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현대보테코
HPF미네날스

기업과인물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 북미 시장 확장 가속… 멕시코 법인·테크센터 홍보 강화에 힘써- 우수한 전동·유압·수직 사출기 선보이며 차별화된 기술력 강조할 것 LS엠트론㈜(이하 LS엠트론)이 2025년 3월 11일(화)부터 14일(금)까지 멕시코 멕시코시티에 소재한 Centro Citibanamex에서 개회하는 중남기 최대 플라스틱 전시회인 ‘Plastimagen 2025’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는 LS엠트론이 멕시코를 포함한 북미 시장으로의 본격적인 확장을 추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이다. 플라스틱 산업의 기술 발전과 혁신을 촉진하고, 관련 기업들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자리인 Plastimagen은 1.5년 주기로 개최되고 있으며, 사출성형기, 금형, 소재, 주변 설비 등 플라스틱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다양한 중남미 최대 규모의 전시회로 평가받고 있다. LS엠트론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멕시코 법인과 테크센터를 적극 홍보하며, 현지 고객사를 집중적으로 공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멕시코 시장 점유율 10% 확보를 목표로 하고, 북미 전역으로의 시장 확대에도 박차를 가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Plastimagen 2025’ 부스 조감도>  NPE 2024, MD&M West 2025의 성공적인 참가를 기반으로 북미 시장 공략 본격화 LS엠트론은 지난 NPE 2024에 이어 최근 개최된 북미 최대 의료기기 및 제조 전시회인 MD&M West 2025의 성공적인 참가를 기반으로 북미 시장에서의 브랜드 입지를 탄탄히 다지며, 이번 Plastimagen 2025에서 멕시코를 중심으로 한 현지 고객층 확대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Plastimagen 2025가 중남미 전역의 주요 바이어와 기업들의 만남의 장인만큼 LS엠트론은 이번 전시회를 전략적으로 활용해 브랜드 인지도 제고 및 기술력 홍보, 네트워크 구축을 동시에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LS엠트론의 멕시코 법인과 테크센터의 강점을 내세우며 현지 밀착형 비즈니스 모델 구축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LS엠트론은 동사만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고객맞춤형 솔루션을 강조하며 전시회 참가를 적극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특히, 고객을 가장 잘 이해하고 사출을 잘 아는 ‘Made for Molders by Molders’로서 사출성형업계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라는 점을 부각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LS엠트론의 LSG-E> NPE 2024, MD&M West 2025의 성공적인 참가를 기반으로 북미 시장 공략 본격화 LS엠트론은 지난 NPE 2024에 이어 최근 개최된 북미 최대 의료기기 및 제조 전시회인 MD&M West 2025의 성공적인 참가를 기반으로 북미 시장에서의 브랜드 입지를 탄탄히 다지며, 이번 Plastimagen 2025에서 멕시코를 중심으로 한 현지 고객층 확대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Plastimagen 2025가 중남미 전역의 주요 바이어와 기업들의 만남의 장인만큼 LS엠트론은 이번 전시회를 전략적으로 활용해 브랜드 인지도 제고 및 기술력 홍보, 네트워크 구축을 동시에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LS엠트론의 멕시코 법인과 테크센터의 강점을 내세우며 현지 밀착형 비즈니스 모델 구축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LS엠트론은 동사만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고객맞춤형 솔루션을 강조하며 전시회 참가를 적극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특히, 고객을 가장 잘 이해하고 사출을 잘 아는 ‘Made for Molders by Molders’로서 사출성형업계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라는 점을 부각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LS엠트론의 LSG-H> <LS엠트론의 LSG-V> 각 산업군에 최적화된 다양한 모델 선보이며, 고객들에게 폭넓은 선택지 제공 LS엠트론은 Plastimagen 2025에 LSG 190E(전동식 소형 사출기), LSG 600H(중형 유압 하이브리드 사출기), LSG 165V(수직사출기) 등 총 3대의 사출성형기를 출품하며, 각 산업군에 최적화된 다양한 모델을 통해 고객들에게 폭넓은 선택지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동·유압·수직사출기 등 다양한 라인업을 선보여 차별화된 기술력을 강조하며, 참관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계획이다.  이번에 전시될 LS엠트론의 LSG 190E(전동식 소형 사출기)는 주로 의료 및 패키징 산업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고속·고정밀 성형이 가능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설계가 특징으로 에너지 절감에 효과가 뛰어난 사출성형기로 평가받고 있다. LSG 600H(중형 유압 하이브리드 사출기)는 커스텀 몰드 산업에 특화된 사출성형기로 멕시코 시장에서 높은 수요를 보이는 제품에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제품이며, LSG 165V(수직사출기)는 자동차 및 배터리 산업에 최적화된 사출성형기로 인서트 사출에 강점을 보이고 있다.  LS엠트론에서는 또한, 스마트 솔루션을 적용해 Industry 4.0 트렌드에 맞춘 기술력을 선보일 예정이다. 사출성형공정의 자동화 및 효율성 증대를 통해 고객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며, 고속·고정밀·에너지 절감 등의 강점을 내세워 멕시코 및 북미 시장의 니즈를 충족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LS엠트론, 최적화된 현지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강화에 힘쓸 것! LS엠트론은 단순한 제품 전시를 넘어, 멕시코 및 북미 시장에서의 인지도 확대와 고객사 확보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특히, 멕시코 사출업계 주요 인사를 초청한 세미나를 개최해 업계 전문가들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기술력을 효과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단순한 제품 전시를 넘어 LS엠트론이 멕시코 및 중남미 시장에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LS엠트론 관계자는 “Plastimagen 2025 참가를 통해 멕시코를 포함한 북미 시장에서 LS엠트론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다질 것”이라며, “고객 맞춤형 솔루션과 차별화된 기술력을 앞세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LS엠트론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북미 및 중남미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더욱 강화하고, 글로벌 사출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의: LS엠트론㈜ 사출사업부 공식 홈페이지: www.lsinjection.comPlastimagen 2025 공식 홈페이지: www.plastimagen.com.mx   
이명규 2025-03-05
기사제목
사출성형기의 A부터 Z까지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며 세계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하이티엔의 아성(牙城)을 국내에 고스란히 전하고 있는 ㈜한국하이티엔(이하 한국하이티엔)이 에너지 절약형 스마트 기능은 물론, 뛰어난 성능과 수준 높은 퍼포먼스를 자랑하는 ‘하이티엔 5세대 라인업(LineUp)’으로 제28회 국제 플라스틱·고무산업전시회(이하 KOPLAS 2025)에 나선다고 밝혀 화제를 모으고 있다. 플라스틱 사출 관련 토탈 솔루션을 실현하고 있는 한국하이티엔은 5세대 하이브리드 정밀 사출성형기(MA2500/1000), 5세대 하이브리드 고속 고성능 사출성형기(MA3300/1650h), 5세대 투플레이튼 하이브리드 정밀 사출성형기(JU4500/2250), 자파 초정밀 복합전동 사출성형기(ZE1500/300hs), 자파 대형 초정밀 복합전동 사출성형기(ZE9000/5200), 하이티엔 샌드위치/혼색 멀티사출성형기(IA1600IJ), 니가타 초정밀 전동 사출성형기(MD180S8000) 등을 KOPLAS 2025에서 고객분들에게 선보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MA2500/1000  스마트 기술, 유연한 통합, 지속 가능한 솔루션, ‘하이티엔 5세대 모델’로 국내 사출성형업계에 새바람 몰고 와 단순한 총판 개념에서 벗어나 고객의 만족을 최우선으로 지향하는 토탈 서비스 업체로서 고객 중심의 마인드와 기본 및 원칙에 준하는 엄격한 사후 관리 및 품질 관리로 고객에게 다가가고 있는 한국하이티엔이 이번에는 5세대 라인업으로 KOPLAS 2025에 출사표를 던졌다. 플라스틱의 원재료부터 가공기계, 부대설비, 자동화솔루션, 인쇄, 포장, 반제품, 완제품까지 여러 가지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관련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플라스틱, 고무 관련 산업의 장’으로 평가받고 있는 KOPLAS 2025는 3월 11일(화)부터 14일(금)까지 고양시 KINTEX 제1전시장에서 그 화려한 막을 올릴 예정이다. MA3300/1650h JU4500/2250 이 자리에 한국하이티엔은 5세대 하이브리드 정밀 사출성형기(MA2500/1000), 5세대 하이브리드 고속 고성능 사출성형기(MA3300/1650h), 5세대 투플레이튼 하이브리드 정밀 사출성형기(JU4500/2250), 자파 초정밀 복합전동 사출성형기(ZE1500/300hs), 자파 대형 초정밀 복합전동 사출성형기(ZE9000/5200), 하이티엔 샌드위치/혼색 멀티사출성형기(IA1600IJ), 니가타 초정밀 전동 사출성형기(MD180S8000) 등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KOPLAS 2025에 출품하는 하이티엔 5세대 하이브리드 정밀 사출성형기(MARS Series)인 MA2500/1000는 전동계량 적용으로 20~40%의 높은 에너지 절약률을 보이는 제품으로, AI 알고리즘 시스템을 이용한 자가진단, 스마트 형개폐, 에너지 소모관리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에너지 보온 커버가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어 난방 및 단열효과가 뛰어나며, 15인치 KEBA 터치스크린이 옵션으로 장착되어 있다. ZE1500/300hs 하이티엔 5세대 하이브리드 고속 고성능 사출성형기(MARS/h Series)인 MA3300/1650h는 사출속도가 200mm/s로 고속 사출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MA2500/1000와 마찬가지로 전동계량을 적용해 20~40% 높은 에너지 절약률이라는 장점은 물론, AI 알고리즘 시스템을 이용한 자가진단, 스마트 형개폐, 에너지 소모관리 시스템과 에너지 보온 커버로 인해 난방 및 단열효과에 강점을 보이는 제품이다. 하이티엔 5세대 투플레이튼 하이브리드 정밀 사출성형기(JUPITER Series)인 JU4500/2250는 앞서 설명한 사출성형기들과 마찬가지로 높은 에너지 절약률과 AI 알고리즘 시스템을 이용한 자가진단, 스마트 형개폐, 에너지 소모관리 시스템 적용, 에너지 보온 커버로 인한 뛰어난 난방 및 단열효과 외에도 전 기종 금형 교환이 용이한 타이바 빼기 옵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자파 5세대 초정밀 복합전동 사출성형기(ZERES Series)인 ZE1500/300hs는 독일 Zhafir 기술의 복합 전동 사출기로, 코어, 에젝터, 노즐 이동을 위한 유압 유닛이 내장되어 있으며, hs 초고속 모델의 사출속도는 500mm/s로 초고속 사출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 외에도 AI 알고리즘 시스템을 이용한 자가진단, 스마트 형개폐, 에너지 소모관리 시스템을 적용했으며, 에너지 보온커버 기본 탑재로 뛰어난 난방 및 단열 효과를 강점으로 가지고 있는 사출성형기이다. ZE9000/5200 자파 대형 초정밀 복합전동 사출성형기(ZERES Series)인 ZE9000/5200는 일반 유압 사출기 대비 에너지 소모를 50~ 70%가량 절감이 가능하며, 사출, 계량, 형체, 에젝터, 노즐을 위한 서보모터를 적용했다. 또한, 코어, 에젝터, 노즐 이동을 위한 유압 유닛이 내장되어 있으며, 마그네틱 클램프가 탑재되어 있다. 하이티엔 샌드위치/혼색 멀티사출성형기(IA Series)인 IA1600IJ는 샌드위치(혼색) 및 순차적 사출이 가능한 제품으로 제품 내부응력 감소 및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고, 분리 노즐밸브를 이용한 다양한 사출이 가능하다. 밸브를 한 번 교차해 사출하면 샌드위치 사출성형이 가능하고, 밸브를 여러 번 교차해 사출하면 이색 사출성형이 가능하다.  IA1600IJ MD180S8000 니가타 초정밀 전동 사출성형기(MD-S8000 Series)인 MD180S8000은 타이바 센서에 의한 형체력 액티브 제어 및 고정밀 저압 금형 보호가 가능하며, 장보압 사출을 할 수 있는 제품이다.(LP사양 보압시간 : 135MPa X 80초 이상) 또한, 0.01mm/s 초저속 사출 제어로 두꺼운 성형품에 특화되어 있으며, 미쓰비시 서보시스템을 이용한 고정밀의 사출 압력 제어가 가능한 사출성형기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석 한국하이티엔 영업부 기술영업상무이사는 “이번에 KOPLAS 2025에서 선보일 예정인 ‘하이티엔 5세대 라인업’은 고객의 니즈(Needs)를 적극적으로 수용해 전체적으로 업그레이드가 되었으며, 기존 3세대에 비해 약 10~15% 사출속도가 향상된 제품들이다”라며, “특히 전 기종에 전동 계량이 기본 옵션으로 정밀한 배합 및 균일한 계량 부분에서 매우 강점을 보이고 있어 참관객분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전했다.  이어 “5세대는 정밀한 전동 계량을 비롯해 중량 편차(IQ Weight), 형개폐 자동 세팅, 데이터 값 자동 산출 등 AI 적용 분야가 확대되어 사출 성형 시, 전반적으로 품질의 안정성이 강화되었다. 또한, 전기료가 약 20%가량 절감되는 등 에너지 세이빙(Energy Saving) 부분에서도 고객분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니 KOPLAS 2025에서 직접 하이티엔의 제품을 만나보시길 바란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하이티엔은 3월 11일(화)부터 14일(금)까지 고양시에 소재한 KINTEX 제1전시장 P485에서 직접 만나볼 수 있으며, 자동화사업부의 FORMAX 제품도 P485에서 동시에 전시될 예정이라 참관객들의 볼거리를 더욱 풍성하게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하이티엔 제천물류센터 전경 기술력을 갖춘 스마트함으로 시장 공략에 나서는 한국하이티엔, 다양한 악재 속에서도 항상 고객의 니즈(Needs)를 적극 수렴! 세계 전문가들은 2025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2.7%로, 글로벌 경제 회복이 여전히 제자리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국내의 경우에는 다양한 악재 속에서 한동안은 경제 상황에 찬 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상황이나, 한국하이티엔에게는 해당 사항이 없는 듯하다.  최근석 기술영업상무이사는 “작년보다도 올해 매출 흐름이 좋다. 작년 매출이 약 12%가량 성장했는데, 올해는 그것보다 목표치를 높게 설정했다”라며, “고객의 만족을 최우선으로 지향하는 토탈 서비스 업체로서 고객 중심의 마인드와 기본 및 원칙에 준하는 엄격한 사후 관리 및 품질 관리를 철저히 하는 당사의 노력이 고객분들의 편견을 깨뜨려 하이티엔 제품에 대한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미 한국하이티엔의 사출성형기에 대한 우수한 기술력에 대해서는 고객분들께서도 충분히 알고 계시지만, 밸류업(Value Up)을 통해 생각하시는 것보다 더욱 우수하다는 점을 어필하고자 한다”라며, “그 자리가 이번 KOPLAS 2025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으며, 고객분들께서 직접 부스에 방문해 몸소 하이티엔 사출성형기의 우수성을 느껴보시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한편, 한국하이티엔은 7,300평 규모의 제천 테크센터를 통해 미래지향적 AI 기술이 접목된 5세대 사출성형기를 비롯하여 플라스틱 종합엔지니어링 시스템이 구축된 모델 팩토리 및 스마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등 최신 기술과 사출성형 기술의 미래를 선보이고 있다.  제천 테크센터는 신속한 물류수송이 가능한 제천 물류센터 및 쇼핑몰(주작동)과 고객을 위한 기본, 전문교육을 위한 기술교육센터인 제천 연수원(본관동), 그리고 이번에 새롭게 증축 준공식을 맞이한 최신 사출성형기와 주변기기 설비를 완비, 시험 사출 및 기술교육, 테스트를 지원하는 솔루션 테크니컬 센터(청룡동) 및 ㈜포멕스인터내셔널 사의 주변기기 취급/관리, 테스트를 진행하는 포맥스 센터(백호동)로 구성되어 있다. 그 외에도 한국하이티엔은 Best Technology Service의 약자인 ‘BTS 미리팀’이라는 서비스팀을 통해 기존의 A/S 개념을 탈피해 미리 찾아가는 서비스로 고객들의 만족도를 한껏 높이고 있다. ‘BTS 미리팀’은 ‘최고의 기술 서비스는 미리 찾아가서 행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단순히 제품을 수입해 판매하는 것이 아닌, 언제나 혁신적인 서비스로 고객의 니즈(Needs)에 부응하는 종합 플라스틱 엔지니어링 기업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는 한국하이티엔의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   문의: ㈜한국하이티엔: 032-327-1891(본사) / www.haitian.kr I.J 쇼핑몰: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양월로 46-12 / 043-645-1891    
이명규 2025-03-05
기사제목
- ENGEL 및 WINTEC과 함께 2개 브랜드 전략을 통해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 오스트리아에 본사를 둔 ENGEL은 1945년에 설립되었으며, 전 세계 각국에 영업법인 및 대리점을 소유한 글로벌 사출성형기 전문업체로서, 다양한 형태의 사출성형기를 포함, 금형과 로봇 그리고 자동화 라인을 전 세계에 공급하여 사출 성형에 관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한국엔겔기계는 이번 Koplas 2025 전시회에 참가해 새로운 사출성형기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에 본란에서는 엔겔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게로 빌메로트(Gero Willmeroth) 사장을 만나, 엔겔 아시아/오세아니아의 경영 전략과 이번 Koplas 2025 출품 품목에 대한 소개, 그리고 엔겔의 미래 전략에 대해 들어보았다.  엔겔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게로 빌메로트(Gero Willmeroth) 사장  먼저, 엔겔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와 더불어 본인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엔겔은 Europe, Asia, Americas 등 3개 권역별로 허브를 두고 있으며, 3대 권역별로 각각의 영업 사장, 생산 사장, 그리고 회계 관리 사장 등 3명의 사장이 있습니다. 저는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영업 및 서비스를 책임지고 있는 사장입니다.  저는 ’97년부터 아시아에서의 직장 생활을 시작해 2008년도에 엔겔에 입사, 2018년부터 아시아/오세아니아 세일즈와 서비스를 총괄하는 사장을 맡고 있으며, 2023년도부터는 한국엔겔기계 평택공장에서 업무를 보고 있고 아내가 한국인으로 한국 생활이 낯설지 않습니다. 엔겔은 전 세계에 9개의 제조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 3개가 아시아에 있습니다. 엔겔은 아시아에 진출한 선구자로서 아시아 최초의 영업 및 서비스 사무소는 1986년 홍콩에 설립되었으며, 2001년 한국에 첫 번째 아시아 공장을 설립하고, 2007년 중국 상하이에 두 번째 공장을 설립한 후, 2014년에 중국 창저우에 WINTEC 브랜드를 위한 아시아 3번째 생산 공장을 개장해 엔겔이 오늘날 아시아 시장에서 성공을 거둘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아시아 시장에 더욱 확고하게 자리 잡기 위한 우리의 전략은 “아시아를 위한 아시아”를 기반으로, 현지 생산 능력 외에도 강력하고 유능한 현지 영업 및 서비스팀을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도 시장에서 엔겔의 입지를 더욱 확대하기 위해 EPM(엔겔 지분 인수)과의 파트너십을 시작했습니다. 엔겔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내의 엔겔코리아 평택공장에서는 중소형 사출성형기를 위주로 victory/e-victory, insert/e-insert, elastomer 적용 elast V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엔겔차이나의 Shanghai, Changzhou 공장에서는 대형 사출기를 위주로 ENGEL duo, WINTEC e-mac과 t-win, e-win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파트너십을 맺고 생산에 들어가는 인도 공장에서는 소, 중, 대형 사출기와 더불어 인도 시장에서 요구되는 모든 기계를 생산할 계획입니다.  지난 1년 동안 엔겔의 활동과 실적에 대해 말씀을 부탁드립니다. 한국의 회계연도하고 좀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 등 자세한 얘기하기는 어렵지만, 2024년은 지정학적 긴장에서 경제적 불확실성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인 도전으로 특징지어졌다고 봅니다.  하지만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엔겔은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멕시코에 있는 공장의 성공적인 시 운전과 더불어 인도 기계 제조업체에 대한 투자를 통해 글로벌 입지를 더욱 확대하기 위한 결정적인 조치를 취했습니다. 인도 시장은 큰 시장이기 때문에 올해 인도 사출성형 시장에서의 입지를 크게 늘리는 것을 목표로 생산, 판매를 시작할 예정입니다. 또한, Chinaplas 2024에서 t-win PRO, e-win PRO를 공식 출시했습니다. 이 제품은 Changzhou 공장의 테크 센터와 오스트리아 본사가 협력해서 아시아에 적합하게 만든 사출기로써 전시회에서 아주 많은 사람의 관심을 받았습니다.  올해 목표는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아시아 전역에 출시하는 것으로, 이번 Koplas 2025 전시회에서도 ENGEL 그룹의 자회사인 WINTEC에서 출시하는 e-win PRO, t-win PRO 모델을 선보일 것입니다.한편, 2024년 9월 창저우 공장에서는 ENGEL Machinery 10주년 기념행사와 더불어 라이브 기계 시연이 있는 ‘모빌리티 데이’를 동시에 진행해 많은 호응을 받았습니다.   그렇다면 이번 Koplas 2025 전시회에서 선보일 사출성형기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올해 Koplas에 참여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코로나 이후 한국에서 처음으로 ENGEL과 WINTEC 제품을 선보이는 대규모 행사로, 이번 Koplas 전시회에서는 victory PRO와 e-win PRO, t-win PRO 시리즈 등 3대의 사출기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Koplas 2025 전시회 부스에서는 먼저, victory 120 모델에서는 LSR 사출을 통해 배터리에 들어가는 Mega seal 성형을 시연할 계획이며, viper 4가 장착된 e-win 1800 PRO에서는 의료용 주사기를 포장하는 nest 성형시연을, 또 WINTEC a-win 15000 로보트가 장착된 t-win 6500 PRO에서는 자동차 부품인 열 관리 모듈을 시연할 계획입니다. 시연에 사용되는 금형은 한국산 금형이며, 한국에서 처음 출시되는 기종인 e-win PRO, t-win PRO 시리즈에 전시 포커스를 맞추고 있습니다. 저희 부스를 방문하시는 고객분들을 위한 디지털 솔루션 전문가 코너에서 더욱 많은 정보를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엔겔은 국내 및 해외 시장에서 어떤 산업 분야를 전략적으로 타겟팅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엔겔은 자동차 및 모빌리티, 포장, 전자, 의료 기술 및 기술 사출 성형의 5가지 산업에 글로벌하게 사업을 집중합니다. 5가지 중에서 자동차 및 모빌리티는 해당 분야에서 플라스틱의 다양한 응용 분야와 높은 생산량으로 가장 강력합니다. 이는 아시아 시장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당사의 사업 개발팀은 5개 사업부 모두에서 성장하는 시장 잠재력이 있는 대상 응용 분야를 파악했으며, 전담 솔루션을 통해 해당 분야에서 당사의 입지를 확대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최근 미국의 관세나 이런 것들이 어떻게 변하게 될지 아직도 아무도 모르고 있기에 상황에 따라서 엔겔코리아 공장이 엔겔차이나 공장의 역할을 더 분담할 수 있으며, 이것은 엔겔이 가진 훌륭한 글로벌 옵션 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엔겔코리아 같은 경우에는 소형기를 만드는 몇 안 되는 글로벌 공장 중에 하나로써, 오스트리아하고 한국에서만 소형기를 생산하고 있다는 것은 중요한 자산으로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2025년 글로벌(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사출성형기 시장을 어떻게 예측하십니까? 그에 따른 엔겔의 마케팅 전략은 무엇입니까? 현재의 글로벌 경제 상황은 우리 산업을 포함한 많은 산업에서 통합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2008년에 엔겔에 입사했을 때 저는 글로벌 금융 위기로 시작했습니다. 이 어려운 시기를 헤쳐나간 후, 우리는 매출이 급격히 증가한 후 장기간 지속적인 성장을 누렸습니다. 하지만 오늘날의 상황은 다릅니다. 다양한 지역에서 여러 위기가 발생했기 때문에 이번에는 비슷한 패턴이 발생하지 않으리라고 예상합니다. V자형 회복은 없을 것이고, 회복 경로는 느릴 것입니다. 이는 엔겔처럼 강력하고 광범위한 기반이 없는 회사에게는 도전이 될 것입니다.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중국, 한국 기업의 투자가 증가하면서 동남아시아의 성장 잠재력이 높아질 것이며, 특히 GDP 성장률 7%가 예상되는 인도가 가장 강력한 시장으로 떠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엔겔은 윈텍과 함께 2개 브랜드 전략을 통해 다양한 지역 요구 사항에 맞게 조정, 충족시켜나갈 방침입니다. 유럽, 아시아, 미주 3개의 허브를 두고 있는 3대 조직 구조는 엔겔의 “글로컬(glocal)” 전략에 대한 증거입니다. 각 허브 경영진은 해당 지역의 운영 및 전략적 주제를 담당합니다. 판매 및 서비스 측면에서 국가 책임자는 현지 고객의 요구에 맞게 더 세분화할 책임이 있습니다. 글로벌 기능을 갖춘 본사는 필요한 프레임 워크와 표준을 제공합니다.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에서 한국 시장과 생산의 점유율은 얼마입니까? 또한 엔겔코리아의 미래 전략은 무엇입니까?엔겔 아시아는 전 세계 엔겔 매출의 약 20%를 차지합니다. 많은 대형 한국 기업은 한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기업으로, 한국의 고객은 국내 및 해외 투자를 모두 담당합니다. 따라서 한국에 있는 당사의 영업팀은 한국에서 국내 사업에 종사할 뿐만 아니라 한국 해외 투자가 이루어지는 곳이면 어디든 글로벌 영업 및 서비스 네트워크와 협력합니다. 동시에 당사의 영업은 한국에 있는 한국 회사의 본사와도 협력합니다. 따라서 엔겔코리아는 두 가지 기능, 즉 아시아 생산 네트워크와 글로벌 영업 네트워크의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엔겔의 경우, 특히 중국에서의 코로나 봉쇄와 무역 장벽의 확대로 인해 경험한 혼란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는 회복성 있는 생산 네트워크를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엔겔코리아 생산 공장은 이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략은 간단합니다. “아시아에서 아시아를 위해” 글로벌 유연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엔겔이 앞으로 추진할 방향과 단기 및 장기 계획을 소개해 주십시오. 엔겔은 매년 R&D에 7천만 유로를 투자, 2018년~2024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약 5억 유로를 투자했습니다. 초대형 기계에 지속적인 투자로 5500톤 사출기에 이어 8000톤 사출기도 생산에 들어가기 시작했습니다. 2025년 아시아 R&D 초점은 WINTEC 제품의 포트폴리오를 더욱 확대하고 어플리케이션 중심 솔루션을 개발해나가는 것입니다. 엔겔 측에서는 변화하는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엔겔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자 노력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우리는 엔겔의 주장인 “최초가 되십시오”에 따라 고객이 해당 사업 분야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해나갈 것입니다. 우리는 Koplas 2025에 이어 사내 세미나를 실시하여 고객 및 파트너와 가장 효율적인 사출 성형 솔루션에 대한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할 것입니다. 엔겔 그룹은 가족경영을 바탕으로 재정적으로 굉장히 안정된 회사로, 앞으로 계속 발전해나가는데 전혀 문제가 없으며, 글로벌 시장 변화와 각 시장의 요구에 맞는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해나갈 것입니다.     
이용우 2025-03-05
기사제목
- 12대의 다양한 사출성형기 출품을 비롯해 참관객들을 맞이할 준비 완료- 테크니컬 센터 및 스크류 실린더관 구축 완료를 통해 더욱 고객 만족도 향상 위해 매진 ㈜우진플라임(대표이사 김익환, woojinplaimm.com 이하 우진플라임)은 KOPLAS 2025에서 ‘스마트 기술로 연결하는 순환의 미래’라는 주제 아래 KOPLAS 2025 전시회에 최대 부스로 참가해 12대의 사출성형기 전시를 통해 자사의 스마트 기능(PLAIMM-X)과 친환경 성형기법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중량 편차를 최소화하는 스마트 중량 제어(Weight Control), 플래시 발생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안티 플래시 모니터링, 사출성형기와 주변 기기의 통신을 통한 주변 기기 통합 제어시스템(EDGE Controller) 등 우수한 스마트 기능과 CXP(친환경 목재 수지) 성형, 고효율 & 친환경 발포성형(Clean-Foam), 고도화된 특수 사출성형 등 친환경 성형 기술의 확장을 이번 전시 부스에서 소개할 방침이다. 이에 ㈜우진플라임의 임하영 영업부문장을 만나 우진플라임만의 마케팅 전략과 향후 계획과 더불어 이번 KOPLAS 2025 출품 사출성형기에 대한 소개를 들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우진플라임 임하영 영업부문장 먼저, 최근 불확실성 때문에 올해 경기가 좋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데, 국내외 사출성형기 산업 현황은 어떻게 보시는지요? 플라스틱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시장 규모와 금액이 정해져 있어 변동이 크지 않지만, 올해의 경우 국내외적으로 여러 가지 여건들이 좋지 않아 경기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상반기에는 큰 기대를 하기 어렵고, 하반기도 지켜봐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기업은 성장해야 하므로, 우진플라임은 지금까지 기본적으로 가지고 왔던 플라스틱 성형시장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장 개척을 통한 매출 확대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몇 해 전부터 우리 장비가 계속 판매되고 있는 신발 분야, 새롭게 진출하고 있는 친환경 목재 수지(CXP) 성형 분야 등 다양한 부분으로의 시장 확대와 함께 고객사의 니즈에 부합하기 위한 특수사출기 개발에도 매진하고 있습니다.또한, 우진플라임 사출성형기는 인하우스 내재화 시스템으로 제작되어 가성비가 좋은 부분이 있습니다. 고객분들께서 이러한 부분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셔서 특수 및 일반 장비할 것 없이 우진 사출기를 많이 찾고 계십니다.   그렇다면, 우진플라임의 많은 장점이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되는 부분이 있다면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당사에 테크니컬센터가 설립되면서 더 많은 고객분들이 방문하고 계시고 센터 내 준비된 장비를 활용한 연구개발과 테스트를 진행하고 계십니다. 사출성형 전문업체들뿐만 아니라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LG전자 등 대기업을 비롯한 원청 업체들도 제품개발 프로젝트 개시 때부터 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인하우스 전시회 등 공장 투어 기회를 통해 우리 장비를 충분히 보셨던 고객분들은 개발 단계에서부터 테크니컬센터를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테크니컬센터에 상시 오픈되는 다양한 장비들을 통해서 최초에는 고려하지 않았던 장비들을 이용해 가성비 좋은 제품을 개발하기도 합니다.  주변 기기 협력사 분들도 테크니컬센터에서 거래처 미팅을 자주 하십니다. 미팅을 하시면서 우리 엔지니어들과 같이 기술적인 논의도 하고, CMS, MES 분야 등 필요한 부분에서 즉시 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요즘에도 ‘같이 개발을 하자’, ‘특수한 사출기를 개발해 달라’는 협업 요구가 많습니다. 우진플라임 사내에서 금형 테스트도 할 수 있고, 개발 초기 단계에서부터 직접 성형을 해볼 수 있는 좋은 틀이 완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인하우스 전시행사에서 만난 고객분들의 말씀 중에서 가장 기분이 좋았던 말은 ‘역시 사출기 하면 우진’이란 말이었습니다.  이번 KOPLAS 2025에는 어떤 기종들을 출품하시는지요. 고객들에게 어떠한 부분을 어필하려고 하는지? 우진플라임은 128 부스에 12대의 사출성형기를 출품합니다. 크게 구분하면, 하이브리드 사출성형기 8대, 전동식 사출성형기 2대, 미세 물리 발포 사출성형기 Super-foam & Clean-foam 2대 등이 전시됩니다.  이번 KOPLAS 전시회에서는 스마트 기능부분을 확대해 보여드리려 합니다. 이전까지는 중량 제어를 한다거나 형체력 및 위치 자동 조절을 해주거나 마모가 많은 스크류 헤드의 예지 버전 등에 관한 스마트 기능들을 전시했었다면, 시판 단계에 이를 정도는 아니지만, 사출 조건을 어시스턴트할 수 있는 AI 기능도 선보일 예정입니다.  숙련된 오퍼레이터뿐만 아니라 숙련이 덜 된 오퍼레이터들도 성형기의 어시스턴트를 통해 좀 더 손쉽게 설비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분들이죠. 이런 기능들을 통해 전기료를 절감시키고, 불량 확률을 대폭 줄임으로써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와 더불어 KOPLAS 2025에서는 성형된 제품이 취출로봇을 통해 컨베이어 벨트로 내려가면 또 다른 로봇이 집어서 포장 상자에 넣는 자동화 시스템을 보여드리려고 합니다. 포장 상자까지 테이핑하고 적재하는 것까지 자동화 시스템이 확보되어 있는데, 전시 공간적인 부분이 협소해서 자동 포장까지만 보여드릴 계획입니다.  마지막으로, 향후 우진플라임이 추구해 나갈 방향과 장단기 계획에 대해 말씀을 부탁드립니다. 우진플라임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기술을 가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사출성형기 제조회사로써 반드시 필요한 설계 기술뿐만 아니라 제품 제조 기술, 그리고 모든 부품에 관한 데이터들을 포함합니다. 물론 저희가 100% 다 완벽하게 할 수는 없겠지만, 우리에게 기술이 없다면 회사의 성장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또 다른 목표는 내재화의 지속적인 확대, 자동화 연구의 확장입니다. 당사도 마찬가지지만 고객사들을 방문할 때 보면 제조회사 쪽으로 인원이 잘 오지 않습니다. 특히 젊은 사람은 더욱 부족합니다. 내재화를 통해 외부 환경에 흔들리지 않는 제조 환경을 구축하고 자동화 연구를 확대해 당사와 고객사의 인력 문제 고민 해결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다음은 새로운 시장 개척, 특수기 개발을 통한 매출 증진입니다. 저압 미세 물리 발포 기술을 적용한 신발 전용 사출성형기의 경우처럼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나가는 것입니다. 특히 신발의 경우 최종 소비자를 상대로 하기 때문에 마케팅적으로도 강점이 있습니다. 제품을 구매할 때 친환경 제품일 경우 고객 선호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데, 우리 저압 미세 물리 발포 기술의 경우에는 기존 화학 발포와 비교하여 친환경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색 이중 사출의 경우에도 공정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전기 등 에너지를 덜 쓰고 가공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분야로의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사출 성형기 산업에서 AI 기능 접목에 힘써 나갈 것입니다. 우진플라임은 부대설비나 기타 장비 없이도 사출 조건을 어시스턴트하는 AI 기능부분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번 KOPLAS 전시회에서도 선보이려고 합니다. AI 기능과 여러 자동화 기능이 합쳐지면 인간의 개입이 점점 줄어들 것이고, 궁극적으로는 100% 무인 제품이 개발되는 날이 올 것입니다. 물론 시간이 걸릴 부분이긴 하지만, 지금까지 개발 속도보다는 훨씬 빨라질 것입니다. 앞으로는 고객의 편의성 확보와 매출 증대가 최종 목표가 될 것입니다. 우진플라임은 이러한 방향성을 바탕으로 꾸준한 기술 개발을 통해서 고객의 이익 창출에 도움이 되는 사출 장비를 만들어 갈 것입니다.     
이용우 2025-03-05
기사제목
반도체 장비 제조기업으로서 꾸준한 성장을 거듭한 인티맥스㈜(이하 인티맥스)는 지난 2023년 1월에 ㈜쓰리디산업영상의 비전자동화팀을 인수합병(M&A)하면서 비전 검사 분야로의 사업을 확장하며 비전 검사 토탈 솔루션 기업으로 거듭나 화제를 모았다. 특히, 2024년 9월 초에 경기도 판교로 사업장 통합 및 확장 이전하며, 인티맥스의 한 단계 도약을 이룩한 동사가 이번에는 KOPLAS2025에 첫 발을 디디겠다고 밝혀 관련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기존에 켜켜이 쌓아온 노하우를 기반으로 KOPLAS2025에서 세 가지 INTIVI 시리즈를 공개할 예정인 인티맥스의 새로운 도전에 대해 김경환 비전사업부문장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다. 사출 관련 업계에 혁신적인 돌풍을 불고 올 것으로 예상되는 인티맥스의 INTIVI 시리즈 플라스틱의 원재료부터 가공기계, 부대설비, 자동화솔루션, 인쇄, 포장, 반제품, 완제품까지 여러 가지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관련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플라스틱, 고무 관련 산업의 장’으로 평가받고 있는 제28회 국제 플라스틱·고무산업전시회(이하 KOPLAS2025)가 3월 11일 (화)부터 14일(금)까지 고양시 KINTEX 제1전시장에서 그 화려한 막을 올린다.  인티맥스㈜의 김경환 비전사업부문장  이 자리에서 반도체 장비 제조기업으로서 한 길을 걸어오다 지난 2023년 1월에 ㈜쓰리디산업영상의 비전자동화팀을 인수합병(M&A)하면서 비전 검사 분야로도 사업을 확장하며, 한 단계 성장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인티맥스가 INTIVI 시리즈를 선보일 계획이라 밝혀 관련 업계에 새로운 돌풍을 예고하고 있다.  김경환 인티맥스 비전사업부문장은 “이번 KOPLAS2025에 참가하게 되어 각오를 새로이 다지고 있다. 기존에 쌓아온 노하우를 통해 비전 검사 토탈 솔루션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는 인티맥스에서는 세 가지의 INTIVI 시리즈로 참관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을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김 비전사업부문장의 소개처럼 이번에 인티맥스에서 공개할 제품은 비전 검사 장비에 대한 지식이 없는 비 전문가도 세팅이 가능한 AI 금형 모니터링 장비인 ‘INTIVI-MM’, AI 골프공 비전 검사 장비로 유명한 ‘INTIVI-GA’와 여러 색상, 재질 및 크기의 제품들을 하나의 장비로 검사할 수 있는 AI 비전검사 시스템 장비인 ‘INTIVI-AI’로 총 세 가지이다.  인티맥스㈜의 INTIVI-MM  먼저 AI 금형 모니터링 장비인 ‘INTIVI-MM’은 비전 검사 장비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비 전문가도 비교적 쉽게 세팅을 할 수 있는 제품으로 버튼 클릭 방식이며, 학습에 필요한 영상을 모으면 자동으로 학습을 시작하는 제품이다. 학습이 완료되면 해당 금형에 대한 검사 작업 생성이 완료되어 작업자가 매우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자동 검사 작업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제품 및 인서트 유무를 모니터링하여 금형의 파손도 최소화한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김 비전사업부문장은 ‘INTIVI-MM’에 대해 “금형 교체가 빈번하고, 저장된 조건과 실제 운영 조건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사출 관련 업계에서 혁신적인 검사 장비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인티맥스㈜의 INTIVI-GA  AI 골프공 비전 검사 장비로 유명한 ‘INTIVI-GA’는 적재, 비전 검사부터 다양한 유형의 결함 분류까지 처리하는 자동화 시스템이다. 제한된 데이터만으로도 다양한 불량 유형 검출이 가능하며, 까다로운 외관 검사까지 할 수 있어 최적의 비전 검사 시스템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다양한 인쇄 제품도 자동 정렬로 높은 외관 검사를 가능케 하며, 차별화된 색채추출도구로 모든 색상 검사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 그 외에도 검사-적재 불량 분류까지 진행할 수 있는 골프공 자동화 장비로써, 현재 한국에 제조사가 있는 미국 브랜드 기업에 설비 공급을 하여 양산품 비전검사에 적용 중이며, 국내외 다수의 기업들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인티맥스㈜의 INTIVI-AI  “여러 색상, 재질 및 크기의 제품들을 하나의 장비로 검사할 수 있는 AI 비전검사 시스템 장비인 ‘INTIVI-AI’는 다품종 검사가 가능해 ‘검사-적재-포장’으로 확장이 용이하도록 개발된 장비이다”라는 김 비전사업부문장의 소개처럼 ‘INTIVI-AI’는 정확도 높은 검사 및 안정성으로 스마트 팩토리 구축의 초석이 되는 장비로 입소문이 자자하다.  인티맥스㈜ 판교 신사옥 전경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지속성을 가지고 고객분들에게 차별되게 다가가고자 한다”라고 강조한 김 비전사업부문장은 “‘A Global Leader in Semiconductor Equipment & Vision Inspection’이라는 슬로건처럼 반도체 장비와 비전 검사 사업, 투 트랙으로 경쟁력 강화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자체적으로 기구, 제어설계, 제작, 비전 소프트웨어를 공급할 수 있는 기업의 수가 많지 않으나, 당사는 그 중에서도 기술력과 서비스 부분에서 타사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인티맥스는 비전 검사 자동화만이 아니라 안정화에 더욱 힘쓰고 있으며, 사후관리 역시 철저히 진행하고 있다”라며, “이번 KOPLAS2025 참여를 통해 새롭고, 다양한 분야의 고객분들을 직접 만나보고자 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라고 덧붙였다.  기술력이 바탕이 된 차별성을 가지고 고객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고 있는 비전 검사 토탈 솔루션 기업 인티맥스는 3월 11일(화)부터 14일(금)까지 고양시에 소재한 KINTEX 제1전시장 P683에서 만나볼 수 있다.   문의: 인티맥스㈜ www.intimaxinc.com   
이명규 2025-02-03
기사제목
- LS엠트론 현재남 사업본부장 친환경적이면서도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 똑똑한 사출성형 솔루션을 선보이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는 LS엠트론㈜(이하 LS엠트론)가 2025년을 맞이하며 양적, 질적 성장 도모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국내외 정치적, 경제적 환경이 녹록치 않은 상황에 중책을 맡게 되어 큰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라는 소감을 밝히며 사출시스템 사업본부장에 취임한 현재남 사업본부장은 “국내외 투자를 통해 꾸준히 성장해오고 있는 사출시스템 사업부를 이제는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 성장을 도모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Top Sales 활성화를 발판으로 국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LS엠트론의 위상을 국내외에 각인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 최근 본지에서는 현재남 LS엠트론 사출시스템 사업본부장을 만나 LS엠트론의 2025년 새해 계획에 대해 들어봤다.  LS엠트론㈜ 현재남 사출시스템 사업본부장  Q. LS엠트론 사출시스템 사업본부장이 되심을 축하 드리며, 각오와 함께 당부의 말씀을 부탁드립니다. A. 감사합니다. 국내외 정치적, 경제적 환경이 녹록치 않은 상황에서 중책을 맡게 되어 큰 책임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그동안 LS엠트론 사출시스템 사업부는 국내외 투자를 통해 꾸준히 성장해왔습니다. 이제는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 성장을 도모해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 저는 두 가지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첫째, Top Sales 활성화를 통해 국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특히 북미 시장에서의 영업 활성화를 가속화하여 글로벌 매출 3,000억 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금년에 새롭게 영입한 전문위원 그룹의 전문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고객들에게 가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겠습니다. 둘째, LS엠트론의 위상을 국내외에 각인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겠습니다. 지난해 NPE 2024 전시회에서는 글로벌 고객과 경쟁사들에게 LS엠트론의 기술력과 고객 솔루션을 충분히 검증받았습니다. 앞으로도 고객의 요구에 신속히 대응하며, LS엠트론을 글로벌 월드베스트 사출기 기업으로 도약시키겠습니다. LS엠트론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모든 임직원이 힘을 합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니,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지원 부탁드립니다. Q. 최근 LS엠트론이 주력하고 있는 사출성형기 모델과 판매율이 높은 모델에 대한 구체적인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LS엠트론은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고성능 제품군과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표준 제품군:특히 WIZ-E Plus 시리즈는 전동식 사출성형기 분야에서 뛰어난 정밀성과 에너지 효율성을 자랑하며, 전자 부품 및 의료기기 제조기업들로부터 높은 신뢰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중대형 제품에 특화된 WIZ-Plus 2 시리즈는 대형 유압식 모델로 자동차 및 대형 가전 시장을 겨냥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꾸준히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WIZ-E Plus고객 맞춤형 솔루션:LS엠트론은 고객의 기술진과 성형 제품의 계획 단계부터 협업하여 최적의 사출 공정과 사출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은 생산성을 최소 2배 이상 향상시키는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앞으로도 고객 맞춤형 사출기 및 사출 시스템 개발에 중점을 두고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또한, LS엠트론은 단순히 사출성형기를 공급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생산 공정과 공장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솔루션을 적용한 스마트 팩토리형 제품 판매를 활성화하고 있습니다. Q. 최근 국내외 시장에서 전략적으로 공략하고 있는 산업군과 그 이유는? A. LS엠트론은 전기차(EV), 자동차 부품, 패키징 산업에서 대형 유압식 제품군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에서는 친환경 전동식 제품군을 통해 정밀성과 생산 효율성을 동시에 제공하고 있으며, 대형 유압식 제품군은 선진 경쟁사들과의 격전지에서 차별화된 기술력을 앞세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의 Pain Point를 해결하기 위해 금형, 레진, 공장 자동화 및 운영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여 고객 맞춤형 제안형 영업을 활성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의 요구를 선제적으로 해결하며 시장에서 강점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Q. 현재 국내외 사출성형기 산업의 현황은 어떠하며, 치열한 경쟁 속에서 귀사의 경쟁력 및 전략은? A. 글로벌 사출성형기 시장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기술 혁신과 친환경 요구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LS엠트론은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스마트 팩토리형 디지털 솔루션과 고성능 전동식 사출성형기를 중심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공장 운영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예지 보전, 예방 점검, 무인화 설비 공급 등을 통해 고객의 생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내수 시장에서는 전동식 제품군 확판을, 북미 시장(미국 및 멕시코)에서는 브랜드 인지도 제고 및 시장 점유율(M/S) 20% 확보를 목표로 선제적 투자를 진행 중입니다. 멕시코 법인의 확장 투자와 현지화된 관리 체계를 통해 고객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북미 Tech Center(텍사스) Q. 2025년도 국내외 전시회 참가 계획 및 매출 확대를 위한 전략, 연구개발 계획 등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A. 2025년 LS엠트론은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두각을 나타낼 것입니다. 우선, Platigenmex, PT XPO, 에너하임 전시회, 그리고 멕시코 몬테레이 지역에서의 주요 국제 전시회에 참가하여 최신 제품과 기술을 선보일 계획입니다. 특히, 북미 Tech Center와 멕시코 몬테레이 지역의 새로운 Tech Center를 통해 현지 고객 지원과 영업 활동을 더욱 강화할 것입니다. 연구개발 측면에서는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과 친환경 고성능 가소화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며, 전동식 사출성형기와 대형 유압식 제품군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또한, 진주 공장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납기 대응력을 강화하여 고객 만족도를 극대화할 것입니다. Q. 현재 국내외의 경기 불확실성이 있긴 하지만 미래 산업에서 사출기가 어떤 방향으로 발전할 것인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A. 사출기의 미래 발전 방향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1. 에너지 절감형 사출기: 에너지 효율성이 중요한 시대에서 발포 성형 기술과 금속 대체 복합소재에 적합한 가소화 기술 개발이 핵심입니다.2. 친환경 소재 대응: PCR, PLA 등 친환경 소재를 효율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수적입니다.3. 스마트 기계화: 사출기의 스마트화와 AI 기반 공정 제어를 통해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는 시대가 올 것입니다.4. 공법 혁신: 다중다색 사출기를 통해 공정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입니다.   NPE2024 현장사진 Q. 말씀 감사합니다. A. 저희 LS엠트론은 고객과 함께 미래를 만들어가는 기업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플라스틱에 대한 친환경적인 접근을 통해 LS엠트론만의 친환경과 관련된 특수 공법들(다색, 발포 등)은 물론, Digital Transformation에 맞는 AI 기술을 선보여 사출 산업에서의 기술 초격차 수준을 선보이고 있는 LS엠트론은 LS엠트론만의 새로운 지평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특히 아틀란타, 시카고에 이어 지난 2024년 3월에 신설한 텍사스주 팔레스타인 테크센터를 교두보(橋頭堡)로 사출성형기 시장 성장률이 높은 북미를 공략하고 있는 동사는 멕시코 몬테레이에도 테크센터를 세우며, 지속적으로 고객을 위한 지원과 성장을 위해 투자할 계획을 밝혔다. 적극적인 기술개발과 투자로 북미를 비롯한 전 세계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계획하며, 중요한 성장기로에 서 있는 LS엠트론의 2025년이 기대를 모으고 있다. LS엠트론㈜ 사출사업부 공식 홈페이지: www.lsinjection.com     
이명규 2025-02-03
기사제목
- HPF는 최고 수준의 제품을 최상의 서비스로 공급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추구- KOPLAS 2025에 참가, 관련 업계에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일 계획    HPF(High Performance Fillers) Minerals Ltd는 독일에 본사를 둔 Quarzwerke 그룹의 자회사로 고성능 필러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 2016년도 7월에 서울에 지사를 설립한 이후 2021년도에는 당진 공장을 준공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 전체에서 고성능 필러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HPF Minerals(www.hpfminerals.com/kr 이하 HPF)는 다양한 광물 원료를 바탕으로 광범위한 제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HPF에서 제공하는 고성능 필러는 도료 및 코팅, 플라스틱 및 탄성 중합체 등의 고분자 응용 분야에서뿐만 아니라 제약 및 치과용 재료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1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Quarzwerke 그룹은 미네랄 원료 생산자로써 우수한 전통을 이어 온 독립적인 가족 회사로,  고품질의 원자재를 현대적이고 효율적인 처리 기술과 결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으며,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항상 지속 가능한 경영과 생태학적 고려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 Quarzwerke 그룹 사업의 포인트는 산업 미네랄의 추출, 가공, 정제로써 당사의 기술적으로 발전한 생산 시설과 고도로 훈련되고 숙련된 직원들은 고객의 요구를 매우 훌륭히 충족시키고 있다. 수 밀리미터에서 수백 나노미터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구성들은 분쇄되고 표면이 개질될 수 있으며, 특히 쿼츠, 카올린, 장석, 규회석, 미카 등은 700여 종의 다양한 품질 제품을 가공해 50여 개국에서 판매되고 있다. 더불어 Quarzwerke 그룹은 DIN EN ISO 9001 및 DIN EN ISO 14001에 따라 인증되었으며, 추출부터 납품까지 품질 보장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HPF의 조갑성 상무는 “Quarzwerke 그룹의 6개 사업부 중 하나인 HPF는 광물 및 합성 소재를 기반으로, 혁신적이고 기능적인 고성능 필러와 첨가제를 개발, 고유한 시스템 솔루션을 만들고 있다.  당사의 고성능 필러는 수십 년 동안 그 가치를 입증했으며, 폴리머 시스템에 놀라운 기능적/광학적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라며, “최근 페인트, 코팅, 접착제 및 플라스틱에 대한 요구 사항은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는 광물 원료의 가공 및 정제 분야에서 수년간의 경험 덕분에 폴리머 결합 시스템에 맞춤형 필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당사의 고성능 필러는 다양한 입자 크기로 제공되며, 당사의 제품군에는 더 높은 충전 수준을 위한 입자 크기 최적화 필러 패키지와 필러 혼합물도 포함된다. 당사의 많은 기능성 필러는 표면 개질되어 있으며, 이는 표면 처리되지 않은 제품보다 폴리머에 통합하기 쉽다. 폴리머와 고성능 필러 사이의 최적 결합은 폴리머 시스템에 특별히 적용된 코팅제를 통해 달성되며, 이를 통해 더 나은 균질화가 이루어지고 따라서 더 나은 기계적 및 열적 특성이 제공된다”라고 덧붙였다. 향상된 폴리머 복합재 성능을 위한 표면 처리 필러 미네랄 필러는 그동안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엘라스토머를 포함한 다양한 범위의 폴리머 시스템에 사용되어 왔다. 또한 보호 코팅, 접착제 및 기타 여러 유형의 폴리머 기반 시스템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많은 산업에서 이러한 고체 첨가제의 주요 기능은 부피를 채우고, 전체 비용을 줄이는 것으로, 매우 비용 효율적인 복합 재료는 활석이나 탄산칼슘과 같은 상품화된 미네랄 필러로 폴리머 시스템을 채워서 얻을 수 있다. 미네랄 필러가 폴리머 매트릭스를 ‘확장’하는 이러한 능력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는 주요 이유 중 하나다. 한편, 무기 필러를 폴리머에 결합하면 성능이 향상되고 새로운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는 것도 하나의 주된 목적이다. 현재 폴리머 재료에 대한 기대는 그 어느 때보다 크다. 예를 들어, 성능 측면은 기계적 특성, 밀도 및 가공성과 관련될 수 있다. 기능성의 예로는 내화성, 열전도성 및 전기 절연성이 있다. 현재 ‘기능성 필러’라고 부르는 이러한 다 기능적 특성은 미네랄 필러를 단순히 ‘확장’하는 재료로 인식하는 것에서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 미네랄 필러에 대한 끊임없는 혁신과 연구, 그리고 빠르게 확장되는 새로운 폴리머 매트릭스의 범위로 인해 가능한 재료 조합과 결과적인 특성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특히 한 가지 혁신은 복합재 설계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능하게 했다. 이것이 바로 미네랄 필러의 표면 개질이다. 역사적으로, 폴리머/미네랄 복합재 분야의 발전은 무기 필러와 유기 폴리머 화합물의 본질적인 비 호환성으로 인해 억제되어왔다. 이러한 비 호환성은 많은 폴리머 매트릭스(예: 폴리올레핀)의 비극성 및 소수성 표면과 대조적으로 무기 필러의 극성 친수성 표면에서 비롯되었다. 결과적으로, 로딩 수준에 비례하여 가공에 어려움이 있고,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필러의 표면 화학은 처리 공정 중에 표면 코팅을 적용하여 수정할 수 있다. 올바른 표면 개질을 선택하면 표면 개질된 미네랄 필러는 필러와 폴리머 매트릭스 사이에 강력하고 유리한 상호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다음 그림에 표시된 SEM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미네랄 필러의 처리 및 분산을 크게 개선한다.  폴리머 매트릭스에서 (왼쪽) 미처리 및 (오른쪽) 처리된 울라스토나이트 섬유(TREMIN®)의 분산을 비교하는 SEM 이미지. 적절한 표면 처리로 기능성 필러의 폴리머 시스템으로의 젖음성과 분산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필러와 폴리머 매트릭스 사이의 경계에서 계면 접착력이 최적화되어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복합재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다. 이에 대한 예는 다음 표에서 볼 수 있으며, 여기서 처리되지 않은 것과 아미노실란 처리된 울라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복합재가 나타내는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기계적 특성을 비교할 수 있다. 표면 처리된 필러로 전환하면 파단 신율과 아이조드 충격 강도가 상당히 향상되는 것이 분명하다.  HPF의 조갑성 상무는 “’21년에 준공한 HPF 당진 공장에서는 독일에서 들어 온 광물을 사용 용도와 기능에 맞게끔 Customizing 하여 제작, 다양한 산업에 제공하고 있으며, 다양한 광물에 따라 볼 밀(ball mill) 또는 제트 밀(Jet mill) 가공을 해야 하는데 당진 공장에는 볼 밀과 제트 밀 생산 장비와 더불어 표면 처리를 위한 전용 믹서를 갖추고 있다”라며, “독일 설비를 그대로 들여와 국내에서 모든 생산이 가능하고, 한국 이외에도 중국, 일본, 대만, 동남아 지역으로 공급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HPF는 하이 퍼포먼스 필러 제조를 위한 표면 처리(surface treatment) 기술을 핵심으로 고객이 요구하는 최적의 고기능성 필러를 공급하고 있다.  주요 제품 소개 실리카: 탁월한 내화학성 및 내후성실리카(SiO2)는 암석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광물 중 하나다. 퇴적암과 퇴적물뿐만 아니라 마그마 변성암(magmatic metamorphous)에서도 발견되는 성분이다. 기본적으로 SiO2는 자연 상태에서, 삼방정계의 결정구조를 가진 실리카(trigonal silica)로 존재한다. 산업에의 활용에 있어서는, 강력한, 운용이 가능한 규사 광상이 대단히 중요하다.  그런데도, 실리카를 원료로 직접 사용하기에는 그 화학적 순도와 균일성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따라서 당사의 공장에서는 채굴된 규사를 철저한 절차를 통해 준비하며, 광범위한 세척, 분급, 건조 및 철분 오염이 없는 분쇄 공정을 거쳐, 원료는 실리카 조, 미분과 분말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당사는 분쇄 및 분급 기술을 미세하게 조정 및 결합하여, 입자 크기가 1μm 이하인 실리카 분말을 생산하고 있으며, 또 다른 정제 단계에서는 각각의 용도에 적절한 조정을 위해 실란 또는 실란계 물질로 표면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실리카 기반 고성능 필러 제품: MILLISIL®/ SILBOND®/ SIKRON®/ SILMIKRON® 크리스토발라이트: 눈부신 백색 소재크리스토발라이트는 실리카의 고온 변형체다. 실리카와 달리, 크리스토발라이트(cristobalite)는 자연 상태로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크리스토발라이트는 1.500°C까지 가열하여 순수 실리카로 만든다. 이 소성 과정을 통해, 그 격자형 구조는 확장되며, 밀도는 2.35g/cm³로 감소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생성된 기포는 음의 굴절률과 우수한 휘도를 제공한다. 실리카와 마찬가지로 크리스토발라이트는 화학적으로 비활성이다. 300μm의 중간 입자 크기를 갖는 제품부터, 1μm의 입자 크기를 갖는 미분화된 분말 제품까지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크리스토발라이트 기반의 고성능 필러 제품: SILBOND®/ SIKRON®/ SILMIKRON®  규회석: 보강력과 낮은 열 팽창성규회석은 약 450°C에서 형성되는 천연 규산 칼슘이다. 규회석 입자의 구조는 자연조건뿐만 아니라 사용된 준비 기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정 가공 기술을 사용하여 낮은 형상 종횡비(LAR)로 거의 블록과 같은 형태의 입자 구조에서, 높은 형상 종횡비(HAR)를 갖는 예외적인 침상 구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입자 구조를 가진 HPF 규회석 분말이 생산된다. 규회석 기반의 고성능 필러 제품: TREMIN 283 / TREMIN 939  카올린: 강화 특성을 가진 미세 필러카올린은 자연 발생 원재료이며, 범위 가공(extent processing)을 통해 공업용 원료로 정제된다. 카올린은 물 분리 기법을 통해 보조 광물(accessory mineral)로 분리되며, 서로 다른 입도 분포의 분급 공정은 드럼 세척기, 사이클론 분급기 및 원심 분리기를 통해 수행된다.  침전, 여과 및 건조 공정은 이에 뒤이어 실시되며, 해당 공정을 통해 탈수가 진행된다. 표백제 및 자기 분리기는 다양한 카올린 제품에 개선 효과를 제공하며, 1,000°C에서 이루어지는 소성 처리를 통해, 백색 카올린은 고무 응용에 이상적인 제품이 된다. 카올린 기반 고성능 필러 제품: CHINAFILL, K-BRITE, CALK 수산화알루미늄: 백색의 난연제수산화알루미늄은 보크사이트에서 합성을 통해 생성되며, 수산화알루미늄의 두드러진 점은 난연성(180°에서 탈수), 높은 백색도 및 낮은 경도이다. 수산화알루미늄 기반의 고성능 필러 제품: HYDRAFIL®  백색 용융 알루미나: 높은 강도 및 투명성백색 용융 알루미나는 인공 제품이다. 전기로에서 고품질의 알루미나를 녹여 생산하며, 백색 용융 알루미나는 약 99% α-산화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다. 백색 용융 알루미나의 두드러진 특성은 높은 경도와 투명성이다. 이보다 단단한 광물은 다이아몬드뿐이다.  강도가 상당히 높으므로 시중의 분쇄기술로는 분쇄가 어렵다. 미분화된 백색 용융 알루미나 분말 제품인 SEPASIL은 좁은 입도 분포를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정제 단계에서는, 각 응용 분야 맞추어 조정할 수 있는 실란 또는 실란 기반 물질들을 사용하여 표면 처리를 실시한다. 백색 용융 알루미나 기반의 고성능 필러 제품: SEPASIL®EK  SILATHERM®: 폴리머의 열 전도성 개선새롭고 혁신적인 플라스틱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열 전도성 플라스틱은 수많은 주목할만한 장점들이 있기 때문에 향후 점차적으로 더욱더 광범위하고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 플라스틱을 사용하면 경량 구조를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출성형을 통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복잡한 형상을 제조할 수 있다. 고유의 열 전도성이 높은 특수 필러들을 추가하여 플라스틱 소재의 열 전도성을 상당히 늘릴 수 있다. 제품군 SILATHERM®으로 열 전도성 개선하는 광물 필러 기반의 효율적인 솔루션을 개발했다. 또한, 이 필러들은 전기적 절연 효과도 있으며, 기계적 강도를 개선했다.   혁신 역량과 여러 미네랄을 정제하기 위한 새로운 공정의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에 전념하고 있는 HPF가 2025년 3월 11일부터 14일까지 일산 킨텍스 전시장에서 개최되는 KOPLAS 2025에 부스 참가를 하니, 이번 전시 부스를 통해 HPF의 다양한 미네랄을 기반으로 한 고성능 필러(High Performance Filler)를 만나 볼 수 있기를 바란다. www.hpfminerals.com/kr    
이용우 2025-01-06
기사제목
- 휴먼텍만의 차별화된 솔루션과 서비스 제공을 기반으로 공격적인 해외시장공략 결과    지난 12월 11일, 취출로봇과 공장자동화의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휴먼텍(대표이사 황교중 www.humantechubot.com 이하 휴먼텍)은 제61회 무역의 날에서 ‘500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다.      한국무역협회가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국가적 행사인 무역의 날은, 매년 수출 확대 및 질적 고도화, 신시장 개척 등에 공헌한 기업과 개인을 대상으로 포상을 진행한다. 통상 무역의 날은 서울에서 개최가 되나, 지역 소재 기업이 참여하기 여려운 여건을 감안하여 각 지역의 무역협회가 별도로 주최를 하고 있다. 이에 한국무역협회 인천지역본부와 인천시가 지난 12월 11일 연수구 송도컨벤시아에서 ‘2024년 인천 무역의 날’ 기념식을 열고 수출의 탑과 수출 유공자를 포상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총 104개 사가 수출의 탑을 수상했으며, 52명이 수출 유공 포상의 영예를 안았다.  휴먼텍은 국내 시장뿐만 아니라 해외 진출고객들과 해외 시장을 찾아 창립 10주년을 맞이한 지난해에는 미국법인 HUBOT USA를 설립하는 등 해외에서도 휴먼텍만의 차별화된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해나가고자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글로벌 시장 진출에 전력투구 2014년 설립 이래 공장자동화와 취출로봇에 특화된 기술을 선보이며 가파른 성장을 이어오고 있는 휴먼텍은 자동차 부품의 취출, 인서트 전후 공정 자동화부터 가전 부품 제조공정 자동화, IML 인서트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ONE-STOP 생산시스템을 구축해 고객사가 생산성 향상과 공정 단축을 통한 원가 절감으로 제품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취출로봇과 공장자동화의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휴먼텍은 지난해 미국 현지에 이차전지 부품 자동화 라인을 설치했다.  동 설비는 취출로봇(HERO)를 이용한 부품 취출/인서트 자동화와 부품 중량 측정 및 레이저 마킹, Main Conveyor 및 Sub Conveyor Line에 대한 일괄 자동화시스템으로, 특히 인서트는 안정적인 동작과 최적의 설계로 Cycle Time을 단축하여 생산량을 극대화하였으며, 이외에 후공정으로 제품 중량을 0.01g 단위까지 측정하여 양품과 불량품을 판정, 미연에 불량품 혼입을 차단하고 양품만 레이저 마킹하여 생산정보를 시스템에 기록, 관리하는 전라인 자동화 공정이었다.  이외에도 BUSBAR FRAME 자동화 라인에서부터 BMA COVER, VOLT SNSG, Battery Cartridge Insert System까지 이차전지 관련 자동화 라인을 대거 수주하며, 바쁜 한 해를 보냈다.    휴먼텍 황교중 대표이사는 “최근 전 세계의 긴축 정책으로 인해 산업 전반에 걸쳐 국내외 시장이 상당히 위축되어 있다. 반면, 공장자동화 시장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존 취출로봇 시장도 공장자동화를 연계한 산업군으로써 일정 기간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본다”라며, “더불어 스마트 팩토리 등 정부의 산업 정책도 상당한 성과를 이루면서 자동화 보급은 점점 늘어 날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더불어 “이에 휴먼텍은 수년간의 축적된 기술로 고객에게 경쟁력 있는 제품으로 고객 감동을 실현하고 있다”라면서, “2014년 창업 이래, 전 직원이 고객 만족을 위해 상호신뢰를 기반으로 항상 낮은 자세로 고객의 소리를 들으며, 더 나은 기술개발, 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하며, 본격적으로 해외 진출 및 현지 고객에 대한 신속한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각오를 다졌다.    
이용우 2025-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