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플라스틱재팬
현대보테코

기업과인물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한국이즈미, 국내 실정에 맞는 사출성형기를 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하는데 앞장

작성자 : 이용우 2017-11-07 | 조회 : 2803


‘진정한 명품 브랜드는 생산자가 만드는 게 아니라 고객이 만드는 것’이란 말이 있다. 
오랜 전통을 가진 경우가 아닌데도 명품 반열에 오른 기업·제품의 공통된 특징은 ‘고객들이 만족하는 품질’에 있다.
짧은 기간 안에 국내외 사출기 시장에서 글로벌 명품 브랜드로 인정받고 있는 ‘이즈미(YIZUMI)’가 대표적인 경우다. 
이즈미는 중국의 대표적인 사출성형기 브랜드로 백여 개가 넘는 메이커들을 젖히고 십여 년 만에 ‘No.2’의 자리에 오를 만큼 탄탄한 기술력과 명성을 자랑한다.
2012년 설립돼 사출기 명품 브랜드 ‘이즈미’를 국내에 공급하고 있는 ㈜한국이미즈(대표이사 박기영(CEO), 권만규(CTO) www.yizumi.co.kr)는 국내 실정에 맞는 사출성형기를 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이 회사 박기영 대표를 만나 이즈미 본사에 대한 소개와 한국시장에서 이즈미가 성공을 거둔 비결, 그리고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들어 보았다.


이즈미는 애널리스트, 사출기 전문가, 공산당 간부 등 5명의 핵심 멤버가 참여한 벤처기업으로 2002년 설립됐다. 짧은 기간에 중국 시장에서 넘버2를 차지할 만큼 빠른 성장을 했다. 이런 이유로 후진타오가 이즈미 본사를 직접 방문할 만큼 중국 내에서도 기대하고 있는 기업이다.
이즈미 본사의 주요 사업부로는 △플라스틱 사출기 사업부, △다이캐스팅 사업부, △고무성형기 사업부, △PAC(고속 사출) 사업부, △금형 사업부, △FA 공장자동화 사업부(다관절로봇 포함) 등이 있다.
생산기지만 중국 내 3곳과 인도 공장이 있고, 100년의 역사를 가진 미국 HPM을 인수(2011년)하고 독일연구소 등의 우수 인력을 영입하면서 단숨에 글로벌 기업의 면모를 갖춰 오늘에 이르고 있다.
또한 이즈미는 글로벌 기업인 동시에 사출업체 최초로 중국 증권시장에 상장(2015년)한 업체다. 상장을 준비할 당시 중국 감사국에서 한국대리점인 ㈜한국이즈미에까지 직접 감독관을 보내 제대로 거래를 하고 있는지, 숨기는 것은 없는지 일일이 조사할 만큼 중국 당국에서도 주목하는 기업이다.
이런 이즈미와 박 대표가 처음 인연을 맺은 것은 5년 전인 2012년의 일이다. 당시 박 대표는 새로운 사업을 위해 동분서주하던 때였다. 박 대표가 ‘이즈미’를 선택한 이유는 기본에 충실하다는 점이었다.
“한 번은 상하이에 갈 일이 있어서 닝보-소주-상하이 고속도로를 지나가는데 사출기 선전 광고 입간판을 보게 됐어요. 5년 전 중국에서 그런 광고를 하려면 1년에 5~6억 이상 들었을 겁니다. 이런 광고를 할 수 있는 마인드라면 뭔가가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게 이즈미였습니다.”
이런 첫 인상을 가지고 이즈미에 방문을 하게 되었다.
“기계구입을 하는 척하면서 여러 업체에 접근하던 중이었는데 CTO인 권 사장이 이즈미 사출기를 수입을 권장하더군요. 이유를 물으니 과정이 바르더라는 겁니다. ‘정확한 공정을 잘 지키면 기계는 말썽 부리지 않는다’는 것이죠. 그래서 이즈미 측에 사실대로 이야기하고 총판대리점 계약을 하게 된 겁니다.”


▲ A5 Series  고급형 하이브리드 (60~2,600톤) 


▲ FE Series  초정밀 고급형 전동식 (60~260톤)


▲ D1 Series  대형 투 플레이트 절전형 (1,100~2,400톤)


월간 1,500대 이상을 생산하는 ‘바잉 파워’가 강점 
박 대표가 꼽는 이즈미의 장점은 ‘바잉 파워(buying power)’에 있다. 
“이즈미는 플라스틱 사출기 600~800대, 다이캐스팅기 500대, 고무사출기 100대 등 월간 1,500대 이상의 기계를 생산합니다. 이러한 풍부한 구매력이 있기에 부품 거래처들과의 거래상 우월한 지위에 있어 고품질의 제품을 저렴하게 구입함으로써, 코스트 절감이 가능하고 또 부품이 좋다고 평판을 받고 있는 겁니다.”
이즈미 본사를 방문한 박 대표는 기술력 확보에 대한 본사의 의지에 놀란 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즈미 본사에는 독일, 미국 기술자들이 많이 일하고 있습니다. 한 번은 독일계 직원이 여러 명 있어서 물어봤더니 독일 엔겔의 수석 부사장이었던 사람을 기술고문으로 모셔 왔다는 겁니다. 더 놀라운 건 그 한 사람을 영입하기 위해 설계, 제어 팀 전체를 영입했다는 겁니다.”
이즈미가 짧은 기간에 기술력에서 인정받는 글로벌 기업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우연히 아니라 이런 숨은 노력들이 있었기 때문이고, 박 대표의 ㈜한국이즈미가 그 덕을 톡톡히 보고 있는 셈이다.

가격경쟁력 문제? ‘내년 가격 다운된 보급형 기종으로 정면승부’
국내 시장은 경쟁이 치열하다보니 가격문제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가격이 높다는 일부의 지적에 대해서 박 대표는 ‘일본, 독일 부품을 그대로 사용하다보니 비쌀 수밖에 없다’면서도 ‘다양화 전략’으로 국내 공급 가격을 낮출 계획이라는 복안을 내놓았다. 
“현재 저희의 판매 구조는 하이브리드 타입의 A5 시리즈가 주력이고, 보급형인 SM은 5~10% 정도 저렴하게 공급하고 있습니다. 나머지가 대형, 전동식, PET 사출기 등입니다. 
2018년에도 기존의 하이브리드 사출성형기는 유지하면서 보급형 전동식 사출기와 투 플레이튼 사출기를 추가 공급하는데 주력해 나갈 계획입니다.
특히 대형기 부문에서 공간 절약을 할 수 있고 활용도가 좋은 투 플레이튼 사출기와 고효율 고정밀 전동식 사출기를 한국제품 대비 10%정도 저렴한 가격(보급형)으로 들여 올 계획입니다. 하지만 품질은 더 우수할 겁니다.”
박대표는 이들 히든카드들을 2019년에 열리는 KOPLAS 전시회에서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흑묘백묘(黑猫白猫) 전략으로 베트남시장 공략
박 대표가 미래성장 동력을 구축하기 위해 국내시장 다음으로 공을 들이고 주목하는 곳이 바로 베트남시장이다. 인건비가 국내뿐 아니라 중국과 비교해도 저렴하기 때문에 베트남으로 제조업체들이 몰리는 게 가장 큰 이유다.
“국내뿐만 아니라 중국 동관, 심천, 광저우에 진출했던 업체들도 싼 인건비 때문에 베트남으로 넘어가고 있습니다. 사출기 업체들도 국내보다는 베트남 지역으로 투자진출을 경우가 늘고 있는데, 저는 8년 전부터 베트남에 관심을 가지고 준비를 해왔습니다. 한국에서는 1~2대 오더가 나오지만 베트남의 경우 10~20대 오더가 나올 만큼 시장규모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이즈미가 베트남 시장에서 타깃으로 삼고 있는 기업들은 한국 로켈업체와 중국에 진출했다가 베트남으로 넘어 온 한국업체들이다. 이들을 상대로 베트남 시장에서만 벌써 50~60대를 판매할 만큼 기술력과 마케팅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여기에는 ‘이즈미’라는 글로벌 브랜드 인지도를 잘 활용한 박 대표의 영업 전략도 한 몫 했다. 
“글로벌 기업이라는 특성 때문에 해외영업에서 한계는 없습니다. 기계 판매가격과 A/S비용만 책정해서 주면 어디에서 누구에게 판매를 하던 상관 안 하는 게 글로벌 기업입니다. 또 전 세계 65개국에 A/S를 지원해주고 있다는 점도 큰 강점입니다. 이즈미는 글로벌 시장을 무대로 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이런 상거래는 더 정확하게 합니다.”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 된다는 ‘흑묘백묘(黑猫白猫)론’만큼 글로벌 시장에서 통용되는 전략은 없을 것이다. 박 대표에게 이즈미라는 브랜드는 글로벌 시장으로 나가는 데 필요한 흑묘이자 백묘인 셈이다.

움츠렸다 뛰어야 더 멀리 간다!
국내시장은 누구도 압도적인 성장세를 계속 유지하지 못할 만큼 경쟁이 치열하다. 공격적으로 밀어내기 판매를 하던 업체들이 자금부분에서 많은 압박을 받고 있는 것은 어찌 보면 자승자박인 셈이다. 
이런 현실을 누구보다 잘 파악하고 있는 박 대표는 마켓셰어를 무리하게 늘리지 않고 일단 숨 고르기에 들어간 상태다.
“어려운 시장상황에서도 저희의 올해 매출규모는 지난해와 비슷한 규모가 예상됩니다. 하지만 지금은 무리한 투자를 하기 보다는 관망하는 게 좋다는 판단을 했습니다. 사업은 타이밍이고, 시류를 잘 타야 한다는 말도 있잖습니까. 포털의 예를 보세요. 다음이 한 때는 잘 나갔지만 지금은 네이버에게 밀리고 있지 않습니까? 남들이 안하는 특화된 것을 잘 준비해 놔야 생존할 수 있습니다. ‘타임 앤 히트’ 전략이라고나 할까요. 길게 보고 움츠렸다가 뛰어야 더 멀리 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의 말대로 ‘타임 앤 히트’ 전략을 자신 있게 구사할 수 있는 것은 앞으로의 시장이 어떻게 변화될지 미리 읽을 수 있는 그의 경륜 때문일 것이다. 박 대표는 5~6년 안에 구조조정이 다시 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금의 출혈경쟁은 그 끝이 빤히 보입니다.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게 아니고, 살아남은 자가 강한 자라는 말도 있지 않습니까? 저는 때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조만간 닥칠 시장 구조조정에 대비해야
국내시장은 이미 포화 상태에다 규모 또한 작다. 좁은 내수시장에서 이전투구식 경쟁이 계속 벌어지다 보니 3~4년 안에 공동화가 올 수 있다는 게 시장을 걱정하는 많은 업계 리더들의 공통된 시각이다. 
여기에 중국산 사출기의 국내 유입 문제까지 더해지면서 여러 우려를 낳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박 대표는 이에 대해 “매 맞고 나서 아픈 줄 안다”는 말로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이 시장에서 현재 국내에서 사출기관련 업체에서 독립해 나온 영업직원들은 중고는 안 하고 편한 무역상을 하려고 합니다. 또 중고를 취급하던 사람들은 새 기계 판매에 대한 욕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후죽순처럼 업체 수는 늘어날 것이고, 누가 오래 버티느냐하는 문제만 남은 거죠.”
국내시장에 들어오는 중국 브랜드를 막을 수는 없다. 문제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지만 중국도 사출기 업체들이 많아지다 보면 언젠가는 ‘구조조정’에 들어갈 것이란 점이다. 이때 중국은 자국 기업을 우선 챙길 것이고, 그 과정에서 한국에 들어온 중국 메이커 중에 오히려 중국 본사가 흔들리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박 대표가 한 ‘매 맞고 나서 아픈 줄 안다’는 말은 결국 언제가 됐든 큰 변화가 닥칠 것이 자명하다면 미리 현명하게 대처하는 게 필요하다는 우리 모두에게 던지는 충고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