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현대보테코

전시/세미나/교육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 고객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The New LG Chem」 테마로 썩는 플라스틱‧재활용 플라스틱 등 친환경 소재, 태양광‧배터리 분야 미래소재 알려- 국내 기업 중 최대 규모 부스에 50여 종 전략제품 전시… 고객 전용 회의실, 라운지 운영   LG화학이 친환경‧미래소재로 글로벌 고객 사로잡기에 나선다.LG화학은 17일부터 4일간 중국 심천에서 열리는 차이나플라스 2023(Chinaplas 2023)에 참가해 고객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The New LG Chem’ 테마로 썩는 플라스틱, 재활용 플라스틱 등 친환경 소재와 태양광‧의료‧배터리 분야의 미래소재로 고객 유치에 나선다.     LG화학은 국내 기업 중 최대 규모인 398㎡(121평) 부스에 50여 종의 넘는 전략제품을 전시한다. 특히, 고객과의 소통을 위한 7개의 전용 회의실과 비즈니스 라운지를 운영한다.제품이 전시되는 ‘Sustainability Solution & LETZero 존’에는 미래 친환경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땅에 묻으면 6개월 내 자연 분해되는 소재(PBAT; Poly 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100% 바이오 원료로 만든 플라스틱(PLA; Poly Lactic Acid), 재활용(PCR; Post Consumer Recycled) 제품 등을 전시한다.또, ‘Future Solution 존’에는 미래 고부가 전략제품인 태양광 패널용 필름 소재(POE; Polyolefin Elastomer), 독자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 최고의 품질을 갖춘 배터리 소재인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 의료용 장갑 소재(NBL; Nitrile Butadiene Latex) 등의 제품을 전시해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이와 함께 석유화학업계 최초로 LG화학이 개발한 디지털 통합 구매 플랫폼 LG Chem On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별도로 운영된다. 고객의 관점에서 주문부터 배송까지 온라인 쇼핑몰처럼 실시간 현황을 파악할 수 있어 글로벌 고객과의 소통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LG화학 노국래 석유화학사업본부장은 “고객을 위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혁신하는 LG화학의 친환경‧미래소재로 글로벌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편집부 2023-04-17
기사제목
- 8일 중국 섬서성 위린(楡林)시에서 ‘탄소 저감 기술교류회’ 개최 - 친환경 장비 수출로 中 시장진출 지원 및 마그네슘의 안정적 확보에 기여   KOTRA(사장 유정열)는 4월 8일 중국 ‘천연자원의 보고(寶庫)’라고 불리는 서북부 위린(楡林)시에서 ‘탄소 저감 기술교류회’를 개최했다. 위린시 국제 석탄․첨단에너지 전시회와 연계해 최초로 개최된 이번 교류회에는 현지 마그네슘, 석탄 생산 관련 기업 100여 개사가 참가해 한국 제품과 기술에 큰 관심을 보였다.   KOTRA(사장 유정열)는 4월 8일 중국 ‘천연자원의 보고(寶庫)’라고 불리는 서북부 위린(楡林)시에서 ‘탄소 저감 기술교류회’를 개최했다. 행사장 전경의 모습.   중국 섬서(陝西)성 북부에 위치한 위린시는 석탄, 석유, 천연가스, 마그네슘이 풍부해 중국 내 ‘천연자원의 보고’라고 불린다. 특히, 이 지역은 전 세계 마그네슘 생산량의 약 45%인 연간 60만 톤 가량을 생산하는 전 세계 최대의 단일 생산기지이다. 마그네슘은 가볍고 단단한 경량화의 핵심 소재로 스마트폰, 노트북, 자동차부터 의료기기와 항공우주 소재에 이르기까지 널리 쓰이는 광물이다.한편, 마그네슘은 제련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탄소가 배출돼 중국 정부의 환경 규제 시 생산이 통제된다는 단점이 있다. 실제 2022년 환경 규제와 코로나로 인한 봉쇄로 인해 마그네슘의 톤당 가격이 5만 위안으로 2021년에 비해 약 세배 치솟았다. 이번 행사에는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수처리, 대기오염 관련 우리 강소기업 12개 사가 참가해 우수 기술을 발표하고 사전에 매칭된 기업들과 일대일 상담회를 진행했다. 이때 우리 기업은 고가의 친환경 장비와 제품을 수출하고, 중국기업은 우수한 기술력의 우리 제품을 활용해 탄소배출을 줄이면서 생산량을 증대시킬 방안을 논의할 기회가 주어졌다.   국내 참가기업이 기술 발표를 하고 있다.  행사에 참가한 탄소 포집 관련 국내기업 A사의 대표는 “과거 중국 시장이 주력 시장이었으나, 코로나로 인해 2년간 수출이 중단됐다”면서, “이번 행사를 중국 친환경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장에서는 KOTRA와 위린시 정부, 마그네슘 생산협회 간 양해각서(MOU)가 체결됐다. 이번 양해각서를 통해 3자는 향후 정례적인 행사개최, 마그네슘 가격에 대한 정보 교류, 유사시 한국으로의 공급 확대에 대해 상호 합의했다. 홍창표 KOTRA 중국지역본부장은 “이번 행사는 탄소중립과 기업 이익 증대 등 양국 정부와 기업이 함께 윈윈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며, “고가의 장비 수출을 통해 중국 시장진출을 지원하고 공급망 안정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사업 모델을 향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편집부 2023-04-17
기사제목
- 접수 첫날 229개 사에서 2,102 부스 신청, 역대 최대 기록 - 4월 30일까지 신청접수 완료하면 ‘조기 신청 혜택’ 제공- 2024년 4월 1일부터 5일간 KINTEX 1, 2전시장 전관에서 개최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4월 3일 SIMTOS 2024의 참가 신청을 시작하며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SIMTOS 2024는 2024년 4월 1일부터 5일까지 5일간 일산 킨텍스(KINTEX) 1, 2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는 국내 최대, 세계 4대 생산제조기술 전문 전시회이다. 지난해 개최된 SIMTOS 2022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축소된 규모에도 불구하고 5일간 8만여 명이 다녀가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SIMTOS가 국내 최고의 마케팅 플랫폼임을 확인한 참가업체들은 ‘SIMTOS 2024’ 개최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으며, 참가 신청 시작 전부터 관련 문의가 쇄도했다.   < SIMTOS 2024 개요 >명 칭   주 최기 간장 소규 모주요 부대행사   SIMTOS 2024 (The 20th Seoul International Manufacturing Technology Show)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2024. 4. 1(월) ~ 4. 5(금) [5일간] KINTEX 1, 2전시장(경기도 고양시 소재) 102,431㎡ 국내외 바이어 상담회(MatchMaking4U), 국제디지털제조혁신 컨퍼런스, 디지털 제조기술 테마관 등   SIMTOS 2024 참가 신청접수 첫날인 4월 3일 하루에만 229개 사에서 2,102 부스를 신청해 업체들의 적극적인 행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역대 신청 첫날 분위기와 비교해서도 가장 많은 신청 건수를 기록했다.A사는 “코로나19 우려로 2022년에는 참가하지 않았는데, 전시회를 찾은 많은 참관객을 보고 후회했다”라며, “SIMTOS가 홍보마케팅 측면에서 국내 최고의 전시회라는 것을 직접 확인한 만큼 올해는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참가 신청이 시작되자마자 신청하게 되었다”고 덧붙였다. 또 3회 연속 SIMTOS에 참가해 왔다는 B사는 “매회 조기 신청 기한 내에 참가 신청을 완료하는 가장 큰 이유는 원하는 위치의 전시 부스를 배정받고 싶기 때문”이라며, “참가신청일이나 참가비 납부일에 따라 부스 배정 점수가 달라지므로 이러한 부분에 신경쓰고 있다”고 부연했다.이 밖에도 C사는 “SIMTOS의 최대 장점은 일찍 시작해서 ‘오랫동안 공을 들여 준비한다’는 것”이라며, “특히 타 전시회와 달리 일찌감치 참가 신청을 마무리하고, 참가업체의 전시 성과를 높이기 위해 노력한다는 점에서 가장 신뢰가 가는 전시회”라며 참가 신청을 서두른 이유를 부연했다.SIMTOS 2024의 참가 신청접수는 올 10월 31일까지 진행되며, 4월 30일까지 참가 신청접수를 완료하는 기업에 한해서 부스 임차료 할인 등 ‘조기 신청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SIMTOS 2024는 제조업 경기 위축 해소와 코로나19 엔데믹 시대의 새로운 기회 마련을 위해 ‘국내 최고의 비즈니스 플랫폼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시주제를 ‘Be a part of SIMTOS’로 정하고, 바이어 발굴부터 마케팅⸱판로, 해외 진출에 이르는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할 예정이다. 또, SIMTOS만의 차별화된 품목별 전문관을 ‘전문관·특별전’으로 재구성하고, 생산제조업계 전반에서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자동화·스마트화·지능화 관련 품목의 유치도 확대할 예정이다. 이의 일환으로 기존의 로봇 및 디지털 제조 전문관을 ‘로봇 및 디지털 제조기술 특별전’으로 승격시켜 독립된 특별전시회를 마련한다. 이와 함께 스마트 제조, 산업 디지털전환 등 제조혁신 트렌드를 공유할 ‘디지털 제조기술 테마관’도 운영한다.    
편집부 2023-04-16
기사제목
- 동시 진행 이벤트 미리 보기2023년에는 전 세계의 코로나19 통제 및 예방이 점진적으로 완화되었으며 경제 활동도 재개되기 시작했다. 동시에 여러 기업이 친환경 목표를 달성하면서 매출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탄소배출 제로 및 탄소 중립 목표 설정은 환경 보호를 위한 선도적인 브랜드 전략의 일부가 되었다. 업계가 순환 경제를 향해 어떻게 나아갈지 선보이고 강조하기 위해 4월 17일부터 20일까지 개최되는 아시아 최고의 플라스틱 및 고무 무역 박람회인 CHINAPLAS 2023에서는 실용적인 최첨단 솔루션을 선보이기 위해 전 세계 3,900개 이상의 유명 전시업체가 모일 예정이다. 또한 이번 박람회는 탄소 중립, 순환 경제, 지속 가능한 개발이라는 화제의 친환경 트렌드에 대한 산업적 수요를 다루는 여러 동시 진행 이벤트도 개최할 예정이다.플라스틱 재활용 및 순환 경제 콘퍼런스 및 쇼케이스: 내일을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으로어떤 기술이 순환 경제를 움직이게 할까? 플라스틱이 폐기물이나 공해로 바뀌지 않는 순환 경제라는 공통의 비전 아래 Ellen MacArthur 재단과 UN 환경 계획이 시작한 2025년 신 플라스틱 경제 글로벌 약속이 업계에서 어떻게 이행될 수 있을까? 제4회 CHINAPLAS × CPRJ 플라스틱 재활용 및 순환 경제 콘퍼런스 및 쇼케이스에서는 중국 및 아시아의 플라스틱 재활용에 대한 국제 트렌드 및 정책적 지침에 초점을 두고 고위 공직자, 전 세계의 업계 조직, 브랜드, 기계 및 소재 공급업체 대표를 초대하여 이와 같은 관련 정책 및 업계 트렌드에 관한 견해를 공유하고자 한다. 해당 이벤트는 CHINAPLAS 2023이 선전에서 개최되기 하루 전인 4월 16일에 개최된다.탄소 중립, 순환 경제, 지속 가능한 발전은 최근 몇 년간 플라스틱 및 고무 업계는 물론 사회 전체가 발전하는 촉매가 되었다. 상기한 플라스틱 및 고무 업계 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2025년 약속은 소재 및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점차 실현되고 있다. 해당 컨퍼런스에서는 새로운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경험이 풍부한 국가 및 지역의 재활용 분류, 플라스틱 재활용 및 응용의 기술적 성과에 대해 다루는 한편, 아시아 및 기타 지역 플라스틱 재활용 업계의 패턴과 전망을 다룬다.주요 콘퍼런스 외에도 업계 선도 업체에서 인사이트를 공유하기 위해 동시 진행되는 하위 포럼이 개최될 예정이다. 하위 포럼에서는 “친환경 디자인 및 가치 사슬 전반의 협력”, “에너지 효율 및 저탄소 공급망”, “기계적 및 화학적 재활용의 부가 가치”와 같은 주요 주제를 다룬다. 컨퍼런스의 한계를 넘어 여러 국제 기업이 최신 제품 및 기술적 솔루션을 신소재 및 가공 기술부터 자동화 및 특수 장비에 이르는 다양한 주제로 선보일 예정이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려면, https://www.chinaplasonline.com/CPS23/recycling/eng/plastics_recycling_circular_economy_conference_and_showcase을 방문하기를 바란다.지속 가능성 공명기: 지속 가능한 미래에 대한 견해 표명플라스틱 및 고무 업계는 지속 가능성 발전을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약속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CHINAPLAS 2023에서는 설치 예술인 지속 가능성 공명기가 설치된다. 이 예술품은 “환경 보호, 재활용, 플라스틱 업계의 미래 공동 형성, 적층 제조, 크로스오버 혁신, 생분해,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아이디어를 전파하기 위한 것이다.음파는 생각을 전달하는 기본적인 방법 중 한 가지다. 대부분의 의사소통, 지식, 감정, 아이디어는 소리의 전달에서 뿌리를 찾을 수 있다. CHINAPLAS 주최 측은 여러 국가 및 지역에서 환경 보호 및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는 참가자의 음성 메시지를 수집하고 있다. 수집된 소리는 3D 프린팅, 파라메트릭 설계, 친환경 소재의 도움을 통해 “음성 셀”로 표현되며, 대중이 만들어낸 설치 예술로 조립할 수 있었다.이 설치 예술은 지속 가능한 소재, 적층 제조, 기술과 예술을 하나로 모은 공동 프로젝트로 젊은 종합 예술가 Alex Long과 전 세계 플라스틱 및 고무 업계의 기업, 조직, 학술 단체의 협력을 통해 제작되었다. 1,500명 이상의 연사가 이미 본인들의 목소리를 통해 전시물을 만드는 데 참여했다. 방문객들은 음성 셀에 전화기를 가까이 대는 것만으로도 각 참가자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CHINAPLAS에서 들을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려면,https://sdg-resonator.com/index_en.html을 클릭하기를 바란다.기술 토론: 친환경 혁신과 새로운 기술의 첫 공개친환경은 CHINAPLAS 2023의 주요 주제 중 하나로, 방문객은 기술 토론에 참여하여 선도적인 친환경 기술과 그 응용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여러 개방형 포럼 시리즈를 통해 30여 가지의 최신 기술이 소개되며, 20여 명의 업계 전문가가 5가지의 주제로 가장 인기 있으며 고도로 발전된 제품 및 기술에 대해 프레젠테이션한다. 주제로는 친환경 솔루션, 의료용 플라스틱 및 항균 솔루션, 표면 처리 솔루션, 경량 솔루션 등 혁신적인 소재가 준비되어 있다.CHINAPLAS는 전시업체가 제품의 첫선을 보이고 새로운 첨단 기술을 공개하는 데 가장 선호되는 플랫폼이며, 기술 토론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올해의 최첨단 솔루션을 출시하는 데 결정적인 무대다. 전문적인 연사들이 지속 가능한 친환경 솔루션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구하며, 청중들은 플라스틱 및 고무 업계의 업계 트렌드를 신속하게 포착하여 빠르게 비즈니스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플라스틱 및 고무 업계 선도 업체가 기술 토론에 참여할 예정이며, 고객과 교류할 기회도 있을 것이다. Dow Chemical은 순환 경제를 강화할 폐기물 재활용 포장 솔루션을 소개하며, SABIC은 순환 경제를 위한 혁신적인 지속 가능 솔루션 제공에 집중한다. 그리고 Exxonmobil Chemical은 지속 가능성 특징이 있는 고급 포장 솔루션으로 제공되는 재활용 제품 디자인을 소개하며, Amcor는 의료 및 보건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포장 솔루션을 만든 방법에 대해 발표한다. 개방형 포럼 외에도, 방문객이 Avient 및 HP와 새로운 회의 및 소통 형식으로 만나볼 수 있도록 “신기술 시연 구역”이 기술 토론 시설에서 개최된다. Avient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지속 가능성을 목표로 하는 바이오 기반 솔루션 및 성공적인 사례 연구를 소개하며, HP는 지속 가능한 주문형 포장을 위해 준비된 디지털 인쇄 기술을 공유한다. 이벤트 세부 사항에 대해 알아보려면, https://www.chinaplasonline.com/CPS23/techtalk/eng/tech_talk를 클릭하기를 바란다.Applications in Focus: 플라스틱 및 고무 응용 심층 분석최종 사용자 시장, 대학교, 연구 센터의 광범위한 브랜드라면 Applications in Focus에 모여야 한다. CHINAPLAS의 대표적인 동시 진행 이벤트 중 하나인 Applications in Focus에서는 고성능 플라스틱 및 고무 응용 제품, 예를 들어 광발전, 플라스틱 및 고무 항균성 기술, 살균 포장, 친환경 저탄소 및 순환 경제 등에 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유명 브랜드, 업계 선도 업체, 전문가, 대학교, 단체 등이 70여 가지의 화제성 주제에 대해 공유할 예정이다.업계 전문가라면 놓쳐서는 안 될 응용 업계의 경험 및 기술 전망에 대한 심층적인 토론을 포함한 총 12개 주제의 세미나가 준비되어 있다. 몇 가지 대표적인 세미나는 다음과 같다.Deutsche Gesellschaft für Internationale Zusammenarbeit(GIZ) GmbH는 “글로벌 비전 - 플라스틱 순환으로 향하는 길: 중국-유럽 순환 경제 개발 포럼”을 개최하여 플라스틱 오염 억제 및 탄소 중립을 위한 순환 경제가 가져올 기회와 도전에 대한 정보를 공유한다. 순환 경제의 솔루션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서 CSRA의 열성형 지부는 “열성형이 저탄소 및 친환경 포장을 발전시키는 방법” 세미나를 개최하여 저명한 전문가, 학자, 기업가를 초대해 전 세계의 수요에 따른 열성형 업계의 생태 산업망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하려 한다. 또한 중국포장연맹의 포장 및 인쇄 위원회(PPC)에서 주최할 “유연한 포장의 친환경, 저탄소 및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포럼에서는 VOC 거버넌스 솔루션, 유연한 포장 업계의 새로운 친환경 접착제, 비용제 라미네이팅 기술, 친환경 인쇄 잉크 등장 등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이벤트 세부 사항 및 등록에 대해 알아보려면, https://www.chinaplasonline.com/CPS23/applicationsinfocus/eng/applications_in_focus를 클릭하기를 바란다.CHINAPLAS 2023은 국제 방문객을 환영한다중국 여행 제한이 완화되었다. 해외 여행자는 48시간 이내에 취득한 음성 핵산 검사 결과만 제출하면 더는 입국 시 보건법 및 격리 절차를 걸칠 필요가 없으며, 바로 사회에 진입할 수 있다. CHINAPLAS 2023은 선전에서 수많은 국제 방문객을 유치할 준비가 되었다. 이번 전시는 직접 방문하여 공급업체 및 파트너와의 오프라인 접촉을 재활성화하고, 최신 트렌드를 파악하고, 스타트업 및 떠오르는 스타를 만나고, 비즈니스 계획을 위한 아이디어를 얻고, 업계의 주요 사항을 발견할 절호의 기회다.https://www.chinaplasonline.com/CPS23/preregistrationlanding?Regsource=CXW1524&utm_source=OtherDataSource&utm_medium=PR&utm_campaign=PR-PREREG를 클릭하여 CHINAPLAS 2023에 사전 등록을 하기 바란다. 전시회 선별 검사 및 선전 입국 및 보건 요구 사항은 적절한 시기에 업데이트된. 최신 정보는 박람회 웹사이트 https://www.chinaplasonline.com/CPS23/immigrationquarantine/eng/exhibition_health_screening_and_shenzhen_immigration_health_requirements를 참조하기를 바란다.CHINAPLAS 2023에 대한 자세한 정보나 문의 사항은 www.ChinaplasOnline.com에 방문하여 확인하기를 바란다.
이용우 2023-04-11
기사제목
- 4월 25일부터 27일까지 프랑스 파리 노르 빌팽트 전시장에서 개최- 1,200여 개 출품 업체와 36,000명 이상의 방문객 예상-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주관 한국관 및 코오롱, 효성첨단소재, 한국카본, 한화첨단소재, 한양대학교 등 여러 기업 참여세계 최대 복합소재 및 응용 분야 전시회 JEC WORLD 2023이 프랑스 파리 노르 빌팽트 전시장에서 4월 25일부터 27일까지 개최된다. 전 세계 복합소재 전문가들이 모이는 자리인 만큼 성황리에 개최될 것으로 예측된다. 코로나19의 완화로 국경의 문이 다시 열린 덕에, 전 세계의 복합소재 응용 분야 전문가들이 JEC WORLD 2023 전시회에 참가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를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발견하게 될 소중한 기회이다. 2023년 JEC WORLD은 지난 전시회보다 특별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시아의 복합소재 주요 주체인 중국, 인도, 일본 및 한국의 전문가들을 포함한 출품 업체 1,200곳과 방문객 36,000명 이상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국내 기업 중에는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주관 한국관 및 코오롱, 코트라움, 카텍에이치, 데카머티리얼, 효성첨단소재, 한국카본, 한화첨단소재,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한양대학교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또한 아시아 스타트업 경연대회에서 수상한 카텍에이치와 동남리얼라이즈는 스타트업 전용 빌리지에도 소개된다. 전시장의 95%가 예약된 것으로 보아 JEC WORLD에 대한 대단한 인기를 실감할 수 있다. 지속 가능한 미래라는 도전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더 가볍고 더 스마트하며, 더 견고한 복합소재 솔루션을 개발하고자 하는 모든 전문가들에게 영감의 원천으로 늘 자리매김할 JEC WORLD 전시회에 모든 가치 사슬들이 모인다. JEC WORLD 2023 전시 기간동안 전시 출품 업체를 통해 JEC 복합소재 이노베이션 플레닛과 수백 개 이상의 물품들이 현 산업을 이끌어가는 모든 주체에 소개될 것이다. 가치 사슬 전반에 대한 전시로 미래 기술 제시 매년 JEC WORLD는 전시 참가자들이 주요 도전 과제와 복합소재 산업의 미래를 좌우하는 트렌드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컨퍼런스를 선보인다. 복합소재 전문가들이 기획한 전시 프로그램을 통해 모든 가치 사슬에 종사하는 주체들과 엔지니어들은 아이디어를 공유하여 복합소재 신시장을 파악하고, 신소재, 상품, 프로세스 등을 연구할 것이다. 이에, 경량 부품이나 구조, 수소와 같은 재생 에너지, 미래 비행기, 신소재, 재활용 및 선순환 경제 홍보까지 주요 주제를 다루는 발표와 라운드 테이블을 선보여 방문객의 이목을 집중시킬 것이다.JEC WORLD의 다양한 프로그램 2023년 3월 2일 파리에선 JEC 혁신상 우승자가 발표되었다. JEC WORLD 방문객들과 출품 업체들은 3일간의 전시 기간동안 우승 업체를 만나 보며 그들의 우수한 기술을 엿볼 수 있게 된다. 이 외에도 JEC 컴퍼짓 스타트업 부스터 프로그램을 통해 20개 업체의 새로운 기술이 복합소재 전문 평가단에 의해 심사될 것이다. 이 중, 3곳이 복합소재 시장 진출의 가능성을 인정하는 상을 수여받을 것이다. 전시장에 마련된 스타트업 빌리지(Village Startup)에서 최종 결선 업체와 혁신 기술을 만나볼 수 있다. 또한, 복합소재 산업 주체들이 3일간의 전시 기간 중 비즈니스 성공을 거둘 수 있도록 비즈니스 미팅의 기회를 제공한다. 2022년엔 4,000개 넘는 회의로 수많은 참가자가 산업 역량을 강화하게 되었고, 신규 프로그램에 참가하며 비즈니스 파트너를 물색하고 파트너쉽을 다지게 되었다. 올해도 역시나 파리는 2023년 4월 25일~27일 개최되는 JEC WORLD 복합소재 전시회를 통해 복합소재와 첨단 기술의 중심지가 될 것이다. 복합소재 및 응용 분야의 현 트렌드를 파악하고 비즈니스를 확장하고 싶다면 JEC WORLD 전시회를 방문하길 바란다. 3일간 진행되는 컨퍼런스 프로그램은 해당 사이트(https: //www.jec-world.events/program)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시회 문의: 프랑스국제전시협회(프로모살롱 코리아) 김선의 대표_02-564-9833_sekim@promosalons.com 이가희 과장_02-564-9733_glee@promosalons.com 
이용우 2023-04-11
기사제목
- 15일 구자은 회장 등 주요 임원, 코엑스에서 개최된 ‘인터배터리 2023’ 참관- LS도 그룹 차원 EV 밸류체인 역량 결집, 15~17일 3일간 전시장 운영- 구 회장 LS 부스 방문해 임직원 격려 후 배터리 산업 트렌드 꼼꼼히 점검   LS그룹 구자은 회장이 3월 15일 주요 계열사 CEO 및 임원 등과 함께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 ‘인터배터리 2023’ 전시에 참관해 LS그룹 전시장을 둘러보고 참여 임직원들을 격려하는 한편, 국내외 배터리 산업의 트렌드를 점검했다.   LS그룹 구자은 회장이 3월 15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인터배터리 2023에서 그룹 EV 밸류체인 역량을 집결한 LS 전시관을 둘러보고 있다   LS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약 270㎡(30부스)의 대규모 전시장을 마련하고 그룹 내 계열사들이 보유한 전기차 소재 및 부품부터 충전 솔루션까지 토탈 솔루션을 선보이며, 그룹 차원의 EV 밸류체인 역량을 결집시켰다.LS그룹은 ‘All that Energy, LS’라는 주제로 참가해 LS일렉트릭, LS MnM, LS이브이코리아, LS E-Link, LS이모빌리티솔루션, LS머트리얼즈, LS알스코 등 7개 회사의 배터리 및 전기차 기술을 한곳에 모아 △ ESS △ K-Battery △ EV Charging △ EV 등 4개의 존을 구성했다.이날 LS 전시장에는 LS일렉트릭 구자균 회장, LS 명노현 부회장, LS MnM 도석구 부회장, LS 안원형 사장, LS일렉트릭 김종우 사장, 구동휘 부사장 등 관련 계열사 경영진 및 임원들이 방문했다. LS MnM은 전시장 내 동(銅) 제련 과정에서 생산되는 ‘금괴 들기 이벤트’를 펼쳐 다양한 체험 거리를 제공하기도 했다.구 회장은 LS그룹 전시장을 방문해 전시 부스를 꼼꼼히 살펴본 후 참여한 임직원들을 격려했다. 이후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포스코케미칼 등의 부스를 돌아보며 최신 배터리 산업 트렌드를 직접 경험하고 벤치마킹하는 등 관심을 보였다.이 자리에서 구 회장은 “이번 전시회에서 배터리 분야 리딩기업들이 △ 배터리의 고효율화 △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준비 △ 리사이클링 순환 경제로의 이동 등을 대비한다는 산업 트렌드를 읽을 수 있었다”며, “LS도 EV 분야 소재에서부터 부품, 충전 솔루션까지 그룹 내 사업 역량을 결집하고 시너지를 창출해 고객에게 최적의 답과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며 대응할 것”을 임직원들에게 주문했다.한편 LS그룹은 구 회장이 연초 발표한 그룹의 청사진인 ‘비전 2030’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CFE(Carbon Free Electricity, 탄소 배출이 없는 전력) 선도를 위한 신성장 사업과 배·전·반(배터리·전기차·반도체) 관련 사업 등 미래 성장 분야에서 성과를 창출해 2030년까지 두 배 성장한 자산 50조의 글로벌 시장 선도 그룹으로 거듭난다는 계획이다.인터배터리 2023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전지산업협회, 코엑스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배터리 산업 전시회로 2차전지, 소재, 장비, 부품 관련 약 500개 사 1,500부스가 참가해 다양한 품목의 신제품과 신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www.lsholdings.co.kr  
편집부 2023-04-10
기사제목
LG에너지솔루션은 전시공간에 대형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설치해 관람객들에게 ‘배터리로 움직이는 미래’를 소개했다. 아나모픽(Anamorphic, 착시를 통해 입체감을 극대화하는 광고 표현 기법) 기술이 접목된 영상 상영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배터리로 변화될 미래 모습을 생생히 보여주었다. 또 VR 고글을 사용한 가상 온라인 전시관도 준비해 관람객이 직접 배터리 기술 및 설명 등을 듣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고객 경험 요소를 한층 강화했다.LG에너지솔루션 전시 부스는 ▲ Mobility 존 ▲ IT & New application 존 ▲ ESS 존 ▲ 서비스 사업 존 ▲ Core Technology 존 ▲ ESG 존 등으로 구성됐다. Mobility 존에서는 GM허머 등에 공급되는 파우치형 롱셀(Long Cell)을 비롯해 다양한 셀 및 모듈 전시됐다. IT & New application 존에서는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와 자유로운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프리폼(Freeform) 배터리를 비롯해 VR 고글 등에 사용되는 커브드(Curved) 배터리를 선보였다.ESS 존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이 국내 전시회 최초로 LFP 배터리 셀을 선보인다. 해당 셀이 탑재된 전력망 및 주택용 제품도 함께 전시됐다. 이 밖에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전고체 전지와 고에너지 밀도의 경량 리튬 황 전지 등 차세대 전지, 소재·공정 혁신 기술을 전시하고, 친환경적 미래를 위해 앞장서는 LG에너지솔루션만의 ESG 경영을 소개했다.  
편집부 2023-04-10
기사제목
- 전년 대비 참가업체 56%, 참관객 59% 증가, 역대 최대 규모로 성료- 지멘스, 로크웰, LS일렉트릭, , LG CNS, CJ올리브네트웍스 등 500개 사 참가- 국내 최초 론칭한 ‘스마트물류특별관’, 물류 IT 신기술 선보여   아시아 최대 규모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이자 국내 최고 스마트 팩토리 전시회인  ‘2023 스마트공장 · 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AW 2023)이 지난 10일 역대 최대 규모의 성과를 남기며 폐막했다.코엑스(사장 이동기)와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협회, 첨단이 공동 주최한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3일간 코엑스 전관에서 진행됐다. ‘연결된 공장(We Connect Your Factory)’을 주제로 스마트팩토리, 빅데이터, AI,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용 로봇 등 자동화 관련 기업들이 참여해 미래형 스마트 제조기술의 최신 트렌드를 선보이는 좋은 기회가 됐다.   윤관석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 축사하는 모습   주최 측은 코로나 유행 이전 수준인 5만5천 명이 전시회를 다녀간 것으로 집계했으며, 이는 코로나 이전 및 이후를 통틀어 역대 최대 참관객 규모다. 이번 전시회는 참가업체 500개 사가 2,000부스 규모로 참가, 320개 사, 1,500부스 규모였던 전해 전시회에 비해 참가업체는 56%, 부스는 33% 증가했다. 또한 281개 사 1,242 부스가 행사 현장에서 2024년 전시회 사전 신청을 완료, 본 전시회의 인기를 실감케 했다. 또 3일간 본 전시회를 방문한 바이어는 55,000명으로, 전년도 오프라인 방문자 34,680명 대비 59% 증가한 성과를 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을 관람하기 위해 긴 줄을 서고 있는 참관객들 이미지     2022년도에 이어 2023년도에도 참가한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 최태능 상무는 “금번 전시회 참가 성과 목표를 2일차에 이미 달성했다”며, “새삼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의 인기를 체감한다”고 말했다.3년 연속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을 참관한 바이어 윤승지 씨는 “코로나 이후 스마트공장 관련 해외 참가업체의 비중이 늘어나는 것을 느꼈다. 해외 바이어의 비중이 엔데믹 이후로 점차 늘어남을 느끼며 향후 스마트공장 관련 수출 판로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부스마다 참관객들로 북적이고 있는 모습 이미지   한편, 내년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는 2024년 3월 27일부터 3월 29일까지 3일간 코엑스 전관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편집부 2023-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