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플라스틱재팬
현대보테코

기술과 솔루션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UNIST 장지욱·양창덕·조승호 교수팀, 물에 햇볕 쫴 수소 만드는 고효율·고안정 광전극 개발

작성자 : 취재부 2020-12-02 | 조회 : 1308
- 유기물 전극의 불안정성 대폭 개선… 기존 무기 광전극 소재보다 효율 2배 이상 높고, 안정해



장지욱·양창덕·조승호 교수팀은 유기 반도체 물질을 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모듈 시스템’을 이용해 성능과 안정성이 모두 우수한 광전극을 개발했다. 광전극을 물에 넣고 태양 빛을 쬐면 반도체 물질인 광전극에서 나온 전하 입자가 전극표면서 물과 반응해 수소와 산소가 생산된다.


유기 반도체 기반의 고효율·고안정성 광전극(photoanode)이 개발됐다. 광전극을 물에 넣고 햇볕을 쫴 수소를 얻는 ‘태양광 수소’ 시대가 더 앞당겨질 전망이다.
* 유기 반도체: 유기화합물(탄소를 포함한 화합물) 기반 반도체. OLED 디스플레이의 광원 물질이 대표적인 유기 반도체다.

UNIST(총장 이용훈) 장지욱·양창덕·조승호 교수팀은 유기 반도체 물질을 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모듈 시스템’을 이용해 성능과 안정성이 모두 우수한 광전극을 개발했다. 기존 무기 반도체 기반 광전극 보다 수소생산 효율이 2배 이상 높을 뿐만 아니라 대면적 제조가 가능해 가격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 무기 반도체: 무기물 기반 반도체. 광전극에는 타이타늄(Ti)이나 철(Fe)과 같은 금속 산화물(타이타늄옥사이드, 아이언옥사드) 무기 반도체가 주로 쓰인다. 

태양광 수소생산에 쓰이는 광전극은 태양광 에너지를 흡수해 전하 입자를 만드는 반도체 물질로 이뤄졌다. 생성된 전하 입자가 전극표면에서 물과 반응해 수소와 산소를 만드는 것이 태양광 수소생산의 원리다. 

반응이 물속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안정한 금속산화물 무기 반도체 광전극이 주로 연구됐다. 반면 유기 반도체 물질은 수소생산 효율은 훨씬 높지만 물 안에서 빠르게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어 광전극으로 쓰이지 못했다.



유기 반도체 기반 광전극(photoanode)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광 전기화학적 물 분해(수소생산) 시스템 모식도. 
물에서 불안정한 유기 반도체 물질을 광전극에 이용하기 위해 니켈(Nickel) 포일, 니켈-철 이중 층 수산화물 촉매(NiFe-LDH), 갈륨-인듐 액체금속(Eutectic Metal)으로 구성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구조를 만들었다. 
니켈-철 이중 층 수산화물 촉매는 니켈 포일 위에서 바로 성장시켰다. 유기 반도체 물질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고 전하가 전극표면으로 잘 전달돼 표면에서 물 산화 반응이 잘 일어난다. 물 산화 반응이 활성화되면 수소생산 효율이 높다.


공동연구팀은 액체금속(인듐-칼륨 합금), 니켈 포일, 그리고 니켈 포일 위에서 바로 자란 촉매(니켈-철 이중 층 수산화물)로 구성된 모듈 시스템을 이용해 물속에 안정한 유기 반도체 광전극을 만들었다. 

니켈 포일은 물이 유기 반도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막고 포일 위에 바로 성장시킨 촉매가 전체 반응을 돕는다. 또 니켈 포일과 유기 반도체 사이를 메우는 물질이 액체금속이라 물은 빈틈없이 차단하면서도 전하 입자의 흐름은 막지 않는다. 새로운 광전극의 수소생산 효율(반쪽 전지 효율)은 기존 무기 반도체 광전극의 2배 이상인 4.33%를 기록했다.

에너지화학공학과 장지욱 교수는 “높은 효율을 갖는 유기물을 광전극에 적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인 연구”라며, “기존에 효율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던 태양광 수소전환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에너지화학공학과 양창덕 교수는 “유기 반도체는 무기 반도체와 달리 무궁무진한 조합을 만들 수 있어 효율이 더 높은 새로운 유기 반도체 물질을 계속 발굴할 수 있다”며, “이 때문에 추가적 성능 향상이 기대된다”고 전했다.

신소재공학과 조승호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시스템은 하나의 모듈로써 니켈 포일 위에 자란 촉매나 유기 반도체의 종류를 바꿔 쓸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며, “현재 전하 이동을 돕는 새로운 촉매에 관한 연구를 계속해나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11월 2일 자로 공개됐다. 유제민 UNIST 석박통합과정 대학원생, 이정호 UNIST 박사(現 퍼듀대학교 박사 후 연구원), 김윤서 UNIST 석박통합과정 대학원생이 공동1저자로 참여하였다. 연구 수행은 기후변화대응기술기초원천기술사업, 기본 (개인)연구 사업, 신진 연구 사업 등을 받아 이뤄졌다.

문의: 에너지화학공학과 장지욱 교수 (052)217-3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