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현대보테코
K쇼배너

정책과 동향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중국 플라스틱 수납함 시장 동향

작성자 : 편집부 2025-07-03 | 조회 : 13

- 공간을 바꾸는 작은 힘, 중국 플라스틱 수납 시장의 부상

- 수요 다변화 속 진화하는 중국 플라스틱 수납함 산업

 

 

상품명 및 HS CODE

 

중국 내 플라스틱 수납함은 HS코드 6단위 기준 3926.90으로 분류되고, 8단위 기준 3926.9090으로 분류된다. 이 글에서는 HS코드 8단위 기준 플라스틱 수납함을 다루고자 한다.

 

시장 규모 및 동향

 

중국의 급속한 도시화와 생활 수준 향상 및 온라인 쇼핑이 성행함에 따라 가정 및 사무 공간에서 수납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수납함은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생활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다. 

 

보옌즈쉰(博研咨询)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중국 내 플라스틱 수납함 시장 규모는 약 456억 위안으로 2018년의 312억 위안 대비 46.2% 증가하며 연평균 7.9%씩 성장했다. 또한 2023년 중국 내 플라스틱 수납함의 생산량은 약 12억 5,000만 개로 전년 대비 8.3% 증가했다. 이 중 가정용 수납함이 전체 비중의 62.4%인 7억 8,000만 개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그 뒤로 상업용 수납함(창고 관리, 물류 배송 등)이 약 3억 2,000만 개로 전체 비중의 25.6%를 차지했다.

 

보옌즈쉰(博研咨询)에서 발표한 “중국 플라스틱 수납함 산업 시장 전망 및 투자 가치 평가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저장성과 광동성에 대표 생산기업들이 많이 분포돼 있으며, 2023년 말 기준 저장성과 광동성에 위치한 플라스틱 수납함 제조업체 수는 각각 전국의 35%와 28%를 차지하고 있다. 이 외에 장쑤성과 산동성에도 플라스틱 수납 제품 관련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돼 있지만 비중은 상대적으로 작다.

 

수출입 동향

 

2024년 중국 내 플라스틱 수납함 수출액은 212억 8,1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8% 증가했다. 수출 대상 지역 중에서는 미국향 플라스틱 수납함 수출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4년 對미국 수출액은 전년 대비 3.9% 증가한 55억 5,400만 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26.1%를 차지한다.

 

2024년 중국의 플라스틱 수납함 수입액은 전년 대비 0.9% 증가한 22억 2,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對독일 수입 비중이 17.5%로 가장 크며, 2024년 對독일 수입액은 3억 9,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2% 증가했다. 對한국 수입 비중은 6.9%를 기록했으며, 2024년 對한국 수입액은 전년 대비 17.2% 감소한 1억 5,300만 달러다.

 

경쟁 동향

중국 내 플라스틱 수납함은 대체적으로 고급, 중급, 저급 세 가지 시장으로 나눠볼 수 있다.

 

고급 제품 시장은 주로 해외 브랜드들이 차지하고 있으며 락앤락이 가장 대표적이다. 이러한 브랜드들은 품질과 브랜드 신뢰성 측면에서 경쟁력을 구비하고 있으며 고품질의 소재와 세련된 디자인을 바탕으로, 소비자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중급 제품 시장은 대다수 중국 로컬 브랜드들이 경쟁하고 있다. 대표적인 로컬 브랜드로는 CHAHUA, LONGSTAR, TAILI 등이 있다. 해당 브랜드들은 가격과 품질 균형을 통해 중간층 소비자를 타깃으로 하고 있다. 특히 가격 대비 실용성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저급 제품 시장은 대체로 소규모 기업들에 의해 생산되며, 주로 농산물 시장 혹은 재래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판매되고 있으며 품질보다는 가격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유통구조

 

중국 내 플라스틱 수납함은 주로 온라인 유통, 오프라인 유통, B2B 대량 유통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중 온라인 유통이 가장 활발한 유통채널로 주로 징둥, 타오바오, 티몰 등 플랫폼에서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온라인 구매를 통해 신속한 배송 서비스와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공받게 된다.

 

오프라인 유통 또한 중요한 유통채널로 평가받고 있으며 주로 대형 마트, 슈퍼마켓, 가정용품 전문 매장 등에서 직접 확인한 후 실물을 보고 구매할 수 있다. 이런 매장들은 저렴한 가격대부터 고급 제품까지 다양한 제품들을 공급하고 있으며 일부 매장에서는 추가적인 배송 서비스나 매장 픽업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B2B 대량 유통은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하며 주로 상업시설, 공공기관, 학교 등에서 대량 구매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해당 시장에서는 맞춤형 제품이나 대량 구매에 대한 가격 협상이 이뤄지고 있으며 B2B 유통은 특정 고객의 요구에 맞춘 제품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관세율, 수입 규제 및 인증

2025년 현재 기준, 한국산 플라스틱 수납함 HS코드 3926.9090 기준 對中 수출 시 최혜국관세율(MFN)은 10%, 한중 FTA 관세율은 해당하지 않는다. RCEP 관세율은 6%이며, RCEP 관세율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 또한, 수입 과정에서 별도의 인증을 요하지 않는다.

 

전망 및 시사점

 

중국 플라스틱 수납함 시장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정리, 수납 문화가 점차 확산되면서 기능성과 디자인을 동시에 갖춘 고품질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추세다. 또한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발전으로 다양한 소비자가 쉽게 제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되면서 시장 접근성이 더욱 높아졌다. 

 

향후에는 친환경 소재, 모듈형 수납 시스템,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혁신적 디자인 제품이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 저가 제품 위주의 시장에서 점차 브랜드화, 프리미엄화가 이뤄지고 있어, 단순 가격 경쟁보다는 품질, 디자인, 브랜드 신뢰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시장이 재편되고 있다.

 

현재 중국 내 소비자들은 가격에도 민감하지만, 특히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과 브랜드 가치를 매우 중시한다. 단순히 저렴한 제품보다는 튼튼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이 세련된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중국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 기업들은 품질과 브랜드 스토리를 명확히 전달하는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징둥, 타오바오, 티몰과 같은 주요 플랫폼에 입점하거나 협력 파트너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빠른 배송과 우수한 고객 응대도 최종 구매로 전환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플라스틱 수납함을 수출하고자 하는 우리 기업들은 단순한 수납 기능 외, 인테리어 효과를 고려한 디자인, 다기능성, 친환경 소재 활용 등 최신 트렌드에 부합하는 제품을 준비해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소형 주거 공간에 최적화된 슬림형, 모듈형 수납 솔루션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처럼 중국 플라스틱 수납함 시장은 ‘저렴한 제품’만으로는 공략하기 어려운 구조로 변하고 있으며 품질, 브랜드, 온라인 마케팅, 현지 소비자 맞춤형 제품 개발이 필수적인 성공 포인트다. 우리 기업들도 이러한 포인트에 초점을 맞추어 기회를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자료: 보옌즈쉰(博研咨询), Global Trade Atlas, 징둥, 각 기업 홈페이지, 
2025년 중국 수출입 세칙 및 KOTRA 베이징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