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토탈산업
현대보테코
HPF미네날스

기업과인물

엠쓰리파트너스
hnp인터프라
휴먼텍
한국마쓰이
기사제목
- 최고 수준의 엔지니어와 기술로 북미 시장에 최상의 시스템 솔루션 공급 강화 - 전기자동차와 이차전지 FA 분야의 높은 기술력 인정받으면서 수주 급증       2014년 설립 이래 공장자동화와 취출로봇에 특화된 기술을 선보이며 가파른 성장을 이어오고 있는 ㈜휴먼텍(대표이사 황교중 www.humantechubot.com 이하 휴먼텍)은 자동차 부품의 취출, 인서트 전후 공정 자동화부터 가전 부품 제조공정 자동화, IML 인서트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ONE-STOP 생산시스템을 구축해 고객사가 생산성 향상과 공정 단축을 통한 원가 절감으로 제품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더불어 올해 창립 10주년을 맞이하는 휴먼텍은 올 초, 미국법인 ‘HUBOT USA’를 설립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 발판 마련    지난 3월, 휴먼텍은 미국 법인 ‘HUBOT USA’를 설립하며 새롭게 해외 시장진출 활성화를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휴먼텍은 지난해부터 미국 시장진출에 집중, 오백만 불 정도의 실적을 쌓았다. 이를 바탕으로 미국 진출 활성화를 위해 미국 법인 설립을 계획하게 되었다고 밝히는 황교중 대표이사는 “지난 1년여간 북미 시장에서 쌓은 실적을 바탕으로 미국법인 설립을 계획했고, 결국 이번에 HUBOT USA를 설립하게 되었다”라고 하면서 “좀 더 본격적으로 해외 진출 및 현지 고객에 대한 신속한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추후 로컬 영업까지 꿈꾸며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취출로봇과 공장자동화의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인정받은 휴먼텍은 지난해 미국 현지에서 이차전지 부품 자동화 라인을 설치했다. 동 설비는 취출로봇(HERO)를 이용한 부품 취출/인서트 자동화와 부품 중량 측정 및 레이저 마킹, Main Conveyor 및 Sub Conveyor Line에 대한 일괄 자동화시스템으로, 특히 인서트는 안정적인 동작과 최적의 설계로 Cycle Time을 단축하여 생산량을 극대화하였으며, 이외에 후공정으로 제품 중량을 0.01g 단위까지 측정하여 양품과 불량품을 판정, 미연에 불량품 혼입을 차단하고 양품만 레이저 마킹하여 생산정보를 시스템에 기록, 관리하는 전라인 자동화 공정이었다. 이외에도 BUSBAR FRAME 자동화 라인에서부터 BMA COVER, VOLT SNSG, Battery Cartridge Insert System까지 이차전지 관련 자동화 라인을 대거 수주하며, 바쁜 한 해를 보냈다.    휴먼텍은 이제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로 진출을 많이 하는 고객들과 또 그 시장을 찾아 미국법인 HUBOT USA를 설립했고, 5월 1일부로 정식 활동을 통해 해외에서도 휴먼텍만의 차별화된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해나가고자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갈 계획이다.     취출로봇, 공장자동화시스템 솔루션 전문업체 휴먼텍     휴먼텍은 공장자동화 설계 제작 전문업체로서, 취출로봇의 설계, 생산과 더불어 최고 수준의 엔지니어와 기술로 최상의 공장자동화시스템 솔루션을 공급, 고객 감동을 실현하고 있다.   전기차 BATTERY CELL CARTRIDGE 인서트 자동화 및 COVER 융착 설비 자동화 등 다양한 이차전지 자동화 사업과 더불어 자동차 관련 산업에 있어 범퍼 취출 자동화, IP 취출 자동화는 물론, 헤드램프, 캐리어 자동화, 그리고 필름, 내장 시트 인서트 등에서도 다양한 기술과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정확성과 정밀성 등을 요구하는 생산 현장에서 비전 검사, 게이트 커팅, 조립 자동화, 컨베이어 제작 등의 공장자동화 분야에서도 휴먼텍의 뛰어난 기술력이 발휘되고 있다.    휴먼텍은 자타가 인정하는 엔지니어와 우수 연구인력을 바탕으로 최신 기술을 적용한 사출성형공장에 명품(名品)의 공장자동화(FA) 장비와 다재다능한 ‘HERO 취출로봇’, 다관절 로봇 등을 이용한 공장자동화 최적화를 구현하고 있다.    휴먼텍은 취출로봇 자체 브랜드 HERO SERIES(Humantec Excellent Robot series)를 개발, 소형부터 대형까지 모든 라인업을 구축하였으며, 기술 경쟁력 및 가격 경쟁력을 갖춘 로봇으로 시장 평가도 좋아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개발에 성공한 캐리어 생산 3,000톤급 사출성형기 전용, 인서트용 트윈 암 취출로봇을 적용한 전 공정 인서트 자동화시스템을 납품했으며, 현재 이 캐리어 자동화시스템이 휴먼텍의 큰 판매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탁월한 성능, 편리한 사용성, 높은 신뢰성을 자랑하는 HUPAC : NX 시리즈는 사이드 앤트리 타입으로, 하이스피드 테이크 아웃 시스템을 자랑하고 있으며, 어떠한 작업환경, 아무리 복잡한 제품이라도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속도, 안전성, 편의성을 보장한다. 최적의 디자인 노하우, 높은 신뢰성의 전장 구성, 그리고 다양한 사출성형 비즈니스에 대응하는 탁월한 확장성으로 고객의 완벽한 품질 관리와 생산성 극대화를 위한 창의적인 로봇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사이드 엔트리 로봇, 필름공급기, 적재/컨베잉 시스템, 그리고 비전 시스템 등의 신뢰성 높은 기구 디자인과 성능으로 균일한 고품질의 Cup, Container, Lid, Cap, Blow-molding bottle 생산을 위한 ‘IML 자동화’+‘비전 검사’의 복합 자동화 공정을 빠르고 정밀하게 구현하는 휴먼텍의 인몰드 라벨링 시스템, HUPAC : IML 시리즈와 고속/정밀 취출로 고품질 PET 프리폼 생산을 구현하는 프리폼 취출 시스템인 HUPAC : PET 시리즈 등 최적의 취출로봇 제품군과 더불어 협동로봇, 다관절 로봇 등 고객의 용도에 맞게 폭넓은 산업용 로봇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제2의 도약을 통한 성장하는 휴먼텍의 미래    휴먼텍은 취출로봇, 공장자동화 분야의 축적된 기술을 통해 플라스틱 산업부문에서 사출 전·후 공정의 자동화시스템을 개발하여 공급하는 전문기업으로, 고객사의 현장 환경 개선 및 다양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솔루션을 지원하고 있다.    휴먼텍 황교중 대표이사는 “최근 전 세계의 긴축 정책으로 인해 산업 전반에 걸쳐 국내외 시장이 상당히 위축되어 있다. 반면, 공장자동화 시장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존 취출로봇 시장도 어느 정도 변화는 있겠지만 공장자동화를 연계한 산업군으로써 일정 기간 유지될 것으로 본다”라며, “더불어 스마트 팩토리 등 정부의 산업 정책도 상당한 성과를 이루면서 자동화 보급은 점점 늘어 날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이에 “휴먼텍은 수년간의 축적된 기술로 고객에게 경쟁력 있는 제품으로 고객 감동을 실현하고 있다”라면서, “2014년 창업 이래, 전 직원이 고객 만족을 위해 상호신뢰를 기반으로 항상 낮은 자세로 고객의 소리를 들으며, 더 나은 기술개발, 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하며 전진해 가고 있다”라고 전했다.    더불어 “올해 창립 10주년을 맞이하면서 미국법인을 설립함으로써 휴먼텍은 매출 배가 달성의 기반을 마련하였다”라며, “국내 자동차 업계가 본격적으로 북미 시장으로 진출함으로써 새롭게 형성되는 △ 이차전지 부품 인서트 자동화 △ FEM CARRIER 사출 자동화 △ 범퍼 사출 자동화, △ 취출로봇 시장 확대 등에 따른 매출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휴먼텍은 앞으로 레드오션이 아닌 블루오션 시장을 개척하고 선도하는 것을 목표로 휴먼텍만의 경쟁력 높은 아이템을 발굴하는 것이 ‘휴먼텍의 미래’라고 강조하였다. 해외거점 확보를 통한 수출 확대, 비 사출분야 사업 확대와 더불어 새로운 신상품을 개발, 런칭을 준비하고 있는 휴먼텍의 미래 행보에 큰 기대를 해본다.      
이용우 2024-06-23
기사제목
- LS엠트론, NPE2024에서 친환경적이면서도 스마트한 사출성형 솔루션으로 미국 언론에서 관심받아 - 고객을 가장 잘 이해하고 사출을 잘 아는 ‘Made for Molders by Molders’로서의 면모 톡톡히… 고객들의 찬사 이어져 - 단시간에 미국 시장에 진출하며 눈부신 성공을 거두고 있는 LS엠트론, 북미 시장 점유율 20%를 목표로  ​   ​    지난 이 2024년 5월 6일(월)부터 10일(금)까지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 오렌지 카운티 컨벤션 센터(OCCC: Orange County Convention Center)에서 개최한 NPE2024-The Plastics Show(이하 NPE2024)에 참여한 LS엠트론㈜(이하 LS엠트론)가 LS엠트론만의 친환경적이면서도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 똑똑한 사출성형 솔루션을 최대 규모의 부스(1,250m²)에서 고객들에게 선보였다.​   LS엠트론만의 새로운 지평을 구축한 동사는 자동차, 가전, 전자 및 물류, 포장 등 다양한 산업에 특화 가능한 스마트한 사출성형 솔루션으로 NPE2024 참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이끌어냈으며, 고객을 가장 잘 이해하고 사출을 잘 아는 ‘Made for Molders by Molders’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는 평을 받았다.​   향후 NPE2024에서 사출성형기 브랜드로서 존재감을 부각시킨 LS엠트론은 지난 3월에 신설한 텍사스주 팔레스타인 테크센터를 교두보(橋頭堡)로 사출성형기 시장 성장률이 높은 북미를 공격적으로 공략할 계획이다. 텍사스 테크센터는 북미 고객들을 위한 아틀란타, 시카고에 이어 설립된 3번째 테크센터로, 앞으로 LS엠트론에서는 멕시코 몬테레이에도 테크센터를 세워 지속적으로 고객들을 위한 지원과 성장을 위해 투자할 예정이다.​   글로벌 스탠더드(Global Standard)로 자리 잡은 LS엠트론, 똑똑한 사출성형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현실로!​   플라스틱에 대한 친환경적인 접근을 통해 LS엠트론만의 친환경과 관련된 특수 공법들(다색, 발포 등)은 물론, Digital Transformation에 맞는 AI 기술을 선보여 사출 산업에서의 기술 초격차 수준을 고객들에게 선보이고 있는 LS엠트론은 이번 NPE2024에서 자동차 산업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에 특화할 수 있는 스마트한 사출성형 솔루션을 참가사 중 최대 규모의 부스(약 1,250m²)를 공개해 화제를 모았다.   ​    특히, 자동차 부품의 고정밀 성형을 위한 프리미엄 하이브리드 사출성형기인 ‘the ONE*’과 초고속 패키징 성형을 시연한 ‘the ONE*-E’, 미래 자동차 산업의 핵심인 전기 자동차 배터리 생산에 최적화된 ‘LSG-VL’, 지속가능성을 위한 친환경적인 선택인 샌드위치 사출성형에 특화된 ‘LSG 900HPMC’ 등의 전시로 현장에서는 참관객분들의 호평이 이어졌다.   ‘the ONE*’은 다양한 고객들의 니즈(Needs)를 충족하기 위해 50년 전통의 사출성형기술이 담긴 LS엠트론의 프리미엄 하이브리드 사출성형기로, 이번 전시회에서는 현대자동차그룹의 차량용 후면 문 쪽 장식을 깨끗한 표면 마감으로 시연했다.​   자동차 부품의 고정밀 성형을 위해 설계된 프리미엄 사출성형기로써 정밀하고 완전한 표면 처리가 필요한 가벼운 몸체 구조물을 생산하는 데에 탁월하다는 강점을 뽐낸 ‘the ONE*’은 높은 생산성과 뛰어난 재현성, 최소한의 결함률,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통해 작업자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을 부각해 고급 자체 부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해 COVID-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고 있는 자동차 제조 산업에서 중요한 이점을 제공할 것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국내 최초 1.49초라는 드라이 사이클 타임을 구현해 생산성 향상에 더욱 효과적인 초고속/초정밀 전동식 사출성형기인 ‘the ONE*-E’ 역시 굉장히 빠른 속도로 초고속 패키징 성형을 시연해 참관객들의 시선을 한눈에 받았습니다. ‘the ONE*-E’ 시리즈는 현재 110/170/220/280/350의 다섯 모델에서 50/80/130/400의 모델이 추가되면서 제품의 우수성은 물론, 다양한 라인업 구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는 평을 받고 있는 사출성형기다.​   또한, 전기 자동차 배터리 생산에 최적화된 사출성형기인 ‘LSG 165VL’은 LSG-V 시리즈의 저상형 타입으로 작업자가 앉아서 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높이를 낮췄으며, 작업 효율성과 공간 활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설계된 강점이 참관객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특히 시스템을 통해 에너지 절약 및 향상된 정밀도를 제공하는 이 제품은 전통적인 수직 사출기와 차별성을 두고, 참관객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그리고 표면층에는 신재를 사용하고, Core층에는 재생재를 사용해 외관 품질 및 제품 강성 면에서도 견실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샌드위치 사출성형에 특화된 ‘LSG 900HPMC’ 역시 참관객들의 찬사를 받았다. 샌드위치 공법은 고품질의 외관과 구조적 무결성을 유지하도록 보장해 환경 및 품질 기준에 모두 충족하는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번 NPE2024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친환경적인 지속가능성에 목표를 두고 있는 LS엠트론만의 스마트한 사출성형 솔루션으로 인정받았다. ​  ​    차별화된 LS엠트론만의 스마트 사출성형 솔루션이 접목된 시연, 스마트 사출 공장 구현이라는 참관객들의 호평 이어져​   NPE2024에서 선보인 LS엠트론의 스마트 사출성형 솔루션(CSI4.0: Connected and Smart Injection)을 접목한 시연은 고객분들의 스마트 사출 공장 구현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강점을 직접 눈으로 참관할 수 있어 참관객들의 관심이 더욱 집중되었다.​   특히, 스마트 사출성형 솔루션은 4차 산업 혁명과 Digital Transformation에 고객사가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솔루션으로, 초기 시작 단계인 데이터 수집 단계, 이를 더욱 의미 있는 정보로 만들어 가는 단계와 더 나아가 빅데이터 처리 기술과 AI를 응용한 지능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 사출성형 솔루션은 스마트 생산, 스마트 기계, 인공지능(AI), 스마트 서비스로 분류해 진행하고 있으며, 그중 스마트 생산(Smart Production)은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로 접속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모니터링, 실시간 공정 모니터링 및 컨트롤할 수 있는 스마트 생산 제어, 금형의 생산정보 QR 코드로 확인 및 즉시 적용 가능한 스마트 금형 인식과 사출기 컨트롤러를 통한 주변기기를 통합 제어하는 스마트 주변 설비 제어, 고객의 데이터화 니즈에 대응하는 스마트 데이터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한 기계와 스마트한 서비스’라는 모토로 고객에게 제공되고 있는 스마트 중량제어(Smart Weight Control)와 스마트 원격 서비스(Smart Remote Service) 중 스마트 중량제어는 공정 조건을 자동으로 변경해 성형품의 중량을 보정하는 기술로, 사출기의 소프트웨어로 성형품의 중량 변동 요소를 감지해 기계가 스스로 조건을 변경한 후, 정상 중량으로 일부 보정하기 기능으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높였으며, 스마트 원격 서비스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요청으로 LS엠트론의 전문가가 실시간으로 원격지 사출기 화면을 공유받아서 입체적으로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를 통해 고객은 문제를 실시간으로 해결할 수 있고, 오프라인에서의 서비스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 사출 시스템(AI Injection System)은 최초로 인공지능 기술을 사출기의 공정 최적화에 적용한 것으로, 사출기에 연동된 중량측정기로 성형품의 중량 변화를 감지해 기계가 스스로 정상 중량으로 조건을 변경하는 인공지능 중량제어 시스템(AI Weight Control)과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사출기가 고숙련된 성형 전문가의 공정조건도출 방법을 학습하고 모방해 초기 공정 안정화에 걸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인공지능 조건 도출 시스템(AI Molding Assistant)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요한 성장기로에 서 있는 LS엠트론, 적극적인 기술개발과 투자로 북미를 비롯한 전 세계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계획 중! ​   전방위 산업에 산재한 다양한 고객사들의 니즈(Needs)를 자사 핵심기술의 지표로 삼고, 끊임없는 발전으로 다음 반세기를 착실하게 주도해 가고 있는 LS엠트론은 북미의 자동차, 가전, 전자 및 물류, 포장 등 전방위적인 산업군에서 2,000대 이상의 사출성형기를 판매했으며, 이번 NPE2024를 발판으로 삼아 제2의 도약을 하고 있다. 특히, 2024년 1분기 북미 수주건 중 신규 고객사가 50% 이상을 차지할 만큼 영업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으며, 북미향 제품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LS엠트론의 북미 시장 점유율은 2018년 1.5%에서 2023년 7.1%로 순조롭게 성장하고 있다. 신채호 LS엠트론 사장은 NPE2024 기자간담회에서 사출성형기 시장 성장률이 높은 북미를 집중적으로 공략하고 있다”라며, “이번 NPE 2024는 북미 시장 점유율 20% 목표를 달성하는 중요한 기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출성형기 미국 법인 LSIU와 멕시코 법인 LSIM을 중심으로 북미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LS엠트론은 2021년 일본 상사 기업인 DJK그룹 미국 자회사 DJA(Daiichi Jitsugyo America)의 사출성형기 사업 부문을 인수함으로써 북미 지역 판매 네트워크를 강화했으며, 아틀란타, 시카고에 이어 지난 3월, 텍사스주 팔레스타인 테크센터를 세 번째로 오픈했다.   북미 시장 발전의 교두보 역할을 톡톡히 할 텍사스 테크센터에서는 향후 고객을 위한 실시간 시연, 대면 교육 및 금형 시험 등을 적극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LS엠트론에서는 향후 멕시코 몬테레이에도 테크센터를 설립해 지속적으로 고객들을 위한 지원과 성장을 위해 투자할 목표를 세우고 있다.​   최근 유럽을 비롯해 북미까지 확산되고 있는 에너지 위기, 에너지 절감과 관련된 LS엠트론만의 탁월한 기술력을 선보이고 있는 동사는 다국적 고객들과의 만남을 통해 범세계적으로 통용되는 LS엠트론만의 스마트 사출성형 솔루션의 내실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LS엠트론은 앞으로도 본사, 북미(IU), 중국(MW) 등 모든 법인이 영업, 개발, 생산, 품질, 서비스 전 영역에서 동일한 시스템 안에서 움직이며 고객들의 니즈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이제 언제, 어디에서나 LS엠트론만의 친환경적이면서도 똑똑한 사출성형 솔루션을 만나보길 바란다.​   LS엠트론㈜ 사출사업부 공식 홈페이지: www.lsinjection.com  
이명규 2024-06-23
기사제목
- 4월 18일(목)부터 21일(일)까지 보은공장 우진플라임 테크노밸리에서 진행      ▲우진플라임 인하우스 외부전경    ‘ONE-CYCLE’을 주제로 진행된 우진플라임, 제4회 ‘IN HOUSE 2024’ 전시회에서는 AI 기술을 활용한 생산성 향상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 4M 솔루션(Machine, Method, Material, Man)을 제시하였다.    특히, 이번 인하우스 2024 전시회를 통해 우진플라임은 △ 사출 공정시 캐비티 단면적에 인가되는 사출 압력이 금형 형체력보다 큰 금형의 경우 파팅 면은 수 ㎛ 정도 벌어지게 되 고, 이로 인해 제품에 Burr 발생(Mold Flash)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Flash Monitoring 기술과 △ 사출 공정에서 수지 점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여 외란의 영향을 파악하는 기술, △ 사출성형시 스크류 위치에 따른 사출력 계산과 사출력의 변화를 통해 수지 점도의 변화를 판단하는 Weight Control 기능 고도화 등의 Viscosity Monitoring 기술을 선 보였다.      ▲우진플라임 테크센터 내부전경(인하우스 행사)   더불어, △ GF 수지 생산고객에 유용, 주기적인 스크류 교체 대신 데이터에 의한 교체, △ 양산 중 실질적 보압 구간에 서의 역률을 자동 측정, △ 측정기준 압력 및 속도에 대해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체크링 예지보전 기술과 △ Edge-Cloud기반 AI 기술 관련 국책과제 수행 중이며, △ OPC-UA 통신을 위한 AAS 기반 데이터모델 구축 완료, △ 비전 검사 장치 와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구축 완료, △ Modbus-TCP 통신 모듈 구축이 완료된 EDGE Controller 등의 AI 스마트기능 들을 만나볼 수 있었다.    지난 4월 18일부터 21일까지 4일간 개최된 ‘IN-HOUSE 2024’는 오전 10시부터 5시까지 테크니컬센터 내부에서 우진플라임을 대표하는 DL 1300A5-2K-T 외 28대(A5, G5, VH, Super-Foam, 특수기종 시리즈)의 사출성형기가 전시, 시연이 진행되었으며, 성형제품 샘플, 스크류 및 체크링 등이 전시되어 고객들을 맞이하였다.    한편, 우진플라임 기술교육원에서는 기술세미나가 진행되었으며, 판금동, 가공동, 스크류&바렐동, 소형동, 중·대형동을 돌아보는 공장 투어가 진행되었다. 이와 함께 테크니컬센 터 외부에 협력사 부스를 마련, 협력사들의 제품홍보도 이루어졌다. 우진플라임의 김익환 대표는 ‘IN-HOUSE 2024’ 전시회를 맞이하여 “우진플라임은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분야의 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글로벌 리더로 전세계 40여 개 사업장에서 비즈니스를 전개하고 있다.    국내 비즈니스에서는 글로벌화를위해 중요한 경쟁력 창출의 메카 역할을 이룩하고, 오스트리아 연구법인에서는 현지 밀착형 제품개 발을 통해 글로벌화를 위한 전초기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중국, 미국, 멕시코 법인에서도 우진플라임의 글로벌 네트워크의 중심축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라며, 국내외 에서의 우진플라임 활약에 대해 소개했다.    더불어 “우진플라임은 지금, 이 순간에도 ‘글로벌 리더’를 향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고, 고객 만족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그러한 믿음에 보답할 수 있도록 기술 진보에 더욱더 앞장서서 변화하는 미래를 준비하고 고객의 기대에 부응하는 기업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좋은 사출성형기’ 를 만들기 위해 아직 갈 길이 멀고, 넘어야 할 산은 많지만, 우진플라임은 그 꿈을 향해 오늘도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고, 앞으로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는 우진플라임에 변함 없는 관심과 성원을 부탁한다고 밝혔다.      우진플라임 테크노밸리에서 진행된 이번 ‘IN-HOUSE 2024’에서는, • 형판 3개 사출 장치 2개를 한 대에 녹여낸 이색 이재질 특수사출 전용기 DL1300A5-2K-T, DL900A5- 2K-T, • 축압기 부착 고속사출용 프리미엄 Two-platen 사출성형기 DL700A5-ACC, • 토글방식 형체 시스템을 적용한 대형 전동식 사출성형기 TE650A5, TE280A5, • 유럽 선진기술을 적용한 프리미엄 절전형 전동식 사출성형기 TE350A5, TE220A5, • 타이바레스기기 TL-A5 기반으로 제작된 턴테 이블 이중사출성형기 TL300A5-2K-W, • 타이바레스 직압 식 사출성형기 TL300A5, TL220A5, • 프리미엄 절전형 유압식 사출성형기 TH280A5 등의 ‘A5 시리즈’와 • 우진플라임이 자체 개발한 시스템을 도입한 글로벌 절전형 전동식 사출성 형기 TE110G5, TE280WG5, TE110G5(국책과제), • 글로벌절전형 유압식 사출성형기 TB480G5 등의 ‘G5 시리즈’를 전시하였다.    더불어 • 우진플라임이 자체 개발한 시스템을 도입한 이색 이중 절전형 전동식 사출성형기 ‘TE250NC ‘Multi 시리즈’와 • 저압 미세 물리 발포기술을 적용한 Two-platen 사출 성형기 DL2300A5(S.F),DL1300A5(S.F), DL900A5(S.F), DL500A5(S.F), • 저압 미세 물리 발포기술을 적용한 Full-Electric 전동식 사출성형기 TE350A5(S.F), TE220A5(S. F), • 저압 미세 물리 발포기술을 적용한 Hybrid 사출성형기 SFV2400A5(S.F) 등의 ‘Super-foam 시리즈’, 그리고 •상부 형체 구조 저상형 수직 절전형 유압식 사출성형기 VHL350RS, VH200RG5, VH50RG5, • 수직 형체, 축압기 부착 수평 고속사출 저상형 수직 절전형 직압식 사출성형기 VH150SHM2-R1, • 상부 형체 구조 저상형 수직 절전형 이색 이재질 유압식 사출성형기 VHL250RS-2K-V 등의 ‘VH 시리즈’ 등 총 28대의 사출성형기들이 전시 및 시연되었다. 한편 기술교육원 1층 세미나실에서 개최된 기술세미나는 전시 기간인 18일부터 21일까지 매일 진행되었다.      이번 기술세미나에서는 WOOJINPLAIMM GmbH Research/Development Mr. Richard Wagner anager의 “Smart Function”, 우진플라임 이동민 팀장의 ‘특수성형기 소개’, 우진플라임 부설 연구소 김생길 이사의 “친환경 공법 Super-Foam”, 우진플라임 부설 연구소 엄종현 이사의 “스마트 사출성형 기능과 AI 활용”, 우진플라임 부설 연구소 이인용 CTO의 “Digital transformation of IMM” 등의 강연과 더불어 현대자동차 성한기 책임의 ‘물리 발포 동향’, 동남 리얼라이즈 임승훈 CTO의 “숲과 나라를 살리는 제조업”, 산수음료 김지훈 대표이사의 “PLA-ECO PLASTIC” 등의 강연이 진행되었다. 더불어 IN-HOUSE 2024에서는 국내 및 해외 고객들을 위한 공장 투어가 진행되었다.    전시회가 진행된 테크니컬센 터에서 버스에 탑승하여 판금동, 가공동, 스크류&바렐동, 소형동, 중·대형동을 들러 각 설비를 돌아보고 다시 테크니컬센 터로 돌아오는 공장 투어를 진행했다. 우진플라임을 대표하는 사출성형기 전시 및 기술세미나, 공장 투어 등 알차게 준비된 이번 ‘IN-HOUSE 2024’는 사출 성형산업과 합리화 설비의 최신 정보를 공유하는 좋은 기술교류의 장이 되었다.      많은 기종의 사출성형기 전시, 시연부터 기술세미나, 공장 투어, 그리고 훌륭한 손님 접대를 빈틈없이 진행한 우진플라임의 김익환 대표이사를 비롯한 임직원들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함을 전하며, 다음 IN-HOUSE를 기대해 본다.   참고로, 미처 IN-HOUSE 2024 전시회에 방문을 못했으면, 우진플라임 유트브 https://www.youtube.com/@WoojinPlaimm_kr 에 방문하면 IN-HOUSE 2024 전시회 관련 동영상을 볼 수 있다.  
이용우 2024-06-23
기사제목
- 올 3월 자가 신공장 확장 이전, 4월 19일에 이전 개업식 거행 - 성시웅 대표, “30여 년간 엔지니어로서 고객의 니즈에 최적인 제품 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라고 강조   ​    2010년 창업이래 인서트 사출성형기를 전문적으로 제작해 온 ㈜엠이더블유(MEW; Mold Experts World, 대표이사 성시웅 www.mew.co.kr 이하 MEW)는 수십 년간 직접 구현해온 독자 기술을 바탕으로 All 전동식 수직형 사출성형기를 비롯하여 이중 사출성형기, 저상형 로터리 사출성형기, 고상형 로터리 사출성형기, LSR 실리콘 사출성형기, BMC 사출성형기, EMC 사출성형기, 초고속/초정밀 MVC 사출성형기 등과 더불어 FA 솔루션(공장자동화)까지 토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MEW는 고객과의 소통과 피드백을 통해 지속적으로 제품을 개선해왔으며, 그 결과 관련 업계에서 A/S 발생률이 적은 기계로 입소문이 나 있다.​   MEW의 성시웅 대표이사는 “MEW는 고 기술력 시대에 고객의 가치창조에 기여하는 파트너로 거듭나고자 기업 비전을 ‘The Dream of global technique’로 정하고, 장비 제조기술 관련 인프라 및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라며,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한 가지는 ‘빠른 납기’다.​   고객이 새로운 사출성형기를 도입할 때 기계, 금형, 주변기기의 조건을 각각 따로 잡게 되면 실제 생산까지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는데, 우리는 고객의 이러한 고충을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 파트너사와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통해 사출성형기에서부터 최적화된 금형, FA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고객사에 최적화된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FA 추진 시에는 제품에 대한 컨셉 미팅을 통해 제품에 가장 적합한 사출성형기와 자동화 구성을 도출해내고, 원가를 계산하여 고객사에 최적화된 토털 솔루션을 제공한다. 따라서 고객 입장에서는 편리성과 생산시간 절약의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남들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특수기계 개발에 최선    ​    현재 MEW에서는 올 전동 수직 사출성형기를 비롯해 이색·이종 사출성형기, 저상형 로터리 사출성형기, 고상형 로터리 사출성형기(MVR-3T SERIES, MVR-4T SERIES), LSR 실리콘 사출성형기, BMC 사출성형기(MVP-2MS SERIES, MH SERIES, MVP-SLC SERIES, MVP-SL SERIES), EMC 사출성형기(MVTR SERIES), 초고속/초정밀 MVC 사출성형기(MVC SERIES, MVC-S SERIES, MVC14-12V SERIES, MVC-SP5V SERIES) 등 인서트 가공 수직형 사출성형기 및 특수 사출성형기를 제작하고 있다.​   수직형 올 전동 사출성형기는 전동 사출기, 자동 이송장치, Vision camera, 자동 취출, 커팅, Tray Packing, 출품검사까지 FA를 실현, 인력 재배치를 통한 장기적 품질관리가 가능하며, 저상형 로터리 사출기의 경우, 높이가 낮고 폭도 작아 작업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자동화 환경구현을 위한 공간 확보를 최대한 구현하였다. 더불어 절전형 하이브리드 AC SERVO 모터 적용으로 전기절감 효과를 극대화하였으며, 턴테이블 서보모터 적용으로 정확성, 빠른 회전, 소음감소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빠른 금형 교체가 실현가능하다.   더불어 국내 최초이자 세계에서 두 번째로 개발에 성공한 계량형 더블 BMC 기종인 MVP-2MS BMC 사출성형기는 Two mold slide type으로 1차 금형 소결시간동안 다른 금형 작업이 가능하고, 각기 다른 제품을 동시 생산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편, 가격대가 높은 2,000~3,000톤급 이중 사출기를 대체하고자 일반 사출기에 사출대 1대를 더 붙여 핫런너를 체크링 역할로 이용하여 이중 사출기처럼 이색 사출이나, 신재와 재생재를 활용, 동시에 성형이 가능한 이중 사출성형기를 개발했다. 고가의 이중 사출기 대비 투자비가 적게 들어가며, 최근 환경문제에 따른 재생재 사용이 늘고 있어, 앞으로 이중 사출성형기 시장의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다.​   EMC 사출성형기는 최고의 반도체, LED 제조를 위한 하이브리드 트랜스퍼 몰딩 프레스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소형화 고집적화 반도체 제조에 최적인 초정밀 압력제어 및 유량제어 시스템을 적용해 전기소모량 절감 및 냉각수 사용이 필요 없는 혁신적인 기술의 설비로 손꼽히고 있다.​   초고속·초정밀 MVC, MVC-S 사출성형기는 4주식 수직 형체, 수직 사출 일체형 제품으로, 공간점유율을 최소화하고, 이송 자동화 장치와 결합해 인서트의 성형 이송까지 자동 성형이 가능하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MEW만의 특허 시간 단축형 형개폐 장치를 적용, 사이클 타임을 단축시켜 오일 온도 상승을 최소화했으며, 숏 오프 타입 사용으로 내구성을 향상시켰다.​   우수한 기술력과 빠른 업체 대응력으로 고객이 원하는 니즈(Needs) 충족     ​ 성시웅 대표는 “처음부터 기술력으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문제를 예측하고, 향후 벌어질 수 있는 A/S문제를 최소화함으로써 고객의 신뢰를 얻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왔다”라며, “MEW는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고객의 다양한 의견에 귀를 기울이면서 제품 개발과 고객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왔다”라고 밝혔다.​   이와 같은 성시웅 대표이사를 비롯한 베테랑 임직원들의 노력을 통해 MEW는 현재 업계에서 ‘A/S 발생이 적은 우수한 기술력의 업체’로 회자되고 있다. 성 대표이사는 ‘사업을 추진하면서 실수를 가장 많이 줄이는 방법은 고객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 경청하면서 직원들과의 토의를 통해 사전에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방지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MEW의 가장 강력한 경쟁력은, 거래처에 대한 결제 조건이 좋아 부품 수급의 속도가 빠르고,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 원가 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과 더불어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적정 가격 거래와 빠른 납기다.​   MEW, 새롭게 공장을 확장 이전, 미래를 준비하다!   ​    MEW에서는 최근 몇 년간 지속되고 있는 글로벌 경제 침체에 따라 사출 관련 업계에도 영향이 많은 상황 속에서 이의 극복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단순히 A/S 문제 해결에만 머무르지 않고, 자동화에 주력해 남들보다 기술적으로 앞서 나가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   성 대표는 “시장 전망은 인서트가 강세로 자동차 쪽 시장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인력 문제로 인해 자동화를 통해 직원 혼자서 여러 대의 사출기를 관리하지 않으면 사출 업체가 존립해나갈 방법이 없다”라며, ‘특히, 고부가가치 사업 분야로 시야를 확대하면서 타 업체와의 차별화를 통한 새로운 블루오션 개척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다.​   MEW 역시 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새로운 시장 개척은 필수라고 생각하고, 친환경 제품과 해외시장 진출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번 신공장으로의 확장 이전을 통해 한 번 더 도약해나갈 방침이다. ​   MEW는 설립 당시부터 해외시장 진출이라는 꿈도 함께 키워왔다. 그러한 노력의 결과로 현재 베트남, 멕시코, 미국 등지에 수출하고 있으며, 추후 인도와 멕시코 시장으로의 진출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멕시코는 미국 시장을 겨냥해 멕시코 현지에 기아자동차를 비롯해 세계 유수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진출해있기 때문에 그 시장성은 매우 크다. 인도 또한 미국과 중국에 이은 세계 3위의 플라스틱 소비국으로 최근 6년간 연간 10%대의 꾸준한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성장 시장이다. 이에 MEW에서는 고유의 국산 기술로 인도와 멕시코 시장 진출에 집중해 대한민국의 기술을 세계 시장에 선보이자 더욱 노력해나갈 계획이다.  ​    
이용우 2024-06-23
기사제목
- 한국하이티엔, 고객과 함께한 20주년 기념식을 5월 23일(목)에 제천 테크센터에서 개최 예정 - 품질의 우수성과 안정성은 Up! 납기는 Down! 고객의 니즈(Needs)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하이티엔의 5세대 라인업 대공개!​   단순한 총판 개념에서 벗어나 고객의 만족을 최우선으로 지향하는 토탈 서비스 업체로서 고객 중심의 마인드와 기본 및 원칙에 준하는 엄격한 사후 관리 및 품질 관리로 고객에게 다가가고 있는 ㈜한국하이티엔(이하 한국하이티엔)이 20주년을 맞이했다.​  2024년을 맞아 3세대에 비해 약 10~15% 사출속도가 향상되고, 정밀도가 높아진 5세대 라인업을 국내 시장에 선보인 한국하이티엔은 5월 23일(목)에 제천에 소재한 한국하이티엔 테크센터에서 20주년 기념식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2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한 프로모션도 준비 중이라고 전해 관련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스마트 기술, 유연한 통합, 지속 가능한 솔루션, ‘하이티엔 5세대 모델’ 새로운 표준을 제시!​   플라스틱 사출 관련 토탈 솔루션을 실현하고 있는 한국하이티엔이 국내에 5세대 라인업을 공개해 화제를 모았다.   JU(Jupiter), ZE(Zeres), MA(Mars), VE(Venus) 등 전기종이 모두 업그레이드(Upgrade)가 된 5세대는 스마트 기술, 유연한 통합, 지속 가능한 솔루션이라는 콘셉트로, 차세대 에너지 절약형 스마트 기능과 뛰어난 성능 및 수준 높은 퍼포먼스를 자랑한다.   ​    최근석 한국하이티엔 영업부 기술영업상무이사는 “국내에 선보인 ‘하이티엔 5세대 라인업’은 고객의 니즈(Needs)를 적극적으로 수용해 전체적으로 업그레이드가 되었으며, 기존 3세대에 비해 약 10~15% 사출속도가 향상되었다”라며, “특히 전 기종에 전동 계량이 기본 옵션으로 정밀한 배합 및 균일한 계량 부분에서 매우 강점을 보이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5세대는 정밀한 전동 계량을 비롯해 중량 편차(IQ Weight), 형개폐 자동 세팅, 데이터 값 자동 산출 등 AI 적용 분야가 확대되어 사출 성형 시, 전반적으로 품질의 안정성이 강화되었다. 또한, 전기료가 약 20%가량 절감되는 등 에너지 세이빙(Energy Saving) 부분에서도 고객분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라고 전했다.​   또한 “5세대에는 AS가 발생했을 시, 그 즉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안경이 호환될 예정이다. 고객이 착용한 스마트 안경을 통해 전달된 화면과 소리로 현장에 방문하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장비를 파악해 문제 해결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이 제품은 중국에서는 이미 사용 중에 있으며, 국내에서는 연말쯤 도입할 계획이다”라고 덧붙였다. ​   20년을 고객과 함께 한결같이 성장해 온 한국하이티엔, 앞으로도 고객의 만족을 최우선으로 지향하는 토탈 서비스를 제공할 것!   사출성형기의 A부터 Z까지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며 세계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하이티엔의 아성(牙城)을 국내에 고스란히 전하고 있는 한국하이티엔은 올해 20주년을 맞이했다. 이에 한국하이티엔은 한결같이 동사를 독려해 준 고객분들과 함께 5월 23일(목)에 제천 테크센터에서 20주년 기념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지난 2022년에 사출성형기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그 즉시 구매까지 가능한 종합 판매 솔루션이 구축된 사출성형기 백화점으로 화제를 모은 I.J 쇼핑몰과 연수원, 연구소 등으로 구성된 제천 테크센터는 최근 실사출동(사출성형 모델하우스)까지 구성해 그 규모를 확대했다. 사출성형기에 필요한 모든 주변기기를 비롯해 오토 피딩(Auto Feeding) 시스템은 물론, 사출성형 시연, 사출성형기 출하 장면까지 직접 볼 수 있어 사출성형인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곳이다.​   최 상무는 “20주년 기념식에서는 특별한 프로모션을 준비 중이다”라고 강조하며, “제천 테크센터에서는 다양한 모델별 설비를 구성해 고객분들께서 방문해 직접 실사출은 물론, 장비 작동도 해보실 수 있으니 많은 방문 부탁드린다”라고 전했다.   한국하이티엔, 20년을 넘어 앞으로도 국내를 비롯한 국제무대에서 빛을 발할 것!​   최근 글로벌 디스인플레이션, 통화정책의 전환, 제조업 경기 불투명 등의 요인으로 인해 2024년의 국내 산업은 장기 저성장에 대한 우려가 점쳐지고 있으나, 이것은 한국하이티엔에게는 해당 사항이 없는 듯하다.​   “업계에서는 올해가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지만, 한국하이티엔은 매출 목표 달성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는 고객의 만족을 최우선으로 지향하는 토탈 서비스 업체로서 고객 중심의 마인드와 기본 및 원칙에 준하는 엄격한 사후 관리 및 품질 관리를 철저히 하는 당사의 노력이 고객분들의 편견을 깨뜨려 하이티엔 제품에 대한 우수성을 인정받은 것이 아닌가 싶다”라는 자부심 넘치는 최 상무의 설명처럼 한국하이티엔은 판로 확대에 여념이 없다.​   보다 적극적인 판로 확대를 위해 한국하이티엔은 4월 23일(화)부터 26일(금)까지 중국 상하이 National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에서 개최한 제36회 국제 플라스틱 및 고무산업 전시회(CHINAPLAS)와 중국 닝보에 소재한 하이티엔 본사에 참관객들과 함께 방문했다.​   최 상무는 “앞으로도 두 달에 한 번씩 정도로 고객분들을 모시고, 중국 본사에 방문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라며, “하이티엔의 진보된 생산 시스템을 한눈에 보는 자리를 자주 마련하려고 한다”라고 전했다.   현재 다양한 방안으로 하이티엔 제품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는 한국하이티엔은 Best Technology Service의 약자인 ‘BTS 미리팀’이라는 서비스팀을 신설해 기존의 A/S 개념을 탈피하고, 미리 찾아가는 서비스로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여 사출성형업계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또한, 기술부 직속 ‘해외 5분 대기조’를 운영해 해외에 있는 고객들도 신속하게 A/S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문의: ㈜한국하이티엔: 032-327-1891(본사) / www.haitian.kr I.J 쇼핑몰: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양월로 46-12 / 043-645-1891    ​
이명규 2024-06-23
기사제목
㈜우진플라임, 동남리얼라이즈와 지속 가능한 CXP 목재를 활용한 제품생산 확대에 맞손- 지난 2월 28일, 우진플라임 테크니컬센터에서 양사는 지속 가능한 제품생산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 국내 1위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전문 제조기업인 ㈜우진플라임(대표이사 김익환 woojinplaimm.com 이하 우진플라임)은 지난 2월 28일, 보은 충북 보은군에 위치한 우진플라임 본사에서 지속 가능한 CXP 목재 전문업체인 동남리얼라이즈(대표 현지원 www.cxp.kr 이하 동남리얼라이즈)와 함께 탄소 절감 제품생산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에 따르면, 우진플라임은 동남리얼라이즈의 지속 가능한 CXP 목재(목분 수지)를 활용한 제품생산에 적합한 사출성형기를 적극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한 동남리얼라이즈의 CXP 소재를 사출 시장에 확대해 나가는 데에 장기적인 상호 협력관계를 형성하기로 합의했다.  ​​    동남리얼라이즈의 CXP(Cellulose Cross-linked Polymer)는 셀룰로오스끼리 자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고분자다. 나무를 이루는 주성분인 셀룰로오스는 다양한 식물들에 분포되어 있으며, 나무 분말의 계면을 활성화하고 결합수를 CH2로 치환하여 열가소성이 부여된 목분 수지가 바로 CXP인 것이다.   무독성의 열가소성 목재인 CXP는 원재료인 목재의 결합수를 제거하여 별다른 후처리를 하지 않아도 내구성 내후성 수치 안정성이 뛰어나며, CXP 목재 특유의 열가소성은 정밀한 성형 가공과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품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플라스틱의 대체재로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분해 기간 조절이 가능하며, 옵션으로 난연, 불연, 항균, 고유동, 고충격, 고연성을 선택할 수 있고, 분해 시 또는 연소 시에도 독성이 전혀 없으며, 천연미네랄 안료를 사용하여 색상 구현이 따뜻하고 자연스럽다.​   더불어 CXP 제조 시 함부로 나무를 벌채하여 사용하지 않고 농업부산물, 임업부산물을 주로 사용함으로써 버려지는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부산물의 부패로 인한 온실가스 생성을 막는다. 게다가 기존의 플라스틱 공장에서는 유해 물질이 발생하여 근로자의 건강을 위협하였지만, 플라스틱 재료를 CXP로 바꾸는 것만으로도 나무 향기가 가득하고 쾌적한 근로환경이 보장된다. ​ ​    CXP의 가장 큰 장점은 플라스틱의 생산 설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우진플라임에서는 동남리얼라이즈의 CXP를 활용한 제품생산 최적화 개발에 몰두해왔으며, 그동안 여러 전시회를 통해 CXP 제품을 직접 생산하는 시연을 해왔다.   특히 우진플라임은 지난 2021년 ESG(환경 Environment·사회 Social·지배구조Governance) 경영을 선포하고 ESG 업무 시스템 개발, 제조 현장 및 업무 프로세스 구축, 공정 자동화·작업 환경 개선 등을 통해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인프라 확대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한편, 우진플라임 테크니컬센터에서 4월 18일(목)부터 21일(일)까지 진행될 ‘WOOJIN PLAIMM IN-HOUSE 2024’에서도 CXP를 활용한 사출성형의 시연을 준비하고 있으며, 올 하반기에 동남리얼라이즈가 참가할 전시회에도 우진플라임 2개 기종(수평기, 수직기 각 1대) 사출성형기를 협찬, 전시 부스에서 CXP를 이용하여 성형제품을 직접 생산하는 시연을 전개할 계획이다.   추후 우진플라임은 기존의 투플레이튼 직압식 파렛트 전용 사출성형기, PET 전용 사출성형기에 더해 CXP 전용 사출성형기 출시까지 검토하고 있다.    ​   ​ 
취재부 2024-06-23
기사제목
- 사출성형제품 비전검사 장비를 넘어 반도체 비전검사 시스템 개발에 몰두 - 홈페이지 리뉴얼을 통해 비전검사 소프트웨어 체험판 무료 공급 계획 ​    ㈜인티맥스(대표이사 곽철우 www.intimaxinc.com 이하 인티맥스)는 지난 2023년 무척 바쁜 한 해를 보냈다. 2023년 1월 1일부로 산업용 영상검사 분야의 전문기업인 쓰리디산업영상의 비전사업부를 인수합병한 데 이어 9월에는 경기도 판교에 새로운 사옥을 마련하고, 수원, 인천, 파주에 있던 사업장을 모두 통합, 이전했다.​   인티맥스는 쓰리디산업영상의 비전 검사 관련 전반을 모두 인수함으로써 기존의 비전 검사 소프트웨어와 비전 검사 장비에, 인티맥스 고유의 반도체 제조장비 제작 기술력이 합해지면서 더욱 큰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룰베이스(rule-base) 비전 검사 소프트웨어인 AnyLook과 딥러닝(deep-learning) 비전 검사 소프트웨어인 AIVI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비전 검사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인티맥스의 AI 자동 비전 검사 장비 ‘FinBOX(핀박스)’는 플라스틱 사출성형분야의 ‘다품종소량생산’에 특화된 장비로, 사출성형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성형, 치수 변형, 스크래치, 흑점, 웰드라인, 가스, 플로우, 홀 막힘, 버(Burr) 등 다양한 제품 불량을 검사할 수 있기에 사출성형 현장에 매우 적합한 아이템이다.​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처리 및 검사의 기본 제품인 룰베이스(rule-base) 비전 검사 소프트웨어인 AnyLook은 플랫폼 내에 30여 개의 검사 툴(Tool)이 있으며, 코딩이 필요 없이 모듈 방식의 도구를 사용하여 ‘레고 블록’ 조립처럼 누구나 손쉽게 비전 검사를 구축, 불량을 검출해낼 수 있으며, 딥러닝(deep-learning) 비전 검사 소프트웨어인 AIVI는 데이터 반복 학습(지도 학습 또는 비지도 학습)을 통해 비전 검사 구축이 가능하며, 전문 지식이 없어도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습시켜 비전 검사가 가능하고, 검사 결과 실시간 도출 및 데이터 등록이 가능하다.​    FinBOX는 ▲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4개의 검사 제품 기본 등록 ▲ 미성형, 흑점, 홀 막힘, 버(bur) 등 기본 검사 가능 ▲ 성형제품에 따른 특별한 정렬 Jig 불필요(특수형태 제품일 경우 필요) ▲ 불량 배출(불량 유형별로 구분 배출도 가능) ▲ 적재, 포장 자동화로 확장이 용이한 시스템 구성 ▲ 신뢰성 높은 검출력 ▲ 고객의 생산 현장의 변경 없이 바로 적용 가능한 기구 디자인 ▲ 검사 결과 통합 통계 자료 리포트 출력이 가능하므로 정형화된 품질관리 가능 등의 특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FinBOX는 컨베이어 일체형이기 때문에 기존 생산라인의 변경 없이 사출성형기 사이에 기존 컨베이어 대신 바로 설치, 적용이 가능하게 디자인되어 있어 사출성형기에 밀착, 생산되는 제품의 양·불 검사를 바로 마침으로써 후공정 작업으로 이어질 수 있다. ​   홈페이지 리뉴얼을 통해 체험판 AnyLook Lite 버전과 Case Study 동영상 업로드​   인티맥스는 최근 홈페이지를 새롭게 리뉴얼하면서 편의성 부분만 축소하고 딥러닝까지 포함된 체험판 ‘AnyLook Lite’ 버전을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도록 보강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관심 있는 고객들이 비전 검사 소프트웨어를 내려받아 비전 검사를 직접 체험해 봄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비전 검사를 구축, 불량을 검출해낼 수 있도록 하여 기존에 비전 검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자 한다.   인티맥스 비전사업부문 김경환 부문장은 “그동안 기존의 비전 검사 장비를 활용하다가 이용에 불편을 느끼면서 사용을 포기하고 비전 검사 장치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분들이 직접 체험판을 내려받아 우리의 비전 소프트웨어로 테스트를 해보고, 기존에 해결되지 않는 문제에 대해 컨설팅을 받거나 무료교육 등을 받으면 된다”라며, “당사의 비전 검사 소프트웨어는 오픈 소스를 이용해 개발했기에 무료로 제공할 수 있고, 오랫동안 필드 테스트를 거친 완성도가 높은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고객들에게 자신 있게 공개하는 것이다”라고 전했다.​   더불어 Case Study 동영상도 홈페이지에 업로드해 고객들이 좀 더 쉽고 편하게 비전 검사 장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김경환 부문장은 “고객으로부터 비전 검사 의뢰가 들어오면 투자 대비 빠른 감가상각을 고려하여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불량 사례 검사를 추천, 비전 검사 장비의 초기 투자비를 맞춰준다”라며, “비전 검사 자동화 구축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안정화를 위해 신경을 많이 쓴다. 고객들이 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사후관리도 철저히 하고 있다”라고 밝힌다.   다행히 사출성형 부분의 경우 사출성형기의 크기에 따라 금형 크기, 캐비티 수, 제품 크기 등이 거의 비슷해서 처음에 도입된 비전 검사 장비를 활용, 계속해서 검사 제품에 맞춰 변화를 줄 수 있다.    더불어 김경환 부문장은 “비전 검사 장비의 경우 오더 메이드가 많다 보니, 고객의 주문에 따라 검사 대상품의 크기가 다르고, 어떤 경우에는 트레이에 담긴 상태로 검사를 진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촬영만 가능하다면 비전 검사는 가능하기 때문에 고객의 요청사항에 맞춰 기구설계를 거쳐 비전 검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라고 덧붙인다.​   인티맥스 내부에서 비전 검사 장비를 완성하고 나서 실 테스트를 거쳐 검증 이후에 출고를 하기 때문에 고객사에 가서 설치 후 가동되는 결과만 확인하면 된다. 이후 고객사에서 비전 검사 대상 제품의 변화나 검사항목의 변화가 있을 시 고객의 요청에 따라 원격으로 추가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올해 인티맥스는 반도체 장비에 적용될 비전 검사 소프트웨어를 개발 중으로, 올 봄이면 개발이 완료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학회, 대학 등 산학연과 연계한 기술 개발 및 사업도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
이용우 2024-06-23
기사제목
최상의 품질을 위한 발걸음을 떼며, 불량률 0%에 도전하고 있는 ㈜인터에임(이하 인터에임)이 최근 외부로 전선을 연결하는 기존 IAMC-66 모델의 방식에서 전선의 내부화로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해 금형 세척기 IAMC-66CL-TKP15의 공개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사출 금형 관리의 필수품이며, 금형의 수명을 연장하고, 품질 향상을 위한 최고의 선택으로 평가되는 금형 세척기 전문 기업인 인터에임의 전해 금형 세척기 IAMC-66CL-TKP15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전기분해, 초음파의 복합 세정! 물리적 손상 없는  완벽한 세정을 선보인다! ‘IAMC-66CL-TKP15’ ​    1998년 창업 이래, 친환경 전해 금형 세척기, 금형 냉각수관 세척기, 금형 용접기 등 금형 메인터넌스(Maintenance) 전문 장비를 공급하며 고객사 제품의 품질 향상에 이바지하고 있는 인터에임은 지난 2010년 1월 SOMAX 社와 기술제휴를 맺고, 전해 금형 세척기를 국내 생산하며 공급하고 있다. ​   2014년부터는 USHIO 社와 금형 감시장치 에이전시 계약을 체결하며 금형 및 사출 관련 분야의 영역을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는 동사는 최근 전기분해, 초음파의 복합 세정을 통해 물리적 손상이 없는 완벽한 세정을 선보이는 ‘IAMC-66CL-TKP15’를 출시해 관련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전선의 내부화로 편의성을 향상시킨 ‘IAMC-66CL-TKP15’는 소형 금형부터 중대형 사출 금형에 최적화된 제품으로 최대 320*420*120까지 세정이 가능하며, 66 Liter type으로 중형 금형에 적합하다는 평이다.​   대용량 전기분해(150A)가 가능한 이 제품은 초음파 스윕 기능으로 세정이 더욱 강력해졌으며, 독립형 초음파 진동자를 적용하고 있다. 또한, 인체에 유해한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난연성 수지 및 가스층을 완벽하게 제거해 매우 안전한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자동차, 반도체, 전기 및 전자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IAMC-66CL-TKP15’는 특히, 금형의 손상과 치수 변화가 없어 관련 업계의 큰 호평을 받고 있다. ​ 최상의 품질을 위한 첫걸음, 불량률 0%에 도전하는 ㈜인터에임 ​      금형을 올바르게 관리하는 것만으로도 사출성형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어 사출 금형 관리의 필수품으로 꼽히는 금형 세척기는 금형의 수명을 연장하고, 품질 향상을 위해 대부분의 사출 금형업체들이 선택하고 있다.​   인터에임은 국내 사출 업계에 전해식 금형 세척기 붐(Boom)을 일으킨 선도 기업으로 동사의 제품 사용으로 금형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획기적으로 줄이는데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특히, 인터에임의 전해식 금형 세척기는 금형과 이물질 틈새로 전해 세척제가 침투하며, 세척제가 금형 표면에 전해되어 전해 가스를 발생시키고, 금형과 이물질 틈 속에서 세척제가 전해되어 액체에서 기체로 변화하면 체적이 수백 배로 팽창하여 초음파 작용에 의해 세척제의 침투와 이물질의 박리를 촉진시키는 원리로 진행된다.   인터에임의 관계자는 “현재 국내외 300여 개사의 납품실적을 가지고 있는 당사는 사출 금형 세척분야를 선도하고 있음을 직시하고, 앞으로도 고객분들께 ‘IAMC-66CL-TKP15’와 같은 우수한 제품과 서비스로 보답하고자 하니 많은 관심과 격려 부탁드린다”라고 전했다.  ​ 현재 인터에임은 ‘IAMC-66CL-TKP15’ 제품과 같은 전해 금형 세척기 외에도 광학용 금형 세척기, 온조 배관용 세척기, 금형 육성용접기, 전용 세척제 등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며 고객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고 있다.    ​    ​
이명규 2023-08-09