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플라스틱재팬
현대보테코

SIMTOS존

동남리얼라이즈
셀퍼지
엠디코리아
뉴런테크

[SIMTOS 2018] - 중소·벤처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실태조사결과 - 수요맞춤형 새로운 정책 필요하다

작성자 : 관리자 2018-01-15 | 조회 : 1162
 R&D TREND II   자료 _ KBIZ 중소기업중앙회 


‘4차 산업혁명’에 대하여 기업들은 얼마나 정확한 이해를 하고 대응에 대한 준비를 마련하고 있는지 중소기업중앙회가 제조 중소기업 CEO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전년도에 비해 인식은 크게 개선되었지만, 대응 수준은 대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에 대한 관심도는 높게 조사돼 앞으로 중소·벤처기업 수요맞춤형 4차 산업혁명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관심 높아 수요 증가 예상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가 전국 400개 제조 중소기업 CEO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벤처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실태조사」 결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중소기업 CEO들의 인식과 대응 수준은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년도에 비해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에 대한 관심도는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4차 산업혁명 관련 내용에 대해 물어본 결과 5곳 중 2곳(39.5%)이 ‘알고 있다’고 답해 전년도 조사 (11.4%) 결과보다 약 3.5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차 산업혁명 관련 주요 기술을 도입·활용하고 있는 업체는 26개에 불과했으나, 향후 5년 내 도입을 희망하는 기술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120개 업체가 ‘있다’고 응답해, 앞으로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기술도입 희망 1순위, 단연 ‘로봇’

중소기업들이 도입을 희망하는 기술은 ‘로봇’이 24.4%로 가장 높았으며, ‘신소재·첨단소재’ (21.7%)와 ‘빅데이터’ (20.0%) 그리고 ‘3D프린팅’ (19.2%)이 비슷한 비율로 뒤를 이었다. 향후 5년 간 4차 산업혁명 대응에 필요할 것으로는 ‘전문 인력 확보’ (27.1%)가 가장 많았고, ‘스마트 공장 도입·구축’ (19.7%), ‘직원 재교육 등 역량 강화’ (17.4%), ‘경영진의 강력한 의지’ (11.8%)순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직원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업체들이 많았음에도 현재 실질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는 업체는 10곳 중 1곳 (9.1%)에 불과해, 대부분의 업체들이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직원 채용이나 기존 직원 재교육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어서, 4차 산업혁명 대응 수준을 0~4단계로 조사한 결과, 66.0%가 ‘0단계’라고 응답해 대부분의 업체들이 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관련 기술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기업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잘 모르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까지 도달하고 싶은 목표 수준에 대한 질문에는 ‘1단계’가 50.3%로 가장 많았고, ‘3단계’ 22.0%, ‘2단계’ 12.5% 순으로 답변했다. 이는 많은 업체들이 현재 수준을 벗어나 경영에 필요한 것을 파악한 후,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구상과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소기업계 현장 요구 반영한 정부 정책과제 추진 필요

한편, 4차 산업혁명 대응 관련 중소기업계 애로사항으로는 ‘투자 대비 효과가 불확실’이 55.5%로 가장 많았고, ‘전문 인력 부족’ (51.3%), ‘R&D투자자금 부족’ (47.8%),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의 어려움’ (23.5%) 등이 조사됐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정부차원에서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를 살펴보면 ‘중소·벤처기업이 쉽게 참여 가능한 혁신성장 생태계 구축’ (63.5%)이 가장 많았으며 ‘창의·융합형 인재양성 및 근로자 재교육훈련 지원 확대’ (40.5%), ‘맞춤형 컨설팅, 성공사례 공유 등 비즈니스 모델 설계지원 역량센터 구축’ (36.5%), ‘IoT, AI 핵심특허 확보 등 4차 산업혁명형 서비스분야 R&D 투자 세제 확충’(28.8%), ‘스마트 공장보급 및 고도화(표준화된 선도모델 구축) 지원’(28.0%), ‘국내 공급 기반기술 및 소재·부품기술 개발 지원 강화’(26.3%) 순으로 나타났다.
최윤규 중소기업중앙회 산업지원본부장은 “중소기업계 4차 산업혁명 인식과 대응수준은 아직 많이 부족한 상황이지만,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과 기술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며, “중소·벤처기업이 쉽게 참여 가능한 혁신성장 생태계를 조성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전문 인력 양성’과 ‘비즈니스 모델 컨설팅’ 등 중소기업계 현장 요구를 반영한 정부 정책과제 추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