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과 동향
전경련, 코로나 이후 15대 주력 품목 수출 전망
작성자 : 편집부
2020-07-09 |
조회 : 1628
< 11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대상, 15대 품목 수출 전망 의견조사 >
- 현황: 韓 수출 2개월 연속 –20%대, 5월 15대 수출품목 중 11개 실적하락
- 전망: 바이오·헬스 > 2차전지 > 반도체 단기 회복 可 vs 철강 > 석유 > 일반기계 회복 더뎌
- 애로 요인: 코로나 재확산에 대한 불확실성(51.4%)이 수출부진 최대 걸림돌
- 개선과제: R&D 지원 확대(45.4%), 규제개선(30.3%)으로 경쟁력 강화 절실
코로나 여파로 2개월 연속 수출액이 감소한 가운데 바이오·헬스와 반도체, 2차전지의 수출은 빠르게 회복되는 반면, 철강, 석유제품과 일반기계 품목은 늦으면 내년 하반기에야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국내 11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대상으로 ‘15대 주력 품목에 대한 수출시장 전망’을 조사한 결과, 빠른 회복세의 바이오·헬스, 2차전지, 반도체와 컴퓨터 부문에는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 투자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고전하고 있는 철강, 석유와 일반기계 부문에는 규제개선 및 세제 감면 등을 통해 기업환경을 개선하고 투자 활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산업부 ‘5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코로나로 인한 봉쇄조치로 자동차, 자동차부품 및 휘발유 등 석유제품 수출이 2개월 연속 악화된 반면, K-방역 명성과 언택트 문화 확산에 따라 바이오·헬스 품목과 노트북 등 컴퓨터 품목의 수출실적증가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팬데믹 선언 후, 한국 15대 수출 품목(5월)컴퓨터, 바이오·헬스 급등 vs 석유제품, 자동차부품, 자동차 급락
지난 3월 세계보건기구(WHO)의 코로나 19 팬데믹 선언 이후, 한국의 수출액은 3월 464억 불에서 4월 366억 불, 5월 349억 불로 2개월 연속 감소하였으며, 전년동기 대비 증감률은 4월 –25.1%, 5월 –23.7%로 두 달째 마이너스 20%대를 기록한 것으로 산업부 발표(잠정치)를 통해 나타났다.
한국의 15대 주력 품목의 수출은 4월 컴퓨터와 바이오·헬스를 제외한 13개 품목이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인 데 이어, 5월에는 반도체와 선박을 포함한 4개 품목을 제외한 11개 품목이 감소하였다. 이들 11개 품목 중 8개 품목의 수출 실적은 4월보다 더욱 악화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품목별로 보면, 5월 기준 수출 비중 상위 5개 품목 중 반도체(7.1%)가 소폭 오른 반면, 일반기계(-27.8%), 석유화학(-34.3%), 자동차(-54.1%), 철강(-34.8%) 등 4개 품목의 수출은 급감하였다. 수출이 가장 많이 증가한 품목은 컴퓨터(82.7%)와 바이오·헬스(59.4%), 선박(35.9%) 순이며, 수출이 가장 감소한 품목은 석유제품(-69.9%), 자동차부품(-66.7%). 자동차(-54.1%) 순으로 나타났다.
< 2020년 15대 품목 수출현황 >
(단위: 백만불, 전년동기 대비 %)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적 봉쇄조치와 사회적 거리 두기로 물리적 이동이 감소하고 경제활동이 위축되면서 경기변동에 민감한 자동차, 자동차부품, 섬유, 철강 등 국내 주력 품목의 수출은 악화된 반면, 진단 키트 등 한국산 방역제품과 의약품에 대한 선호로 전염병 예방․관리용 의약품/의료용품 등 바이오·헬스 품목이, 재택근무 등 비대면 업무 활성화 및 관련 활동 증대에 따른 노트북 등 수요 증대로 컴퓨터 품목 수출이 호조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밖에 코로나19로 인해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에 따라 지난 4월 금·은·백금 수출이 급증하기도 했다.
바이오·2차전지·반도체 수출 회복세, 철강·석유제품·일반기계는 내년 회복 전망
전경련이 11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을 대상으로 15대 품목에 대한 수출전망을 조사한 결과, 향후 수출 회복 또는 성장이 가장 빠를 것으로 전망되는 품목은 바이오·헬스(24.0%), 2차전지(23.3%), 반도체(22.0%) 순이며, 컴퓨터(10.7%)와 무선통신(8.0%)을 다음으로 꼽았다. 이들 품목의 회복 또는 성장 예상 시기에 대해서는 바이오·헬스는 ‘이미 시작’(88.9%) 되었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2차전지는 ‘올해 3분기’(60.0%)라는 의견이 우세하였다. 반도체는 ‘이미 시작’(50.0%)과 ‘올해 3분기’(50.0%)라는 의견이 동률로 나타났다.
한편 수출시장에서 회복이 가장 더딜 것으로 전망되는 품목은 철강제품(22.0%), 석유제품(15.3%), 일반기계(13.3%) 순이며, 그밖에도 석유화학(9.3%), 섬유류(9.3%)를 꼽았다. 이들 품목의 수출 회복 시기에 대해서는 철강제품은 ‘내년 하반기’(33.3%)가 우세한 가운데 ‘2022년 이후’라는 의견도 22.2%에 달했다. 일반기계는 ‘내년 하반기’(33.3%), 석유제품은 ‘내년 상반기’(57.1%)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15대 품목 수출시장 전망 >
코로나 재확산 불확실성(51.4%)이 수출시장 최대 걸림돌, R&D 투자지원 확대(45.4%) 및 규제개선(30.3%)으로 수출 경쟁력 강화해야!
전문가들은 국내 수출 산업 부진의 가장 큰 애로 요인으로 코로나 전염병의 재확산 가능성 등 ‘코로나 불확실성’(51.4%)을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 ‘글로벌 수요감소’(15.2%)와 ‘미·중 패권갈등’(15.2%)을 선택하였다.
또한, 수출부진 해소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 투자지원 확대’(45.4%)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규제개선 및 세제 감면 등 기업환경 개선’(30.3%), ‘주요품목 수출국에 대한 정부의 통상여건 개선 노력’(18.2%) 순으로 조사되었다.
< 수출 산업 부진 애로 요인 >
< 수출부진 해소 개선과제 >
이는 전문가들이 한국의 수출 위기는 코로나와 미·중 갈등과 같은 외생변수에서 초래되었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술력 향상 등 내실 강화를 통한 자체 경쟁력 확보가 중요하다는 것을 지적한 것으로 분석된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코로나로 인해 보호무역 확산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되는 등 세계경영환경 지각변동으로 우리 수출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면서, “위기의 끝을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만큼,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할 수 있도록 정부의 투자지원 확대와 함께 규제 완화·세제 지원 등 기업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