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현대보테코

캐미칼리포트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 두 곳 모두 지상 3층, 총면적 7,600㎡ 이상 규모… 2023년 완공, 본격 운영 시작   LG화학 미주 테크센터 및 ABS 컴파운드 공장 조감도   LG화학은 지난 10월 11일, 약 1,200억 원을 투자해 고객 맞춤형 기술 지원 시설인 테크센터(Tech Center)를 미국과 유럽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또 미국에는 ABS 컴파운드1 신규 공장도 함께 건설한다.테크센터는 LG화학의 석유화학 제품을 구매한 고객사와 협력사를 대상으로, 제품 개발·품질 개선·생산성 향상 등 종합적인 기술 솔루션을 제공하는 고객 지원 전문 조직이다.‘미주 테크센터’는 미국 오하이오주에, ‘유럽 테크센터’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설립된다. 두 곳 모두 지상 3층, 총면적 7,600㎡(약 2,300평) 이상 규모로 2023년 완공돼 본격 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다.오하이오주는 물류·교통 편의성이 뛰어나고 자동차 부품 소재 및 건축·장식 자재 등에 사용되는 LG화학의 ABS 주요 고객사들이 인접해있어 북미 시장 지위를 확대하고 현지 고객 대응력을 강화하는 데 유리한 지리적 요건을 갖추고 있다.프랑크푸르트도 유럽 중부의 허브 도시 역할을 수행할 만큼 교통 편의성과 고객 인접성 등 우수한 기업 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LG화학의 유럽 판매법인도 있어 고객 지원을 위한 테크센터를 설립하기에 최적의 장소다.미주 및 유럽 테크센터에는 고객 맞춤형 기술 지원을 위한 다양한 파일럿(Pilot) 설비가 각각 들어선다. 또한 압출가공, 사출 기술 등의 응용기술팀과 주요 전략제품별 전담 조직을 포함해 총 70여 명의 연구개발 인력이 상주하며 고객 기술 지원을 담당할 계획이다.미국과 유럽은 LG화학 전략제품 글로벌 수요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주력 시장으로, LG화학은 이번 테크센터 설립을 통해 현지에서 신속한 기술 솔루션 제공이 가능한 고객 대응 거점을 구축해 글로벌 시장 지위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한국, 중국, 미국, 유럽으로 이어지는 글로벌 4각 고객 지원 체제 완성LG화학은 미주 및 유럽 테크센터가 완공되면 한국 오산을 중심으로 중국, 미국, 유럽으로 이어지는 ‘글로벌 4각’ 고객 지원 체제를 구축하게 된다.2미국 및 유럽 테크센터는 자동차 소재 및 포장 필름 중심 고객의 기술력 향상에 집중하고 PCR (Post-Consumer Recycle) 기술 등 친환경 소재 및 관련 제품 확대에도 이바지할 계획이다. 또한 앞으로 해외 R&D 인재 확보의 전진기지로도 운영될 예정이다.중국 화남·화동 테크센터는 중국 고객 기술력 향상 및 현지 경제 활성화, 우수 인재 채용, 지역 상생 효과 등에 이바지할 계획이다. 오산 테크센터는 국내 및 글로벌 고객 중심의 기술 지원을 총괄하며 미래 가공기술 개발에 집중한다.   ABS 컴파운드 공장 미주 테크센터와 함께 진출, 고객 대응 시너지 강화LG화학은 미국 오하이오주 테크센터 부지에 약 600억 원을 추가로 투자해 2023년까지 연산 3만 톤 규모의 ABS 컴파운드 공장도 함께 세운다.이 공장은 고객의 니즈가 반영된 맞춤형 ABS 제품을 현지에서 직접 생산해 고객 대응력 강화 측면에서 미주 테크센터와 큰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글로벌 ABS 수요의 10%를 차지하는 북미 시장은 지역 내 자급률이 낮고 현지 업체 및 생산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시장이다. 특히, 자동차 및 건장재 산업의 발달로 내열·내후성이 뛰어난 고부가 ABS에 대한 수요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LG화학은 향후 석유화학 사업영역 확대에 따라 북미 고객 대응을 위한 ABS 중합 공장 진출도 검토할 계획이다. ABS 컴파운드 공장 및 미주 테크센터 진출은 고객과의 친밀도를 강화하고 북미 사업 확대를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노국래 석유화학 사업 본부장은 “테크센터는 현지에 최적화된 맞춤형 기술 지원을 통해 고객 대응력을 강화하고 LG화학의 전략제품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며 “고객의 페인 포인트(Pain Point)에서 시작해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Value)를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사업 확대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1. ABS 컴파운드는 ABS 제품을 생산하는 최종 공정한 것으로, 중합 공정에서 생산된 반제품과 다른 원료들을 혼합해 다양한 특성 및 컬러 등을 구현해 고객이 사용 가능한 최종 제품으로 압출하는 공정이다.2. LG화학은 1995년 국내 최초의 테크센터를 설립한 이래 현재 경기도 오산 및 중국 화남 테크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중국 화동 테크센터를 건설 중이다(2022년 운영 목표).   www.lgchem.com
취재부 2021-11-01
기사제목
- 일회용 마스크 수거하고, 다운사이클링으로 지구환경 지키고- 버려지는 일회용 마스크를 재활용해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아이디어 도출, 실행 계획   코오롱그룹이 친환경 캠페인 ‘고고챌린지(Go Go Challenge)’에 동참하며 버려지는 일회용 마스크를 재활용함으로써 플라스틱 사용도 줄이고 환경도 보존하는 구체적인 실천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고고챌린지는 올해 1월부터 환경부 주관으로 시작된 생활 속 플라스틱 줄이기 캠페인이다. 코오롱은 ‘일회용 마스크 수거하고(Go), 다운사이클링으로 지구환경 지키고(Go)’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전사 차원에서 이를 실천하기로 했다.현재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되며 일회용 마스크 폐기물이 하루에 2천만 개씩 배출되고 있지만, 폐기방식에 대한 지침이 없을뿐더러 재활용에 대한 논의조차 없는 상황이다. 코오롱은 썩을 때까지 450년이나 걸리는 마스크가 무분별하게 버려지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고 다운사이클링을 통해 환경을 생각하고 새로운 가치도 창출할 수 있는 1석2조의 방안을 모색해왔다.다운사이클링(Downcycling)은 기계적·화학적 공정을 거쳐 다른 형태의 재료로 재가공하는 것을 말한다. 폐마스크를 열분해해 녹여 폴리프로필렌(PP) 왁스 형태의 기능성 화학 첨가제로 만들면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코오롱은 앞으로도 폐마스크를 다양하게 자원화할 수 있는 다운사이클링 방법을 찾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코오롱은 우선 주요 사업장에 폐마스크 수거함을 설치하고 임직원들이 사용한 마스크를 모아 재활용을 진행한다. 임직원들은 마스크의 부속물인 코 편(노즈 와이어)과 귀 끈을 제거하고 지정된 봉투에 담아 수거함에 넣기만 하면 되므로 모두가 쉽게 참여할 수 있다. 코오롱은 순차적으로 범위와 지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코오롱의 이번 캠페인 참여는 SK텔레콤 박정호 CEO의 지명을 받은 이웅열 코오롱그룹 명예회장이 회사도 함께 동참하면 캠페인의 좋은 뜻을 더 살릴 수 있지 않겠냐고 제안을 해와 이뤄지게 됐다.이웅열 코오롱그룹 명예회장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나부터 지금부터라는 즉각적인 실천이 뒤따라야 한다”라고 실행을 강조하며, “환경 폐기물도 단순히 재활용을 넘어 새로운 자원이 될 수 있도록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과 지속적인 실천들이 이어지길 바란다”라고 말했다.이웅열 코오롱그룹 명예회장은 다음 릴레이 참여 주자로 국내 대학 최초 ‘ESG 위원회’를 신설하고 사회적 책임에 앞장서고 있는 건국대학교 법인의 유자은 이사장을 지목했다.코오롱그룹은 ESG 경영의 한 축으로 다양한 친환경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재활용 플라스틱(Post Consumer Recycled, PCR) 원료를 사용한 폴리에스터 필름(PCR PET필름)을 최초 개발해 상용화했으며, 자연분해 되는 데에 100년 이상 걸리는 일반 플라스틱과 달리 매립 후 6개월 내 자연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인 PBAT(Polybuthylene Adipate-co-Terephthalate)를 개발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FnC 부문은 업사이클링 브랜드 ‘래코드(RE;CODE)’와 자사 온라인몰 내 지속 가능 제품들을 모아 판매하는 카테고리인 ‘weDO’를 운영 중이다. 코오롱LSI는 자사 운영 호텔 3곳의 객실 일회용 어메니티를 친환경 다회용으로 교체했다.
편집부 2021-10-22
기사제목
- 바이오매스 ‘이소소르비드’ 기반 생분해성 플라스틱 ‘PBIAT’ 양산 착수- 석유 유래 PBAT 대비 탄소 중립적이면서 강하고 질겨… 자연 분해 속도도 빨라- 필름 형태 용도 외에 일회용 빨대, 테이프용 접착제 등으로 적용 범위 확대 추진   삼양사가 ‘이소소르비드’를 활용해 독자 개발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양산에 착수하며 친환경 플라스틱 사업을 본격화한다. 이소소르비드는 옥수수 등 식물 자원에서 추출한 전분을 화학적으로 가공해 만든 바이오 소재로 기존 화학 소재를 대체해 플라스틱을 비롯 도료, 접착제 등의 생산에 쓰인다.   삼양사가 세계 두 번째로 상용화한 이소소르비드를 원료로 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PBIAT’와 이를 이용해 만든 플라스틱 필름   삼양사(강호성 대표)는 전주공장에서 생분해성 플라스틱 ‘PBIAT’ 양산을 시작했다고 10월 7일 밝혔다. 이번에 삼양사가 생산한 PBIAT는 일회용 봉투 생산에 사용되며 향후 농업용 멀칭 필름(잡초, 수분 관리 목적으로 토양 표면을 덮는 필름)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PBIAT(Poly Butylene Isosorbide Adipate-co-Terephthalate)는 이소소르비드를 이용해 기존의 석유 유래 생분해성 플라스틱 ‘PBAT’의 단점을 개선한 친환경 플라스틱이다. 바이오 소재인 이소소르비드를 함유해 PBAT 대비 탄소 중립적이며, 토양에서의 자연 분해 속도도 빠르다. 또, PBAT보다 강하고 질겨 더 적은 양의 원료로 PBAT보다 얇고 질긴 제품을 만들 수 있어 플라스틱 사용량 자체를 줄여준다.삼양사는 PBIAT의 뛰어난 물성과 높은 친환경성을 앞세워 PBAT를 비롯한 일반적인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대체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삼양사는 기존 주력 시장이었던 필름 형태 용도 외에도 일회용 생분해성 빨대, 테이프용 접착제 등으로 시장 확장을 검토 중이다.삼양사의 PBIAT는 PBAT 대비 유연성이 높아 빨대 품질 향상에 도움을 주며 가공 과정에서 불량률도 낮출 수 있다. 택배 포장 등에 주로 사용되는 테이프는 최근의 친환경 트렌드에 맞춰 종이 재질이 출시됐으나 테이프 안쪽 면에 코팅된 접착제는 화학 소재다. PBIAT를 이용한 테이프용 접착제는 기존 화학 소재 대비 탄소 저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또, PBIAT는 EU의 생분해성 플라스틱 규제 조건을 충족해 EU 시장 진출이 가능하다. 유럽 지역은 바이오매스 함량이 50%를 넘어야만 일회용 비닐봉투로 사용할 수 있다. 삼양사는 현재 최대 50%의 바이오매스를 포함한 PBIAT 생산이 가능하며 바이오매스 함량 제고 기술을 지속적으로 연구 중이다.삼양사 관계자는 “바이오매스 소재인 이소소르비드를 바탕으로 삼양사의 유기합성 기술과 고분자 중합 기술을 접목해 기존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단점을 극복한 고기능성 친환경 소재 개발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라며, “향후 토양뿐 아니라 바다에서도 분해되는 플라스틱을 개발해 어망 등 신규 용도로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한편, 삼양사는 지난 2014년 세계 두 번째로 이소소르비드 상업 생산 기술을 확보하고 관계사인 삼양이노켐 공장부지 내에 연산 약 1만 톤 규모의 이소소르비드 공장을 짓고 있다. 현재 공장 준공을 앞두고 다양한 응용 기술 및 적용 제품을 개발해 본격적 상업화를 준비 중이다. 지난 4월에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바이오매스 기반 생분해성 폴리카보네이트(PC) 및 부품 개발’ 과제의 총괄 주도 업체로 선정돼 이소소르비드를 이용한 썩는 PC 개발과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내장재 부품 상용화까지 함께 추진하고 있다. 
편집부 2021-10-22
기사제목
- 품질인증기관 인터텍(Intertek)의 ‘전과정평가(LCA)’에서 환경적 우수성 인정받아   글로벌 화학 기업 바스프의 혁신적인 합성피혁 솔루션인 합텍스(Haptex®)가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에서 다른 기존 합성피혁 솔루션 대비 뛰어난 친환경성을 입증했다.   선도적인 품질인증기관 인터텍(Intertek)의 ‘전과정평가(LCA)’ 검증을 받은 바스프의 ‘합텍스(Haptex®)’   LCA는 재료부터 제조·판매·폐기·재활용까지, 제품 라이프사이클 전반의 환경 부하를 측정하며, 이번 평가는 전 세계 산업 분야의 선도적인 종합 품질 인증 기관인 인터텍(Intertek)에서 실시됐다. 인터텍은 합텍스의 화학적 생산에서부터 완성된 가죽 제품에 이르기까지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량, 누적 에너지 수요량, 물 소비량 등을 포함하는 전체 밸류체인 분석을 기반으로 LCA를 진행했다.LCA 분석 결과, 합텍스는 탄소 배출량 측면에서 다른 용제 및 수성 공정으로 생산된 합성피혁보다 뛰어났다. 예를 들어, 1kg의 화학물질을 합성피혁 생산에 사용할 때 합텍스는 기존 합성피혁 대비 에너지 소비를 20% 이상 줄이면서, 온실가스도 52% 더 적게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의 대부분은 생산 공정에서 습식 라인을 제거하여 일반적인 용제 폴리우레탄 생산 방식에 비해 물 사용량을 30% 줄였기 때문이다.이번 평가를 통해 합텍스가 자동차 시트와 가구는 물론, 신발, 가방, 모자 등의 제품에 사용되어온 기본 합성피혁 솔루션보다 지속 가능한 대안임을 입증한 것이다.합성피혁 생산을 위한 혁신적인 폴리우레탄 솔루션인 합텍스는 높은 박리 강도 및 황변 방지, 내마모성이 특징이다. 또한 합텍스는 유기 주석 촉매나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더불어 워런 합성피혁(Warren Synthetic Leather (Suzhou) Co., Ltd) 및 쑤저우 그린테크(Suzhou Greentech Co., Ltd)와 협력을 통해, 합텍스는 엄격한 VOC(휘발성 유기 화합물) 표준을 준수하면서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더욱 최적화됐다.바스프 아태지역 퍼포먼스 소재사업 부문 소비재 산업 민리 쟈오(Minli Zhao) 사장은 “가죽 제품 업체가 제품 생산 시 동물 가죽 사용 자제 및 대체 가죽 사용 등 지속가능성을 위해 더 힘써야 한다는 사회적 목소리가 커지는 시기에 이번 연구 결과가 나오게 됐다”며, “우리는 어떻게 탄소 발자국을 줄이고 있는지 구체적인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해야 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합텍스는 다른 기존 합성피혁 솔루션 대비 더 지속 가능할 뿐 아니라, 가죽 제품 업체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면서 내구성 있고 스타일리시하며 친환경적인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편집부 2021-10-22
기사제목
- 바스프와 CATL, 양극활물질 및 배터리 재활용 분야에 집중 협력- 양사 글로벌 탄소 중립 이행하며 CATL의 유럽 현지화 전략 지원 예정   글로벌 화학기업 바스프가 세계 최대 배터리 기업 CATL(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과 함께 양극활물질(Cathode Active Materials, CAM) 및 배터리 재활용 등 배터리 소재 솔루션에 대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선언했다. 이번 협력은 양사의 글로벌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CATL의 유럽 현지화를 지원하는 지속 가능한 배터리 밸류체인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2년 가동 예정인 바스프의 독일 슈바르츠하이데 양극활물질 공장 건설 현장   혁신적인 신에너지 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CATL은 전 세계에 신에너지 응용기술을 위한 최고의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CATL은 최근 적극적인 유럽 시장 공략을 위해 독일에 첫 번째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 공장을 건설 중이며, 이를 통해 유럽 고객을 위한 현지 공급망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고성능 배터리 소재의 핵심인 바스프의 전구체 양극활물질(녹색, 갈색 파우더), 탄산리튬(백색 파우더) 및 양극활물질(흑색 파우더)   바스프는 자동차 산업 최대의 화학원료 공급업체로서, 중·고 니켈(mid- to high-nickel), 고 망간(manganese-rich), 코발트 프리(cobalt-free) 양극활물질의 광범위한 포트폴리오를 확보하여 글로벌 제조 및 R&D 분야를 포함한 양극활물질 시장에서 우세한 위치를 선점하고 있다. 또한 바스프는 유럽에서 첨단 제조 공정 기술, 안정적인 현지 원자재 공급망, 생산 효율적인 에너지 믹스, 공급망 전반의 빠르고 효과적인 물류를 통해 양극활물질을 생산함으로써 탄소발자국을 줄여나가고 있다. 바스프는 이번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CATL과 양극활물질 및 배터리 재활용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협력을 기반으로 바스프는 전문성을 한층 더 높이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예정이다.CATL은 바스프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배터리 재활용 시스템을 현지화하고 안정적인 원자재 공급망을 확보하여 유럽에서의 서비스 역량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CATL 본사 전경 사진 첨부   바스프 이사회 멤버인 마커스 카미트(Markus Kamieth) 박사는 “향후 e-모빌리티로의 전환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밸류체인 전반의 강력한 파트너십이 필요하다”며, “양극활물질 분야 선두 공급업체로서 바스프의 강력한 포지션과 CATL의 리튬이온 배터리 분야 전문성을 결합하여 혁신을 가속화하고, 전 세계적으로 지속 가능한 배터리 밸류체인을 형성할 것”이라고 전했다. CATL의 저우 지아(Zhou Jia) 대표이사는 “바스프와의 협력은 유럽 현지화 전략에 중요한 단계”라며, “CATL의 혁신적인 배터리 기술과 바스프의 소재에 대한 깊은 전문성을 기반으로 강화된 역량을 통해 전 세계 고객을 지원하고 글로벌 탄소 중립을 향한 추진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편집부 2021-10-22
기사제목
- NB라텍스 증설 추진 과정에서 울산시와의 협력 체계 구축- 선제적인 생산 능력 확대를 통해 NB라텍스 경쟁 우위 한층 강화 10월 5일, 금호석유화학(대표이사 백종훈)이 울산시청과 NB라텍스 생산 설비 증설을 위한 투자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MOU는 앞서 6월 금호석유화학이 공시한 울산 석유화학공단 내 2,560억 규모의 연산 24만 톤 NB라텍스 생산 설비 신설 계획에 따른 것이다.  MOU에 따르면, 금호석유화학과 울산시청은 성공적인 NB라텍스 증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나가기로 했다. 금호석유화학은 증설 투자로 향후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울산시는 해당 투자와 관련된 인·허가 등 행정적 지원을 약속했다.증설이 완료되는 2023년 말 금호석유화학의 NB라텍스 연간 생산 능력은 기존 71만 톤에서 95만 톤까지 확대되며, 이후 수요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증설도 검토할 예정이다.금호석유화학은 향후 NB라텍스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더욱 강화한다는 입장이다. 전 세계적으로 위생 의식이 고취되면서 의료용 장갑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맞추어 생산 능력을 선제적으로 확보하며 경쟁사 대비 우수한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적극적인 연구개발 활동도 지속할 계획이다.백종훈 금호석유화학 대표는 “NB라텍스 증설 투자에 대한 울산시의 관심과 지원에 감사드린다”며, “금호석유화학은 울산시와 상호 협력을 통해 이번 투자를 성공적으로 추진하며 NB라텍스 분야 글로벌 리더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취재부 2021-10-22
기사제목
- 배터리 합작사 블루오벌SK는 단숨에 美 1위 배터리 기업 도약- 양사 114억 달러(약 13조 원) 투자키로… 미국 내 역대 최대규모 배터리공장 탄생 - 배터리는 당초 예상된 60GWh의 두 배 이상인 129GWh로 생산 규모 대폭 확대   미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자동차 기업과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배터리 기업이 합작해서 설립하는 배터리 생산 기업이 미국 내 역대 최대규모의 배터리 생산 공장을 건설한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와 기업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SK이노베이션과 미국 완성차 기업 포드(Ford)는 미국 현지시간 9월 28일 양사가 합작해서 설립하기로 한 블루오벌SK(BlueOvalSK)의 생산 공장이 들어설 테네시(Tennessee)주와 켄터키(Kentucky)주에서 배터리 생산부지를 발표하는 행사를 각각 열고 대규모 투자계획도 같이 공개한다.   SKBA 2공장   이 행사는 양사 배터리 합작법인 블루오벌SK가 들어설 테네시주 스텐튼(Stanton)과 켄터키주 글렌데일(Glendale)에서 순차적으로 열린다. 이 행사에는 포드 측의 빌 포드(Bill Ford) 회장, 짐 팔리(Jim Farley) 사장 외에 빌 리(Bill Lee) 테네시 주지사, 앤디 베셔(Andy Beshear) 켄터키 주지사 등이 참석한다. SK이노베이션에서는 지동섭 배터리 사업 대표와 관련 임원들이 현장에 직접 참석한다. 포드와 SK이노베이션은 두 지역에서 배터리공장과 전기차 조립 공장 건설을 위해 총 114억 달러(한화 약 13조 1,020억 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포드 118년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투자 발표로 지금까지 미국에서 이뤄진 배터리공장 투자 건 중 최대규모이다. SK이노베이션은 이 중 블루오벌SK에 대한 자사 지분 50%에 해당하는 44억5천만 달러(5.1조 원)를 블루오벌SK의 배터리 생산 공장 건설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SK이노베이션 이사회는 9월 27일 이사회를 열고 이같이 결의한 바 있다.블루오벌SK 배터리공장은 미국 역대 최대규모로 지어진다. 테네시 공장은 470만 평 부지에 포드의 전기차 생산 공장과 함께 들어서며, 생산능력은 43기가와트시(GWh)다. 또한 켄터키 공장은 190만 평 부지에 86기가와트시(43GWh 2기)로 건설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블루오벌SK의 총 생산능력은 129기가와트시에 달한다. 이는 60키로와트(KW)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를 매년 215만 대 생산할 수 있는 수준이다. 양사가 기존에 밝힌 합작법인 규모가 60기가와트시였던 것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 것이다.   SK이노베이션 미국 배터리공장 현황   SK이노베이션은 회사 역사상 단일 투자 중 역대 최대규모인 블루오벌SK 투자를 통해 단숨에 미국 시장에서 배터리 선두 기업으로 떠오르게 됐다. 조지아주에서 단독으로 짓고 있는 공장 두 곳과 합하면 미국에서만 약 150기가와트시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이로써 2025년까지 전 세계에서 200기가와트시 생산능력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도 초과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최근 미국은 전기차 보급 확대와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미국 내에서 생산된 배터리와 전기차에 각종 세금 혜택과 인센티브를 제공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기차 전환을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친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어 SK이노베이션이 미국에서 차지하는 입지는 더욱 굳건해질 것으로 보인다.포드 빌 포드 회장은 “지금은 전기차로의 전환을 이끌고 ‘탄소 중립 제조’라는 새로운 시대를 여는 변화의 순간이다”라며, “포드는 혁신과 투자로 미국인들이 환호하는 전기차를 만들면서도 지구를 보호하고 나아가 국가 번영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포드 짐 팔리 사장은 “더 나은 미국의 미래를 열어가기 위해 수십 년 동안 이뤄진 투자 중 가장 큰 규모의 투자를 단행했다”라며, “일자리 창출, 탄소 중립 제조 시스템 구축, 지역사회 기여, 주주 가치 창출 등 다수를 위해 성장하는 획기적인 전기차 사업을 펼칠 것”이라고 강조했다.SK이노베이션 배터리 사업 지동섭 대표는 “과감한 친환경 전기차 전환을 통해 자동차 산업 역사에 새로운 장을 열어가는 포드와 협력하게 돼 자랑스럽다”라며, “SK이노베이션은 블루오벌SK를 통해 함께 도약하고 더욱 깨끗한 지구를 만들기 위한 공동의 비전을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편집부 2021-10-22
기사제목
- 폐플라스틱 순환 경제 구축 위해 9월 말부터 열분해유 공정 투입 개시 - 산자부·환경부 정부 부처 관심/지원 큰 역할… 친환경성 인정받아 ‘규제샌드박스’ 승인받아   SK이노베이션 울산CLX(Complex, 컴플렉스)가 국내 최초로 폐플라스틱으로부터 만들어 낸 열분해유를 정유·석유화학 공정 원료로 도입한다. 특히 폐플라스틱 이슈를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이 같은 진척은 민관이 협력해 폐플라스틱 순환 경제 구축을 위해 힘쓴 결과물이어서 의미를 더 하고 있다.     SK지오센트릭은 9월 말부터 국내 최초로 폐플라스틱을 고열로 분해해 만들어진 열분해유를 SK이노베이션 울산CLX의 정유·석유화학 공정에 원료유로 투입한다고 밝혔다. 원료유로 투입된 열분해유는 다른 원유와 마찬가지로 SK에너지의 정유 공정과 SK지오센트릭의 석유화학 공정을 거쳐 석유화학 제품으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이는 석유로부터 만들어진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다시 석유로 뽑아내는 세계 최대 ‘도시유전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는 SK지오센트릭 그린트랜스포메이션(Green Transformation) 전략의 의미 있는 첫걸음이다. 이를 통해 국내 폐플라스틱 이슈를 해결하는데도 크게 기여하게 된다. 지금까지 열분해유는 염소 등 불순물로 인해 공정 투입 시 대기오염 물질 배출, 설비 부식 등에 대한 우려로 석유화학 제품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SK지오센트릭은 전통 화학사업 역량에 기반, 열분해유 속 불순물을 제거하는 후처리 기술을 개발·적용함으로써 열분해유를 친환경 원료유로 탈바꿈시켰다. 이번에 최초 도입한 열분해유는 SK지오센트릭과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이 지난 2019년부터 후처리 관련 공동 연구를 진행해 온 국내 중소 열분해 업체 제주클린에너지 생산 제품이다. SK지오센트릭은 친환경을 위한 국내 폐플라스틱 열분해 중소기업과의 상생·협업 관점에서 이들이 생산한 열분해유를 도입해 품질을 개선, 정유·석유화학 공정 원료로 투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SK지오센트릭은 폐플라스틱 이슈의 심각성을 감안해 자체적으로도 열분해를 위한 핵심 기술 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 글로벌 기술 파트너링을 통해 SK 자체 불순물 제거 공정을 결합시킨 대형 열분해 공장 건설도 추진하는 투 트랙(Two-track)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SK지오센트릭은 이미 올초 美 열분해 전문업체 브라이트마크 社와 사업협력 MOU를 체결하고, 울산에 대형 열분해 공장 등 화학적 재활용 방식의 도시유전을 건설하겠다고 지난 7월 발표한 바 있다. 글로벌 기술과 자체 기술이 결합된 열분해유 공장은 2024년 상업 가동 예정으로, 연간 20만 톤 규모의 폐플라스틱 처리가 가능하다.SK이노베이션 울산CLX 유재영 총괄은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열분해유의 친환경적인 의미에도 불구하고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공정 투입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60여 년간의 정유·화학 사업 역량에 기반한 연구개발 및 공정기술을 바탕으로 유관부서가 최적의 솔루션을 도출, 실제 공정에 투입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SK지오센트릭은 특히,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SK에너지 정유 공정과 SK지오센트릭 석유화학 공정에 투입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 기관의 관심과 협조가 큰 역할을 했다고 강조했다. 폐기물을 재활용한 열분해유는 현행 폐기물관리법과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이하 석대법)에서 석유대체연료로 인정받지 못해 석유화학 공정 원료로 투입할 수 없었는데, 이를 정부가 해결해 주었기 때문이다. SK지오센트릭은 올 초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활용해 SK 자체 공장 열분해유 투입을 통한 공정 원료화 실증 목적의 ‘실증 규제 특례’를 신청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 등 관계부처는 폐플라스틱 소각·매립을 대체할 수 있는 열분해유 공정 원료화 사업의 온실가스 및 토양 오염 저감 효과 등을 인정해 이달 중순 최종 승인 결정을 내린 바 있다. SK지오센트릭은 열분해유 투입량을 최초 약 200톤/년 이상에서 점진적으로 확대해 생산 설비 및 제품 영향도 등에 대한 실증 연구를 수행하며, 산업통상자원부는 그 결과에 기반해 석대법 등 관련 법령 개정을 추진할 예정이다.SK지오센트릭 나경수 사장은 “울산CLX 열분해유 최초 도입은 플라스틱 자원 순환 경제와 친환경 확산을 위해 정부와 대·중소기업 등 민관이 합심해 노력한 산물”이라며, “ESG 경영에 기반해 탄소 사업에서 그린 사업으로의 체질 개선을 목표로 관계부처 및 관련 업계, 학계와의 협력을 더욱더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편집부 2021-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