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현대보테코

금형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공주대 금형설계공학과, 금형설계기사 9명 합격

작성자 : 편집부 2022-09-23 | 조회 : 2800


- 금형 산업현장과 연계된 전공 심화 교육을 통해 이론과 실무를 겸한 집중 교육 실시

 

공주대학교(총장 원성수) 공과대학(학장 김재웅) 금형설계공학과(학과장 한성렬)는 한국산업인력공단 주관의 2022년 정기 기사 2회 실기에서 재학생 및 졸업생 9명이 최종시험에 합격하였다

프레스금형설계기사는 강선구군, 박동혁군, 이주영군(프레스금형설계 지도: 최계광 교수, 이춘규 교수, 윤재웅 교수, 김세환 객원교수), 사출금형설계기사는 김유진군, 김진영군, 김진하군, 정은서양, 최원석군, 산업체 재직자 금형공학과 졸업생 원동재(사출금형설계 지도: 한성렬 교수, 김경아 교수)이다.

 

 

프레스금형설계기사는 전국에서 총 7명의 최종합격자 중 공주대학교에서 3명이 합격했으며, 사출금형설계기사는 전국에서 총 9명의 최종합격자 중에서 공주대학교에서 6명이 합격하였다. 금형설계공학과의 프레스, 사출금형트랙을 포함한 4학년 재학생 중 50%의 합격생을 배출하였다.

프레스금형설계기사는 생산제품의 특성, 프레스 기계의 조건설정 및 공정에 따라 제품의 형상을 성형하기 위하여, 제품도 검토, 공정검토 및 공정별 3D에 의한 금형 설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검증하는 자격제도이다. 1차로 필기시험에 합격하고, 2차로 금형 설계 실기시험을 거쳐 최종합격자를 선발하게 된다.

사출금형설계기사는 단일공정 및 여러 단계의 공정에 맞게 형을 만드는 작업을 하기 위해 금형의 제작순서와 수량을 결정하고 성형작업 방법과 기계에 관한 지식을 기초로 하여 필요한 금형의 형태를 결정하며, 금형 제작에 필요한 금형의 크기와 치수를 표시한 각각의 금형 세트를 설계하고, 생산 작업에 이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일을 수행하는 것이다.

9명 합격이라는 우수한 결과를 끌어낸 바탕에는 공주대 금형설계공학과의 교육과정 편성과 운용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먼저 신입생이 입학하면서부터 2학년까지는 공통과목을 이수하게 되며, 3학년부터는 프레스금형 트랙과 사출금형 트랙으로 전공 트랙을 선택하여 금형 산업현장과 연계된 전공 심화 교육을 이론과 실무를 겸하여 집중적인 수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는 금형 산업체의 요구사항에 부응하기 위한 것이다.

2023학년도 수시, 정시모집부터는 금형설계공학과에서 디지털융합금형공학과로 학과 명칭을 개편하여 글로벌화되는 현재 금형업계의 트랜드에 맞춰 재학생의 영어 역량(토익 700점 이상 취득, 오픽 IL등급 이상 취득)향상을 독려하고, 전공 역량 강화를 위해 방학 중에 전공 자격증 필기 및 실기시험(프레스, 사출금형설계기사) 대비반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금형 기술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은 2022년도 제19회 전국 대학생 금형 3차원 CAD 기술경진대회에서 재학생 9명이 참가해 Mold, Press 설계 분야에 참가자 일부가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은상 1, 동상 2) 향후 전통적인 금형 기술과 미래기술이 융복합된 교육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꼭 필요한 금형 전문인력 육성에 더욱 심혈을 기울이고자 한다.

 

문의 : 041-521-9276 금형설계공학과 최계광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