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MTOS존
[SIMTOS 2022]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업의 인식 조사 - 국내 기업, 4차 산업혁명 기술 대응 및 활용 수준
작성자 : 취재부
2022-03-31 |
조회 : 1208
[SIMTOS 2022]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업의 인식 조사
- 국내 기업, 4차 산업혁명 기술 대응 및 활용 수준 대체로 미흡
OECD의 중장기 전망에 따르면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은 2007~2020년 2.8% 수준에서 2030~2060년 0.8%로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행히도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 경제가 직면하고 있는 성장률 하락 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생산성 증대, 산업 혁신 등 다양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여기서는 현대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기업의 산업 혁신에 대한 인식, 현황 및 전망 등을 면밀히 살펴본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업 인식 및 현황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업의 인지도를 조사하고자 국내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는 “귀사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는 질문(표1)이었다. 이에 대해 들어봤다(45.3%)가 가장 많았고, 잘 알고 있다, 어느 정도 알고 있다는 응답은 대기업(60%)이 중소기업(47%)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모습을 보였다.
4차 산업혁명 산업 내 영향에 대해 묻는 질문(표2)에는 국내 기업 중 76.6%(크게 영향을 받는다+영향을 받는다)가 ‘4차 산업혁명이 소속 산업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이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4차 산업혁명의 산업 내 영향이 크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문(표3)은 75.7%(크게 영향을 받는다+영향을 받는다)가 4차 산업혁명이 자사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이 4차 산업혁명의 기업 경영 내 영향을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국내 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수준을 조사(표4)했다. 그 결과 국내 기업 중 56.7%가 자사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수준에 대해 준비 못하고 있다거나 전혀 준비 못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준비수준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응답한 기업 중 제조업은 ‘스마트 공장 도입’ 등 서비스업은 ‘신사업 및 신비즈니스 모델 개발’, 등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활용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표5)에는 국내 기업 중 58.4%가 자사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활용 정도에 대해 다소 부족하거나 매우 부족하다고 응답한 가운데, 특히 중소기업의 관련 기술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활용 정도가 ‘매우 충분하다’, ‘충분하다’라고 답변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현재 귀사에서 가장 잘 활용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을 했다. 질문에 대해 제조업은 ‘스마트 공장 도입’ 등, 서비스업은 ‘신사업 및 신비즈니스 모델 개발’ 등을 통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업의 전망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도입 계획이 있는지를 살펴본 조사(표6)에서는 전체 기업 중 56.6%가 향후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도입할 계획이 있거나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에서,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에서 향후 4차 산업 관련 기술 도입을 더욱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도입에 긍정적으로 응답한 기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관련 도입 시급 기술을 묻는 질문(표7)에 서비스업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클라우드 기술, 제조업은 스마트팩토리, 빅데이터라고 응답하였으며, 기술 도입 시 얻을 수 있는 기대 효과를 묻는 질문(표8)에 서비스업은 기술 도입으로 기업 운영, 효율성 확대 효과, 제조업은 생산성 증대 효과를 가장 많이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여 보완해야할 점으로 인재 확보가 가장 시급한 사항이라고 보았다. 중소기업의 경우는 이와 더불어, 투자자금 확보 또한 시급히 보완하고 강화해야할 사항이라고 평가했다.
정부의 역할
4차 산업혁명 관련 정부의 정책 수준에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표9)했다. 정부 정책에 대해 만족도가 높은 기업은 전체의 약 10% 수준인 반면, 만족도 낮은 기업의 비중은 15~20%로 더욱 크게 나타났다. 지자체별로는 서울과 경기가 4차 산업혁명 대응을 가장 잘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정부 정책 지원이 가장 필요한 부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표10)에 국내 기업은 산업 혁신 관련하여 정부의 세재 혜택 및 투자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향후 다른 지자체의 획기적인 인센티브 정책에 따라 전체기업의 약 10%가 소재지를 이전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시사점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내 경제의 산업 혁신 필요성이 더욱 커짐에 따라 기업과 정부의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 첫째, 한국 경제의 산업 혁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과감한 규제 개혁과 지원책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산업 혁신을 위한 창의적인 인재 육성 및 전문 인력 확보가 중요하다. 셋째 기업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를 선제적으로 포착하고 중장기적인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