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hpf미네랄스
현대보테코
K쇼배너

SIMTOS존

이즈미케이엠솔루션
강화분쇄기
엠디코리아
kcs
기사제목
전시회 통해 NC/CNC 타입의 유압식 4롤 후판 벤딩머신 최초 공개   유압기계 전문업체 안전유압기계가 SIMTOS 2022에 NC/CNC 타입의 ‘롤벤딩머신’과 소형벤딩머신, NC/CNC 타입의 ‘섹션벤딩머신’을 출품한다. 특히 안전유압기계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처음으로 공개하는 롤벤딩머신의 가동 시연을 계획하고 있으며, 참관객이 요청한 샘플을 전시 현장에서 직접 제작해 장비에 대한 이해를 높일 예정이다.   유럽 SAHINLER사의 국내 지사인 안전유압기계는 벤딩머신, 프레스, 펀칭머신 등 철판/파이프/형강류를 성형하는 장비를 취급하고 있다. 특히 이 회사는 조선 및 구조물, 제관, 레이저 및 벤딩 임가공업체에 관련 장비를 공급하고, 철저한 사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안전유압기계는 “현재 대부분의 임가공 산업이 자동화 트렌드에 맞춰 스마트공장 구축을 확대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당사에서도 기본 장비에 옵션 파트를 지정하여 NC/CNC등 수치제어 시스템의 장비를 계속 홍보 중이며, 사후관리 시 원격지원 서비스를 제공해 부품 교체 등의 가격부담을 줄여주고 있다”고 설명한다. 이와 함께 작업자가 처음 접하는 가공도 빠른 적응을 할 수 있도록, 가공공정에 대한 매뉴얼화와 이에 따른 자동공정 및 원격제어의 대중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 회사는 SIMTOS 2022 절단가공 및 용접기술관에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 전시회를 통해 처음으로 선보일 롤벤딩머신(NC/CNC타입)은 유압식 4롤 후판 벤딩머신으로, 모델명은 ‘4R HSS’이다. 이 장비는 작업폭 3m, 두께 100mm 사양에 4롤과 3롤 특수벤딩머신으로 윈드타워, 조선, 파이프라인 산업에서 최적의 효과를 낼 수 있다. 
편집부 2022-04-23
기사제목
IMTOS 2022 소재부품 및 제어기술관에 참가해 구축사례 소개   산업자동화 센서 및 시스템 전문회사 아이에프엠일렉트로닉(ifm electronic)이 SIMTOS 2022에 참가해 최근 출시한 신제품인 ‘moneo’를 출품해 IIoT 플랫폼으로써의 콘셉트를 소개하고, 데모보드를 통해 구현한 각종 산업자동화 센서의 신버전의 구축사례도 참관객들과 공유한다.  독일 에센에 본사를 둔 아이에프엠일렉트로닉은 1969년에 설립된 기업으로, 전 세계 고객들에게 산업자동화를 위한 센서, 컨트롤러,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이 회사는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의 경쟁력 있는 파트너로서 ‘from sensor to ERP’의 전체 밸류체인을 디지털화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SIMTOS 2022 소재부품 및 제어기술관에 부스를 마련한 아이에프엠일렉트로닉은 최근 산업계 및 생산을 위한 IIoT 플랫폼 ‘moneo’를 출시했다. moneo는 OT(운영기술)와 IT(정보기술)을 결합해 생산 시설에서 생성된 센서 데이터는 쉽게 읽고 처리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한 기업의 의사 결정을 위한 기반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moneo는 모듈식 구조이며 하나의 기본 소프트웨어와 상태모니터링이나 IO-Link 센서 파라메터 세팅 등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품을 SIMTOS를 통해 소개할 계획이다.   아이에프엠일렉트로닉은 “moneo는 고객의 다양하고 개별적인 요구사항에 대해 맞춤형 소프트웨어 패키지 구성이 가능하다”며 “지난 50여 년간 자동화 솔루션의 선도업체로써 고객 지원 등 축적한 센서 기술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로 당사의 지식과 경쟁력을 확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아이에프엠일렉트로닉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비대면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요구되어 짐에 따라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제작해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편집부 2022-04-23
기사제목
SIMTOS 2022에 컴팩트한 핸디형 타각마킹기 ‘M-mark 시리즈’ 출품   ㈜유성이앤지는 이력 추적관리를 위한 산업용 마킹 솔루션 및 자동화 설비제조, 레이저장비 등을 제조, 유통하는 기업으로, 다양한 산업군의 환경과 고객니즈에 적합한 마킹·조각 솔루션 및 레이저가공장비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 회사의 대표 상품은 산업용타각기, 휴대용 마킹기(타각, 레이저), 레이저마킹기, CNC조각기, 레이저클리닝, 잉크젯마킹기 등이다.   이중에서도 ‘포터블 형태의 마킹기’가 이 회사의 주력제품이다. 유성이앤지가 공급하는 포터블 마킹기는 재질 및 사용 환경에 따라 타각마킹기와 레이저마킹기로 나뉜다. 타각마킹기 중 M-mark시리즈는 컴팩트한 사이즈의 핸디형 타각기로 리튬이온 배터리 방식으로 완벽한 포터블 타각 시스템을 지원한다.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 지지대는 평판뿐만 아니라 파이프 같은 라운드면에도 타각 마킹을 도와주며 작업 환경에 따라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또 컨트롤러가 따로 없는 앱 구동방식으로 휴대폰 및 태블릿, 윈도우 프로그램으로 Wi-Fi hotspot을 통해 마킹파일 전송이 가능하다. 소프트웨어 앱을 활용하면 작업자가 사용하기 쉬운 직관적인 구성으로 마킹미리보기, 일직선, 원호마킹, 카운터마킹, DXF, PLT 로고 마킹을 할 수 있으며 2D 데이트매트릭스, QR코드 같은 바코드 마킹도 가능하다. 전송된 마킹 파일은 장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동일 마킹을 실시할 시에 따로 소프트웨어를 열지 않고도 장비 단독으로 마킹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 제품은 SIMTOS 2022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유성이앤지가 레이저마킹기 분야에서 주력으로 공급하고 있는 YLD20i 역시 핸디형 마킹기로 기존 레이저마킹기에서 볼 수 없었던 작은 헤드와 컴팩트한 컨트롤러의 구성으로 움직이기 힘든 자재와 환경에서 레이저마킹 작업이 가능하다. 특히 작동의 편의성을 위해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컨트롤러는 터치스크린 입력방식으로 누구나 사용하기 편리한 직관적 디자인을 자랑한다. “파이버레이저의 특성상 수명이 길고 따로 소모품이 들지 않아 유지관리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설명하는 유성이앤지는 “현재 녹, 이물, 페인트 등의 세정에 레이저 기술을 접목시킨 레이저클리닝 장비 개발 및 상용화에 전력을 쏟고 있다”고 덧붙여 소개했다.   이와 함께 유성이앤지는 포터블 레이저 클리닝 장비의 성능 업그레이드를 위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파이버레이저 기술을 활용한 친환경적 세정 기술로 녹, 기름때, 도막 제거 등이 가능한 기술로 제품 출시 및 상용화가 완료되면 자동차, 기계, 조선, 반도체, 금형, 식품, 항공, 타이어,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온라인 유통 채널 개설과 블로그, 유튜브, SNS 등의 운영을 통해 온라인상에서 브랜드 인지도 확장과 상품 판매까지 진행하고 있는 유성이앤지는 오프라인으로는 국내 전시회 참가 등을 통해 하이브리드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SIMTOS 2022 절단가공 및 용접기술관에서 부스를 운영할 예정인 유성이앤지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포터블 산업용 마킹기(타각기, 레이저마킹기) 모델을 중점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며, 현재 개발 중인 레이저 클리닝 장비도 함께 출품한다. 또 고객이 직접 장비를 시연해 보는 체험이벤트와 전시 기간 내 부스 방문 참관객을 대상으로 한 할인 프로모션 이벤트도 진행해, 참관객들에게 할인된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편집부 2022-04-23
기사제목
SIMTOS 2022에 금속분말 소재, 탄소섬유 복합 3D 프린터와 함께 소개 하나에이엠티㈜는 모든 산업의 기초가 되는 소재산업 분야에서 흔치 않은 우주항공 부품 및 의료기기품질인증을 획득하며 고객에게 신뢰의 기준을 제공하고, 기술개발 및 품질경영을 최우선으로 두는 기업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마그네슘, 알루미늄과 같은 고위험물의 제품을 생산하면서 대한민국 소재강국 실현에 기여해 온 이 회사는 금속분말 소재 외에도 15년 이상의 식각가공기술 경험을 토대로 OLED글라스 분야를 넘어 Fuel Cell분야, 바이오분야, 폴더블 디스플레이 분야의 원소재 시장에도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코로나19 위기에도 방위산업분야 등을 지속적으로 개척하며 매출 신장을 이뤄온 하나에이엠티는 5월 23일부터 27일까지 KINTEX에서 개최되는 SIMTOS 2022를 비롯해 부산국제모터쇼, 국제의료기기 병원 박람회, 대한민국방위산업전 등 국내 전시회에 참가해 자사를 홍보할 계획이다. SIMTOS 2022 적층제조 및 기술관에서 부스를 운영할 하나에이엠티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티타늄, 구리, 니켈, 붕소, 지르코늄 등 금속분말을 비롯해 새로운 글라스/금속소재와 산업용 복합소재 3D 프린터를 선보일 예정이다.SIMTOS 2022 출품 제품군 특히 이 회사는 SIMTOS 2022에 ‘신 경량화 소재 알루미늄 6K13’을 처음으로 공개할 예정이며, 알루미늄 강도 부품을 위한 강력한 전문가용 연속 탄소섬유 복합 3D 프린터인 ‘Mark two’도 출품해 장비 시연을 진행할 예정이다.마크포지드 Mark two
편집부 2022-04-23
기사제목
한성GT, 새로운 파트너십 통해 발굴한 씰링 솔루션 집중 홍보슬라이드 카바류와 오일 필터링 시스템, 펌프형 오일스키머도 출품공작기계 보호를 위한 각종 카바와 핵심부품을 생산하고 있는 ㈜한성GT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새로운 파트너십을 맺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파카 하니핀社의 제품군들을 집중적으로 홍보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한성GT의 주생산품인 슬라이드 카바류의 고객 접근성을 확대, 경험할 수 있는 전시회를 만들 계획이다. (주)한성GT는 1984년 창립이래 축적된 노하우와 기술을 바탕으로 공작기계 보호를 위한 각종 카바와 핵심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우수한 성능과 품질로 국내 유수의 관련 업체에 공급하며 한국 공작기계 산업 발전에도 기여해 왔다. 현재 이 회사는 2007년 일본 시장 진출을 시작으로 중국, 미국 등 수출 지역을 확대하며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와 함께 산업기계, 방위산업, 자동차, 반도체, 유공압 등 다양한 분야에 필요한 Sealing system과 Tooling system을 구축하고 있어 고객 니즈에 맞는 우수한 제품들을 제공하고 있다.최근 한성GT는 모션 및 제어기술분야 글로벌 선도업체인 파카 하니핀(PARKER Hannifin)과 파트너십을 맺고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발돋움을 하고 있다. 파카 하니핀은 항공우주, 호스커넥터, 공유압, 필터, 인스트루먼트, 전동제어, 인버터 드라이브, 씰링과 쉴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파카 하나핀과의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한성GT는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글로벌기업의 씰링 솔루션을 국내 고객들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코로나 이전에 새로운 전략을 바탕으로 회사의 성장궤도를 정상으로 올리기 위해 사옥 이전, 스마트공장 구축 등 많은 준비를 했던 한성GT는 코로나19발 경제위축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적잖은 어려움을 겪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는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다가오는 미래를 대비하고 기업의 성장발동을 위해 코로나 상황은 미래를 위한 기회 요소이며, 내부 프로세스를 더욱 확립할 수 있는 시간이라고 생각한다”는 한성GT는 포스트 코로나의 시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언택트 시대에 걸맞는 홍보마케팅 전략을 세우고, 고객과의 소통을 극대화하기 위해 온라인 마케팅 활동을 확대해 나아가고 있다. 특히, 고객이 직접 선택하고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마켓의 활용은 점진적으로 판매 아이템을 늘려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내 대표 전시회인 SIMTOS 2022 참가를 기점으로 오프라인 마케팅 활동도 확대할 예정이다.SIMTOS 2022 소재부품 및 제어기술관에 전시 부스를 마련한 한성GT는 파카 하니핀社의 제품군들을 집중적으로 홍보할 수 있도록 별도의 존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주생산품인 슬라이드 카바류의 고객 접근성을 확대, 경험할 수 있는 전시회를 운영할 예정이다. 이 회사의 전시 부스에서는 파카 하니핀社의 씰링 솔루션과 펌프형 오일스키머, 오일 필터링 시스템인 ‘VITO’를 관람할 수 있다. VITO는 절삭유 상의 떠다니는 마이크로 칩 또는 슬러지 등을 정화 및 순환시켜 절삭유의 수명연장, 가공성 향상, 유지보수 비용 절감, 작업자의 피부 트러블 방지 등의 효과가 있다. 
취재부 2022-04-21
기사제목
산업용 대형 FDM 3D프린터의 국산화를 이끈 3D엔터SIMTOS 2022에 주력품인 ‘Cross Z650’과 ‘Cross Z1000’ 모델 출품국내 최초 FDM 방식 ‘산업용 대형 3D프린터’를 상용화한 3D엔터는 SIMTOS 2022 적층제조 기술관에 참가해 산업용 대형 FDM 3D프린터 ‘Cross Z650’ 모델과 ‘Cross Z1000’을 선보인다. 3D엔터는 2018년에 신제품으로 출품해 참관객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Cross pro650’, ‘Cross pro1000’ 제품을 한층 더 진화시킨 이 제품들의 양산 및 판매를 시작했다.3D엔터는 4차 산업혁명에서 필수 장비인 3D프린터를 순수한 국내 기술로 제작 및 판매하는 기업이다. “장비에 사용되는 부품 중 국내 제작이 가능한 부품은 국내에서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는 3D엔터는 “현재 주력 판매 제품인 ‘Cross Z650’은 고가의 외산 장비에 뒤지지 않는 성능과 가성비 최고의 제품이라 자부한다”고 밝혔다.항상 고객입장에서 장비의 편의성을 생각하며 현장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제품에 적극적으로 반영해 온 3D엔터는 사용하는 모든 부품은 KC, UL 기준의 안전한 제품만 사용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또 2015년에는 국내 최초 출력 크기 500㎜ 제품으로 KC(전기안전인증) 인증을 통과한 3D엔터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장비의 안전성과 사용 편의성을 높여 왔다. “국내외 여러 3D프린팅 관련 전시회에 참가하면서 자사의 장비와 외국 고가 장비들을 비교해보면 디자인, 성능 모두 비교의 상대가 안 된다는 것을 느꼈다”는 3D엔터는 “이러한 한계를 넘기 위해 구동장치 기본을 제외하고 모두 바꾸자고 결심하고, 기술개발 끝에 2018년 SIMTOS 전시회에서 Cross D650 제품을 선보였는데 시장 반응이 좋았다”고 회상한다. 특히 요즘 프린팅 중에 발생하는 유해 물질이 쟁점이 되고 있지만 이 회사는 2015년부터 장비 내부에 필터를 장착해 왔다. 밀폐구조로 된 산업용 대형 FDM 3D프린터 Cross 모델은 3D프린팅 중에 발생되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해 강력한 2개의 펜과 HEPA, Carbon 필터를 적용해 장비 내부 공기를 정화하고 유해 물질 방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후 3D엔터는 기존 모델의 성능과 디자인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안전성과 부품의 퀄리티 등 내구성을 높여 ‘Cross Z650’, ‘Cross Z1000’ 모델로 출시하게 되었으며, 외산장비 대부 우수한 퀄리티를 자랑하는 이들 제품은 현재 양산 및 판매되고 있다. 이 두 모델은 SIMTOS 2022 적층제조 기술관에 마련된 3D엔터 전시부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당사에서 전시회 참가하는 이유는 고객들에게 직접 당사 제품을 선보이고 저가형 제품, 고가의 외산 제품과 직접 비교해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3D엔터는 “아직까지도 국산 3D프린터는 품질경쟁력이 약하다는 인식이 있는데, 이번 전시회를 통해 당사 장비의 안전성과 품질을 확인시켜줄 예정”이라며, “당사 전시부스에서 진행되는 3D프린팅 장비 시연을 확인하고, 당사 장비의 높은 퀄리티도 확인하길 바란다”고 부연했다. 
취재부 2022-04-21
기사제목
㈜제이엔텍, ‘CFRP 3D Printing’ 주제로 전시 부스 운영SIMTOS에서 마크포지드 고강도 카본 복합소재 3D프린터 활용사례 공유㈜제이엔텍은 카본 및 금속 소재가 가능한 3D프린터 제조사 마크포지드(Markforged) 3D프린터의 국내 공급사로서, 한국 시장에 맞는 3D 토털솔루션을 제공해 온 전문가 그룹이다. 이 회사는 3D프린터, 3D스캐너, 역설계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며 자동차, 전자, 항공우주, 의료 등 다양한 산업 현장 전반에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SIMTOS 2022 적층제조 기술관에서 전시 부스를 운영하는 이 회사는 전시회를 통해 마크포지드 고강도 카본 복합소재 3D프린터의 활용사례를 공유하고, 국내 보급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이벤트를 기획하고 있다. 특히 이 회사는 복합 소재 부품인 CFR(Continuous Fiber Reinforcement)용 3D프린터인 마크포지드 제품을 출품해 참관객들과 CFRP 3D프린팅 경험을 공유한다. “코로나로 인한 시장침체는 모든 시장 참여자에게 새로운 도전을 요구하고 있다. 기업들마다 투자에 우선순위가 재조정 되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하는 제이엔텍은 “하지만, 이와 동시에 기업들은 미래 먹거리에 대한 고민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고강도 부품의 경량화는 미래 산업 개발에 있어서 지나칠 수 없는 요소”라고 강조한다. 제이엔텍은 관련 기술의 전문성과 CFRP 3D프린팅의 강점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발전시킬 수 있었으며, 지난해 위기상황에도 오히려 매출 신장을 이루어 낼 수 있었다. 코로나 이후 회복기에 접어들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다양한 대면 마케팅을 준비하고 있다는 제이엔텍은 대면마케팅의 시작점을 SIMTOS 2022로 보고 있다. “SIMTOS 2018에는 제이엔텍의 3D스캐너, 3D프린터 등 모든 라인업을 출품하였으나 이번 전시에서는 CFRP 3D Printing이라는 단일주제에 집중하여 출품을 기획하고 있다”며 “SIMTOS 2022에서 마크포지드의 독보적인 Continuous Fiber Reinforcement 기술을 직접 경험해 보길 바란다”고 덧붙였다.현재 3D프린터는 기존 시제품 제작의 용도뿐만 아니라 실제 파트 제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요구사항에 직면해 있다. 고강도 복합소재를 활용한 마크포지드의 강성파트 제작 능력은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완벽히 부응한다. SIMTOS 2022의 ㈜제이엔텍 부스에서는 카본 3D프린터에서부터 메탈 3D프린터까지 마크포지드의 전 제품 라인업을 만나 보실 수 있다. 특히 제이엔텍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마크포지드의 신제품 FX20을 공개한다. FX20은 마크포지드 제품라인업에서 가장 대형사이즈를 출력할 수 있는 장비이며, ULTEM 소재의 출력을 지원한다. FX20의 국내 단독 공급사로 선정된 ㈜제이엔텍은 SIMTOS 2022 부스에서 관련 소개 및 컨설팅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FX20을 비롯한 마크포지드의 다양한 솔루션을 보다 폭넓게 홍보하고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취재부 2022-04-21
기사제목
SIMTOS 2022에서 신기종 ‘type A530’, ‘Sindoh S100’, ‘Sindoh A1WD’ 등 공개 국내 최초의 복사기와 팩시밀리를 개발하여 국내 사무기기 시장을 선도한 신도리코가 3D 프린팅 프리미엄 브랜드 '팹위버(fabWeaverTM, 이하 팹위버)를 국내 시장에 런칭한다. 팹위버 브랜드의 첫번째 제품은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방식의 워킹 프로토타입(Working Prototype) 3D 프린터 ‘type A530’로, 오는 5월 23일부터 27일까지 KINTEX에서 개최되는 SIMTOS 2022 전시회에서 첫 선을 보일 예정이다. ‘type A530’은 출력 크기가 310×310×310㎜로, 용해성 재질인 RSA(Rapid Soluble A) support material을 사용할 수 있으며, 7인치 컬러 터치 스크린을 탑재하였다. 또 이 제품은 2개 Nozzle을 지원하며 빠른 출력 속도와 높은 가공정밀도를 자랑한다. 이와 함께 4개 필라멘트를 동시에 장착하여 편리하게 운용할 수 있는 ‘smartStationTM‘(옵션), Flexible bed, 출력 품질 및 안정성 등을 특장점으로 꼽고 있다.  SIMTOS 2022 적층제조 기술관에 참가하는 신도리코는 ‘type A530’과 함께 SLS(Selective Laser Sintering)방식의 대형 폴리머 산업용 3D 프린터 ‘Sindoh S100’과 MSLA(Masked-Stereolithography) 방식의 ‘Sindoh A1WD’도 전시한다고 밝혔다.  ‘Sindoh S100’은 파우더를 최대 100%까지 재사용할 수 있는 ‘블루신트 PA12(Bluesint Polyamide 12)’ 공정기술을 세계 최초로 적용한 제품으로, 폴리아미드 12(Polyamide 12, PA12), 울트라신트 폴리아미드 11(Ultrasint® Polyamide 11, PA11),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등 다양한 소재를 지원한다. 또한 Materialise사의 최신 MCP(Materialise Control Platform)를 적용해 출력 중인 소재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컨트롤하고, 출력물의 모서리 부분의 조형 품질도 개선하였다. ‘Sindoh A1WD’는 기존 제품 대비 빌드사이즈를 5.5인치(115×80×180mm)에서 8.9인치(192×120×180mm)로 키워 Prototype용으로 활용성을 높인 제품이다. FFF, SLA, MSLA, SLS 등 다양한 3D 기술을 확보하고, 데스크톱 제품부터 산업용 장비까지 직접 개발 및 생산, 판매해온 신도리코는 우수한 출력 품질과 출력 안정성을 갖춘 신제품 출시를 통해 브랜드 경쟁력을 높여나가고 있다. 신도리코 3D사업본부 지용현 본부장은 “최근 3D 프린터 시장이 교육용, 관공서 시장 중심에서 Dental 시장과 제조ㆍ연구ㆍ디자인 중심의 워킹 프로토타입 3D 프린터 시장으로 비즈니스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며, “다품종 소량 생산의 산업용 시장에 회사의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팹위버 브랜드를 기점으로 프리미엄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편집부 2022-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