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플라스틱재팬
현대보테코

정책과 동향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  한국산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유럽산 제치고 2017년 이집트 수입 2위-  1위인 중국 추격을 위해 가격경쟁력 더욱 강화해야                                                                                                 자료: google시장현황바이어 인터뷰에 따르면, 2017년 이집트 플라스틱 사출성형기(HS Code: 848079, Molds for rubber or plastics, other than injection or compression types) 시장규모는 약 3,356만 달러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6년에 비해 대략 1.1% 증가한 규모다.이집트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시장규모(HS Code: 848079)(단위: US$, %, 톤)자료: Eng. Hisham Abd El-Hakim(Chairman of Delta El-Nile Company) 인터뷰플라스틱 사출성형기는 플라스틱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을 비롯해 수많은 작업장에 꼭 필요한 제품이다.이집트 정부의 석유화학산업 발전계획에 힘입어 많은 플라스틱 관련 공장들이 들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집트는 중동북아프리카지역(MENA)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국가이며 인구 증가속도도 빨라 매년 플라스틱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이집트의 플라스틱산업은 지속적으로 발전해왔으며 플라스틱을 만드는 재료 중 하나인 중합체의 경우 매년 생산량이 7.4%씩 증가하고 있다. 플라스틱 사출성형기를 유통하는 Delta El-Nile Company 사장에 따르면, 이집트 내 일부 업체에서 플라스틱 사출성형기를 생산하지만 수입산에 비교해 질이 떨어져 공장주들은 수입산을 선호한다고 한다. 수입현황2017년 이집트의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수입 규모는 2,517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16년에 비해 약 0.89% 증가한 수치다. 이집트제 플라스틱 사출성형기는 전체 제품의 4분의 1 정도를 차지하며 나머지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외환 부족, IMF 구제금융 도입과 변동환율제 시행으로 인한 이집트화의 급격한 평가절하로 수입이 주춤했으나, 2017년 시장이 변동환율제에 적응하면서 다시 회복하는 추세다.이집트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수입 규모(HS Code: 848079)(단위: US$, %, 톤)자료: 이집트 통계청(CAPMAS)이집트에는 다양한 브랜드의 플라스틱 사출성형기가 유통되고 있으며, 브랜드와 제품에 따라 가격에 차이가 크게 난다. 이집트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주요 수입업체(HS Code: 848079)(단위: US$, %)주) ✽가격은 제품에 따라 그 이상이기도 함                                                                    자료: Mina Industries 자체자료기타 브랜드로는 Zhejiang Keli Plastic Machinery Co.(중국), Nijinghyu(중국), Solu-Tech(한국), Nara(한국), Jmp(한국), Mold-Tech Korea(한국), HiTech& Bangham (한국), Barth(독일), Fuyir(대만), Lien Fa In-jection Machinery Co.(대만), Sacmi Molds & Dies(이탈리아), Zokrato & Karlosola(이탈리아), Honny Ei(대만), Passcard & Ho Shin(대만) 등이 있다.이집트 바이어들은 독일과 이탈리아산 제품들을 품질이 좋다고 여겨 비싼 가격에도 수입하고 중국과 대만을 비롯한 동아시아 제품들은 품질이 괜찮고 합리적 가격을 제시해 선호하고 있다.                                             자료: Mina Industries 2017년 이집트가 플라스틱 사출성형기를 수입한 주요 수입대상국은 중국, 한국, 독일, 태국, 이탈리아 등이다. 터키와 EU 국가들은 이집트와 FTA가 체결돼 수입 관세가 면제되며, 중국산 제품들은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가장 큰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다.이집트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상위 10개국 수입 동향(HS Code: 848079)(단위: US$, %)주) ✽총계는 10개국 합이 아닌 전체 수입량                                                                           자료: Global Trade Atlas대한 수입 규모 및 동향이집트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對 한국 수입 규모(HS Code: 848079)(단위: US$, %, 톤)자료: 이집트 통계청(CAPMAS)2017년 이집트는 한국으로부터 424만 달러의 플라스틱 사출성형기를 수입했으며, 이는 전체 수입국 중 수입액 규모로 2위다. 한국산 제품은 유럽제와 비교해 합리적인 가격과 우수한 품질로 평가받고 있다.바이어 인터뷰로 보는 주요 수입국별 제품 선호 및 수입 사유유통현황플라스틱 사출성형기의 유통구조는 아래 도표와 같다.대부분 외국 생산업체들은 현지 에이전트를 지정해 제품을 유통하고 있다. 현지 에이전트와의 파트너쉽은 현지 공개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필요조건이며, 에이전트 선정 시 이집트 시장에서 인지도가 있고 전략적 거점에 물류창고가 있는 업체를 선정해야 한다. 대다수 현지 에이전트는 카이로에 근거지를 두고 있으며, 유통 분야가 꽤 분산돼 지역 및 품목별 커버하는 에이전트가 각기 다르다. 또한, 현지 에이전트는 지역별, 품목별로 각각 다른 에이전트를 또다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플라스틱 사출성형기를 생산하는 현지 업체는 중간에 에이전트를 거치지 않고 바로 사용자에게 전달하기도 한다. 주요 에이전트관세, 규제, 인증ㅇ 관세율 - 일반 관세율: 5%(VAT는 14%) - 한국산 제품 관세율: 5%(VAT는 14%) - 최대 수입국(중국): 5%(VAT는 14%)  - 14%의 VAT는 판매되는 모든 제품에 부과됨 - 이집트와 협정이 체결된 국가에서 수입되는 제품들은 관세가 면제됨- 이집트 체결된 협정· 터키-이집트 FTA  · 유럽자유무역연합-이집트 FTA  · EU-이집트 무역협정 · MERCOSUR-이집트 FTA  ㅇ 수입규제 및 인증: 없음 바이어 인터뷰 ㅇ Delta El-Nile Company, 사장플라스틱 사출성형기에 대한 관세는 5%이기에 이집트 생산업체들의 경쟁력이 별로 없다. 따라서 한국을 비롯한 외국 생산업체들은 이집트 시장에 진출할 잠재적 기회가 있다.ㅇ Global Engineering & Trading(GETCO), 사장이집트 시장에서 플라스틱 사출성형기의 경우 브랜드보다는 제품의 원산지에 따라 구분이 되는데 최근 들어 유럽산 제품들이 동아시아산 제품들에 그 자리를 점차 내주고 있는 상황이며, 최근 한국산 제품들은 유럽산 제품들과 경쟁에서 자리를 굳건히 다진 것으로 보인다. ㅇ Mina Industries, 총괄 매니저독일의 Wiro와 같은 업체들은 매우 앞선 기술력으로 훌륭한 플라스틱 사출성형기를 생산해 이집트에 수출해오고 있다. 한국은 이런 유럽산 제품들과의 경쟁에서 선점하기 위해 비슷한 수준의 질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시장에 물건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ㅇ INPACO, 매니저한국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생산업체들이 이집트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더 나은 조건 제시, 합리적인 가격 제시, 사후 서비스 관리, 부품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ㅇ Techno Plast Egypt Group, 매니저많은 구매업체들은 사후 서비스에 관심이 많다. 구매자들이 중요시하는 또 한 가지는 구매한 플라스틱 사출성형기로 몇 번 플라스틱을 제조할 수 있는지이다.관련 전시회시사점이집트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시장은 인구 증가에 따른 산업 전반의 수요 상승과 정부의 석유화학 발전정책, 구매자들의 수입제품 선호경향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제품 수요 및 시장이 증가하며 수입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집트 국내에서 생산되는 제품들은 품질이 떨어진다고 여기고 있다.한편 한국산 제품은 2017년 이집트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수입국 중 2위를 차지하며 전년대비 유럽산 제치고 중국을 추격 중이다. 현지 구매자들에게 한국산 제품은 좋은 품질의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으므로 1위와의 수입 규모 격차를 줄이기 위해 가격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한국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생산업체들은 유통 경험이 많은 노련한 에이전트를 대행업체로 선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대행업체는 새로운 유통망을 찾아주고 판매를 촉진시켜 수출액 증가에 기여할 것이다. 유통업체들에 한국 제품을 인식시키기 위해 업계의 유망 전시회에 자주 참가해 한국 제품의 인지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자료: Global Trade Atlas, 이집트 통계청, 이집트 세관, 관련 업계 바이어 인터뷰 및 KOTRA 카이로무역관 자료 종합
이용우 2018-10-04
기사제목
- 이탈리아의 국내 자동차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부품공급 업체의 현지진출 활기- 한국산 승용차의 수출 호조세가 지속되며 AS 등 관련 부품 소비 증가 전망글로벌 금융위기와 함께 급 하락세를 겪었던 이탈리아 자동차 시장은 2015년 이후 소비 증가에 따라 생산이 증가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국내 설비 투자, 신차 개발 및 생산시설 확장 등 선순환으로 관련 산업이 호조세를 나타내고 있다.이탈리아는 한국의 승용차 10대 수출국으로, 한국 승용차의 對 이탈리아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관련 AS 부품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 승용차의 對 이탈리아 수출은 ’17년 39.1% 급증했으며, ’18년 1월~7월 기준 전년동기 대비 54.4%의 증가율을 보여 지속적으로 수출이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시장규모 및 동향2017년 6.9%의 성장을 기록한 이탈리아 자동차 시장은 930억 유로의 생산 매출을 기록했다.이탈리아의 자동차산업은 이탈리아 GDP의 5.6% 규모에 기여하는 산업으로,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5%에 달하고 있으며, 최근 관련 회사들은 37억 유로의 생산설비 투자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R&D에 17억 유로를 투자하여 관련 산업의 부흥을 이끌고 있다. 이탈리아 자동차산업 현황(2017)자료: ANFIA(이탈리아 자동차 산업협회)이탈리아 신차 등록 및 수출 증가로 자동차산업은 부활했다. 이탈리아 자동차 산업협회 ANFIA(Associazione Nazionale Filiera Industria Automobilistica)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이탈리아의 신차 등록 수는 전년대비 15.9% 증가한 183만 대를 기록했으며, 2017년에는 7.9% 증가해 약 197만 대의 신차가 등록된 것으로 집계됐다. 2007~2017년 이탈리아의 신차 등록 동향자료: ANFIA2017년 기준 이탈리아의 자동차는 의약품 다음으로 수출이 많은 수출 상위 2위 품목으로 꾸준히 수출증가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이탈리아 내 피아트 제조공장의 생산시설 확충과 설비 보수로 생산 효율성이 높아지며 국내생산 모델 및 차량 수 증가로 관련 부품 수요도 증가세를 보인다.이탈리아 자동차 수출 동향(단위: 백만 유로, %)자료: Global Trade Atlas한국산 차량의 이탈리아 판매 증가로 관련 한국부품 소비도 증가하고 있다. 2017년 등록된 전체 승용차 가운데 한국산 차량은 전체 비중의 5.4%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전년대비 5.2% 증가한 수치로, 이탈리아 전체 신차성장 비율인 7.9%에는 못 미치나 한국 승용차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AS 부품시장이 성장하는 추세다.2016~2017년 이탈리아의 신차 등록된 차량의 업체별 비중자료: ANFIA최근 3년 수입 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 동향이탈리아의 승용차 시장이 회복세로 돌아서며 자동차부품(HS Code: 8708) 수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2017년 이탈리아의 승용차부품 수입액은 75.6억 유로로 전년대비 6.6%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글로벌 경제위기로 하향곡선을 그리던 이탈리아 자동차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며 자동차부품 또한 2014년 이후 회복세로 돌아서며 매년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독일은 이탈리아의 자동차부품 수입 1위 국가로, 이탈리아 전체 자동차부품 수입의 약 3분의 1을 담당하고 있다. 큰 폭의 수입액 증가율로 이탈리아의 자동차부품 수입 상위 10개국에 포함된 국가는 체코와 오스트리아로 각기 22.95%와 63.24% 증가했다.이탈리아의 자동차부품(HS Code 8708) 수입 동향(단위: 천 유로, %)자료: Global Trade Atlas對 한국 수입 규모 및 동향한국의 對 이탈리아 자동차부품 수출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한국무역협회 자료 기준, 한국산 자동차부품의 이탈리아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2014년 이후 두 자릿수의 수출증가율을 보이다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기 4.7%와 7.9%로 소폭 증가율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2018년 7월까지의 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29.0% 급증했다.한국 對 이탈리아 자동차부품(HS Code 8708) 수출 동향자료: 한국무역협회(KITA)이탈리아의 한국산 자동차부품 수입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고 있다.이탈리아의 한국 자동차부품 수입은 수입 순위 25번째 국가로 시장을 유지하고 있으나 점유율은 소폭 감소하는 추세다. 세부 품목을 살펴보면, 2017년 기어박스(HS 870840)의 수입이 14.4% 증가하여 수입국 17위를 차지했으며, 브레이크와 서보(HS 870830)는 전년대비 26.9%의 수입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클러치(HS 870893)는 -15.4% 감소했으며 기타 부품(HS 870899)에서도 -26.7%의 큰 감소세를 보였다.이탈리아의 對 한국 자동차부품(HS Code 8708) 수입 동향자료: Global Trade Atlas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유럽 자동차업체들의 높은 완성차 점유율로 부품 생산 및 공급에서도 유럽회사가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유럽 내 독일의 로베르트 보슈는 엔진시스템 등의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콘티넨털은 브레이크 시스템, 전장 및 시트 부품, 프랑스의 포레시아는 배기 시스템, 시트 프레임, 내장부품 등 핵심 분야의 대표적 기업들은 이탈리아 현지에도 진출해 있어 제품 공급 및 관리에서 뛰어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또 가격경쟁력과 기술력을 갖춘 일본산 자동차부품의 경우, 이탈리아 승용차 시장에서 일본산 승용차는 큰 증가율을 지속하고 있으며, 특히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대표되는 친환경 자동차가 주를 이루고 있다. 현지에서 친환경 차량에 대한 관심과 소비 증가로 당분간 일본 차량의 강세는 지속될 전망이며, 이로 AS 부품 등 관련 부품의 시장이 성장할 전망이다.또한, 2017년에 체결된 EPA로 일본산 제품의 관세절하가 가시화될 경우, 가격경쟁력 향상으로 인해 시장경쟁이 더욱 치열해져 한국산 제품의 수출시장에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관세율, 수입규제, 인증절차 및 제도한-EU FTA 체결로 이탈리아 내 한국산 자동차부품 수입 관세율은 0%이다. 유럽 자동차 관련 인증 e/E-mark시사점ㅇ 이탈리아 자동차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며 자동차부품 시장 또한 성장이탈리아의 자동차부품 시장 동향은 승용차 시장 동향과 같은 흐름을 가지고 있어 최근 신차 등록 증가와 함께 자동차부품 수입도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이탈리아 국내 브랜드 자동차의 생산시설 확장 및 설비 투자로 생산성이 향상되며, 이에 공급되는 부품 또한 수입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승용차 수입 증가로 각 브랜드별 AS 부품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이다.ㅇ 이탈리아 자동차부품 시장에서 신기술투자 및 기술 향상을 통한 경쟁력 확보로 수출시장 확장 가능현지 시장에서 친환경 차량(하이브리드, 전기차)의 비중이 10%대로 증가하며 대체 에너지 차량 수요증가가 시장 추세다. 또한, 2018년부터 이산화탄소 배출규제가 한층 강화된 EURO 6c가 적용돼 이에 따라 각 자동차 브랜드 제조사는 신소재, 신기술이 결합된 친환경 차량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친환경 관련 부품 개발을 통해 자동차부품 시장의 확장을 노려볼 수 있다.또한, 전 세계적으로 자율주행차량의 연구가 이어지며 전장부품을 중심으로 차량의 연구·개발이 이뤄지는 추세로 이탈리아 자동차와의 공동 연구 등으로 신차 개발을 통한 부품시장 진입을 추진해볼 수 있다.자료: ANFIA, Global Trade Atlas, EU Commission, 한국무역협회, KOTRA 밀라노무역관 자료 종합
이용우 2018-10-02
기사제목
- 서울과기대, 강원대, 영남대, 동아대, 조선대 5개 대학 참여- 5년간 기계부품 설계 분야 석·박사급 전문인력 270명 양성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회장 권영두, 이하 공작기계협회)는 기계산업 고도화를 위해 ’23년 2월까지 5년간 기계부품 설계·개발 전문인력 270명을 양성한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는 ‘고신뢰성 기계부품 전문인력 양성(산업전문인력 역량강화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이 사업을 통해 공작기계협회는 ‘기업제안 연구프로젝트 기반의 실무형 R&D 전문 석·박사 인력’ 양성으로 기계부품 및 관련 업계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계획이다.공작기계협회는 지난 9월 14일, 광명시 소재 공작기계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본 사업의 개요, 추진과정, 향후 일정 및 기대효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혔다.그동안 기계부품업계는 공정 개선, 경쟁력 제고를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갖고 있어도 연구개발 기술력과 전문인력 부족으로 실용화·사업화에 어려움을 겪어 왔으며, 이러한 이유에서 업계는 연구개발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인재를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다.이에 공작기계협회는 ‘기업제안 연구프로젝트 기반의 실무형 R&D 맞춤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참여기업의 전문가를지도자로 지정해 ‘멘토’로, 또 참여대학원생을 ‘멘티’로 구분하고 ‘맞춤형 1대1 멘토링’을 지원해 나가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멘토 회의 및 멘토 기업 공장방문 등을 통한 멘토링과 기업 현장실습 등 실무형 교육이 진행될 예정이며, 공작기계협회는 프로젝트의 효율적인 관리와 정보공유를 위해 ‘성과관리사이트’를 개발, 운영 할 예정이다.공작기계협회는 사업 수행을 위해 5개년 계획을 수립했으며, 교육기반을 구축하는 1차년도 사업에 석·박사급 기계부품 설계 전문인력 30명이 참여해 14건의 산학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이와 함께 교육 기반 개선(2차년), 교육 최적화(3차년), 교육 안정화(4차년), 교육 지속화(5차년) 등에 2023년까지 270명의 전문인력을 참여시켜 200여 건의 산학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인력양성사업 5개년 추진 전략 >올해 말까지 진행될 1차년 사업에는 한화, 다인정공, 삼익THK 등 기계부품 및 관련 산업계 13개 사와 강원대 등 5개 대학에서 석사과정 22명, 박사과정 8명 등 30명이 14개 팀을 구성하여 참여한다.지난 7월 25일, 공작기계협회는 산학 프로젝트 발굴과 기업과 학생 간 프로젝트매칭을 위해 참여기업과 참여대학이 참석한 가운데 ‘프로젝트 발굴 설명회 및 간담회’를 개최했으며, 이후 8월 29일에는 KT 대전인재개발원에서 멘토-멘티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학 프로젝트 워크숍’을 개최하고 프로젝트 추진 협의 등 본격적인 일정에 돌입했다.앞으로 공작기계협회는 산학 프로젝트를 통해 발굴된 우수한 연구 성과를 확산시키고 인력양성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19년 1월 24일, 25일(예정) 양일간 기계 부품 수요-공급 산업계 관계자를 초청해 『산학 프로젝트 성과발표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이 성과발표회에서는 1차년에 진행된 산학 프로젝트 중 우수 프로젝트로 선정된 10개 팀에게 포스터 전시와 연구과제 발표의 기회가 주어진다.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공작기계산업협회 강소안 본부장은 “산학 프로젝트의 사업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성과발표회를 통해 우수한 프로젝트를 산업계와 공유 할 계획”이라며, “2차, 3차년에는 성과발표회를 확대해 더욱 많은 산학 프로젝트를 산업계에 알릴 수 있도록 발표회를 ‘기계부품 페스티벌’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덧붙였다.공작기계협회는 ‘고신뢰성 기계부품 설계 전문인력 양성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기계부품 및 관련 산업계가 요구하는 맞춤형·실무형 설계 전문인력 양성뿐만 아니라 생산제품의 품질 및 기술경쟁력 제고를 통한 수익 증대와 글로벌 제조환경 변화에 대응한 신기술 개발역량 확보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더불어 본 사업 성공의 핵심을 ‘우수 인재 발굴’에 두고, 예비 대학원생이자 잠재적 사업참여 학생인 4학년 학부생을 대상으로 학교를 직접 방문, 설명회를 통해 적극적으로 사업을 홍보할 계획이다. 이들 학생은 국비 지원 장학금 혜택과 산업계 맞춤형 프로젝트 수행, 현장 및 연구개발실무경험 확대는 물론 특화된 교육으로 경력관리를 통해 취업으로 연계되는 기회까지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강소안 본부장은 “산학 공동연구 프로젝트는 기업에게는 대학원과의 선행연구 등 연구개발을 통해 기술경쟁력 강화를, 학생들에게는 연구개발 과정 참여를 통한 실무역량 습득 및 관련 기업으로의 취업기회 확대를 제공한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역량 강화와 우수한 인재 확보 및 청년 취업의 기회 확대까지 선순환 구조가 마련되면 우리 기계부품 및 관련 산업계의 경쟁력도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용우 2018-10-01
기사제목
- 특허를 통해 본 재활용 기술의 현주소특허청에서 최근 10년(’08~’17년)간의 폐비닐,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관련 국내 특허출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재활용 기술로는 고체연료 제조기술, 유화(油化)기술 또는 건축자재 제조기술 등이 출원되고 있는데 새로운 제조공정이나 장치에 관한 기술보다는 생산성 향상을 위해 기존 공정이나 장치를 개량하는 기술들이 주로 출원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폐비닐,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특허출원 동향[2008년~2017년]자료: 특허청 COMPASS 검색먼저, 고체연료 제조기술은 폐비닐 등을 잘게 분쇄한 다음, 목재 등과 섞은 후 그 혼합물을 작은 알갱이 형태로 압축하여, 연료용 펠릿(pellet)으로 만드는 기술로 이렇게 제조된 연료용 펠릿은 난방 연료나 공장 또는 화력발전소용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고체연료 제조기술은 재활용 기술 특허출원 중 4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유화(油化)기술에 비해 설비가 간단하고, 경제성도 있어서, 사업화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최근에는 연료용 펠릿의 열량을 높이기 위해 폐목재나 하수 슬러지 등 다양한 첨가물을 투입하는 기술이나 제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원료가 되는 폐플라스틱을 종류별로 사전에 선별하는 등 공정을 개선하는 기술이 특허를 받고 있다다음으로, 폐비닐 등을 용융시킨 후 400℃ 이상의 고온에서 이를 분해해 경유와 같은 산업용 연료나, 석유화학 원료로 만드는 유화(油化)기술도 많이 출원되고 있다. 유화(油化)기술은 재활용 기술 특허출원 중 32%를 차지하고 있는데, 폐비닐 등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이나, 불순물을 제거해 생산된 연료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 등이 특허를 받고 있다.마지막으로, 건축자재 제조기술은 폐플라스틱 등을 가열, 성형하거나, 가열 후 다른 금속재료 등과 결합시켜, 건축자재를 제조하는 기술로 재활용 기술 특허출원 중 23%를 차지하고 있다. 건축자재 제조기술로는 보도용 블록이나 지붕 패널, 건물 벽체 등 다양한 건축자재를 제조하는 응용기술들이 주로 출원되고 있으며 건축 내장재보다는 외장재에 주로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특허청 조영길 자원재생심사팀장은 “재활용 기술의 최근 특허출원 동향을 보면 새로운 공정이나 장치에 관한 기술이 아니라 주로 개량기술이 출원되고 있고, 특허출원 건수도 지난 10년간 꾸준히 줄어들고 있어서 이 기술 분야가 이미 성숙단계를 지나 쇠퇴기에 접어든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라면서도, “다만 최근 대기오염이나, 폐비닐 등의 수거, 처리 문제가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만큼 앞으로, 관련 재활용 기술에 대한 관심도 다시 커지지 않을까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이용우 2018-09-28
기사제목
- 올해 수출 6천억 달러 시대 개막 전망… 남은 기간 수출 호조세 지속 전망- 3년간 해외 취업 2,735명, 해외 창업 150개사 목표… 올해 처음 해외 창업 지원 무역관 10개소 지정▲ 기자간담회에서 권평오 KOTRA 사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권평오 KOTRA 사장은 지난 9월 13일, 서울 광화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하반기 수출전망과 KOTRA의 일자리 사업 및 혁신과제 추진 현황 등을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권평오 사장은 “더불어 사는 경제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맞아 전체 기업체 수와 고용에서 우리 경제를 지탱해오고 있는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화와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면서, “중소중견기업이 해외시장 진출을 통해 성장하고 해외 취업·창업 등을 통해 글로벌 일자리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하반기에 KOTRA가 다양하고 혁신적인 지원을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다.글로벌 시장환경 변화에 따른 하반기 수출전망올해 1월~8월까지 수출은 3,998억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6.6% 증가해 사상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주력품목 및 유망소비재‧신산업 모두 호조세를 보이고 있고, 신흥시장으로의 수출이 확대된 점은 긍정적이나, 주력품목 의존도가 높고, 중소중견기업의 수출 비중이 정체되고 있다는 점 등은 염려된다. * 수출 비중(%, ’16→’18. 상): (대) 62.2→65.4, (중소중견) 37.6 → 34.3올해 세계 경제는 미‧중 무역 갈등과 일부 신흥국(아르헨티나, 터키, 브라질, 인니 등) 환율‧금융시장 불안에도 3.9%대의 완만한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며, 글로벌 경기회복 및 주요 신흥국(중국, 인도, 베트남, CIS 등)의 교역 호조에 힘입어 세계 교역은 올해 4.8% 내외 증가해 양호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보호무역주의 확산 및 신흥국 경제구조 변화(내수중심, 임금상승)에 따른 글로벌가치사슬(GVC) 약화로 글로벌 교역의 성장 모멘텀은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하반기에는 상반기(6.3%) 대비 수출증가세 둔화가 예상되나, 세계 IT 경기호조 및 유가상승 등에 힘입어 올해 사상 첫 수출 6천억 달러 시대가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남은 4개월간 $2,002억 수출 필요(작년 $1,987억)KOTRA 일자리 사업 추진 현황KOTRA는 4월 권평오 사장 취임 후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 중으로, ‘글로벌 일자리 창출’을 공사 경영 비전에 포함시켜 전사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해외 취업 및 창업 지원을 통해 양질의 글로벌 일자리 창출에 노력하고 있는데, 해외 취업추진 무역관을 기존 35개에서 올해 50개로 확대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2020년에 해외 취업 성공 1,000명 돌파(향후 3년간 총 2,735명)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해외 진출기업과 한상기업의 ‘1사 1청년 일자리 운동’도 지원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547개사가 동참하고 있고 이 중 87개사에서 144명을 이미 채용했다.* 해외 취업 목표 : (’18) 765명 → (‘19) 900명 → (’20) 1,070명해외 창업의 경우, KOTRA는 글로벌 시장에서 창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글로벌 창업의 촉진자 역할을 수행해 향후 3년간 150개 해외 창업기업 배출을 목표로, 올해 처음 창업거점무역관을 지정*, 밀착 서비스(자금유치, 판로확보 등)를 제공하고 있다.* 해외 창업 지원 무역관 10개소 지정(8월), Global Open Innovation Korea 2018(10월)한편, KOTRA는 주요 무역·투자사업과 연계한 직간접 일자리 창출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먼저, 고용창출을 중심으로 외국인투자를 유치 및 지원하고 유턴기업 지원을 확대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으며, 또한 주요 수출마케팅사업과 연계해 유망 수출기업 취업도 지원하고 있다.* 신규 일자리 창출(’17→’18) : (외국인투자기업) 15,088명 → 16,000명 / (유턴기업) 107명 → 120명* 서울식품전 잡페어(5월, 44명 취업), 중견기업주간 취업상담회(11월) 등을 통해 100명 채용 목표한편, 다문화무역인 육성, 아트콜라보 참여 예술인 지원* 등 고용 취약계층을 위한 혁신적인 일자리 창출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다문화가정 - 다문화무역인 육성 및 취업 지원, 예술인 - ‘아트콜라보 협동조합’ 구성앞으로 KOTRA는 글로벌 일자리 창출 선도기관으로서, 국민과 적극 소통해 일자리 창출 성공사례를 확산시켜 나갈 예정이다.KOTRA 혁신과제 추진 성과KOTRA는 지난 5월 ‘KOTRA다운 KOTRA 만들기’ 혁신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조직, 사업, 조직문화, 인사 등 총 45개 세부 혁신 과제를 도출해 속도감 있게 추진 중이다. 취임 5개월 차인 현재 혁신 과제 실천 진도율 51%(23건 실시)를 달성했다.먼저, 고객과 현장 중심의 조직 운영을 위해, 국내에서는 본사 조직을 슬림화(-17개 부서)하는 대신 지방을 대폭 증원했으며(+1개소, +30명), 해외에서는 선진시장에서 신흥시장으로 11명을 재배치하고, 베트남(다낭), 인도(아메다바드) 등 주요 지역에 무역관을 신설 중이다.고객의 니즈에 기반한 성과와 내실 중심의 사업운영으로는, 역지사지(易地思之)의 정신으로 고객 서비스를 혁신하기 위해 부서별 콜백 담당관 지정, 고객 응대 매뉴얼 수립, 서비스리콜제 등을 도입하고, 무역투자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한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해 올해부터 무역·투자 데이터베이스를 정비·확대하고 있으며, 내년부터는 빅데이터 기반 온-오프라인 통합 수출지원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그리고 해외 전시회, 수출상담회 등 정형화된 사업의 50%를 민간기업과 유관기관에 이양 또는 공동수행함으로써 해외 진출 지원 생태계를 조성할 예정이다. * KOTRA는 지사화 사업, 산업별 선도기업 육성 등 ‘일대일 맞춤형’ 중심으로 재편또한, 국민과 함께하는 개방과 공유, 협업 중심의 조직문화 정착에 따라, 해외 무역관의 회의실, 인터넷, 현지시장 동향 상담 등을 무료로 이용하는 열린 무역관 사업을 확대한 데 이어, 스타트업·中企·지원기관이 공동 근무하며 시너지를 창출하는 공유 무역관 사업을 하노이, 자카르타, LA에서 내년부터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또 12월까지 민간기업‧유관기관을 위한 오픈 API 구축과, 연계된 웹사이트에 실시간 정보 제공 등을 통해 해외 현지에서 수집한 정보가 즉시 공유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마지막으로 외부수혈과 내부전문성 제고를 위한 역량과 실적 중심의 인사 관리로는, 2달여 교육을 마치고 10월부터 근무를 시작하는 청두, 뭄바이를 필두로 한 해외무역관장 대외개방도 진행 중이다. 2차로는 내년 상반기 배치를 목표로 바르샤바, 나고야, 키토, 워싱턴 무역관장직 공모를 9월 17일에 시작한다. KOTRA는 2021년까지 전체의 20%인 총 22개(본사 파견 직원 2인 이상 무역관 113개 기준) 해외무역관장직을 개방한다. 상임이사 및 주요보직은 내부 공모를 통해 임명을 완료했다.권평오 KOTRA 사장은 “지금까지 혁신 과제를 통해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한 기반을 닦는 자체 경영혁신에 중점을 뒀으나, 이를 조기에 완료하고, 앞으로 사업 및 서비스 혁신을 통해 실질적 성과를 창출해 우리 국민과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혁신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용우 2018-09-19
기사제목
- 車, 석유화학, 섬유 등 인도 제조업, 물류 중심… 릴라이언스, 아다니도 구자라트 기반으로 성장- KOTRA, 신남방 정책에 발맞춰 인도에 6번째로 구자라트주 아메다바드에 무역관 개설KOTRA(사장 권평오)는 인도 구자라트주 정부, 주한인도대사관, 주한인도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지난 9월 13일 서울 서초구 JW매리어트 호텔에서 ‘인도 구자라트주(州) 투자환경 세미나’를 개최했다. 무케쉬 푸리 구자라트주 도시개발부 수석 차관을 비롯한 구자라트주 대표단과 한중기업 관계자 90여 명이 참석한 이번 세미나에서 △구자라트주 투자환경 소개 △글로벌 기업 현지진출 성공사례 발표 △산업별 현지 기업환경 발표 △기업 상담회 등이 진행됐다.인도 서부에 위치한 구자라트주는 모디 총리가 10년 넘게 주 총리로 있으면서 추진한 각종 규제 개혁, 산업 및 인프라 개발 정책으로 현재 인도에서 가장 기업환경이 좋고 인프라가 잘 정비된 주의 하나로 평가된다. 한반도와 비슷한 면적에 6천만 명의 인구를 가진 구자라트주는 작년 GDP가 전년대비 13.3% 성장한 2,200억 달러로 인도 29개 주 중 3위를 차지했다.구자라트주는 인도 제조업의 중심이라고 불릴 만큼 자동차, 석유화학, 섬유, 신재생에너지 등 핵심 산업이 발달해 있다. 타타, 포드, 스즈키, 혼다 등 글로벌 자동차 기업이 입주하고 있어 인도의 디트로이트로도 불린다. 또한, 인도 최대 석유화학단지인 다헤즈 경제특구가 입주해 있고, 섬유산업의 중심이기도 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산업 기반을 갖추고 있다. 일본의 경우 약 100여 개 기업이 구자라트에 진출한 반면, 우리 기업의 진출은 미미한 상황이다.또한, 구자라트주는 전통적으로 중국, 중동, 유럽 등을 연결하는 해상교역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해외 진출 인도인(NRI : Non-Resident Indian)의 절반이 구자라트인일 정도로 일찍부터 인도의 글로벌화를 선도해 왔다. 현재 인도의 대표적인 기업인 릴라이언스(Reliance), 아다니(Adani) 그룹이 모두 구자라트를 기반으로 성장했다. 권평오 KOTRA 사장은 “인도는 신남방 정책의 핵심 국가로, 이번 세미나를 계기로 인도 제조업의 중심인 구자라트와 협력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KOTRA는 구자라트주 제1도시인 아메다바드에 인도에서 6번째 무역관을 신설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정부의 신남방 정책에 발맞춰 인도와의 경제협력 기회를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용우 2018-09-19
기사제목
- 산업부·KOTRA, 내수·수출 초보 기업 해외 진출 위한 ‘2018 수출 첫걸음 종합대전 개최’ - 32개국 120개 바이어, 사회적 기업 11개사 등 395개사와 1,000여 건 상담 진행“사회적 약자인 장애인들과 함께 재제조 카트리지 등 친환경 OA기기를 생산해오며 자부심을 가졌지만, 국내 시장가격 경쟁으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KOTRA 수출 첫걸음 사업으로 올해 첫 수출을 이뤘고, 아마존에 위탁판매 수출도 하게 됐습니다”(재제조 카트리지 생산 사회적 기업 심원테크)“샘플 수출 이후 제품을 인정받아 본계약을 추진하던 중국 바이어와의 거래가 사드 사태로 무산돼 막막하던 때, KOTRA 수출전문위원의 지원으로 대체시장 진출을 추진하게 됐습니다. 올해 처음으로 인도시장에 진출하게 됐고, 다른 시장에서도 거래를 위한 논의를 진행 중입니다” (차량 매연저감제 및 연료절감제 생산기업 그리닉스)우리 중소기업들이 새로운 기회를 찾아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도전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백운규)과 KOTRA(사장 권평오)는 내수·수출 초보 기업의 수출 지원을 위해 11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2018 수출 첫걸음 종합대전’을 개최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백운규)과 KOTRA(사장 권평오)는 내수·수출 초보 기업의 수출 지원을 위해 11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2018 수출 첫걸음 종합대전’을 개최했다. 선석기 KOTRA 중소중견기업본부장(오른쪽 2번째), 김선민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정책관(오른쪽 3번째) 등 주요 인사들이 국내 참가업체의 설명을 듣고 있다.이번 상담회에는 32개국에서 총 120개 바이어가 방한해 중소기업 395개사와 1,000여 건의 상담을 진행했다. 특히, 이번 상담회에는 사회적 약자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지역사회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사회적 기업 11개사도 참가해 해외시장의 문을 두드렸다.KOTRA에서는 이번 상담회를 위해 중소기업의 수출 역량과 제품 특성에 맞게 기업별 목표 시장을 선정해 바이어를 발굴했다. 또한, 상담 주선이 예정된 기업-바이어 간 사전 교신을 적극 지원해 내수 및 수출 초보 중소기업의 신규 수출계약 가능성을 더욱 높였다.▲ ‘2018 수출첫걸음 종합대전’에서 국내 참가업체와 해외 바이어가 1:1 수출 상담을 하고 있다.이번 상담회에 참가한 기업 중에는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신시장 개척에 과감히 뛰어든 기업들도 많아 상담결과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높였다. 글로컴전자는 독자적인 알카라인 정수 필터를 개발해 인도의 U사에 1만 달러 규모의 수출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델타이앤씨는 30년이 넘는 플랜트 설계 및 설비 경력과 기술을 바탕으로 일본의 T사와 스마트팜에 쓰이는 농약 자동살포 시스템에 대해 1만 달러 규모의 수출계약을 체결하기도 하였다. ▲ 서울 양재동 aT 센터에서 개최도니 ‘2018 수출첫걸음 종합대전’ 전경또한, 이번 행사에는 여러 공공기관도 참가해 KOTRA와 함께 우리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법무부, 무역보험공사, 서울세관 등 수출 관계기관들은 내수 및 수출 초보 기업에게 가장 절실한 수출계약과 수출금융에 대한 원스톱 상담을 지원했다. 이노비즈, 서울일자리센터 등 고용 관계기관에서도 KOTRA와 함께 인재발굴을 필요로 하는 중소기업과 능력 있는 청년들을 연결하여 일자리 창출을 지원했다. 선석기 KOTRA 중소중견기업본부장은 ”새로운 시장의 개척과 수출확대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내수 시장에 머물고 있는 중소기업들의 수출기업화가 관건이다”라며, “해외 진출을 꿈꾸는 중소기업들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한편,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가치 창출의 소임을 다하기 위해 사회적 기업들의 해외 진출 역시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용우 2018-09-19
기사제목
- 군산 車 부품사 글로벌 파트너링 사업 참여 등 지방고객 니즈 맞춰 해외서 활로- 권평오 KOTRA 사장, “내수 불황 지방 中企, 해외서 활로 모색”▲ 14일 개최된 간담회에는 정밀화학 원료, 자동차 부품, 농기계, 의약품 등 전북지역 수출 주력업종을 중심으로 10개사가 참가했다. 권평오 KOTRA 사장(오른쪽 아래에서 2번째)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권평오 KOTRA 사장은 9월 14일 전북지역 수출기업 간담회를 개최하고 지방 중소중견기업의 수출 애로 현장점검을 이어나갔다. 권 사장은 4월 초 취임 후 1달에 1번꼴로 지방 중소중견기업과 간담회를 갖고 있다(표 참조). 이번 간담회에는 정밀화학 원료, 자동차 부품, 농기계, 의약품 등 전북지역 수출 주력 업종을 중심으로 10개사가 참가했다.권평오 KOTRA 사장 지방 수출기업 간담회 일지▲ 전북지역 수출기업 간담회에서 권평오 KOTRA 사장(왼쪽에서 8번째)과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올해 전국 1~8월 누적 수출액은 3,998억 달러(6.6% 증가)로 사상 최대실적을 기록하며 견고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전북지역도 1~7월 누적 수출액 46.7억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29.4% 대폭 증가했으나,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17.7월), 한국GM 군산공장 폐쇄(’18.5월)로 인한 도내 기업들의 체감 경기는 여전히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간담회에서는 내수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북지역 중소중견기업들은 해외에서 활로를 찾기 위해 KOTRA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내수 위주로 사업을 하는 사다리차 및 자동차부품 전문 제조기업인 우성E&S의 조이행 대표는 “최근 군산지역 경기 침체로 국내 사업이 녹록지 않다”며, “군산소재 기업들이 수출을 통해 재기할 수 있도록 KOTRA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우성E&S는 전북 지원단의 신규수출기업화 사업 멘티기업으로 올해 처음 터키시장에 진출했다. 현재 전북 지원단에서는 해외 마케팅 30년 경력의 수출전문위원 2명을 군산 산업단지 내에 파견해 군산지역 기업들을 현장에서 밀착 지원하고 있다. 특히 군산소재 자동차부품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글로벌 파트너링(GP) 사업 등을 통해 해외사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다. 작년에는 자동차부품, 반도체, 산업기계 품목으로 전북 군산지역 업체 8개사를 포함한 전북지역 36개사가 ‘GTT-KOAA SHOW 수출상담회’, ‘GP USA 2017 in Chicago’ 등 17개의 GP 사업에 참가했다. GP 사업은 우리 부품 소재 중소중견기업이 해외 글로벌 기업의 공급망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돕는 KOTRA의 대표사업이다.알루미늄 창호와 가드레일을 제조하는 원태연 원진알미늄 부사장은 “현재 미국 하와이에 납품을 앞두고 있었는데 최근 미국의 수입산 알루미늄 관세 부과로 인한 납품단가 상승으로 제품가격 등 계약조건 등을 재검토해야 하는 상황이라며”며, “KOTRA의 대체시장 발굴과 수입규제 대응 정보지원이 그 어느 때 보다 필요하다”고 언급했다.권평오 KOTRA 사장은 “KOTRA는 9월부터 광역지자체 단위로 설치된 지방지원단 인력을 2배 이상(19명→49명) 늘리는 등 지방 조직을 대폭 강화했다”면서 “이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수출지원센터․지자체․산업단지공단 등 유관기관과 협업해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지역별 특화산업을 수출산업으로 적극 육성해 지방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남은 하반기에는 아세안, 인도, 러시아 등 신남방·북방지역에 해외 전시회, 무역사절단 등 43건의 수출마케팅을 집중 지원해 대체시장을 개척하겠다”고 밝혔다.간담회에 앞서 권 사장은 송하진 전북도지사를 예방해 경제 체질개선 중인 도내 상황을 면밀히 듣고, 지자체·산단공 등 유관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전북 중소중견기업의 해외시장 진출과 일자리 창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용우 2018-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