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현대보테코
K쇼배너

캐미칼리포트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 단일 PE(폴리에틸렌) 소재로 재활용률 향상된 ‘유니커블(UNIQABLE™)’, 전기차 충전용 케이블 소재 등 자동차‧생활‧헬스케어 분야 친환경 기술 및 고부가 제품 소개- 국내기업 중 최대 부스에 60여 종 제품 전시… 고객 전용 회의실‧라운지 운영 - 고객 체험형 콘텐츠로 친환경 소재 및 기술력 가치 새롭게 전달  LG화학이 친환경‧고부가 소재로 글로벌 고객 사로잡기에 나선다. LG화학은 4월 15일부터 4일간 중국 심천에서 열리는 차이나플라스 2025(Chinaplas 2025)에 참가해 초임계 열분해를 이용한 화학적 재활용, 수소화 식물성 오일(HVO) 등 차세대 친환경 기술과 자동차‧생활‧헬스케어 분야의 프리미엄 전략 제품을 고객에게 선보인다.  차이나플라스는 아시아 최대 플라스틱‧고무 전시회로 올해는 전 세계 4,400여 개의 기업들이 참가하고 33만 명 이상의 관람객 방문이 예상된다. LG화학은 국내기업 중 최대 규모인 400㎡(121평) 부스에 60여 종의 제품을 전시하고, 고객과의 소통을 위한 10개의 전용 회의실과 비즈니스 라운지를 운영한다. LG화학은 ‘화학의 힘으로 가치를 높이다(Chemistry Empowered, Value Enhanced)’를 테마로 총 6개의 전시 존(Zone)을 구성해 LG화학의 친환경 기술력과 이를 기반으로 한 프리미엄 제품 포트폴리오를 집중적으로 선보인다. ‘Sustainability Hub 존’에서는 고객의 제품에 즉시 적용할 수 있는 드롭인(Drop-In) 솔루션 을 선보인다. 열과 스팀을 활용해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실현한 ▲ 화학적 재활용 기술과 식물성 원료에 수소를 첨가해 생산한 ▲ HVO(Hydro-treated Vegetable Oil) 등 지속 가능한 친환경 기술을 선도하는 LG화학의 도전과 도약을 강조한다. ‘Packaging 존’에는 LG화학의 독자 기술로 개발된 ‘유니커블(UNIQABLE™)’ 소재가 적용된 단일소재 포장 필름이 전시된다. 유니커블은 기존의 복합 재질과 동일한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단일 PE(폴리에틸렌) 소재로 만들어져 재활용률을 향상시킨 차세대 친환경 솔루션이다. ‘Mobility 존’에는 고광택, 내열성·내후성을 갖춘 ASA(고기능성 플라스틱)로 만든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그릴과 차량 인포테인먼트 패널 등에 사용되는 고강성·전자파 차폐 성능의 디스플레이용 엔지니어링 소재를 선보인다.  ‘Energy 존’에서는 전기차 충전 케이블용 초고중합도 PVC(폴리염화비닐) 등의 고부가 제품을 전시해 글로벌 시장과 고객 공략을 가속화한다. ‘Living 존’에는 고급 가전용 내외장재인 저광·무광 ABS(고부가합성수지)와 초고중합도 PVC가 적용된 고기능성 친환경 인조가죽 등을 전시한다.  ‘Medical 존’에는 뛰어난 내열성과 생체적합성으로 얼굴에 직접 닿아도 안전한 투명 PC(폴리카보네이트)가 적용된 홈케어 LED 마스크 등 의료·뷰티 분야의 프리미엄 제품을 전시한다. 이와 함께,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고객 체험형 콘텐츠도 선보인다. 고객이 유니커블 소재를 적용한 필름을 커팅해 손쉽게 샘플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셀프 커팅 장치와 디지털 게임을 통해 고객의 니즈에 맞춘 친환경 솔루션을 제안하는 전시 존을 운영해 고객 경험을 강화한다. LG화학 석유화학사업본부장 김상민 전무는 “친환경 기술 및 프리미엄 제품 고도화가 실질적인 판매 증대와 이어질 수 있도록 차별화된 고객 경험 가치를 지속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화학의 초고중합도 PVC와 무광 ABS 제품은 올해 차이나플라스가 플라스틱 및 고무 산업의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에 시상하는 ‘Chinaplas Innovation of the Year’에 선정됐다.     
편집부 2025-04-15
기사제목
- 할로겐프리 난연성, 뛰어난 색 안정성,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가공성을 갖춘 제품 - 동 소재는 전기차 및 배터리 부품과 같은 고성능 요구 사항을 만족하며, 안전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혁신적인 솔루션 코오롱이앤피는 다양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생산 및 판매하는 전문 기업으로, 자동차, 전기·전자, 의료용 부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고성능 소재를 공급하고 있다. 주요 제품군으로는 POM(KOCETAL®), PA(KOPA®), PBT(SPESIN®), PET(KOPET®), TPC-ET(KOPEL®), LFT(KompGTe®) 등이 있으며,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춘 맞춤형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번에 소개할 KOPA® KN1322V0ORE는 할로겐프리 난연성을 갖춘 나일론6(Nylon 6) 기반의 소재로, 뛰어난 난연성과 기계적 물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제품이다. 이 소재는 전기차(EV) 및 전기·전자 부품에서 요구되는 높은 난연 성능과 내구성을 만족시키며, 복잡한 형상의 부품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우수한 가공성을 제공한다.  KOPA® KN1322V0ORE는 UL94 V-0등급(0.4㎜)의 우수한 난연 성능을 갖추고 있으며, 전기차 및 전기·전자 부품에서 높은 안정성을 제공한다. 할로겐프리 난연제를 적용하여 RoHS 및 REACH 등 글로벌 환경 규제를 준수하며, 친환경적 요구를 충족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Pantone 1495C 표준의 오렌지 색상을 유지할 수 있는 색 안정성을 보유하고 있어, 장기간 사용 시에도 변색 없이 높은 가시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전기차 및 배터리 관련 부품에서 제품의 시각적 식별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출성형 공정에서의 가공성도 KOPA® KN1322V0ORE의 강점 중 하나이다. 우수한 유동성과 높은 인장 신율을 갖추고 있어 복잡하고 얇은 형상의 부품에도 적용이 용이하며, 높은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가공성이 뛰어나 전기차 및 전기·전자 부품의 생산에 적합하다.  KOPA® KN1322V0ORE는 뛰어난 난연성과 기계적 성질을 동시에 만족하는 소재로,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한다. KOPA® KN1322V0ORE는 전기·전자 및 전기차(EV) 부품 시장에서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는 나일론6 기반 난연 소재로, 할로겐프리 난연성, 뛰어난 색 안정성,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가공성을 갖춘 제품이다. 높은 난연성과 기계적 안정성을 갖춘 이 소재는 전기차 및 배터리 부품과 같은 고성능 요구 사항을 만족하며, 안전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이다.  코오롱이앤피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KOPA® KN1322V0ORE 또한 이러한 노력의 결과물 중 하나이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고성능 플라스틱 소재를 선보일 계획이다.    
취재부 2025-03-28
기사제목
- 수상 애플리케이션, 제너럴모터스 주력 전기차 안전성 향상에 기여 첨단 고성능 소재 및 화학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사이언스코(Sysensqo)가 2024년 SPE(미국 플라스틱엔지니어협회) 북미지역 혁신상을 수상했다.  전기자동차 안전과 관련한 뛰어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하게 된 부품은 첨단 버스바 케이블 지지용 브래킷으로, General Motors(제너럴 모터스)의 플래그십 주력 전기차 라인업인 2025년형 캐딜락 셀레스틱에 사용된다. 2024년 11월13일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2024 SPE 북미지역 혁신상 안전부문에서 수상한 사이언스코 팀(왼쪽부터: Gregory Poterala, Rik LaBelle, Laura Hirschhorn, Gill Biesold, Alyssa Arend, Patrick Rodgers, Geoffrey Lindberg) 이 상은 2024년 11월13일,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제53회 연례 자동차 혁신상 프로그램에서 주어졌다. 1970년에 시작된 이 행사는 자동차 및 플라스틱 업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시상 행사다.   Ryton® R-4-220 BL로 제작된 상단 클립을 포함한 버스바 케이블 지지 브래킷.  그랜드 트래버스 플라스틱(Grand Traverse Plastics)가 사출성형을 맡은 이 브래킷은 고성능 V0 난연 등급 PPS 및 PBT 소재를 사용하여 케이블의 움직임을 최소화함으로써 열폭주 및 고전압 아크를 방지하도록 설계되었다. 사이언스코의 Ryton® R-4-220 BL PPS로 제작된 상단 클립은 버스바를 단단하고 안전하게 연결해주며, 부품에 필요한 견고한 유지력을 제공할 뿐 아니라 조립 공정 효율도 뛰어나다. 금속 소재 브래킷과 달리 뛰어난 내구성과 열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이 부품은 15kg 무게의 버스바의 절연 능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고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페셜티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접지 경로를 제공하여 안전성을 전반적으로 향상시켰다. 또한 혁신적인 스냅핏 설계로 위치당 하나의 패스너로 240뉴턴(N) 이상의 축 방향 고정력을 제공하므로 재충전식 에너지저장장치(RESS) 하나당 기존의 10개 이상의 패스너가 필요하지 않다.  부품 설치를 위해 끼울 때 필요한 힘도 45뉴턴에 불과해 조립 작업이 인체공학적으로 안전하고 작업자의 피로도 크게 줄여준다. 이 같은 효율성 덕분에 생산 속도가 향상될 뿐 아니라, 스크랩으로 인한 비용이 최대 99%까지 줄어 지속가능성과 비용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사이언스코의 주요 고객사 담당 매니저 Laura Hirschhorn는 “제너럴모터스 측 파트너들과 함께 이 중요한 성과를 축하하게 되어 자랑스럽다”라며, “긴밀한 협업과 첨단 Ryton® PPS의 사용으로 전기차 업계의 안전성 및 생산 효율성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부품이 탄생할 수 있었다. 이번 수상은 전기차의 잠재적 위험을 완화하고 전기 모빌리티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혁신적 솔루션 개발을 위한 당사의 노력을 반영한다”라고 전했다. 이번 SPE 혁신상을 수상한 기술을 탑재한 캐딜락 셀레스틱 모델은 2023년 12월 생산을 시작했으며, 전 세계에서 판매 중인 차량과 부품 모두 전기차 기술의 한계를 끊임없이 넓혀 나가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www.syensqo.com에서 확인하기 바란다.   
편집부 2025-02-07
기사제목
- 美 아칸소 주에서 생산되는 리튬… LG화학 테네시 양극재 공장으로 공급- 엑슨모빌로부터 탄산리튬 2030년부터 최대 10년간 10만t 확보- 북미 내 리튬–양극재 배터리로 이어지는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 LG화학이 미국에서 리튬 공급망을 구축해 핵심 광물 공급경쟁력을 강화한다. LG화학은 美 세계 최대의 석유·에너지기업 엑슨모빌(ExxonMobil)과 탄산리튬(Lithium Carbonate) 공급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엑슨모빌은 미국 텍사스 아칸소(Arkansas) 주(州) 리튬 염호에서 생산된 리튬을 약 3시간 거리의 LG화학 테네시 공장으로 공급하고 LG화학은 양극재를 생산한다. LG화학 신학철 부회장(오른쪽)과 엑슨모빌 댄 홀튼(Dan Holton) 부사장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엑슨모빌은 지난해 14,700만 평 규모의 아칸소 염호를 인수해 같은 해 11월부터 직접 리튬 추출(DLE*) 기술로 리튬 채굴을 시작했다. 염호에는 전기차 5,000만 대분 배터리 생산이 가능한 탄산리튬 400만t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 DLE(Direct Lithium Extraction): 염수에서 자연 증발로 생산되는 소금 응축액에서 리튬을 직접 추출하는 기술로 폭약으로 채굴하는 방식보다 탄소 배출량이 적어 친환경적 또, LG화학은 직접 리튬 추출 기술개발에 필요한 RO필터(Membrane) 등 다양한 소재로 엑슨모빌과 공동 연구개발을 진행해 사업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LG화학은 이번 협약으로 엑슨모빌로부터 탄산 리튬을 2030년부터 최대 10년간 10만t의 물량을 확보해 북미 내 리튬–양극재–배터리로 이어지는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 지난해 12월 착공한 LG화학 테네시공장은 연간 6만 톤의 생산능력을 갖춘 미국 최대 규모 양극재 공장으로 미국 내 중동부에 위치해 고객사 납품과 원재료 수입을 위한 지리적 접근성이 뛰어나다. 엑슨모빌 저탄소 솔루션 댄암만(Dan Ammann) 대표는 “양사 간 협약을 통해 글로벌 리튬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며, “미국 리튬 산업을 주도하며, 탄소 감축, 일자리 창출, 경제 성장 촉진 등에도 기여해나가겠다”고 밝혔다. LG화학 신학철 부회장은 “세계 최대 석유회사인 엑슨모빌과 리튬 공급망을 구축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며, “LG화학의 핵심 광물 글로벌 공급망 경쟁력을 지속해서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화학은 안정적인 원재료 수급과 원가경쟁력 확보를 위해 美 피드몬트리튬과 리튬 정광 20만t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핵심 전지 소재 확보를 위한 투자를 이어나가고 있다.   
편집부 2025-02-07
기사제목
- 조현상 부회장 “지속적으로 이웃과 함께 따뜻하고 건강한 가치를 창출해 나갈 것” HS효성첨단소재가 지난 11월27일, 서울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 호텔에서 열린 ‘2024년 지역사회 공헌 인정의 날 행사’에서 6년 연속 지역사회 공헌 인정 기업으로 선정됐다. HS효성첨단소재가 27일, 서울드래곤시티 호텔에서 열린 ‘2024년 지역사회 공헌 인정의 날 행사’에서 6년 연속 지역사회 공헌 인정 기업으로 선정됐다.(왼쪽에서 첫 번째가 HS효성 이주한 상무) 지역사회 공헌 인정제는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주관하는 인정제로, 꾸준한 지역 사회공헌활동을 펼친 기업의 공로를 인정해주는 제도이다. 사회적 가치를 확산하고 사회공헌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역사회 공헌 인정제 심사는 E(환경경영), S(사회적 책임경영), G(투명경영) 3개 영역 중 7개 분야 25개 항목을 기준으로 이뤄진다. 특히, HS효성첨단소재는 영락애니아의집 후원 및 봉사활동, 마포구 취약계층과 국가유공자를 위한 사랑의 생필품 나눔, 장애 어린이 재활 치료 프로그램 지원, 장애로 인한 제약 없이 영화를 감상할 수 있게 하는 배리어프리 영화 제작 지원 등 지역사회를 위한 다양한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진행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HS효성첨단소재가 27일, 서울드래곤시티 호텔에서 열린 ‘2024년 지역사회 공헌 인정의 날 행사’에서 6년 연속 지역사회 공헌 인정 기업으로 선정됐다.(오른쪽에서 세 번째가 HS효성 이주한 상무) 조현상 HS효성 부회장은 지난 7월 1일 HS효성그룹 출범과 함께 ‘가치 또 같이’를 슬로건으로 정했다. 조 부회장은 “과학과 기술 및 집단지성의 힘을 바탕으로 인류를 풍요롭게 하는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이 되겠다”며, “지속적으로 이웃과 함께 따뜻하고 건강한 가치를 창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HS효성은 출범 이후 장애인 스마트팜 ‘푸르메소셜팜’ 봉사활동, 서초구 서래공원 공원 입양, 국가유공자 생필품 나눔, 문화유산 행사 후원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공헌을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편집부 2025-02-07
기사제목
- 세계 최고 수준의 강도와 투명성 구현한 폴리에틸렌 제조 기술- 단일 소재만으로 제품화 가능… 재활용 용이해 친환경 패키징 적용 확대 LG화학의 친환경 플라스틱 패키징을 위한 기술이 2024 대한민국 산업기술 R&D 대전 기술 대상에서 최고상인 대통령상을 받았다. ‘대한민국 기술 대상’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주최하는 국내 최고 권위의 기술 시상식이다. 기술적 성과가 뛰어나고 관련 산업에 파급효과가 큰 신기술 및 제품을 개발한 기업, 연구소, 대학교 등을 선정해 시상한다.   2025년 대한민국 기술 대상 대통령상을 수상한 LG화학의 BOPE 소재  LG화학이 개발한 ‘이축연신 폴리에틸렌(Biaxially Oriented Poly Ethylene, BOPE)’은 고분자의 결정구조부터 새롭게 설계해 단일 소재임에도 높은 강도와 투명성을 가진다. 이를 패키징에 활용할 경우 재활용도 쉽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름 포장재는 내용물 보호를 위한 강도 확보를 위해 폴리에틸렌과 나일론 등 여러 플라스틱을 섞어 사용해 왔다. 이에 물리적 재활용이 어려워 분리수거되더라도 대부분 소각·매립되는 경우가 많았다. LG화학이 개발한 BOPE는 리필용 세제, 내용물이 투명하게 보이는 펫 푸드(Pet food) 파우치 등에 친환경 패키징 용도로 적용할 수 있다.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패키징 소재에 대한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사용처를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 기술을 개발한 LG화학 최이영 연구위원은 “투명하면서도 질기고 환경에도 좋은 패키징 재료를 찾고 있다는 고객의 목소리가 연구의 발단이 됐다”라며, “앞으로도 친환경과 재활용 소재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 더 나은 미래에 기여하고 싶다”라고 전했다.   
편집부 2025-02-07
기사제목
- LFP 배터리 양극재용 고순도 산화철 개발 성과 인정받아- LFP 양극재용 전구체 ‘인산철’ 생산계획- 지속 가능하고 경제적인 대안으로 글로벌 공급망 기여 글로벌 특수화학기업 랑세스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극재용 고품질 산화철 개발로 ICIS  혁신상을 수상했다. 랑세스는“대기업 최고 제품혁신” 부문에서 LFP 배터리 가치사슬 발전에 기여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LFP 배터리는 높은 열 안정성과 사이클 안정성을 갖춘 안전하고 경제적인 배터리로, 전기차와 고정식 에너지 저장시스템에 주로 사용된다. 세계 최대 합성 산화철 공급자 랑세스는 LFP 배터리 양극재 합성에 사용되는 고순도 산화철을 베이옥사이드(Bayoxide) 브랜드로 공급한다. 랑세스의 배터리 등급 산화철은 LFP 제조 업체의 요구에 맞춤형으로 공급돼 배터리 성능과 효율성을 향상에 기여한다. 랑세스 코리아 무기안료 사업부의 이신영 이사는 “ICIS 혁신상 수상은 지속 가능한 배터리 기술분야에서 우리의 혁신적 강점을 입증한 것이다. 랑세스는 모빌리티의 전기화와 에너지 전환에 지속 기여해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우리는 아시아를 너머 유럽과 북미 LFP 공급망에 경쟁력 있고 환경친화적인 대안을 제공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LFP 배터리 전구체 ‘인산철’ 생산계획 랑세스는 LFP 전구체로 사용되는 인산철 공급도 계획하고 있다. 현재 유럽에는 LFP 제조용 인산철 공급이 충분하지 않아, 랑세스는 기존 공장의 검증된 시설을 활용해 자체 생산능력 확보를 검토 중이다. 이를 통해 유럽 및 글로벌 주요 생산업체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타당성 조사에 따르면, 랑세스의 기술은 대규모 생산이 가능하고 현재 중국에서 사용되는 LFP 생산 공정 대비 경제적이고 지속 가능한 대안으로 평가된다. 황산철 기반의 공정은 염분이 높은 폐수를 배출하는 반면, 랑세스의 공정은 철과 인산에서 직접 인산철을 추출해 질소 및 황산화물 배출이나 고염 폐수가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 공정이다. 또한, 랑세스는 제품, 기술노하우 및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LFP 가치 사슬구축에 선도적 역할을 수향할 수 있는 요건을 갖추고 있다. 화학 및 물류 인프라를 활용해 고품질 양극재 원료를 지속 가능하게 양산할 수 있는 역량도 보유하고 있다.  경제적 대안 LFP 배터리 LFP 배터리는 니켈, 망간, 코발트(NMC) 또는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NCA) 기반 리튬이온배터리 대비 원가경쟁력이 높고 생산 면에서도 비용효율적이다. 또한, 충전 주기와 수명이 길고, 열 안정성이 우수하다. 양극재는 배터리셀 원가의 60% 이상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전체 차량 원가에 큰 영향. 가격경쟁력을 기반으로 전 세계 전기차 양산모델에 탑재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ICIS 혁신상 소개 ICIS 혁신상은 ICIS 케미컬비즈니스(Chemical Business) 매거진에서 매년 수여하는 상으로,화학산업에서 제품, 공정 및 지속가능성에 있어 중요한 발전을 이룬 기업을 선정해 시상한다. 심사위원단은 과학, 산업 및 미디어 분야의 독립적인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편집부 2025-02-07
기사제목
- ‘파쿠마(FAKUMA) 2024’ 참가… 전시키워드 ‘Empowering New Possibiliy’로 사명에 내포된 비전 강조- 메디컬 전용 제품 비롯 친환경 브랜드 제품군, 디지털 토탈 솔루션 플랫폼 등   글로벌 시장에 혁신적인 기술력 선봬 산업용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전문기업 코오롱ENP(대표이사 허성)가 지속 가능한 스페셜티 제품들로 글로벌 공략에 나선다. 코오롱ENP는 유럽 최대 국제 플라스틱 무역 전시회인 ‘파쿠마(FAKUMA) 2024’에 참가했다. 코오롱ENP는 독일 프리드리히스하펜에서 개최되는 국제 플라스틱 무역 전시회 ‘파쿠마 2024’에 참가해 지속 가능한 스페셜티 제품들을 글로벌 시장에 선보인다. 사진은 코오롱ENP 전시 부스 전경 코오롱ENP는 이번 전시회에서 회사의 새로운 비전을 널리 홍보하고 해외시장에서 각광받고 있는 메디컬 제품을 비롯한 지속 가능한 소재 솔루션을 선보여 글로벌 시장의 잠재 고객을 발굴할 예정이다. 코오롱ENP의 전시 키워드는 신규 사명을 풀이한 의미인 ‘Empowering New Possibility’다. 고도화된 첨단기술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의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하겠다는 비전을 담고 있다. 전시 부스는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테마로 친환경 소재, 차세대 모빌리티용 핵심소재, 복합소재 등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제품군5종(‘PA & PBT’, ‘POM’, ‘TPC-ET’, ‘KompoGTe®)으로 구성됐다. 특히 이목을 끄는 제품은 올해 새로 런칭한 친환경 브랜드‘에코(ECO)’다. 코오롱ENP의 대표적 스페셜티인 POM(폴리옥시메틸렌) 에코 제품군을 대거 선보였다. 석유화학 기반 원료를 대체해 바이오 폐기물 원료로 생산한‘ECO-B’, 탄소 포집 기술로 얻은 원료가 사용된‘ECO-LC(Low Carbon)’,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기반 원료를 적용한 ‘ECO-E’ 등이다. 더불어 소비자 판매 전 생산과정에서 수명주기가 끝난 제품을 재활용한 ‘산업현장 스크랩 원료(PIR, Post-Industrial Recycled)’와 최종 소비자가 사용한 제품에서 추출해 재가공한 ‘생활폐기물 재생 원료(PCR, Post-Consumer Recycled)’가 사용된 컴파운드 제품군 ‘ECO-R’도 전시됐다. 올해 글로벌 고부가 메디컬 시장 상용화에 성공한 의료 장비 전용 POM 제품라인인 ‘KOCETAL® M-Series’도 큰 호응을 받고 있어 지속적인 고객 창출을 이어 나갈 예정이다. 코오롱ENP는 이번 전시회에서 처음으로 디지털 토탈 솔루션 플랫폼인 ‘코아포리즘(Koaphorism)’을 공개했다. 코아포리즘은 코오롱ENP의 소재를 적용해 제품을 개발하는 고객 사에게 높은 정확도의 다차원 해석 솔루션을 제공해 고객이 원하는 제품의 성능과 성질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품질을 향상시킨다. 뿐만 아니라 제작 공정상의 불량을 사전에 예측하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코오롱ENP는 향후 고객마케팅에 코아포리즘이 적극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허성 코오롱ENP 대표이사는 “지속 가능한 친환경 제품 포트폴리오와 고부가 메디컬 제품을 통해 수익성 향상을 도모하고 고객 친화적 기술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외연 확대에도 집중할 것”이라며, “이번 전시회가 코오롱ENP의 혁신적인 기술력을 해외 고객들에게 널리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전했다. 파쿠마 2024는 10월 15일부터 19일까지 독일 프리드리히스하펜에서 개최됐으며, 세계 39개국, 1,600여 업체가 참가해 다양한 플라스틱 원료, 가공 기계, 기술과 솔루션을 전시했다.   
편집부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