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현대보테코

캐미칼리포트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 포스텍 內 산학일체 연구센터 열고 스틸코드 제조공정 기술 향상 도모   효성은 지난 4월 10일, 조현상 전략본부장(사장)과 포스텍 김도연 총장, 이병주 산학일체 연구센터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포항공과대학교(이하 포스텍)와 산학일체 연구센터 출범 및 연구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효성은 이번 협약을 통해 포스텍과 앞으로 3년 동안 스틸코드(Steel Cord) 기초기술 향상을 위한 연구 과제를 수행할 계획이다. 스틸코드는 타이어 보강재 중 하나로 효성은 2011년 굿이어와 단일공급계약으로는 업계 최대 규모의 장기공급계약을 체결하며 기술과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기도 했다. 협약 체결에 앞서 이 센터장은 연구계획을 공유하고, 금속재료 및 나노기술 분야 전문가인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이병주 교수, 박찬경 교수, 황운봉 교수를 중심으로 스틸코드 제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공정조건을 연구, 최적의 공정조건을 도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포스텍은 이론 실험을 전담하고, 효성은 실제 제조설비를 이용해 포스텍이 제안하는 이론들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조 사장은 “효성은 산업입국을 위해 지난 50년 간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일류 제품을 독자기술로 개발해왔다”며, “이번 MOU 체결로 진행되는 포스텍과의 공동연구는 우리 회사가 기술적으로 한 단계 더 진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향후 양측이 서로 성장할 수 있는 결과를 창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김 총장도 “지금까지의 산학협력은 대학이 기업의 문제를 인식하는 지점과 기업의 문제해법 도출을 위한 노력 사이에 발생하는 차이를 좁히기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며, “산학협력을 통해 국가발전에 기여하겠다는 건학 이념을 가진 포스텍이 지향하는 것은 기업과 대학의 ‘일체’를 통한 더 큰 가치 창출”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총장은 포스텍이 지향하는 가치에 공감해준 효성의 발전에도 실제로 기여할 수 있는 연구 성과가 나오길 바란다고 전했다. 효성은 포스텍과 산학일체연구에 관한 협약 체결식을 가진 뒤 제 1공학관 건물에 산학일체연구센터를 개소하고 현판식을 가졌다. 왼쪽부터 정완균 포스텍 산학협력단장, 이종람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주임교수, 포스텍 황운봉 기계공학과 교수, 박찬경 신소재공학과 교수(나노융합기술원장), 이병주 효성-포스텍 산학일체연구센터장, 김도연 포스텍 총장, 조현상 효성 전략본부장(사장), 황정모 효성 타이어보강재PU장(부사장), 야마다 요시아키 효성 산업자재PG 상무, 김민안 효성 강선연구소장(상무).한편 이날 협약 체결과 함께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건물에 산학일체연구센터를 개소하고 현판식을 가졌다. 효성은 상주 연구원을 파견해 원활한 현장 실험을 지원하고, 포스텍은 산학일체교수* 2명을 추가로 채용해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산학일체교수는 포스텍이 지난해 국내 최초로 도입한 제도로서, 기업이 자사 연구에 필요한 인력을 교수 후보로 추천하면 대학이 이를 심사, 교수로 채용한다. 인건비는 대학과 기업이 공동으로 부담한다. 
이용우 2017-04-11
기사제목
- 고성능 컴포지트 시트 테펙스(Tepex®) 소재 사용해 기존 알루미늄대비 무게 50% 감소   독일계 특수화학기업 랑세스(LANXESS)가 메르세데스-벤츠와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1㎜두께의 초박형 경량 모듈랙 개발에 성공했다.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 컨버터블용으로 개발된 이번 모듈랙은 다양한 기능의 제어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부품으로 랑세스의 연속섬유 강화 반가공 폴리아미드 6 컴포지트 시트인 ‘테펙스(Tepex dynalite)’ 소재를 적용했다. 기존 알루미늄 부품대비 50% 무게 저감은 물론 여러 부품이 통합된 완성부품을 한 번의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어 추가적인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왔다.랑세스는 소재 외에도 하이브리드 성형공법으로 무게 경량화 효과를 극대화했다. 다양한 기능부품이 장착되는 모듈랙은 넓은 표면적을 요구하기 때문에 주입 압력을 충분히 낮추기 위해서 벽을 두껍게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직조된 컴포지트 시트인 테펙스를 적용해 0.5×0.5m 크기, 1㎜ 두께의 초박형 모듈랙으로 제작이 가능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컴포지트 시트인 테펙스를 포밍공정과 고강도 하이테크 플라스틱 폴리아미드 6 듀레탄(Durethan®)과의 사출성형 공정을 한 번의 원스톱 공정으로 성형해 공정의 간소화도 실현했다. 랑세스는 이번 공동 프로젝트의 성공에 힘입어 현재 다양한 시스템 공급업체 및 자동차 제조사와도 공동 개발을 추진 중이다. 랑세스코리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사업부 한상훈 이사는 “이번 초박형 경량 모듈랙 개발 프로젝트의 성공은 랑세스의 독보적인 연속섬유강화 폴리아미드 컴포지트와 하이브리드 성형공법을 통한 경량화 설계의 발전을 입증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향후 다양한 시스템 공급업체 및 자동차 제조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컴포지트 설계를 활용한 모듈랙 적용사례를 확대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랑세스는 테펙스를 비롯한 듀레탄(Durethan®), 포칸(Pocan®) 등 고성능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공급자로서 전 세계 유수의 자동차사에 경량화 소재 및 기술을 제공하며 자동차 연비 향상, 탄소배출 저감화 실현에 기여하고 있다.  
이용우 2017-04-10
기사제목
- 쉐브론 필립스 케미칼 및 대림산업 여수공장 합병 완료이네오스 스티롤루션(INEOS Styrolution)이 쉐브론 필립스 케미칼(Chevron Phillips Chemical) 및 대림산업의 스타이렌-부타디엔계 합성수지(SBC·styrene-butadiene copolymers) 사업부문 인수를 완료했다. 한국 이네오스 스티롤루션에 따르면, 이번 두 회사로부터 사업부 인수는 작년 10월 말 합의한 계약에 따라 △KR코폴리머의 지분권 △K-레진의 SBC사업 지적 재산권 △SBC 관련 자산 등이 포함된다. 특히 이네오스 스티롤루션의 글로벌 생산기지에 여수 석유화학단지에 위치한 대림산업 SBC 공장이 추가된다. 이에 따라 이네오스 스티롤루션의 SBC 사업은 K-Resin, Styrolux, Styroflex 등 3개의 브랜드로 확장된다. 포장재 및 헬스케어 등의 산업분야에서 SBC 스페셜티 제품군을 갖췄다는 평가다.케빈 맥퀘이드 이네오스 스티롤루션 CEO는 “이번 인수를 기반으로 ‘트리플 시프트’ 성장전략을 더욱 강력히 추진할 것”이라며, “폴리스티렌 및 ABS와 같은 범용제품 뿐만 아니라 SBC와 같은 스페셜티 제품을 포함하는 제품군을 아시아 외에 중동·아프리카·미주 전 지역에서 생산함으로써 시장지배력을 확장할 것”이라고 말했다.이네오스 스티롤루션의 ‘트리플 쉬프트(Triple Shift)’ 전략은 고성장 산업분야 공략, 스페셜티 및 범용 ABS시장 확대, 그리고 신흥시장 마케팅 강화 등이다. 스티브 해링턴 이네오스 스티롤루션 아태지역 사장은 “아시아 지역에 새로운 생산 공장을 통합하게 돼 기쁘다”면서 “강력한 SBC 팀으로 신속히 통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네오스 스티롤루션(INEOS STYROLUTION)은 지난 2011년 독일 화학그룹 바스프(BASF)와 영국 화학기업 이네오스(INEOS)의 합작사로 출범했다. 이후 2014년 11월 이네오스가 바스프측 지분 50%를 취득함으로써 이네오스그룹의 계열사로 운영된다. 이네오스 스티롤루션은 스티렌모노머(SM), 폴리스티렌(PS), 범용 ABS 및 스티레닉스 스페셜티 제품을 전문으로 생산하는 화학업체다. 전 세계 9개국에서 15개의 생산 공장을 가동하며, 3100명의 임직원을 두고 있다. 2016년 기준 연간 매출액은 45억 유로를 나타냈다.
이용우 2017-04-04
기사제목
- PC, PLA, ABS 등 기존 소재 문제 해결… 앞으로 3D 프린터 소재시장 선도할 것 SK케미칼이 3D 프린터 소재를 컨퍼런스에 처음 선보였다. SK케미칼(사장 김철)은 지난 3월 16일, 미국 뉴욕에서 개최된 ‘인사이드 3D 프린팅 컨퍼런스 & 엑스포 2017’(Inside 3D Printing Conference & Expo 2017)에서 국내 업체로는 유일하게 ‘3D 프린팅을 위한 혁신 소재’를 주제로 ‘스카이플리트’를 발표했다.스카이플리트는 SK케미칼이 최근 개발한 3D 프린팅 전용 플라스틱 소재 브랜드로 G, E 시리즈를 비롯해 4가지 제품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카이플리트는 기존에 3D 프린터 소재로 주로 사용됐던 PLA, ABS, PC의 문제점을 해결해 업계 관계자들의 좋은 평가를 받았다. PC, ABS 소재의 경우 230℃ 이상의 3D 프린터 출력과정에서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 휘발성 유기 화합물)와 비스페놀A 등과 같은 환경호르몬 물질 발생의 우려가 있다. 또한 출력물이 뒤틀리는 와핑(Warping)현상이 종종 발생해 산업용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소개된 ‘G시리즈’는 미국 FDA의 인증을 통과해 의약품 패키징에 사용될 정도로 안전성이 입증된 친환경 소재로 ABS와 달리 제조과정에서 악취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고광택이나 무광택의 다양한 표면표현이 가능하고 와핑현상 없이 출력물을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정교한 산업용 제품을 제작하는데 적합한 소재로 주목 받았다. 이어 소개된 ‘E시리즈’는 생분해성 소재인 PLA의 장점은 살리면서도 내열도를 높여 업계 관계자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일반적인 PLA 소재가 50℃ 정도의 열을 견디는데 반해 E시리즈는 100℃의 높은 열을 견딘다. 또한 기존 PLA대비 2배 이상의 프린팅 속도를 낼 수 있어 빠른 작업도 가능해졌다. 이날 발표를 맡은 SK케미칼 오준석 사업개발팀장은 “3D 프린팅의 용도가 개인취미용에서 산업용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PC, ABS, PLA 등 기존 소재의 단점을 보완한 스카이플리트가 앞으로 3D 프린터 소재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3D 프린팅관련 ‘Wohlers report 2016’에 따르면, 2015년 기준 3D 프린팅 소재시장은 연간 9,000억 원 규모로 매년 20%이상 고성장이 예상된다. SK케미칼은 이번 인사이드 3D 프린팅 컨퍼런스를 시작으로 세계 3D 프린팅 시장의 40%이상을 차지하는 미주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 SK케미칼 오준석 사업개발팀장이 인사이드 3D 프린팅 컨퍼런스에서 스카이플리트를 소개하고 있다.
이용우 2017-04-04
기사제목
- 무색·무취·무독성의 고부가 접착제 원료, 범용대비 수익성 2배 이상한화케미칼(사장 김창범)이 수첨(수소첨가)석유수지 사업에 진출한다. 2019년 시장진입을 목표로 최근 전남여수 국가산업단지 내에 연산 5만 톤 규모의 공장건설에 들어갔다. 투자비는 1,300억 원 규모다.  수첨 석유수지란 나프타 분해과정에서 생산되는 유분의 일종인 C5로 만든 석유수지에 수소를 첨가한 것이다. 무색·무취·무독성으로 기저귀, 생리대 등 위생제품용 접착제나 산업용 접착제의 원료로 주로 사용된다. 해외 주요 생산업체들은 이스트만, 엑손모빌 등이며, 작년 세계 시장규모는 약 40만 톤 수준으로써 매년 7% 가량 안정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 특히 아시아 시장은 인구증가 및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위생용품 시장의 성장속도가 빨라 향후 연평균 10%이상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제품 특성상 시장의 수요가 다양하고 트렌드 변화가 빨라 맞춤형 제품 개발능력이 필수적이며, 수소첨가 공정에 고도의 기술이 필요해 진입장벽이 높고 경기변동에도 안정적이다. 한화케미칼은 다양한 조건에 맞춰 접착성을 조절할 수 있는 응용기술을 확보했다. 또한 계열사인 여천NCC와의 장기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원료공급이 가능하고, 수소첨가 공정의 핵심인 촉매기술의 자립화를 통해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낮춰 범용제품 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익이 가능하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한화케미칼은 기존 접착제용 수지사업과의 시너지를 강화하는 한편 수첨 석유수지 시장글로벌 1위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한화케미칼은 기존의 C2(에틸렌)중심의 사업에서 C5 유분을 활용한 사업에 진출함으로써 사업구조를 다각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수첨 석유수지 사업은 물론 다양한 특화제품 사업진출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 C5 : 나프타를 열분해할 때 나오는 유분 중의 하나로 탄소 연결고리가 다섯 개로 이루어져 있다. 원유에서 분리한 나프타(naphtha)를 열과 압력으로 가열하면 유분이 분리되는데, 탄소 연결고리의 개수에 따라 2개는 C2(에틸렌), 3개는 C3(프로필렌), 4개는 C4(부타디엔), 5개는 C5로 불린다.
이용우 2017-04-04
기사제목
- 수요 견조 및 제한적인 증설로 단기적 호황 유지 전망한화토탈이 에틸렌과 프로필렌 등 주요 석유화학제품 시황 호조에 힘입어 NCC(나프타분해설비) 생산능력 확대를 추진한다. NCC는 석유를 증류해 나온 나프타(Naphtha)를 석유화학제품의 기초 원료인 에틸렌, 프로필렌 등을 생산하는 설비다.관련업계에 따르면, 한화토탈은 올해 중으로 대산석유화학단지에 위치한 연산 109만 톤 규모의의 NCC 생산능력을 20~30% 가량 확대하는 작업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NCC를 통해 생산되는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시황이 호조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지난해 국내 석유화학사들의 최대실적 달성을 견인했던 에틸렌 마진은 여전히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에틸렌 가격은 지난해 12월 톤당 1,140 달러대를 넘어선데 이어 최근에는 1,200 달러대까지 올라서며 나프타대비 스프레드도 750달러의 고마진을 보이고 있다. 프로필렌 가격 역시 올해 들어 톤당 900 달러대까지 치솟으며 나프타대비 스프레드도 480달러를 보이고 있다. 한화토탈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사업승인이 내려지진 않았지만 현재 생산량에서 20~30% 가량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미 LG화학, 롯데케미칼 등 NCC를 보유한 화학사들은 지난해부터 증설에 뛰어드는 등 선제적 투자에 나선 상황이다. 롯데케미칼은 여수공장에 2,530억 원을 들여 에틸렌 기준 20만톤 설비를 증설한다. 이 설비는 오는 2019년 상업생산이 목표다. 이와 함께 LG화학은 오는 2019년까지 충남 대산공장에 2,870억 원을 투자해 NCC 에틸렌 생산규모를 23만 톤 늘린다. 증설이 완료되면 LG화학 대산공장의 에틸렌 생산량은 104만 톤에서 127만 톤으로 확대돼 세계 NCC 단일공장 중 최대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대한유화는 올해 상반기 NCC설비 증설이 완료될 예정으로 생산능력도 기존 47만 톤에서 77만 톤으로 확대된다.  업계 관계자는 “견조한 수요 및 제한적인 NCC증설 등을 감안하면 향후 업황은 긍정적”이라며 “단기적으로 글로벌 석유화학 산업의 강세 기조는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용우 2017-04-04
기사제목
- 조기투자 주효, 사상 최대실적 경신 예상대한유화가 오는 5월 나프타분해설비(NCC) 증설 준공을 마무리하고, 7월부터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간다. 석유화학 업황 호조가 올해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는 물론 역내(아시아 지역)에서 NCC 증설을 통해 연간 생산량이 늘어나는 곳은 대한유화가 유일한 것으로 알려졌다.관련업계에 따르면, 대한유화 온산공장은 3월 말부터 5월 말까지 정기보수에 들어간다. 보수가 마무리되는 시점에 맞춰 2015년부터 투자에 나선 NCC설비 증설도 준공될 예정으로 본격적인 공장가동은 7월부터 시작된다. NCC 증설로 에틸렌 기준 대한유화의 연간 생산량은 47만 톤에서 80만 톤으로 증가한다. 기존 대비 생산량이 70%정도 증가되는 것이다. 대한유화 관계자는 “올해 NCC시설 증설을 준공한 후 가동에 들어가는 곳은 대한유화가 역내에서 유일하다”면서 “석유화학 업황이 좋은데다 생산량까지 증대된 상황이라 지난해에 이어 올해 역시 사상 최대실적을 달성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대한유화는 지난해 매출액 1조 5,963억 원, 영업이익 3,430억 원, 당기순이익 2,728억 원으로 창사 이래 최대실적을 기록했다.제품의 원료가 되는 나프타 가격이 저유가에 힘입어 낮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데 반해 NCC를 통해서 생산되는 에틸렌 등 제품 스프레드(가격 차이)가 확대되면서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한 것이다. 에틸렌·부타디엔 등 나프타를 통해 생산되는 기초원료의 가격은 올해도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 대한유화가 강점이 있는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BTX 등 에틸렌을 원료로 한 제품생산도 확대가 기대된다. 하반기 증설된 공장을 본격적으로 가동하게 되면 호조세를 보이고 있는 업황의 수혜를 대한유화가 그대로 누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대한유화가 국내 석유화학 업체 가운데 유일하게 올해 추가 NCC 가동에 들어갈 수 있었던 것은 한 박자 빨랐던 투자결정이 주효했다. 대한유화는 2년 전인 2015년 3월 이사회 결의를 통해 NCC 증설을 결의했다. 투자규모는 4,950억 원 수준이다.  국내 다른 NCC 업체는 최근 들어서야 투자 계획을 밝히고 있다. LG화학은 지난해 10월 전라남도 여수공장에 2,870억 원을 투자해 연간 NCC 생산량을 1,27만 톤으로 늘린다고 발표했다. 롯데케미칼도 지난해 12월 여수 NCC의 연간 생산량을 20만 톤 증설하기 위해 2,530억 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NCC 업체가 호황인 것은 에틸렌 등 주요 제품 공급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인데, 증설로 공급량이 늘어나면 업황이 어떻게 바뀔지 알 수 없다”며 “대한유화는 증설한 NCC설비가 올해 본격 가동에 들어가기 때문에 적어도 연말까지는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 석유화학 호황의 수혜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용우 2017-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