 발전유공 포상식에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백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보여주었다.  나우로보틱스는 지난 5월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원하는 지역특화프로젝트 레전드50+에 선정되어 글로벌 시장에 자율주행 물류로봇(NUGO Series)를 선보이는 데에 경쟁력을 확보한 상태이다. 레전드50+는 중기부의 핵심 정책으로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간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선정된 기업을 지원한다. 나우로보틱스는 자율주행 물류로봇으로 모빌리티 분야에 선정됐다.   ■ 문의: 나우로보틱스 010-3401-3453 / cy.park@naurobot.com  
이명규 기자 2024-09-25
기사제목
  - 탄소저감 위한 기계연 고유 기술, 美 글로벌 엔지니어링 회사 KBR에 기술이전- 촉매방식 NCC 공정에 적용, CO2 감축과 경제성 등 세계적 우수성 입증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출연연 간 융합연구를 통해 창출한 고유의 탄소 저감 기술을 북미 최대 글로벌 엔지니어링 회사에 기술이전을 하는 쾌거를 거뒀다. 이번 기술이전 성과로 우리나라 화학 공정기술의 우수성이 세계적으로 입증됐으며, 향후 글로벌 산업계로의 “K-Machine” 도약에 주춧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계연 류석현 원장(왼쪽에서 4번째)은 현지 시각 6월 28일(금) 미국 휴스턴 KBR社(Kellogg Brown&Root)를 방문해 헨릭 라슨(Henrik Larsen) 부회장(청정 암모니아· 수소 글로벌 부문장)(오른쪽에서 5번째) 등 KBR 사 핵심 임원진이 참석한 가운데 KBR과 기술이전 협약을 맺고, 이전 기술 적용처 확대와 향후 협력 분야 확장 가능성 등에 대해 폭넓게 협의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류석현, 이하 기계연)은 현지시각 6월 28일(금) 글로벌 엔지니어링 회사 KBR(Kellogg Brown & Root)*과 CPOx®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 KBR(Kellogg Brown&Root): 1998년 MW Kellogg가 Halliburton의 건설 자회사인 Brown & Root와 합병하여 설립한 화학/에너지 산업 등의 엔지니어링, 조달, 건설(EPC) 및 서비스 분야의 글로벌 기업으로 다양한 사업을 광범위하게 추진하고 있음.KBR은 정유 및 석유화학 플랜트 엔지니어링 분야의 주요 포트폴리오로서 올레핀 생산 공장에 대한 기술 라이선스 및 엔지니어링을 제공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대부분의 정유 및 석유화학 플랜트가 KBR 사의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받고 있음.** CPOx(Catalytic Partial Oxidation)®기술: 촉매 부분 산화 기술로서, 촉매 방식 NCC 공정의 촉매 재생기 연료 다변화를 통한 CO2 저감 기술    CO2 감축과 더불어 경제성과 생산성 확보 가능(세계 최초) 기존 KBR 社의 K-COT 재생기는 고질적인 이상연소(After-burn*) 문제로 부생가스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였으나, 기계(연) 보유기술인 CPOx(Catalytic Partial Oxidation, 촉매 부분 산화) 공정기술을 적용 시 After-burn 문제를 해결**하여 부생가스 활용이 가능해짐* (After-burn) 공급한 연료가 촉매 층에서 연소되지 않고 촉매가 없는 상단에서 연소되는 비정상 운전 현상** K-COT 공정은 공기와 메탄(CH4)을 직접 활용하기에 불완전연소, 온도 제어 어려움 등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기계(연)의 CPOx 방식은 메탄을 촉매에 반응시켜 일산화탄소(CO)와 수소(H2)로 분해하고 촉매 재생기로 공급하여 After-burn 문제를 해결하여 반응기 부생가스 활용, 반응기 구조 안정성 확보 및 이를 통한 생산단가 절감이 가능함.        기계연 류석현 원장은 KBR 사 헨릭 라슨(Henrik Larsen) 부회장(청정 암모니아· 수소 글로벌 부문장) 등 KBR 사 핵심 임원진이 참석한 가운데 미국 휴스턴 KBR 본사에서 KBR과 기술이전 협약을 맺고, 이전 기술 적용처 확대와 향후 협력 분야 확장 가능성 등에 대해 폭넓게 협의했다.   기계연 자율제조연구소 반도체장비연구센터 이대훈 책임연구원 기계연 자율제조연구소 반도체장비연구센터 이대훈 책임연구원, 조성권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처음으로 고안한 CPOx® 기술은 촉매 방식 NCC* 공정의 촉매 재생기에 연료유(Fuel Oil) 대신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열원으로 공급해 CO2 배출을 줄이는 기술이다. * NCC(Naptha Cracking Center) 공정: 원유 정제과정에서 추출되는 납사(Naptha)를 열분해하여 플라스틱의 원료인 올레핀(에틸렌, 프로필렌) 화합물을 생산하는 설비 공정. NCC 공정은 850도의 고온에서 운전되는 반면, 촉매 방식 NCC 공정은 650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가동 가능해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 CO2 감축과 경제성 확보를 위해 촉매 방식 NCC 공정에서 촉매 재생기에 필요한 열원을 연료유(Fuel Oil)에서 메탄으로 대체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었지만, KBR의 촉매 방식 NCC 공정인 「K-COT 공정」은 공정 부생가스인 메탄을 열원으로 공급할 때 고질적인 이상연소(After-burn)* 문제가 발생하여 메탄 사용이 불가능했다. * 이상연소(After-burn): 공급한 연료가 촉매 층에서 연소되지 않고 촉매가 없는 상단에서 연소되는 비정상 운전 현상 기계연이 개발한 CPOx® 기술은 「K-COT 공정」에서 메탄을 촉매에 반응시켜 일산화탄소(CO)와 수소(H2)로 분해하고 촉매 재생기로 공급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통해 이상연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탄소배출권을 확보해 올레핀(Olefin)*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올레핀(Olefin): 석유화학제품의 기초 원료로 각종 플라스틱을 비롯해 자동차, 전자, 건설, 제약, 의류 소재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사용되는 가장 기초적인 원료물질 기계연 이대훈 책임연구원은 “연구의 시작 단계부터 현장의 수요에 기반한 목표 설정을 통해 문제 발굴, 솔루션 개발, 공정 적용성 확보를 추진하여 이룬 성과”라며 “CPOx® 공정기술을 시작으로 다양한 세계 최고의 공정기술을 개발해 국가 기술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기계연 류석현 원장은 “탄소 국경세 등 탄소 배출이 기업 경쟁력을 위협하는 가운데 KBR과 같은 세계적인 기업에 우리 연구원의 독자적인 기술로 탄소 배출 저감 관련 기술이전 성과를 이뤘다는 데 매우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기계연의 미래를 선도하는 우수한 기술들이 글로벌 산업 시장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실질적인 국제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기계연 류석현 원장(왼쪽)은 현지 시각 6월 28일(금) 미국 휴스턴 KBR社(Kellogg Brown&Root)를 방문해 헨릭 라슨(Henrik Larsen) 부회장(청정 암모니아· 수소 글로벌 부문장)(오른쪽)과 기술이전 협약을 체결했다.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CPOx® 기술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에너지 및 화학 원료 확보를 위한 대형 융합 플랜트 기술(주관: 한국화학연구원, 미래선도형 융합연구단, 박용기 단장)’ 과제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기계연 류석현 원장과 연구진은 현지 시각 6월 26일(수) 미국 메릴랜드 게티스버그 소재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를 방문해 양자 기술 표준화 및 나노 분야 협력 협의를 가졌다. 한편, 기계연은 기관 고유의 글로벌 협력 프로그램인 「With KIMM, to the World」를 운용하고 있다. 기계연 류석현 원장과 연구진은 KBR 사 기술이전 체결식에 앞서 지난 6월 24일(월)부터 26일(수)까지 미국 보스턴 하버드의대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GH), 매사추세츠 공대(MIT), 미국 메릴랜드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등을 방문했다.  기계연 류석현 원장과 연구진은 현지 시각 6월 27일(목) 미국 워싱턴 D.C.에서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공동 주최·주관한 「2024 한-미 첨단산업 기술협력 포럼」에 참석해 KIMM-KETI-MIT Tech Talk 포럼을 개최했다. 연구진은 ▲ 현장형 면역진단 ▲ 차세대 고해상도 Micro-LED 디스플레이 ▲ 양자 기술 표준화 및 나노 분야 등에서 산업통상자원부 글로벌산업기술협력센터(GITCC) 및 산업기술국제협력지원단(NCC) 사업 등을 통한 긴밀한 국제 공동 연구 협력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이어 6월 27일(목)에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주최·주관한 「제3회 한-미 첨단산업기술협력포럼」에 참석하여 MIT 등과 공동 포럼을 개최한 바 있다.     
이용우 2024-09-11
기사제목
  - 페라리에 유일하게 배터리 공급… 글로벌 위상 더욱 높아질 듯  SK온이 이탈리아 슈퍼카 브랜드 페라리의 우수 공급사로 선정됐다. SK온은 페라리의 유일한 배터리 공급사다. SK온은 지난 6월 26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마라넬로(Maranello) 페라리 본사에서 열린 ‘포디오(PODIO) 페라리’ 행사에서 우수 공급사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시상식에는 정구필 SK온 EU세일즈 담당이 참석해 지안마리아 풀겐지(Gianmaria Fulgenzi) 페라리 최고 제품개발 책임자(CPDO)로부터 상패를 받았다.    페라리는 지난 1년간 자사의 기술개발, 경쟁력 제고 및 혁신 등을 함께한 공급업체와 전략적 파트너사 가운데 우수사를 선정해 시상한다. 포디오 페라리에서 우수 공급업체로 선정되는 것은 최고급 브랜드로부터 품질과 전문성을 공인받는다는 의미를 갖는다. 올해에는 총 8개 부문에 걸쳐 수상 사가 선정됐으며, SK온은 그중 ‘두려움 없는 조직(Fearless Organization)’ 부문에서 수상했다. 페라리는 스포츠카에 사용될 배터리셀을 개발하는 데 있어 까다로운 기술적 요구 사항을 해결해온 SK온의 역량을 높이 샀다고 설명했다. 이번 수상을 계기로 양사 간 협력도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SK온은 2019년부터 페라리의 첫 PHEV 모델 ‘SF90 스트라달레(Stradale)’, 해당 모델의 컨버터블 버전인 ‘SF90 스파이더(Spider)’ 등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지난해 페라리가 한정판 스페셜 시리즈로 선보인 ‘SF90 XX 스트라달레’와 ‘SF90 XX 스파이더’ 역시 SK온 배터리를 탑재했다. SK온은 2021년, 2022년 각각 출시된 페라리의 PHEV ‘296 GTB’, ‘296 GTS’에도 배터리를 공급 중이다. 양사는 올 3월 ‘배터리셀 기술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기도 했다. 정 담당은 “명실상부 세계 최고 슈퍼카 브랜드로부터 당사의 우수한 기술력을 인정받은 셈”이라며, “양사의 독보적 역량을 바탕으로 슈퍼카 전동화라는 새로운 역사를 써 내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용우 2024-09-09
기사제목
- 7개국 정부 기관과 온실가스 국제감축 사업 협력 방안·사업 발굴 논의 - 160여 명 모인 가운데 기업 간 파트너링 상담회, 정부 간 양자 회의 등 진행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가 주최하고 KOTRA(사장 유정열)가 주관하는 온실가스 국제감축 행사인 ‘2024 글로벌 넷제로(Net Zero) 커넥션’이 6월 24일부터 이틀간 서울 롯데호텔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에는 7개국 정부 기관과 국제기구 4개 사를 비롯해 국내·외 기업 60여 개사 등 160여 명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프로그램은 ▲ 민·관 온실가스 감축 협력 포럼 ▲ 기업 간 감축 파트너링 상담회 ▲ 정부 간 양자 회의 등으로 구성됐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산업부와 캄보디아 환경부, 방글라데시 환경산림기후변화부 간에 온실가스 국제감축 협력 양해각서(MOU)를 각각 체결했다. 양해각서는 상대국과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발굴하고, 감축 실적 이전을 위한 절차·기준 등을 개발한다는 내용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가 주최하고 KOTRA(사장 유정열)가 주관하는 온실가스 국제감축 행사인 ‘2024 글로벌 넷제로(Net Zero) 커넥션’이 6월 24일부터 이틀간 서울 롯데호텔에서 개최됐다. (산업부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왼쪽에서 여섯 번째), KOTRA 유정열 사장(왼쪽에서 여덟 번째) 등이 ‘2024 글로벌 넷제로(Net Zero) 커넥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유정열 KOTRA 사장이 ‘2024 글로벌 넷제로(Net Zero) 커넥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과 델와르 호세인 방글라데시 대사가 한-방 온실가스 감축 MOU 체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과 에앙 소팔렛 캄보디아 장관이 한-캄 온실가스 감축 MOU 체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편 24일에 개최된 포럼에서는 세계은행(World Bank), 유엔개발계획(UNDP) 등 국제기구 관계자와 전문가가 연사로 나서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 프로젝트 지원 사례 등에 대해 발표했다. 아울러 국제투자보증기구(MIGA)에서도 참가기업들과 온실가스 감축 사업 추진 방안에 대해서 긴밀한 논의가 진행됐다. 이어지는 오후 세션에서는 국내기업과 참석국 정부 관계자 간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에서 좌장을 맡아 7개국 정부 관계자와 패널토론이 진행되어 국가별 파리협정 동향, 감축 사업 추진 여건과 정책 등이 의제로 논의됐다. 25일에는 국내·외 기업과 정부 간 1:1 파트너링 상담회를 통해 구체적인 사안을 논의했다. 120여 건의 상담이 진행되었으며, 다양한 해외 프로젝트 협업 기회를 모색했다. 상담회에 참여하는 기업 관계자는 “평소 연결이 어려웠던 해외 정부 관계자와 한자리에서 만나 핵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최신 현지 동향을 파악할 수 있어 사업 추진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언급했다.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한국은 국외 정부와 양자 협정 기반을 가속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고, 이것이 실제 사업 추진으로 이어져 모범사례를 구축할 수 있도록 협의 중”이라며, “오늘을 계기로 더 많은 국제감축 사업이 발굴되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유정열 KOTRA 사장은 “이번 포럼과 상담회를 통해 우리 기업이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고, 사업 기회를 포착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해 지원 중”이라며, “‘글로벌 넷제로 커넥션’이 우리나라와 주요 협력국 간의 온실가스 국제감축 교류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편집부 2024-09-04
기사제목
- 이온전도도 10배 늘려 상온에서도 구동… 고속 충전 성능‧화재 안전성 확보- ‘전기차 배터리 선구자’ 故 굿 이너프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 성과    SK온이 상온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리튬메탈 배터리용 고분자 전해질 공동개발에 성공했다. 고(故) 굿 이너프 텍사스대학교 교수 연구팀과 함께 이룬 성과다. 고체 배터리 성능 개선에 기여하고, 나아가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도 속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SK온은 지난 6월 16일, 굿 이너프 교수의 제자인 하디 카니(Hadi Khani) 교수 연구팀과 신규 고분자 전해질인 ‘SIPE(single-ion conducting polymer electrolyte)’를 개발했다고 밝혔다.SK온 CI, UT Austin 로고     굿 이너프 교수는 리튬이온 배터리 용량을 2배로 늘린 배터리 선구자다. 2019년 97세에 노벨화학상을 받아 최고령 노벨상 수상 기록도 세웠다. 2020년부터 SK온과 리튬메탈 배터리를 구현하기 위한 ‘고체 전해질’ 공동개발을 진행해왔다. 지난해 6월 별세 후 제자인 카니 교수가 연구팀을 이끌고 있다. 해당 연구는 전기화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 ‘일렉트로케미컬 소사이어티(J. Electrochemical Society)’에 게재됐다.고분자 전해질은 가격이 저렴하고 제조가 용이해 차세대 고체 배터리 소재로 주목받는다. 하지만 산화물계, 황화물계에 비해 이온전도도가 낮아 70~80°C의 고온에서만 구동하는 점이 극복해야 할 과제 중 하나로 여겨진다. SIPE는 이온전도도*와 리튬 이온 운반율**을 개선해 이를 해결했다. 기존 고분자 전해질 대비 상온 이온전도도를 약 10배(1.1×10-4S/cm)까지 끌어올렸으며, 리튬 이온 운반율 역시 0.2에서 0.92로 5배 가까이 늘렸다. 상온 구동이 가능한 배경이다.* 이온전도도(Ionic conductivity): 물질의 이온전도 경향을 나타내는 척도. 수치가 클수록 전해질에서 이온이 움직이기 용이* 운반율(Transference number): 전하 입자가 전기를 나르는 분담의 비율. 리튬 이온 운반율 수치가 높을수록 리튬 양이온 이동량이 증가   리튬이온 전도도와 리튬 이온 운반율이 높아지면 배터리 출력 및 충전 성능 또한 향상된다.실제 실험 결과, SIPE를 적용한 배터리는 저속 충‧방전(0.1C) 대비 고속 충‧방전(2C) 시 배터리 방전 용량이 77%로 유지됐다. 고체 전해질은 이온전도도가 낮아 고속 충전 시 방전 용량 저하가 두드러지는데, 이를 최소화한 셈이다.* C-rate(충‧방전율): 충전과 방전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충전 시 1C는 전지용량 100%까지 1시간에 충전하는 속도를 의미   고체 전해질 계면(Solid Electrolyte Interphase) 안정성을 높여 덴드라이트* 형성을 억제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리튬메탈 배터리는 음극으로 흑연이 아닌 금속 리튬을 사용해 에너지 밀도를 대폭 높일 수 있다. 다만, 상용화를 위해서는 고질적 덴드라이트 현상 해결이 필수적이다.* 덴드라이트(Dendrite): 충‧방전 과정에서 리튬 이온이 양극과 음극을 오갈 때 음극 표면에 쌓이는 가지 모양의 결정체. 배터리의 수명과 안전성을 저하시키는 원인 중 하나   이 밖에도 SIPE는 높은 기계적 내구성을 갖춰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열적 안전성이 우수해 250℃ 이상 고온에도 견딜 수 있다. 차세대 복합계 고체 배터리에 적용할 경우 충전 속도와 저온 성능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태경 SK온 차세대배터리센터장은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고분자 전해질을 적용한 고체 배터리 개발에 한층 속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SK온은 신규 소재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향후 차세대 배터리 분야의 성장 기회를 선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SK온은 고분자-산화물 복합계와 황화물계 등 두 종류의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 중이다. 각각 2025년, 2026년 파일럿(Pilot) 시제품을 생산하고, 2028년, 2029년에는 상용화 시제품을 생산한다는 목표다. 대전 배터리연구원에 건설 중인 황화물계 차세대 배터리 파일럿 플랜트는 내년 하반기 완공 예정이다.   
편집부 2024-09-04
기사제목
- 전자 및 수자원 사업을 새로운 회사로 분사하고, 나머지 듀폰은 ‘New DuPont’로 계속 유지    플라스틱 및 화학 제품의 상징적인 제조업체인 DuPont Co.가 3개의 상장 회사로 분할된다.델라웨어주 윌밍턴에 있는 듀폰 관계자는 5월 22일 분할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라 듀폰은 전자 및 수자원 사업을 새로운 회사로 분사하고, 나머지 듀폰은 ‘최고의 다각화된 산업 회사’로 계속 유지될 것이다. 듀폰 주식회사 Tyvek® 사업은 델라웨어에 본사를 둔 소재 대기업을 분할하기 위해 5월 22일 발표된 계획에 따라 미래의 New DuPont의 일부로 남을 것이다. 관계자는 “독립적인 기업으로서 전자제품과 물 모두 집중력과 민첩성이 향상되어 이익을 얻을 것”이라며, “분할 시 세 회사는 각각 탄탄한 대차대조표, 매력적인 재무 프로필, 강력한 성장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DuPont은 또한 5월 22일에 CFO(최고재무책임자) Lori Koch가 6월 1일 Ed Breen을 대신하여 CEO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Breen은 계속해서 회장직을 맡게 된다. 한편 현재 DuPont의 물 및 보호 부문 CFO인 Antonella Franzen이 회사 전체의 CFO가 될 것이다. 분리 후에도 Koch와 Franzen은 New DuPont에서 각자의 자리를 유지하게 되며, 관계자들은 나머지 회사에 근무하게 된다. 플라스틱 관련 사업은 New DuPont에 유지된다. 여기에는 Tyvek® 브랜드 보호 필름과 Kevlar® 섬유가 포함되며, 회사는 바이오제약 소모품, 의료기기, 의료 포장 등 빠르게 성장하는 헬스케어 최종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게 될 것이다. 다른 두 개의 새로운 사업체에는 이름이 주어지지 않았다. 전자 부문은 ‘반도체 칩 제조에 사용되는 핵심 소모품’과 첨단 전자 분야의 소재를 다루며, 수자원 부문 회사가 물 여과 및 정화 솔루션용 재료를 취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2년 듀폰은 회사가 개발한 나일론수지를 포함한 플라스틱 소재 사업 대부분을 현금 110억 달러에 Celanese Corp에 매각했다. 이들 기업의 연간 매출은 약 35억 달러였다. 이 거래에는 Tedlar 불소 중합체, Multibase 실리콘 첨가제 또는 Delrin 아세탈 브랜드가 포함되지 않았다. DuPont은 2023년에 아세탈 사업의 80%를 사모펀드 TJC LP에 매각했다. 이후 해당 사업은 Delrin USA LLC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듀폰 분할의 과제와 장점 Wilmington에 있는 컨설팅 회사 Montesino의 전무이사인 시장 베테랑 Peter Schmitt는 DuPont 포트폴리오의 일부 재료를 둘러싼 지속적인 규제 및 법적 문제를 관리하는 것이 이러한 움직임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Schmitt는 또한 DuPont의 두 가지 과제를 확인했다. 즉, DuPont 제품이 주요 이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제조된다는 소비자 대중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재구성을 보여주면 21세기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데 필요한 신기술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촉진될 것이다.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Mathelin Bay Associates의 Phil Karig 대표에 따르면, DuPont은 현재 여러 기업을 유기적으로 성장시키는 여러 주기를 거쳤으며, 인수 또는 이 두 가지 전략의 조합을 통해 여러 기업을 롤업하고 분사를 진행했다. 그는 “분할의 가장 일반적인 목표는 핵심 사업에 더 많은 자원을 집중하거나 개별 사업을 월스트리트가 더 쉽게 분석하고 개인 투자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주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DuPont은 확실히 두 가지 모두를 달성하기를 희망하고 있다”Karig는 또한 Dow Inc.에 대한 DuPont의 경험(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에 합병 후 분사로 이어짐)을 향후 조치에 대한 가능한 지표로 언급했다. “DuPont이 새로운 DuPont과 일치하는 사업을 인수하기 위해 인수 과정을 다시 시작한 다음 대규모 인수의 일부로 인수한 비핵심 사업을 분사하여 주기를 다시 반복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회사는 “PFAS(폴리플루오로알킬 물질) 부채는 전자제품, 수자원, 신규 듀폰에 비례적으로 할당될 것”이라고 밝혔다.브린은 5월 23일 분석가들과의 통화에서 회사가 “PFAS 청구를 해결하는 데 좋은 진전을 이루었으며, 향후 18~24개월 안에 더 많은 것을 기대하고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2023년에 듀폰은 PFAS 화학물질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미국 수자원 공급업체에 4억 달러를 지불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회사는 유사한 문제에 대해 오하이오주에 2,750만 달러를 지불하기로 합의했다.    New DuPont의 주요 시장 관계자들은 New DuPont이 전기 자동차를 포함한 고급 이동성을 위한 기술을 제공할 것이며 안전, 건설, 항공우주 및 기타 산업 최종 시장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급 솔루션 제공업체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New DuPont에 포함된 기업은 2023년에 약 66억 달러의 매출과 이자, 세금, 감가상각 및 상각(EBITDA) 마진 전 영업 이익이 약 24%를 기록했다. 보도 자료에서 Breen은 분할이 “업계를 선도하는 3개의 강력한 회사의 탄생을 통해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주주 가치를 제공할 특별한 기회”라고 말했다. 듀폰은 18~24개월 안에 기업분할을 완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분리 거래에는 주주 투표가 필요하지 않으며, 듀폰 이사회의 최종 승인, 규제 승인, 자금 조달 완료 등 관례적인 조건이 적용된다.        
편집부 2024-09-02
기사제목
- 덴마크 오덴세 내 약 600평 규모 본사 개소식 진행 - 엔비디아, 지멘스 등 유니버설 로봇 글로벌 에코시스템 파트너 참석… 기업과 산업 위한 첨단 자동화의 혁신적 힘 논의   글로벌 1위 협동로봇 전문 기업 ‘유니버설 로봇(Universal Robots)’과 모바일 산업용 로봇(AMR) 기업 미르(MiR)는 지난 5월 16일, 덴마크 오덴세에 20,000평방미터(약 600평) 규모의 새로운 본사 개소식을 진행했다. 유니버설 로봇과 미르가 첨단 로봇 공학 분야의 시너지 효과를 높이고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한 의지다. 행사에는 최근 테라다인 로보틱스와 여러 협업을 발표한 바 있는 엔비디아(NVIDIA)와 지멘스 등 유니버설 로봇의 글로벌 에코시스템 파트너들이 참석했다. 엔비디아의 로보틱스 및 엣지 컴퓨팅 담당 부사장 디푸 탈라(Deepu Talla), 지멘스 팩토리 오토메이션의 CEO 라이너 브렘(Rainer Brehm), 테라다인 로보틱스의 그룹 사장 우즈왈 쿠마르(Ujjwal Kumar)가 패널 토론에 참여해 산업 전반에 걸친 AI의 활용에 대해 논의하며 기업과 산업을 위한 첨단 자동화의 혁신적 힘에 대해 논의했다.         우지왈 쿠마르(Ujjwal Kumar) 테라다인 로보틱스 대표는 “이 새로운 본사의 출범은 로봇 혁신 분야의 선도적인 두 회사를 하나로 모으는 테라다인 로보틱스에게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라며, “이제 우리는 이미 수요가 높은 기술 역량을 발전시킬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갖추게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장 피에르 하토(Jean-Pierre Hathout) 미르(MiR) 대표는 “새로운 본사는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우리 팀이 자동화에 혁명을 일으킬 최첨단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는 완벽한 환경을 제공한다”라며, “미르는 대규모 글로벌 고객의 진화하는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기술을 발전시키며 자재 취급을 위한 원스톱 샵이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최근 출시한 AI 기반 미르1200(MiR1200) 팔레트 잭은 이러한 노력을 잘 보여준다. 이 최첨단 시설에서 우리의 노력의 혁신적 영향을 목격하고 고객과 파트너에게 미르와 유니버설 로봇의 제품을 선보일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라고 말했다. 킴 포블슨(Kim Povlsen) 유니버설 로봇 대표는 “설립 이래 유니버설 로봇은 수천 명의 고객과 수백 개의 에코시스템 파트너가 선택한 플랫폼이 되었다”라며, “이 아름다운 건물은 우리의 강력한 디자인 철학을 반영하며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자동화를 제공한다는 우리의 사명을 이어갈 수 있는 완벽한 장소가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편집부 2024-08-12
기사제목
- 기계연,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가상공학 플랫폼 ‘KIMM Cyber Lab’ 6종, 중소기업 무료 배포 예정- 기계연-LG전자㈜, 가상공학 플랫폼 활용·확산을 위한 업무협약 가상공학기술은 제품 개발 시 시간 단축과 비용 절감을 위해 가상 공간에서 모의실험을 하고 제품을 제작하는 기술로, 디지털 전환의 핵심이다.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류석현, 이하 기계연)이 가상공학기술의 사각지대에 있는 중소기업들의 디지털 전환 촉진을 위해 독자 개발한 「가상공학 플랫폼(Virtual Engineering Platform)*」 확산에 닻을 올렸다.* 가상공학 플랫폼: 엔지니어링 및 제조 분야에서 다양한 설계, 시뮬레이션, 분석 및 최적화 작업을 가상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는 통합 소프트웨어 시스템 기계연 박종원 DX전략연구단장과 가상공학플랫폼연구본부 신뢰성연구실 백동천 실장 연구팀은 사용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KIMM Cyber Lab」 6종을 개발했다. 이 프로그램은 3D 설계를 할 수 있는 「KIMM-CAD」와 구조 해석을 위한 「KIMM-Structure」, 유동 해석을 위한 「KIMM-Flow」, CNC 경로를 생성하는 「KIMM-CAM」, 다물체 동역학**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KIMM-Motion」, 시스템 해석을 위한 「KIMM-SYS」 등 6가지 종류로 구성되어 있다.*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다양한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설계, 분석, 시뮬레이션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다물체 동역학: 여러 개의 단품이 조합된 부품과 모듈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기계연 가상공학플랫폼연구본부 신뢰성연구실 백동천 실장과 김영기 선임연구원이 3D 설계를 할 수 있는 「KIMM-CAD」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국내 기계류 부품 제조기업들은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를 핵심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나, 약 9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중소기업들은 개당 연간 5천만 원* 이상의 비용이 드는 고가의 외산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도입에 소극적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결국 기업의 디지털 전환이 지연되는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개당 도입비: 약 1억 원, 개당 연간 유지 보수비: 3~4천만 원, SW 활용 기간: 5년, 총비용: 2억 5천만 원/5년  「KIMM Cyber Lab」프로그램인 (왼쪽부터) , , , 가상 설계 화면 기계연이 개발한 「KIMM Cyber Lab」 6종이 적용된 오픈소스 솔버*는 라이센스 조항에 따라 활용과 배포가 자유로워 국내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계연은 현재까지 214건의 기업 지원을 통해 기업당 평균 1,600만 원의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3개월의 개발 기간을 단축했다.* 솔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되는 알고리즘 또는 소프트웨어. 주어진 제약 조건에 목표를 최적화하는 문제를 푸는 데 사용된다. 「KIMM Cyber Lab」 프로그램은 고가의 외산 소프트웨어 대비 95%의 정확도로 비슷한 성능을 유지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무료 배포될 예정이다. 향후 정기적인 기술 지원을 요청하는 기업의 경우 연간 구독료를 요청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가상공학 플랫폼 구축사업 「디지털 트윈 3단계 기술 활용 전기·수소차 메카트로닉스 모듈 신뢰성 예측·검증 테마 구축」 과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기계연은 5월 30일(목), LG전자㈜ H&A연구센터와 ‘가상공학 플랫폼 활용·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기계연 류석현 원장(오른쪽에서 2번째)과 LG 오세기 센터장(왼쪽에서 2번째)은 ‘가상공학 플랫폼 활용·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이찬영 부원장(왼쪽에서 1번째), 산업통상자원부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오른쪽에서 1번째)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한편, 기계연은 5월 30일(목) 산업통상자원부 이승렬 산업정책실장,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이찬영 부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LG전자㈜ H&A연구센터(센터장 오세기)와 경상남도 창원시 LG스마트파크에서 가상공학 플랫폼 활용·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기계연과 LG전자㈜는 「KIMM Cyber Lab」의 공동 연구개발 및 기술협력을 추진하고, 국내 기계 산업 경쟁력 강화와 디지털 전환 기술 혁신 가속화를 위해 상호 간 협력하기로 했다. 협약 주요 내용은 ▲ 가상공학 기술 향상을 위한 「KIMM Cyber Lab」의 공동 검증 및 기술 고도화 ▲ 산업현장 맞춤형 솔루션 제공을 위한 모범사례 개발 ▲ 「KIMM Cyber Lab」 적용에 필요한 관련 정보 상호 공유 및 비밀 유지 등이다. 기계연 류석현 원장은 “국산 자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대기업과 함께 산업현장 맞춤형 솔루션으로 고도화하며, 이를 기반으로 소·부·장 중소기업에도 보급하고 확산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앞으로 LG전자와 협력을 통해 중소기업도 함께 상생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의: 한국기계연구원 가상공학플랫폼연구본부신뢰성연구실 백동천 실장042-868-7189 / 010-3671-3058 / dcbaek@kimm.re.kr    
편집부 2024-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