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플라스틱재팬
현대보테코

정책과 동향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울산시, 화학소재 산업 육성 ‘탄력’

작성자 : 편집부 2020-05-19 | 조회 : 1171
- 정부 공모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7개 과제)’ 및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지원센터 구축사업’ 선정





울산시가 지역의 침체된 화학산업을 미래 신성장사업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데 큰 힘이 될 2개 사업이 ‘정부 지원 공모 사업’에 선정되어 지역 화학소재 산업 육성에 탄력을 받게 됐다.

울산시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7월 일본 수출 규제 대응책의 일환으로 ‘2020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신규 지원대상 과제(97개)를 지난 1월 31일에 공고했다. 

울산시는 이에 대응하여 지난해 하반기부터 울산테크노파크, 한국화학연구원 등 지역 연구개발(R&D) 유관기관, 기업체와 협력하여 총 11개 총괄과제를 선정, 응모하여 7개 총괄과제(12개 세부과제)가 5월에 선정되는 성과를 냈다.

선정 과제는 △ 고분자 초고분자량 폴리프로필렌 원천기술 및 제품화 기술개발, △ 파장 선택성 염료 및 고내열 광학 수지를 이용한 적외선 흡수 필터 모듈 개발 등이며, 사업비는 올해 국비 134억 원 등 5년간(2020년~2014년) 총 868억 원이 지원된다.




또한, 울산시는 올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역 혁신자원 및 역량을 기반으로 지역산업 경쟁력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추진한 ‘스마트 특성화 기반 구축사업’에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지원센터 구축사업’이 5월에 선정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지원센터 구축사업’은 국비 100억 원 등 총사업비 277억 원(국비 100억 원)이 투입되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간 추진된다. 

울산테크노파크가 사업을 주관하고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등 4개 연구개발(R&D) 기관이 참여한다. 사업 주요 내용은 △ 울산 남구 두왕동 테크노일반산업단지 내 지원센터 건축(부지면적 4,317㎡, 건축 연 면적 4,785㎡) △ 플랫폼 및 장비 구축 △기업 기술지원 및 전문인력 양성 등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의 경우 석유화학제품 생산액은 전국 29.5%를 차지할 만큼 양적인 성장은 이루었으나, 우리나라 소재 분야 기술력은 선진국대비 66% 수준으로, 시에서는 지역 연구개발(R&D) 유관기관, 기업과 협력하여 장·단기 기술개발 수요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 지원할 예정”이라면서, “특히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지원센터가 구축되면 지역 기업체의 화학소재 연구개발(R&D)과 제조에 원스톱 지원·협력이 가능하므로 지역 화학소재 산업경쟁력 강화 및 핵심소재 기술의 국산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지원센터 구축사업 개요 >

□ 필요성

- 침체된 지역 주력산업인 화학산업을 미래 수요에 대응한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산업으로 전환하여 미래 주력 산업화 추진 필요

- 국제적으로 소재의 전략 자산화 현상과 핵심소재 부분에서 기술 종속 가속화, 중국과의 기술격차 감소에 따른 국제 경쟁 심화 대응 필요

□ 사업개요

- 위치: 울산 남구 두왕동 테크노일반산업단지 내
- 규모: 부지 4,317㎡, 건축 연 면적 4,785㎡
- 사업 기간: ’21.1. ~ ’23. 12. (3년간)
- 사업내용: 지원센터 건축 및 장비 구축, 기업 기술지원, 전문인력 양성 등
- 주관/참여: (재)울산테크노파크 / 한국화학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총사업비 : 27,710백만 원(국 10,000 / 시 17,710)


- 기대효과

ㅇ 울산의 화학산업을 미래 신성장 분야인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산업으로 발전시켜 지역의 자동차, 조선, 에너지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고 지역 산업의 활력 견인

ㅇ 지역 혁신기관 연계 One stop 지원체계 구축으로 지역산업 및 중소기업의 소재 개발역량 지원, 혁신제품 개발 지원으로 산업생태계의 고도화  

ㅇ 수입에 의존하던 핵심소재를 국산화하여 전방 산업의 국내외 산업경쟁력 강화와 핵심소재 ·기술의 국산화로 국가 산업안보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